마누엘 라페냐

Manuel Lapeña
마누엘 라페냐
고야의 라페냐 초상(1799)
(뉴욕 히스패닉 협회 박물관)
태어난1762년 4월 11일
나바라발티에라
죽은1820년 10월 14일 (1820-10-14) (58세)
마드리드
얼라이언스 스페인
전투/전쟁

마누엘 데 라페냐 이 루이스 델 소틸[note 1](Manuel de Lapenya y Ruiz del Sotillo, 1762–1820)는 스페인의 군사 지휘관이었습니다.

무능함으로 정평이 난 그는 도냐 마누엘라(레이디 마누엘라)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1][note 2]— 라페냐는 투델라바로사(치클라나) 전투에서의 그의 행동으로 인해 대부분의 영국 역사가들(나피에, 오만 등)로부터 혹독한 비판을 받아왔는데,[note 3] 그는 투델라와 바로사(치클라나) 전투에서 강압적이고 주도권이 부족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토레노 백작과 고메스 아르테체와 같은 19세기 스페인 역사가들이 공유한 의견입니다.[2] 라페냐는 야심가였지만 외교에 재능이 있었습니다.[3]

1799년 고야가 그린 라페냐의 전신 초상화는 오수나 공작부인이 마드리드의 휴양지알라메다에 있는 궁전을 위해 의뢰한 것입니다.[4]

군인경력

라페냐는 1777년 미래의 오수나 공작이 지휘하는 미국 보병 연대의 대위로 군 생활을 시작했습니다.[2]

그 후 그는 22개월 동안 지브롤터 대공전에서 지내다가 미노르카 침공(1781년)에 참전했습니다.[2] 그 후 그는 지브롤터 포위전에서 더 많은 행동을 보였고, 1792년 중령으로 진급했습니다.[2]

피레네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라페냐는 오스나 공작의 보좌관으로서 로셀론 육군에 입대하여 마스 데우, 페르피난, 트루이야스, 불루에서 작전을 보았습니다.[2]

그는 1793년 준장으로 진급했고,[2] 그의 지휘관과 함께 나바라 육군으로 진군했고, 그곳에서 라페냐는 전쟁을 위해 길러진 7개 대대의 지원군을 지휘했습니다. 전쟁이 끝나기 직전, 그는 야전 원수(1795)로 승진했습니다.[2]

1797년 그는 포르투갈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그곳에 주둔한 군대의 2인자로서 갈리시아에서 1년을 보냈습니다. 1801년, 그는 오렌지 전쟁에서 보병 여단을 이끌고 아롱크스에서 전투를 보았습니다.[2]

1802년 10월, 라페냐는 인판타도 공작, 후안 피냐텔리, 후안 카라파, 프란시스코 카스타뇨스, 프란시스코 타란코, 프란시스코 에기아, 아르투로 오닐 등 스페인 군대의 다른 유명한 지휘관들과 같은 승진을 하여 중장으로 승진했습니다.[5]

1806년 라페냐는 과르디아스 에스파냐의 제2대대의 사령관이 되었고, 1807년 그는 안달루시아의 임시 대장이자 카디스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델 소코로 후작이 프랑스와의 협정의 일환으로 포르투갈을 침공하는 동안에. 라에냐는 1808년 5월 20일까지 재임했습니다.[2]

반도 전쟁

바옌 전투 (1808년 7월 16일 ~ 19일)

라페냐는 카스타뇨스의 제4사단(예비군)에게 33,000명에서 34,000명의 야전군을 지휘하게 되었습니다.[6][note 4]

라페냐의 기병부대는 페드로 알칸타라 털레스 기론 대령이 지휘하는 파비아 연대로 440마리의 화려한 말을 갖춘 매우 잘 갖춰진 부대였습니다.[7][note 5] 또한 제4사단은 크루스 머건 휘하에 3,000명의 여단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 여단은 듀퐁의 북쪽 측면을 괴롭히고 베일렌과 라 캐롤라이나와의 프랑스 통신을 단절시키는 임무를 맡았습니다.[6]

바일렌에서의 승리 이후, 라페냐의 사단은 카스타뇨스와 동행하여 마드리드에 도착했고, 8월 23일에 마드리드에 도착했습니다.[6]

투델라 전투 (1808년 11월 23일)

카스타뇨스의 중부군은 투델라에서 랑스 원수가 지휘하는 프랑스 제3군단의 공격을 받았습니다.[8] 공격한 프랑스군은 스페인군의 날개 사이의 틈을 이용하려고 했습니다. 격차를 줄이기 위해 카스타뇨스는 카산테에 있는 라페냐에게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동하라는 명령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8,000–9,000명의 보병과 1,500마리의 말로 이루어진 라페냐의 사단은 프랑스 기병대와 마주보고 4시간 동안 머물렀고, 단지 2개의 프랑스 디건과 콜베르의 기병여단, 약 3,000마리의 말이었습니다.[6]

당시 라페냐는 그리마레스트 장군과 함께 9,000명의 프랑스군을 상대로 2만[citation needed] 명의 병력을 투입할 수 있었습니다. 라페냐는 스페인 군대의 나머지를 지원하기 위해 진군하기보다는, 그의 활동을 소수의 프랑스 군대와 가까운 소규모 교전으로 제한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200명의 병력을 잃었고, 중앙군의 나머지 군대가 패배하는 것을 목격한 라페냐는 마침내 보르하를 향해 후퇴하여 전투는 끝이 났습니다.[9]

중앙군

투델라 이후, 카스타뇨스는 아란주에즈에게 군사고문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으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라페냐는 과달라하라에서 개혁한 스페인 중앙군의 총지휘를 맡게 되었습니다.[10] 이 명령으로 라페냐는 나폴레옹마드리드 침공에 개입하려 했으나 네이 원수의 1군단에 의해 저지당했고 라페냐는 쿠엔카로 철수해야 했습니다.[11] 12월 9일,[10] 그는 인판타도 공작에 의해 중앙군 사령관으로 교체되었습니다.[2]

라만차 군

1809년 1월, 그는 카르타오할의 라만차군 예비군 4,000명의[12] 지휘관을 맡았고, 시우다드 레알에서 패배한 후 데스페냐페로스로의 퇴각을 막았습니다.[2]

4월에 그는 세비야로 갔고, 군사 중앙은 그에게 카탈루냐로 비밀 임무를 위임했고, 다음 해 4월에 그는 벨치테에서 스페인 군대의 비행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그곳에 머물렀습니다.[2]

카디스

1810년 12월, 라페냐는 블레이크의 뒤를 이어 안달루시아의 대장이 되었습니다.[13] 그러나, 그가 코르테스 장군의 지지자였기 때문에, 새로운 섭정은 그를 이 직위에서 제거하고 그의 군대와 함께 카디스로 명령했습니다.[14] 그 후 라페냐는 카디스의 스페인 고위 장교가 되었고, 레온섬의 스페인군을 지휘했습니다.[3]

바로사 전투

1811년 1월, 카디스를 포위하는 프랑스군의 병력이 줄어들자 영국과 스페인 연합군은 도시를 포위하기 위해 원정을 시작했습니다. 영국 정부로부터 권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휘권이 주어지지 않은 합동 원정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기 위해, 영국의 지휘관인 토마스 그레이엄 경은 스페인이 더 많은 병력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라페냐에게 군대의 지휘권을 이양하기로 동의했습니다.[15]

1811년 2월 21일부터 2월 24일까지 카디스에서 항해한 영국-스페인 원정대는 1811년 2월 27일 타리파에서 다시 집결하여 치클라나에서 포위된 프랑스군의 후방을 향해 진군했습니다. 그러나 라페냐의 선동에 의한 일련의 야간 행군은 계획의 변경을 가져왔고 연합군은 카디스를 향해 다시 행군을 하게 되었습니다. 프랑스군 사령관 빅토르 원수는 1만 명의 포위군과 함께 연합군을 만나기 위해 진군했습니다. 3월 5일, 라페냐의 선봉 사단은 카디스로 가는 주요 도로에 늘어선 프랑스 사단을 만나 그들을 도로 밖으로 몰아냈습니다.[16]

한편, 그레이엄의 후위부대는 빅터의 2개 사단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습니다. 그레이엄은 그의 병력을 2개의 여단으로 나누었고, 하나는 접근하는 프랑스군의 각 사단과 맞섰습니다. 이후의 전투에서, 라페냐가 카디스 지협에 그의 더 큰 병력을 끌어들이고, 그의 영국 동맹군을 돕기를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레이엄의 군대는 프랑스의 공격을 물리쳤습니다.[16] 라페냐는 퇴각하는 프랑스군의 추격을 거부했고, 1812년 8월 24일까지 풀리지 않은 카디스 포위전을 재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라페냐의 행동은 그의 군법회의로 이어졌고, 그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지휘권은 해제되었고,[17] 이것은 쿠프니 후작에게 주어졌습니다.[15]

메모들

  1. ^ 오만(1902)과 같은 몇몇 작가들은 라 페냐라는 성을 씁니다.
  2. ^ "라 페냐는 투델라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살롱의 음모를 통해 그의 자리를 지켰습니다. 그는 애국당의 어떤 위대한 여성들의 '길들인 고양이'였다고 합니다." (Oman, 1911: 각주 135)
  3. ^ "... 1811년, 피비린내 나는 작은 바로사 전투에서 그레이엄을 돕기를 거부한 라 페냐의 비겁한 행동. (오만, 1902: p. 101)
  4. ^ 다른 세 사단의 지휘관은 레딩 장군, 쿠피니 장군, 펠릭스 존스였습니다. (오만, 1902: p. 177)
  5. ^ 오만(1902: p. 619.)은 이 숫자를 전투 순서대로 541로 표시합니다.

참고문헌

  1. ^ Fortescue 1917, 62쪽
  2. ^ a b c d e f g h i j k l (스페인어로) 마르틴-라누자, 알베르토 "마누엘 드 라페냐 이 루이스 델 소틸로" 디치오나리오 바이오그라피코 일렉트로니코. 리얼 아카데미아 데 라 히스토리아. 2023년 5월 1일 검색.
  3. ^ a b 오만 1911, p. 95 CITEREFOman (
  4. ^ (스페인어로) "마누엘 라페냐 로드리게스 루이스 데 소틸로" Fundación Goya en Aragón. 2023년 5월 1일 검색.
  5. ^ (스페인어로) 가세타바르셀로나, 1750호 1802년 10월 6일 헤메로테카 디지털. 비블리오테카 나시오날에스파냐. 2023년 4월 30일 회수.
  6. ^ a b c d 오만, 찰스 (1902). 반도전쟁의 역사, 제1권 I, pp. 177, 179, 346–347, 442–443, 619.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2023년 5월 1일 검색.
  7. ^ (스페인어로) 구티에레스 누녜스,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페드로 데 알칸타라 테를레스 기로니 알폰소 피멘텔" 디치오나리오 바이오그라피코 일렉트로니코(DB~e). 리얼 아카데미아 데 라 히스토리아. 2023년 5월 1일 검색.
  8. ^ 게이츠 1986, 페이지 101.
  9. ^ 게이츠 1986, 103쪽
  10. ^ a b Esdaile 2002, p. 137.
  11. ^ 게이츠 1986, 페이지 105.
  12. ^ 오만, 찰스 (1903). 반도전쟁의 역사, 제1권 II, p. 145.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2023년 5월 2일 검색.
  13. ^ Napier 1842, p. 271.
  14. ^ 네이피어 1840, 419쪽.
  15. ^ a b 오만, 찰스 (1911). 반도전쟁의 역사, 제1권 IV, 95~96쪽, 130쪽.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2023년 5월 2일 검색.
  16. ^ a b 게이츠 1986, 249-252쪽.
  17. ^ 페이지 1990, 페이지 124–125.

서지학

  • Esdaile, Charles (2002), The Peninsular War, Penguin Books (published 2003), ISBN 0-14-027370-0;
  • Gates, David (1986), The Spanish Ulcer: A History of the Peninsular War, Pimlico (published 2002), ISBN 0-7126-97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