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40°38'1.36°N 3°10'2.62″W/40.6337111°N 3.1673944°W/ 40.6337111; -3.1673944

과달라하라, 스페인

Guadalajara, Spain
과달라하라
Flag of Guadalajara
Coat of arms of Guadalajara
Guadalajara is located in Spain
Guadalajara
과달라하라
과달라하라 주, 카스티야라만차 주, 스페인 내 위치
Guadalajara is located in Castilla-La Mancha
Guadalajara
과달라하라
과달라하라 (카스티야라만차)
Guadalajara is located in Province of Guadalajara
Guadalajara
과달라하라
과달라하라 주 (과달라하라 주)
좌표: 40°38'1.36°N 3°10'2.62°W / 40.6337111°N 3.1673944°W / 40.6337111; -3.1673944
나라스페인
지역카스티야라만차
지방과달라하라
정부
시장님알베르토 로호 블라스(PSOE)
지역
지방 자치체235.492 km (90.92 sqmi)
승진
708m (2,323ft)
최고고도
972m (3,189ft)
최저고도
620m (2,030ft)
인구.
(2019)
지방 자치체85,871
• 밀도360/km2 (940/sqmi)
어반
161,683
데모네임과달라하라레뇨/a[a]
시간대UTC+1 (CET)
• 여름 (DST)UTC+2 (CEST)
우편번호
19001–5
전화 걸기 코드949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Map
전체 화면 보기를 보려면 지도를 클릭합니다.

과달라하라()는 스페인 카스티야라만차 주에 있는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입니다.[2]과달라하라 주의 주도입니다.

해발 약 685 미터 (2,247 피트)의 이베리아 반도의 중앙 부분에 놓여 있는 그 도시는 헤나레스 강에 걸쳐 있습니다.2018년 기준으로 86,222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 단체입니다.

역사

아리아카와 동일시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로마 이전의 문화에 의해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는 아리아카라고 불리는 로마의 마을이 그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러나 그것의 존재에 대한 고고학적인 증거는 없으며, 단지 로마인들이 만났을 때 카펫타니[3] 손에 있다고 묘사하는 루타 안토니나와 같은 문헌에 언급되어 있을 뿐입니다.카라카로서, [4]그 도시는 로마의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속주에 편입되었습니다.이 도시는 콤플루툼(현재의 알칼라 헤나레스) 북동쪽 22 M. P. 에메리타(현재의 메리다)에서 시저 아우구스타(현재의 사라고사)로 가는 고속도로에 있었습니다.

중세 초기

이슬람 시대의 건국은 "파라치"(Faraŷ)라는 인물이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그것은 공식적으로 9세기와 10세기에 Madīnat al-Faraŷ로 알려졌습니다.The town was later known as Wādī Al-Ḥijāra (Arabic: وادي الحجارة), possibly meaning "Valley of Stones" (as in river gravel);[9] in theory it may be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Iberian name Arriaca.[9]또한 자야라를 '돌'/'무덤'으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성' 또는 '강화된 바위'[9]의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알안달루스의 중기 행군의 일부로서, 도시와 그 주변은 코르도바의 [9]우마이야 통치자들을 대신하여 통치했던 바누 살림의 마스무다 베르베르 씨족에 의해 통제되었습니다.무슬림 시대에는 9세기 [10]중반까지 알카사르(성곽)가 세워졌고, 헤나레스위의 다리(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11]초반까지 건설된 것으로 잠정적으로 추정됩니다)도 세워졌습니다.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성벽도 [12]그때까지 세워졌습니다.920년,[13] 바누 살림은 직접 통치를 시도한 압드 알 라흐만 3세에 의해 과달라하라에서 쫓겨났습니다.

9세기에 지어진 "과달라하라의 알카자르" 유적

과달라하라는 1085년 톨레도의 타이파를 정복하면서 레온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에 의해 합병된 영토의 일부였으며, 과달라하라 시는 항복하고 [14]저항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전통에 따르면 알바르 파녜스 데 미나야(엘시드의 중위 중 한 명)가 이끄는 파견대가 6월 24일 [14]밤에 도시를 점령했다고 합니다.

이 지역은 북부에서 온 사람들(주로 산과 메린다데스, 바스크, 나바레스에서 온 카스티야인)[citation needed]로 다시 인구가 많았습니다.

알폰소 7세는 1133년 [15]5월 3일 과달라하라에게 첫 푸에로허락했습니다.이 헌장은 몇 가지 수정 사항을 [16]점진적으로 포함시켰습니다.아마도 알폰소 8세의 통치 기간에 구상된 것으로 추정되는 두 번째 푸에로는 어쨌든 1219년 5월 26일과 [17]1251년 4월 13일 페르디난도 3세에 의해 확정되었습니다.

20세기까지 과달라하라의 물 공급은 헤나레스 강과 라 알카리아[18]석회암 황무지 경계에 형성된 코니스를 따라 위치한 샘의 두 원천에서 왔습니다.부족한 수자원에 대한 통제권을 놓고 다투었고,[19] 중세 후기 지역 귀족들에게 사회적 지위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의 통치 기간 동안, 왕의 보호는 상인들을 보호하고 시장을 허용함으로써 그 도시가 경제를 발전시키도록 했습니다.

멘도사의 통치

이자벨린 스타일 팔라시오 델 인판타도 (15세기)

전통적으로 카스티야의 코르테스에서 투표가 이루어지면서, 그 마을은 근대 [20]초기까지 강력한 멘도사 가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습니다.과달라하라는 도시의 정치적 통제를 뒷받침하는 이전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법적인 [20]의미에서 멘도사 가문의 공식적인 영주권으로 간주되지 않았습니다.가문에는 마르케스 데 산틸라나(1398–1458)로도 알려진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I cardinaligo Lopez de Mendoza)와 스페인의 위대한 추기경이자 가톨릭 군주의 고문이었던 페드로 곤살레스멘도사(1428–1495)가 있었습니다.

멘도사 가문은 1475년부터 엘 인판타도 공작과 공작부인 칭호를 받았습니다.1460년 3월 25일 헨리 4세는 과달라하라에게 '도시'[21]의 지위를 부여했습니다.이 시기에 멘도사 가문은 엘 팔라시오 델 인판타도(El Palacio del Infantado)를 주요 거주지로 지정했습니다.이 건물은 1480년대 초에 완공되었으며 이탈리아 밖에서 순수한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로 여겨집니다.

그 도시의 경제는 전문 장인의 발달과 번화한 [22]무역 덕분에 번창했습니다.

16세기 초, 도시는 이자벨 데 라 크루즈마리아카잘라와 같은 이단 종교 인물들과 연관된 톨레도 [23]왕국일루미니모(또는 동문)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습니다.

카스티야 왕국 전역에서 일어난 코무네로스 반란의 맥락에서, 1520년 6월 5일 과달라하라의 코무네로 반란군은 인판타도 공작 디에고 후르타도멘도사에게 반제국 [24]반란에 가담할 것을 요청했습니다.시위자들은 황제 카를 [24]5세가 부과한 세금과 의무에 찬성표를 던지기 위해 라코루냐 코르테스에 간 검찰관들의 집에 불을 붙였습니다.인판타도 공작은 어느 쪽이 이길지 신중한 대기 게임을 했고, 마침내 1521년 황제를 지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그는 반란 지역 지도자들을 참수하고 코무네로 [24]대의에 기대어 있던 자신의 아들이자 후계자 이니고 로페스멘도사를 추방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1591년까지, 그 도시의 인구는 6,[25]754명이었습니다.

1560년대 과달라하라의 그림, 안톤 반 덴 윈가르드의 작품.북쪽에서 바라본 경치에는 헤나레스위의 다리, 그 다음에 터릿한 다리가 눈에 띕니다.

위기

17세기의 위기는 많은 카스티야 도시들, 특히 과달라하라에서 [22]큰 타격을 입혔습니다.도시는 1610년 모리스코가 인구순손실(인구의 10%)뿐만 아니라 장인과 [22]무역과 같은 지역 경제의 주요 부문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비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습니다.많은 궁전들이 [26]버려졌습니다.멘도사 가족은 1657년에 [26]그 도시를 영원히 떠났습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동안, 18세기 초에 과달라하라는 해고되었습니다.오스트리아군에 의해 파괴된 거의 폐허가 된 과달라하라는 약 2,200명의 [27]주민들로 당시 최저 인구 지점을 기록했습니다.외부의 도움이 없었다면 그 도시는 단순히 [28]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영국 재무부에 빚진 2,000,000 마리의 토끼들은 [28]1716년에 용서받았습니다.필리프 5세는 1719년 도시에 옷의 왕립 공장(왕립 공장)을 설립할 것을 명령했고,[29] 도시가 스스로 [28]발견한 재앙적인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결정적으로 도왔습니다.

동시대

1872년경 과달라하라, 로랑의 과달라하라.

19세기는 반도 전쟁 (1808–1814)으로 인한 피해와 1822년 레알 파브리카 데 파뇨스의 폐막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차질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1808년, 과달라하라는 위고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도시는 파괴되었습니다.전쟁 중에, 도시의 14개의 회당들은 버려졌고 막사로 바뀌었고, 가장 결정적으로 1833년에서 [30]1843년 사이에 데사모르티자시온의 미래 과정을 위한 길을 열었습니다.

데사모티자시온은 종교 건물의 용도 변경(병원, 고등학교, 군사 [31]워크숍으로 전환), 거리 공간을 넓히고 새로운 주거 지역을 [32]건설하기 위한 일부 컨벤션의 철거, 부동산 [33]구조에서 교회 재산의 비율 감소를 수반했습니다.

과달라하라를 지방 수도로 선포한 것과 1833년 도시에 군사 기술자 아카데미를 병행 설치한 것 모두 느린 [34]성장을 촉진시켰습니다.

1859년 [35]5월 3일에 마드리드-사라고사 노선 과달라하라 구간이 개통되면서 철도 수송이 도시에 도착했습니다.반대로, 북동쪽의 과달라하라-자드라크 구간[35]1860년 10월 5일에 개통되었습니다.

1900년에 12,662명의 인구가 이 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체였고, 다음은 시구엔자 (10,581명)[36]였습니다.20세기에는 소르베 강의 물을 [18]도시로 끌어 올 수 있는 현재의 급수 시스템의 건설이 이루어졌습니다.

1936년 7월 21일, 스페인 내전(1936-1939)을 촉발시킨 7월 18일의 쿠데타 이후, 도시에서 공모한 장교들(공공질서 세력과 일부 민간인들이 합류하여 총 800명에 달하는 병력)이 무장을 하고 [37]도시를 장악했습니다.다음날 마드리드 공화국 정부는 반란을 진압하고 [37]도시를 확보하기 위해 일데폰소 푸이그덴돌라스를 파견했습니다.반란군들은 쿠아르텔에어로스타시온으로 후퇴하여 항복했습니다.[37]민병대는 그 [37]중 백 명 정도를 처형했습니다.

이 도시는 [38]분쟁 기간 동안 프랑코파에 의해 여러 차례 공중 폭격의 표적이 되었으며, 1936년 12월에 가장 잘 알려진 폭격은 인판타도 [38]팔라시오 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달라하라 전투(1937) 당시 반란군의 병사들.

1937년 3월 8일, 이탈리아 코르포 트루페 볼론타리에(CTV)의 4개 사단은 과달라하라 외곽 16km 지점에서 2월 초에 시작된 민족주의자 자라마 공세를 지원하는 우회 공격으로 공화당원들을 공격했습니다.우천 시 4일간의 느리고 신중한 진격 이후, 전차들은 상당히 단단한 포장도로를 공격하기 시작했고, 공중포와 대공포의 지원을 모두 소진했습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 개간된 하늘에 떠 있는 공화당 항공 자산은 과달라하라로 [39]향하는 주요 도로에서 교통 체증에 빠진 탱크와 보병을 발견했습니다.공화당 항공기는 기계화된 선봉에 있는 모든 차량을 공격하고 파괴하기 시작했습니다.CTV는 수천명의 사상자를 내며 되돌아왔습니다.어니스트 헤밍웨이와 다른 종군기자들은 이 공격에 대해 "과달라하라에서의 이탈리아 데바클"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공화당군은 승리로 징집병력이 증가했습니다.

과달라하라에서의 이 패배는 두 가지 오랜 효과를 가져왔습니다.첫째, 무솔리니 독재정권의 이탈리아군은 1943년 휴전 이전까지 한 번도 이탈하지 않았던 무능력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둘째, 일부 관측국들은 독립군으로 운용되는 전차를 배제하는 장갑교리를 채택했지만, 대형 보병대대에 [40]단단히 묶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남북전쟁과 도시 주변의 격렬한 전투는 심각한 피해를 입혔습니다.20년 동안 천천히 재건된 후, 과달라하라는 1959년에 마드리드 산업 단지의 혼잡을 해결하는 개발 계획에 포함되었습니다.이러한 계획들은 과달라하라에서 산업적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주거 성장을 주변부로 옮기려고 시도했고, 결과적으로 산업의 존재감을 증가시켰습니다.그 이후로 과달라하라는 스페인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성장을 한 도시들 중 하나였습니다.

1969년에는 타라세나, 발데노체, 이리에팔, 1972년에는 마르차말로,[41][42] 1973년에는 우사노스를 흡수했습니다.이후 1999년 마르차말로는 과달라하라에서 분리되어 다시 [43]독립 자치체가 되었습니다.

오늘날 과달라하라는 도시의 인구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는 도시 개발 계획에 참여하고 있습니다.아구아스 비바스(Live Waters)와[when?] 같은 새로운 지역이 [citation needed]문을 열었습니다.

시우다드 발델루즈는 과달라하라 주민 3만명을 늘려 AVE역(스페인 고속열차) 주변에 신도시를 조성할 계획이었습니다.시우다드 발델루즈 건설에 투자하던 회사가 파산했습니다.500명이 채 안 되는 주민들이 아파트를 점거하기로 결정했고, 남은 기반시설은 서서히 퇴보하고 있습니다.AVE 열차는 [44]하루에 60명의 승객만 이용합니다.

도시 계획은 새로운 주택의 비용을 극적으로 증가시켰고, 스페인에서 주택 구입에 가장 저렴한 주 중 하나가 되어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비싼 [citation needed]제곱미터를 가진 주가 되었습니다.

지리학

위치

북동쪽에서 바라본 도시의 항공 전경.

과달라하라는 이베리아 반도의 중앙부, 내고원의 남쪽 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방어 목적에 따라 정착지로 선택된 이 도시의 역사적인 도시 중심부는 헤나레스 강의 좌안 근처의 작은 고도에 위치해 있으며, 또한 각각 알라민[es]과 샌안토니오라는 두 개의 수로에 해당하는 두 개의 작은 도랑으로 동서로 둘러싸여 있습니다.그들이 헤나레스 [45]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좁고 쉽게 방어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는 총 면적 235.[46]49km에2 걸쳐 있습니다.

기후.

과달라하라는 해발 700m의 내륙에 있기 때문에 대륙의 영향을 받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즐깁니다.여름은 비교적 시원한 밤으로 덥지만 겨울은 추운 밤으로 서늘합니다.과달라하라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2009년 1월 12일 -12.5 °C (9.5 °F)입니다.역대 최고 기온은 2012년 [47]8월 10일의 43.5 °C(110.3 °F)입니다.

과달라하라, 엘 세라닐로, 639 m (1985–2010) 40°39'33''N 3°10''24''W / 40.65917°N 3.17333°W / 40.65917; -3.17333
2월 4월 그럴지도 모른다 8월달 9월 10월달 11월 12월 연도
평균 높은 °C(°F) 10.7
(51.3)
13.0
(55.4)
17.0
(62.6)
18.4
(65.1)
23.5
(74.3)
29.9
(85.8)
33.5
(92.3)
32.4
(90.3)
27.4
(81.3)
20.9
(69.6)
14.7
(58.5)
11.0
(51.8)
21.0
(69.8)
일평균 °C(°F) 4.9
(40.8)
6.3
(43.3)
9.5
(49.1)
11.1
(52.0)
15.5
(59.9)
20.8
(69.4)
23.7
(74.7)
23.0
(73.4)
18.7
(65.7)
13.9
(57.0)
8.3
(46.9)
5.5
(41.9)
13.4
(56.1)
평균 낮은 °C(°F) −1
(30)
−0.4
(31.3)
1.9
(35.4)
3.8
(38.8)
7.5
(45.5)
11.7
(53.1)
13.7
(56.7)
13.6
(56.5)
10.0
(50.0)
6.8
(44.2)
1.9
(35.4)
−0.1
(31.8)
5.8
(42.4)
평균강수량mm(인치) 35
(1.4)
32
(1.3)
25
(1.0)
50
(2.0)
53
(2.1)
25
(1.0)
12
(0.5)
16
(0.6)
28
(1.1)
68
(2.7)
42
(1.7)
46
(1.8)
432
(17.2)
평균 우천일수 6.1 5.9 4.7 8.0 7.3 3.8 1.8 2.1 4.0 8.1 5.7 6.3 63.8
평균 눈 오는 날 0.9 1.1 0.3 0.2 0.0 0.0 0.0 0.0 0.0 0.0 0.1 0.7 3.3
출처 : 기상청[48]

정치와 행정

과달라하라 시청.

과달라하라(Guadalajara)는 스페인의 지방 자치체로, 지방 분할의 기본 수준입니다.아윤타미엔토는 시정과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아윤타미엔토의 본회의는 선출된 25명의 [49]시의원들에 의해 구성되며, 그들은 시장을 차례로 투자합니다.2019년 5월 26일 지방선거가 치뤄졌습니다.2019년 6월부터 현재 시장은 알베르토 로호 블라스(스페인 사회주의 노동자당)[50]입니다.

인구통계학

도시권

교통, 이동도시 의제부가 발간한 2020년 스페인의 도시 지역에 대한 보고서는 인구 161명의 아즈케카 데 헤나레스, 알로베아, 카바니야스캄포, 마르차말로, 빌라누에바 토레, 칠로헤스와 함께 과달라하라 지방 자치체에 의해 형성된 도시 지역을 식별합니다.,683 (2019).[51]

건축학

시티프로퍼티
판테온 데 라 두케사세비야노

헤나레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아랍이지만 로마 기반 위에 지어졌습니다.지네스 성당과 같은 많은 교회뿐만 아니라 인판타도 궁전과 같은 역사적인 건물들도 여러 개 가지고 있습니다.과달라하라 교구에서 가장 큰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성당은 근처의 시귀엔차 마을에 위치해 있습니다.그러나 과달라하라에는 무데자르 양식의 성 마리아 교회인 "공동 성당"이 있습니다.이 교회와 매우 가까운 곳에, "Capilla de Luis de Lucena"라고 알려진 예배당이 있는데, 벽과 천장에 여러 프레스코화가 있습니다.1924년비엔인터레스 문화 성당으로 선포되었으며, 현재 알칼라 대학교의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피에다드 교회는 1931년에 비엔인터레스 문화로 선포되었습니다.

남북전쟁 이전 과달라하라는 또한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많은 수의 골동품 아줄레조가 그들의 [citation needed]건물에 보관되어 있는 도시들 중 하나로 알려졌는데, 이는 그 도시가 탈라베라 데 라 레이나 [citation needed]도자기의 가장 큰 아줄레조 수집품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그 아줄레조의 거의 모든 것이 [citation needed]사라졌습니다.

페다니아스
우사노스의 아순시온 교회는 과달라하라의 종교적이고 로마네스크적인 건축의 예입니다.

지방 자치제에 속한 이리에팔, 타라세나, 우사노스, 발데노체의 작은 마을들은 그들의 초라한 시골 교회 외에 기념비적인 랜드마크들이 거의 없습니다.이리에팔에는 무데자르 탑으로 유명한 16세기에 지어진 콘셉시온 교회가 있습니다.타라세나에는 아주 단순한 르네상스 양식의 17세기 무교회가 있습니다.우사노스에는 후기에 상당히 리모델링된 13세기 로마네스크 가정의 교회가 있으며, 이 교회에는 스크린이 있는 탑이 있습니다.

또한 주목할 만한 다른 유형의 기념물로는 1910년 호세 산타 마리아 데 히타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은 역사주의 스타일의 작품인 이리에팔 세탁소와 이리에팔 (1858)과 발데노체스 (1656) 기금이 있습니다.

모든 마을에는 도시에 비해 매우 소박한 카스티야의 저택들이 있습니다.1887년 리카르도 벨라스케스 보스코가 설계하고 마리아 디가 데스마이시에르스에게 의뢰한 농촌 마을인 빌라플로레스도 주목할 만하다.

운송

과달라하라 역에는 두 개의 역이 있습니다.

스포츠

지역 남자 축구팀인 CD 과달라하라는 현재 스페인 축구 시스템의 4부 리그인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뛰고 있습니다.그들의 홈구장은 페드로 에스카르틴입니다.BM 과달라하라는 스페인 남자 핸드볼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인 ASOBAL 리그에서 경기를 합니다.그들의 홈 경기는 팔라시오 물티오스과달라하라에서 열립니다.과달라하라는 2013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52]대회의 개최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국제관계

쌍둥이 도시와 자매 도시

과달라하라는 다음과 같은 [53][54]이 있습니다.

타시도 제휴관계

주목할 만한 사람들

마을과 관련이 있는 저명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참고사항
  1. ^ 과달라자레뇨/a는 가장 유명한 익명입니다. 밖에 아리아센세, 카라센세, 카라센세, 카라센세, 카라시타노, 알카레뇨 등이 있습니다.조롱적인 반어로는 아라스트라오, 엠부스테로, 델 차스카오(후자는 넓은 지방에 [1]적용됨) 등이 있습니다.
  2. ^ 이 Faray는 Faraŷ Ibn Masara Ibn Salim (d. 832) 또는 Faraŷ b와 동일시됩니다.살림(메디나셀리[5]창시자의 아들), 그의 아버지가 [6]메디나셀리를 세운 후 아마도 이 지역에 정착했을 것입니다.지리학자 야퀴비의 모호한 구절에 따르면, 타리크와 무사는 아리아카를 M에게 건넸습니다.이븐 파라즈 알 신하위(Ibn Faraŷ al-Sinhîy and)가 이곳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인용문
  1. ^ 크루즈 에레라 2000-2001, 페이지 57.
  2. ^ "Guadalajara". Collins Dictionary. n.d. Retrieved 26 September 2014.
  3. ^ 안토닌 여행 일정 페이지 436, 438
  4. ^ 그리스어: άραρα, Ptol. ii. 6. § 57; Geog.Rav. iv. 44) 또는 Caraca (Friedrich August Ukert, 즉 2. p. 429).
  5. ^ Chavaría Vargas 2007, 페이지 137.
  6. ^ Felipe, Helna de (1997). Identidad y onomástica de los Beréberes de Al-Andalus. Madrid: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p. 124. ISBN 84-00-07693-1.
  7. ^ Chavarría Vargas, Juan Antonio (2019). "Una muestra de la presencia de etnónimos beréberes en la toponimia histórica de la región de Castilla-la Mancha (España)" (PDF). Al Irfan (5): 137. ISSN 2351-8189.
  8. ^ Chavaría Vargas 2007, 페이지 96.
  9. ^ a b c d Chavaría Vargas 2007, 페이지 95.
  10. ^ 에레라 카사도 1986, 페이지 424-426
  11. ^ 토레스 발바스 1940, 232쪽.
  12. ^ 에레라 카사도 1986, 페이지 426.
  13. ^ Bueno Sánchez, Marisa (2015). "Power and rural communities in the Banû Salîm area (eighth-eleventh centuries): Peasant and frontier landscapes as social construction". In Fábregas, Adela; Sabaté, Flocel (eds.). Power and rural communities in Al-Andalus: Ideological and material representations. Brepols. p. 24. ISBN 9782503553429.
  14. ^ a b 에레라 카사도 1986, 페이지 420.
  15. ^ Chamocho Cantudo 2017, p. 78.
  16. ^ Chamocho Cantudo 2017, p. 79.
  17. ^ Chamocho Cantudo 2017, pp. 79–80.
  18. ^ a b 아구스틴 광장 2016, 페이지 253.
  19. ^ 아구스틴 광장 2016, 페이지 250.
  20. ^ a b 오르테고 리코 2008, 페이지 280.
  21. ^ "Título de ciudad a favor de Guadalajara". Ayuntamiento de Guadalajara.
  22. ^ a b c Villaverde Sastre 1996, p. 12.
  23. ^ 산티아고 오테로 1955, 페이지 624.
  24. ^ a b c Serrano Belinchón, José (10 November 2019). "Los comuneros de Guadalajara". Nueva Alcarria.
  25. ^ 벨라스코 산체스 2008, 페이지 183.
  26. ^ a b Villaverde Sastre 1996, 페이지 13.
  27. ^ 알레그레 카르바할 1999, 페이지 235.
  28. ^ a b c Villaverde Sastre 1996, p. 21.
  29. ^ 알레그레 카르바할 1999, 235-236쪽
  30. ^ 레돈도 곤살레스 & 가르시아 발레스테로스 1983, p. 532
  31. ^ 레돈도 곤살레스 & 가르시아 발레스테로스 1983, 페이지 533.
  32. ^ 레돈도 곤살레스 & 가르시아 발레스테로스 1983, p. 534
  33. ^ 레돈도 곤살레스 & 가르시아 발레스테로스 1983, p. 535
  34. ^ 레돈도 곤살레스 & 가르시아 발레스테로스 1983, pp. 525, 533
  35. ^ a b Abascal Palazón, Juan Manuel (2015). "El despoblado de Santas Gracias (Espinosa de Henares, Guadalajara) y las obras del ferrocarril de 1859-1860" (PDF). Boletín de la Asociación de Amigos del Museo de Guadalajara (6): 10.
  36. ^ La población de Guadalajara (PDF). Población. Fundación BBVA. 2017. p. 5.
  37. ^ a b c d Schnell Quiertant 2007, 페이지 25.
  38. ^ a b Schnell Quiertant 2007, p. 35.
  39. ^ 공력:이론과 실제, John Gooch, Psychology Press, 1995, ISBN 0-7146-4657-1
  40. ^ Thunderbolt 단조:미 육군 기갑부대의 역사, 1917-45, 밀드레드 핸슨 길리/제이콥 L.Devers, 1947, ISBN 0-8117-3343-2 Thunderbolt 단조:미 육군 기갑부대의 역사, 1917-45, 밀드레드 핸슨 길리/제이콥 L.Devers, 1947, ISBN 0-8117-3343-2
  41. ^ Sánchez-Prieto Borja, Pedro (1995). "Introducción". Textos para la historia del español. Vol. II. Archivo Municipal de Guadalajara. p. 12. ISBN 84-8138-975-7.
  42. ^ "Variaciones de los municipios de España desde 1842" (PDF). Ministerio de Administraciones Públic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October 2022. Retrieved 16 May 2021.
  43. ^ "El PSOE, único partido que ha gobernado Marchamalo desde su independencia". Guadalajara Diario. 22 January 2019.
  44. ^ Giles Tremlett (3 October 2011). "Spain's €44m Niemeyer centre is shut in galleries glut". The Guardian. Retrieved 4 October 2011.
  45. ^ 아구스틴 광장 2016, 페이지 252.
  46. ^ "Datos del Registro de Entidades Locales". Ministerio de Asuntos Económicos y Transformación Digital. Retrieved 16 May 2021.
  47. ^ "Valores extremos. Guadalajara, El Serranillo".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in Spanish). Gobierno de España. Retrieved 22 May 2019.
  48. ^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Guadalajara – Guadalajara, El Serranillo" (in Spanish).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Retrieved 7 June 2010.
  49. ^ "En Guadalajara, vence el PSOE de Alberto Rojo pero queda en el aire la Alcaldía a expensas de los pactos". 20minutos.es. 27 May 2019.
  50. ^ "El socialista Alberto Rojo, alcalde de Guadalajara con el apoyo de Cs". La Vanguardia. 15 June 2019.
  51. ^ "Áreas urbanas en España". Ministerio de Transportes, Movilidad y Agenda Urbana. 2020. p. 33.
  52. ^ "España en los mundiales de balonmano masculino". Cadena COPE. 7 January 2019.
  53. ^ "Ciudades hermanadas". Ayuntamiento de Guadalaja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February 2020. Retrieved 27 February 2020.
  54. ^ "Sister Cities, Public Relations". Guadalajara municipal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12. Retrieved 12 March 2013.
  55. ^ "Miasta partnerskie i zaprzyjaźnione Nowego Sącza". Urząd Miasta Nowego Sącza (in Pol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y 2013. Retrieved 1 August 2013.
서지학

외부 링크

  • 이 기사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통합합니다.
  • 시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