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마르셀 프로노보스트

Marcel Pronovost
마르셀 프로노보스트
하키 명예의 전당, 1978년
1957 Topps Marcel Pronovost.png
1957년 디트로이트 붉은 날개를 단 프로노보스트
태어난 (1930-06-15)1930년 6월 15일
캐나다 퀘벡 라카라토르투에
죽은2015년 4월 26일 (2015-04-26) (84세)
캐나다 온타리오 윈저
높이5ft 11인치(180cm)
무게180파운드(82 kg; 12 st 12 lb)
포지션 디펜스
왼쪽
놀았다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선수생활1949–1970

조셉 레네 마르셀 프로노보스트(Joseph Reené Marcel Pronovost, 1930년 6월 15일 ~ 2015년 4월 26일)는 캐나다의 프로 아이스하키 수비수 겸 코치였다.그는 1950년부터 1970년까지 디트로이트 레드윙즈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에서 20시즌 동안 1,206경기에 출전했다.최고의 수비수인 프로노보스트는 포스트시즌 NHL 올스타 4개 에 지명되어 11개의 올스타 경기에 출전했다.1950년 제1회 레드윙스와 함께 스탠리컵 챔피언십 4개 팀의 일원이었으며, 1967년 메이플 리프스와 함께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프로노보스트는 1978년 선수로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프로노보스트는 1969년 코치를 시작해 주니어올림피크윈저 스피트파이어의 벤치 뒤에서 몇 시즌을 보냈다.1972-73년 세계하키협회 창립 시즌 시카고 쿠거스 감독을 지냈고, 1977~1978년 버팔로 사브르에서 NHL에서 104경기를 지도했으며 잠시 레드윙스의 부감독을 지냈다.프로노보스트는 1990년까지 5년간 NHL 중앙 스카우트국에서 일했는데, 그 때 스탠리컵 3개 우승팀의 일원이었던 뉴저지 데블스스카우트로 고용되어 2003년에 마지막이 왔다.그의 첫 우승과 마지막 우승 사이의 53년 간은 스탠리 컵 기록이다.[citation needed]

초년기

프로노보스트는 1930년 6월 15일 퀘벡주 라카라토르투에에서 태어났다.[1]그는 레오와 줄리엣 프로노보스트의 12명의 아이들 중 3번째 아이였다.[2]레오는 알루미늄으로 일을 하고 가끔 이사를 다니는 건설 노동자였다; 가족은 마르셀이 5살이 될 때까지 Shawinigan 폭포 근처의 마을에 정착했다.[3][1]

크로스컨트리 스키가 프로노보스트의 첫 번째 스포츠였지만, 그는 하키에 대한 열정을 빠르게 발전시켰다.그는 3살 때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고 5살 때 경쟁력 있는 하키를 하고 있었다.[4]프로노보스트는 쇼이니건 폭포의 칼리지 무정형 구상 상급학교(CIC)에서 활약하고 공부하며 중앙좌익으로 활약했다.그의 팀은 1944-45년 퀘벡 지방 난쟁이 하키 대회에서 우승했다.[3]프로노보스트가 내셔널 하키리그(NHL) 스카우트에 의해 발견된 것은 CIC와 함께였다.디트로이트 레드 윙스는 스카우트 마르셀 é테를 보내 래리와 존 윌슨과 퀘벡 토너먼트에서 계약을 맺었다.래리는 Côé가 Fronovost를 관찰할 것을 제안했다.[5]그 결과, 그는 또한 붉은 날개에 서명되었다.[1]

하키는 프로노보스트들에게 인생의 중요한 부분이었고 마르셀의 형제들 중 세 명은 그를 따라 NHL에 갔다: 클로드 선수는 세 경기를 뛰었던 골키퍼였고 진은 거의 1,000번을 전진했다.[1]마르셀은 자서전 'A Life in Hockey'에서 1967년까지 6개 팀만을 보유하고 있는 NHL이 그의 다른 형제들 중 일부가 리그에 진출하는 것을 막았다고 주장했다.[6]

선수생활

레드윙스는 프로노보스트를 온타리오 하키 협회(OHA)의 후배 팀 중 하나인 윈저 스피트파이어와 함께 1947-48년부터 배치했다.[7]스피트파이어스는 올 시즌 우세한 팀이었다. 윈저스는 OHA에서 최고의 기록으로 경기를 마쳤지만 디트로이트가 윈저의 골키퍼 테리 소우추크를 마이너리그 팀 중 한 팀으로 불러들일 수 밖에 없게 되자 배리 플라이즈에게 챔피언십 시리즈를 졌다.프로노보스트는 스피트파이어가 리그 우승을 차지했을 것이라고 믿었고, 만일 쏘우축에게 패하지 않았다면 메모리얼 컵에 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1]동시에 프로노보스트는 국제하키리그(IHL) 디트로이트 오토클럽팀에서도 활약했다.아마추어 리그 당시 IHL은 디트로이트나 윈저에 소속된 팀 대부분을 기반으로 했으며, 선수 대다수는 레드 윙스 소속이었다.[8]두 리그에서 뛰면서 프로노보스트는 NHL 일정의 혹독한 상황에 대비했다.그는 그 시즌에 52경기를 뛰었고, 1948-49년에는 51경기를 뛰었다.[8]프로노보스트는 스피트파이어스와의 재임 기간 동안 영구적으로 방어 태세를 취했다.[5]

1949-50년에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레드 윙스는 프로노보스트를 미국 하키 리그오마하 나이츠(USHL)에 배정했다.[7]기사단 69경기에 출전해 13골 52득점을 올렸다.[9]프로노보스트는 수비수로부터 득점 기록을 세웠고 USHL의 올해의 신인선수로 선정되었다.[10]그는 또한 퍼스트 올스타 팀에도 이름을 올렸다.[7]19세의 나이에 프로노보스트는 전설적인 수비수 에디 쇼어와 비교되었고 디트로이트의 잭 애덤스 코치는 그를 "20년에 한번씩 오는 사람들 중 한 명"이라고 묘사했다.[11]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레드 윙스는 USHL 시즌이 끝나면서 프로노보스트를 디트로이트로 데려왔다.[11]고디 하우토론토 메이플 리프스와의 1950년 스탠리플레이오프 시리즈에서 초반 레드 켈리를 전진시키고 수비 시 프로노보스트를 라인업에 투입하도록 강요하는 중상을 입었다.[1]1950년 4월 6일 시리즈 5차전에서 NHL 데뷔전을 치렀다.[12]프로노보스트는 디트로이트가 메이플리프를 탈락시킨 뒤 결승에서 3-2 시리즈 적자에서 회복한 뒤 시리즈 마지막 2경기에서 뉴욕 레인저스를 꺾고 스탠리컵 우승을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 9경기에 출전했다.[13]

당시 NHL 올스타전 형식은 디펜딩 챔피언이 남은 팀으로 구성된 올스타전 팀과 맞붙게 했다.1950년 올스타전1950-51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열렸고 프로노보스트는 디트로이트에 의해 7-1로 승리했다.[14]그것은 결국 그가 출전하게 될 11개의 올스타 게임 중 첫 번째 경기였다.[7]레드윙스는 프로노보스트를 차세대 수비수로 내세웠으나 프리시즌 때 별도의 사건으로 광대뼈가 부러지고 발목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었다.팀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던 그는 부상을 이겨내려고 했지만 그의 경기력이 악화되었고, 1950년 12월 레드 윙스는 그를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의 계열사인 인디애나폴리스 캐피탈스로 강등시켰다.[15]프로노보스트는 레드윙스가 그를 NHL로 불러들이기 전까지 인디애나폴리스와의 34경기에서 32점을 득점했다.그는 캐피탈스에서 반 시즌만 뛰었지만, AHL 세컨드 팀 올스타 수비에 이름을 올렸다.[1]디트로이트와의 37경기에서 승점 7점으로 경기를 마쳤으며, 1951년 2월 19일, 골키퍼 잭 글레나우(Jack Gelineau)에게 자신의 첫 NHL 골을 넣었다.그것은 보스턴 브루인스와의 경기에서 2-2 동점을 만회하는 마지막 골이었다.[16]

레드 윙스는 1951-52년 스탠리 컵에서 다시 우승하여 몬트리올 캐나다 선수들을 결승전에서 물리쳤다.[17]프로노보스트가 NHL에서 처음으로 풀시즌을 치렀는데, 그는 69개의 정규시즌 경기에 출전했고 플레이오프에 8번 더 출전했다.[9]레드윙스는 포스트시즌에서 4차례 완봉승을 거두며 포스트시즌을 장식했고 시리즈는 문어의 레전드를 탄생시켰다.문어 한 마리가 임클링 경기 말미에 얼음 위에 던져졌을 때(당시 스탠리컵 우승에 필요한 8승을 나타내기 위한 8개의 촉수) 프로노보스트는 유일하게 문어 한 마리를 집어 제거하려 했다.[18]1953-54년1954-55년 스탠리컵 3, 4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매 우승 후 두 번째, 세 번째 올스타전에 출전했다.[7]프로노보스트가 1954-55년에 34점을 받은 것은 그의 NHL 경력 중 가장 많은 것이었다.[19]1955년 3월 17일 몬트리올에서 벌어진 불운한 경기에도 출전했는데, NHL의 모리스 리차드 중단에 대한 팬들의 분노가 리처드 라이엇을 재촉했다.프로노보스트와 레드윙스는 몬트리올과의 경기에서 시즌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며 7시즌 연속 NHL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20]

1956-57시즌까지 프로노보스트는 NHL의 최고 수비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21]레드 윙스는 그를 팀의 대체 주장으로 임명했는데,[22] 그는 1965년까지 재임했다.5회 연속 출전 중 첫 번째인 1957년 올스타전에서 NHL 올스타즈의 대표로 지명되었고, 1958년과 1959년 포스트시즌 세컨드 올스타팀에 지명되었다.[7]프로노보스트는 1958-59년에 통산 11골을 기록했고 1959-60년1960-61년에 모두 퍼스트 올스타 팀에 이름을 올렸다.[19]캐나다인들은 1960년 3월 5일 "마르셀 프로노보스트 나이트"를 열어 그를 희롱하기도 했는데, 이 날 그는 선물을 받고 반대편 몬트리올 군중의 환호를 받았다.한 팀이 상대 선수에게 영광을 돌린 것은 NHL 역사상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23]

레드 윙스는 프로노보스트가 첫 6시즌 동안 누렸던 우승 성공을 재현할 수 없었다.[1]1959년 디트로이트는 포스트시즌을 완전히 놓쳤고 프로노보스트는 캐나다 하키나이트의 분석가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24]그 팀은 1961년 스탠리 컵 결승전에서 시카고로 진출했다가 졌다.프로노보스트는 발목뼈가 부러져 시리즈 2경기를 결장하고 남은 경기를 큰 고통 속에 치르게 됐다.토론토 구단주 해럴드 발라드는 프로노보스트가 건강했다면 디트로이트가 시리즈에서 우승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5]디트로이트도 1963년과 1964년 결승에서 패해 [26]프르노보스트의 결승전 8회 출전 기록을 세웠다.그는 또한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 4게임 7에 출전한 NHL 역사상 4명의 선수 중 한 명이다.[27]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프로노보스트의 레드 윙스와의 임기는 1965년 5월 20일 8인 트레이드에 관여하면서 막을 내렸다.그는 앤디 배스게이트, 빌리 해리스, 게리 자렛과 교환하여 오토 에릭슨, 래리 제프리, 에디 조얄, 로웰 맥도날드와 함께 메이플 리프스로 이적되었다.[28]어느 팀과 연락이 닿기 전 라디오에서 트레이드 소식을 들은 프로노보스트는 18년 동안 함께 뛰었던 조직에서 밀려나 충격을 받았다.[29]그는 빠르게 적응했고 1965-66 시즌 초반에 선수 생활 이정표에 도달했다.프로노보스트는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1965년 11월 28일, NHL 역사상 7번째로 1,000개의 정규 시즌 경기를 치른 선수가 되었다.[30]이어잉가필드(잉거필드)와 충돌한 뒤 무릎 인대가 경색돼 16경기를 결장했다.그것은 프로노보스트의 남은 선수 생활에 영향을 미칠 몇몇 무릎 문제들 중 첫 번째였다;[30] 그는 또한 1966-67 시즌 초반에 무릎 인대가 긴장되어 경기에 결장했다.[31]

1966-67년의 메이플 리프스는 NHL에서 가장 오래된 선수 명단을 가지고 있었고 "Over the Hill Gang"[32]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그 팀은 한 점으로 10연패를 당했지만, 1967년 스탠리컵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3위로 획득했다.[33]메이플 리프스는 준결승에서 시카고 블랙 호크스결승전에서 캐나다를 모두 상대로 약자로 여겨졌다.그만큼 몬트리올 엑스포 67의 주최자들은 시리즈가 시작되기 전에 승리를 기대하며 스탠리 컵을 위한 발표 공간을 만들었다.[34]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작가 피트 액셀렘은 프로노보스트를 결승전의 최고의 수비수라고 불렀다;[35] 그와 수비 파트너 래리 힐먼은 포스트시즌 내내 고른 힘에서 단 한 골의 얼음 위에 있었다.[36]프로노보스트도 시리즈 5차전에서 4-1로 승리하며 핵심 속전속결 골을 터뜨렸고,[36] 토론토는 6차전에서 홈에서 3-1로 승리하며 스탠리컵을 확정지었다.[35]그것은 또한 그의 134번째 플레이오프 경기였고, 궁극적으로 마지막 경기였다.당시 레드 켈리(164명)와 고디 하우(150명)만 더 많이 등장했다.[37]

프로노보스트는 1967-68년 메이플 리프스 70경기에 출전해 20득점을 기록했지만 다음 시즌에는 34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다.[9]그는 시즌의 대부분을 부상으로 놓쳤고, 당시 메이플리프스 사장스태퍼드 스미테가 프로노보스트가 토론토 마이너리그 계열사 중 한 곳의 선수 코치로 설치되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38]그는 센트럴 하키 리그(CHL)의 툴사 오일러스에 자리를 제의받았고, 처음에는 가기를 꺼렸지만 오일러즈 조직은 프로노보스트 부부를 오클라호마 시로 옮기도록 설득할 수 있었다.[39]그는 툴사에서 한 해의 대부분을 뛰고 코치했지만 1969-70 NHL 시즌 동안 잠시 토론토로 되돌아갔다.[40]그는 NHL 통산 마지막 경기인 토론토와의 7경기에서 1도움을 기록했다.[9]

코치 경력

벤치의 뒤에서 그를 도운 툴사의 총감독 레이 미론의 지원을 받은 프로노보스트는 1969-70년 오일러스에서 53경기에 출전해 팀의 기록을 세웠다.[41][42]1970-71년 툴사 17경기에 출전해 선수 생활을 접고 [9]오일러스를 위해 시즌 2개를 더 지도한 뒤 첫 메이저리그에 부임했다.[43]새롭게 설립된 세계하키협회(WHA)의 시카고 쿠거스는 프로노보스트가 1972년 7월 6일 프로노보스트의 첫 수석코치가 되기 위한 2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44]그는 1972-73년 쿠거스가 26-50-2의 기록을 세우면서 해고되기 전까지 시카고에서 단 한 시즌만 버텼다.[45][46]

프로노보스트는 시즌 중반 퀘벡 주니어하키리그(QMJHL)의 헐 페스티벌을 인수하기 위해 영입되면서 1975년 코치로 복귀했다.[47]그는 1977-78 NHL 시즌버팔로 사브르스를 코치하기 위해 고용되기 전까지 올림피크로 이름이 바뀐 헐과 함께 두 시즌 동안 머물렀다.프로노보스트는 그 자리를 맡기를 꺼렸고, 헐 총지배인 노먼 바릴의 격려에 따라서만 그렇게 했다.[48]

프르노보스트와 사브르스의 첫 시즌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1977년 11월 10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와의 경기에서 버팔로의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정규 시즌 승리였다.버팔로는 앞선 17차례 방문에서 15패 2무(사브레스가 2승 4패를 기록한 1975년 스탠리컵 결승전은 계산하지 않음)를 기록했다.[49]사브르 팀은 44–17–19의 기록으로 경기를 마치고 아담스 사단에서 2위로 경기를 마쳤다.그들은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레인저스를 물리친 뒤 필라델피아에 의해 탈락했다.[50]하지만 사브르 팀이 1978-79년 첫 24경기에서 8승만을 기록하자 이 조직은 펀치 임라흐 총감독과 함께 프로노보스트를 해고했다.[51]프로노보스트는 거의 즉시 헐로 돌아왔지만 1979년 다시 팀을 떠나 디트로이트의 바비 크롬 감독의 조수가 되었다.[52]1979-80시즌 후반 크롬이 해고되자 테드 린제이 총감독과 프로노보스트가 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53]린제이는 시즌 마지막 9경기 팀의 공식 코치를 맡았지만 프로노보스트는 레드윙스가 2차례만 우승하고 7차례나 패하면서 벤치 뒤에서 활약했다.[54]프로노보스트는 1980-81시즌을 시작하기 위해 린제이의 조수로 디트로이트에 머물렀지만 디트로이트가 3-14-3으로 시작하자 둘 다 해고됐다.[55]

다시 주니어 하키로 돌아온 프로노보스트는 온타리오 하키 리그의 윈저 스피트파이어의 감독으로 영입되었다.1981-82년 팀이 22-44-4로 뒤진 반면,[42] 프로노보스트는 다음 시즌을 "재난"[56]이라고 표현했다.는 경기장에서 퇴장당한 후 관계자들에게 폭언을 하고 관중석에서 코치를 계속했다는 이유로 10경기 출장 정지를 당했고 팀이 첫 15경기 중 2경기만 이기자 윈저 감독으로 해임됐다.[57]프로노보스트의 감독으로서의 마지막 시즌은 1984-85년에 그가 주니어 C 벨리 리버 캐나다를 프랜차이즈의 첫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고 온타리오 지방 챔피언으로 클라렌스 슈말츠우승을 이끌면서 이루어졌다.[58]

스카우트 경력

프로노보스트는 1985년 NHL 중앙 스카우트국에 입사하면서 스카우트로 전향했다.[59]그는 이미 툴사 코치로서 팀 발전을 위한 인재 발굴을 포함한 임무 중 하나로서 그 역할에 대한 약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60]프로노보스트는 정찰국을 위해 북아메리카를 횡단하는 데 5년을 보냈다.[61]1990년에 그는 팀의 스카우트 중 한 명으로 뉴저지 데블스에 입단했다.[62]2013-14 NHL 시즌은 1995년, 2000년, 2003년 프로노보스트가 스탠리컵 3개 챔피언의 멤버로 활약한 이후 24번째 시즌이었다.[63]뉴저지주의 3개 대회 모두 골키퍼는 마틴 브로더로, 프로노보스트는 1990년 NHL 엔트리 드래프트에서 데블스가 1순위로 뽑도록 설득하는 데 일조했다.[64]

레거시

NHL 선수 생활을 시작하면서 공격형 수비수로 알려진 프로노보스트는 레드윙스 팬들이 그를 "디트로이트의 플라잉 프렌치맨"이라고 부르도록 하는 공격적인 러싱 스타일을 구사했다.[65][10]그는 또한 심각한 부상의 시간을 거의 놓치지 않는 신체적인 선수로서 명성을 쌓았다.[59]그는 1954년에 부러진 척추뼈를 포함하여 수많은 부상을 극복했다.다른 부상 중 턱뼈가 부러지고 손목이 두 번 부러지고 어깨가 분리되고 코뼈가 14번 부러졌다.[66]32세 때, 그는 다양한 상처와 열상을 봉합하기 위해 200바늘이 넘는 바늘을 필요로 했다.[10]프로노보스트는 부상이 경기의 일부라고 보고 "내 게임은 컨택트 스포츠다.남자들의 게임이다.나는 튕겨져 나와 내 덩어리를 얻기를 기대했다.매 경기 출전을 기대했다고 말했다.[66]

2012년은 프로 하키에서 프로노보스트가 65년째 되는 해로, NHL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클랜시 킹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67]스탠리컵에는 선수 5명, 스카우트 3명 등 8차례 이름을 새겼다.1950년 그의 첫 우승과 2003년 가장 최근의 우승 사이의 53년의 기간은 트로피의 기록이다.[68]그는 2012년 하키에서 자신의 경력을 기록한 자서전을 출간했다.[69]

1978년 프로노보스트는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70]그는 윈저와 에식스 카운티 스포츠 명예의 전당(1995)에 헌액되었고, 2005년 윈저 스피트파이어즈로부터 그의 유니폼 번호 4를 받았으며, 2012년에는 미시간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71]디트로이트 레드윙스는 프로노보스트가 2009년 타이틀 시즌부터 우승 반지를 선물해 2009년 소속 조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했다.[72]

사생활

프로노보스트는 윈저를 자신의 경력의 대부분을 도시 근처에서 놀거나 일했던 그의 집으로 입양했다.[73]그는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고,[21] 하키 비수기에는 트럭을 몰고 몰슨을 위해 판매했다.[74]그는 쇼이니건의 소프트볼 팀에서 오빠와 함께 뛰던 중 첫 번째 아내 신디를 만났다.이들은 1951년 결혼해 세 자녀를 두고 있다.미셸(마리), 브리짓, 레오(티나)가 죽었다.손주 세 명, 타니스, 멜리사, 라이언도 있다.신디는 1993년에 암으로 죽었다.프로노보스트는 1994년 두 번째 부인 에바와 결혼해 2012년 방광암과 직접 싸웠다.[75]프로노보스트는 2015년 4월 26일 잠깐의 병환 끝에 사망했다.[76]

경력통계

정규시즌 및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계절 리그 GP G A PTS 핌. GP G A PTS 핌.
1947–48 윈저 스피트파이어 OHA 33 6 18 24 61 12 1 3 4 28
1947–48 디트로이트 오토 클럽 IHL 19 5 3 8 53
1948–49 윈저 스피트파이어 OHA 42 14 23 37 126 4 1 5 6 2
1948–49 디트로이트 오토 클럽 IHL 9 4 4 8 25 6 3 1 4 15
1949–50 오마하 나이츠 USHL 69 13 39 52 100 7 4 9 13 9
1949–50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9 0 1 1 10
1950–51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37 1 6 7 20 6 0 0 0 0
1950–51 인디애나폴리스 수도 AHL 34 9 23 32 44
1951–52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9 7 11 18 50 8 0 1 1 10
1952–53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8 8 19 27 72 6 0 0 0 6
1953–54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57 6 12 18 50 12 2 3 5 12
1954–55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70 9 25 34 90 11 1 2 3 6
1955–56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8 4 13 17 46 10 0 2 2 8
1956–57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70 7 9 16 38 5 0 0 0 0
1957–58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2 2 18 20 52 4 0 1 1 4
1958–59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9 11 21 32 44
1959–60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9 7 17 24 38 6 1 1 2 2
1960–61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70 6 11 17 44 9 2 3 5 0
1961–62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70 4 14 18 38
1962–63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9 4 9 13 48 11 1 4 5 8
1963–64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7 3 17 20 42 14 0 2 2 14
1964–65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 NHL 68 1 15 16 45 7 0 3 3 4
1965–66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HL 54 2 8 10 34 4 0 0 0 6
1966–67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HL 58 2 12 14 28 12 1 0 1 8
1967–68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HL 70 3 17 20 48
1968–69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HL 34 1 2 3 20
1969–70 툴사 오일러스 CHL 53 1 16 17 24 2 0 0 0 0
1969–70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 NHL 7 0 1 1 4
1970–71 툴사 오일러스 CHL 17 0 0 0 4
NHL 총계 1206 88 257 345 851 134 8 23 31 104

코칭

계절 리그 정규 시즌 플레이오프.
G W L T Pct. 부문순위 결과
1969–70 툴사 오일러스 CHL 72 35 27 10 .556 종합3위 1라운드 패배
1970–71 툴사 오일러스 CHL 72 27 37 8 .431 종합6위 자격이 없음
1971–72 툴사 오일러스 CHL 72 34 30 8 .528 종합 2위 최종 탈락
1972–73 시카고 쿠거스 WHA 78 26 50 2 .346 서부로6번길 자격이 없음
1975–76 헐 페스티벌 QMJHL 56 23 26 7 .473 서부로4번길 1라운드 패배
1976–77 헐 올림피크 QMJHL 72 26 37 9 .424 5번째, 레벨 1라운드 패배
1977–78 버팔로 사브르스 NHL 80 44 19 7 .656 2위 애덤스 로스트 애덤스 디비전 파이널
1978–79 버팔로 사브르스 NHL 24 8 10 6 .458 시즌 중반 발포함
1978–79 헐 올림피크 QMJHL 36 4 29 3 .153 5번째, 레벨 자격이 없음
1979–80 헐 올림피크 QMJHL 64 21 33 10 .406 레프트 미드 시즌
1981–82 윈저 스피트파이어 OHL 68 22 42 4 .353 6번째, 엠스 2라운드 패배
1982–83 윈저 스피트파이어 OHL 15 2 13 0 .133 시즌 중반 발포함
WHA 총계 78 26 50 2 .346
NHL 총계 104 52 29 23 .611

수상 및 명예

마이너 프로페셔널
연도 참조
USHL 올해의 신인왕 1949–50 [10]
USHL 퍼스트 팀 올스타 1949–50 [7]
AHL 두 번째 팀 올스타 1950–51 [7]
내셔널 하키 리그
연도 참조
두 번째 팀 올스타 1957–58
1958–59
[19]
퍼스트 팀 올스타 1959–60
1961–62
[19]
NHL 올스타전 출전 1950, 1954
1955, 1957
1958, 1959
1960, 1961
1963, 1965
1968
[7]

참고 항목

참조

각주

  1. ^ a b c d e f g h Shea, Kevin (December 22, 2006), One on one with Marcel Pronovost, Hockey Hall of Fame, retrieved December 30, 2013
  2.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8
  3.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9
  4.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7
  5. ^ a b Marcel Pronovost biography, Hockey Hall of Fame, retrieved December 30, 2013
  6.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3
  7. ^ a b c d e f g h i 듀플라스티 & 즈베이그 2010, 페이지 401
  8.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26
  9. ^ a b c d e Marcel Pronovost player card, National Hockey League, retrieved December 28, 2013
  10. ^ a b c d O'Brien, Andy (February 1, 1963), "Marcel Pronovost", Ottawa Citizen, p. 27, retrieved December 30, 2013
  11. ^ a b "Only 19 but already old experts compare him with Eddie Shore", La Voix de Shawinigan, p. 11, April 21, 1950, retrieved December 30, 2013
  12.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43
  13.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46
  14. ^ "Lindsay, Sawchuk star as Detroit beats All-Stars 7–1", Montreal Gazette, p. 19, October 9, 1950, retrieved December 30, 2013
  15. ^ Fronovost & Duff 2012, 페이지 49–50
  16.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52
  17. ^ "Detroit sets record in capturing Stanley Cup", Montreal Gazette, p. 18, April 16, 1952, retrieved December 30, 2013
  18.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55
  19. ^ a b c d Marcel Pronovost statistics, Hockey Hall of Fame, retrieved December 30, 2013
  20.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72–74
  21. ^ a b "It's taken time, but Pronovost has star status now", Toledo Blade, p. 22, January 22, 1957, retrieved December 30, 2013
  22.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79
  23.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88
  24.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83
  25.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90
  26. ^ 한, 빔 & 쿠자와 2013 페이지 236
  27.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92
  28. ^ "Unhappy with Leafs, Bathgate joins Wings in giant swap", Montreal Gazette, p. 29, May 21, 1965, retrieved December 30, 2013
  29.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95
  30.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04
  31. ^ "Henderson's four goals belt Blues, 5–3". Montreal Gazette. October 28, 1966. p. 35. Retrieved January 1, 2014.
  32. ^ 맥킨리 2006, 페이지 197
  33.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12
  34. ^ 핀커스 2006, 페이지 117
  35. ^ a b Axthelm, Pete (May 15, 1967), "Beware the watchdogs at the old folks home", Sports Illustrated, retrieved January 1, 2014
  36.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20
  37.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24
  38.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51
  39.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52
  40. ^ Carroll, Dink (January 3, 1970). "Playing the field". Montreal Gazette. p. 25. Retrieved January 1, 2014.
  41.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53
  42.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95–196
  43.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56
  44. ^ "WHA clubs grab Dorey, Williams, Pronovost from NHL", Montreal Gazette, p. 19, July 7, 1972, retrieved January 1, 2014
  45.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60
  46. ^ "Cougars settle with Pronovost", Pittsburgh Press, p. 27, September 25, 1973, retrieved January 1, 2014
  47. ^ Casey, Tom (November 1, 1971), "Hull will announce Pronovost as coach", Ottawa Citizen, p. 19, retrieved January 1, 2014
  48. ^ Casey, Tom (August 3, 1977), "Pronovost shuffles off to Buffalo", Ottawa Citizen, p. 19, retrieved January 1, 2014
  49. ^ Brown, Frank (November 11, 1977), "Sabres win in Philly for the first time", The Evening News, Newburgh, New York, p. 6B, retrieved January 1, 2014
  50.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63
  51. ^ "Sabres fire Punch, Pronovost", Montreal Gazette, p. 21, December 5, 1978, retrieved January 1, 2014
  52.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65
  53. ^ "Coach fired, Pronovost gets Detroit post", Ottawa Citizen, p. 25, March 21, 1980, retrieved January 1, 2014
  54. ^ 한, 빔 & 쿠자와 2013, 페이지 185
  55. ^ "Lindsay, Pronovost fired by Red Wings", Montreal Gazette, p. 17, November 25, 1980, retrieved January 1, 2014
  56.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69
  57. ^ "Ontario junior team fires Pronovost", Montreal Gazette, p. G2, November 6, 1981, retrieved January 1, 2014
  58.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72
  59. ^ a b 포드넥스 2003, 페이지 696
  60.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76
  61.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77
  62.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0
  63. ^ Marcel Pronovost – Scout, New Jersey Devils Hockey Club, retrieved January 1, 2014
  64.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1
  65. ^ Carroll, Dink (October 9, 1950), "Playing the field", Montreal Gazette, p. 16, retrieved January 1, 2014
  66. ^ a b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69
  67.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93
  68.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4–185
  69. ^ Marin, Eric (November 29, 2012), Pronovost autobiography details 65-year career in pro hockey, New Jersey Devils Hockey Club, retrieved January 1, 2014
  70. ^ "Plante selected for Hall", Spokane Spokesman-Review, p. 23, June 13, 1978, retrieved January 1, 2014
  71.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5–186
  72. ^ Fronovost & Duff 2012, 페이지 186
  73.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5
  74.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99
  75. ^ 프로노보스트 & 더프 2012, 페이지 189
  76. ^ Duff, Bob (April 27, 2015). "Hockey Hall of Famer Marcel Pronovost dead at 84". Windsor Star. Retrieved April 27, 2015.

일반

외부 링크

선행자 버팔로 사브르스의 감독
197778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