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스 리처드
Maurice Richard더 아너블 모리스 리처드 PC 참조 OQ | |||
---|---|---|---|
1961년 하키 명예의 전당 | |||
![]() 1940년대 리처드 | |||
태어난 | 몬트리올, 퀘벡, 캐나다 | 1921년 8월 4일||
죽은 | 2000년 5월 27일( 몬트리올, 퀘벡, 캐나다 | 78)||
높이 | 5 피트 10 인치 (150 cm) | ||
체중 | 180파운드(82kg, 12st 12lb) | ||
위치 | 우익 | ||
샷 | 왼쪽 | ||
플레이 대상 | 몬트리올 캐나다 | ||
선수 경력 | 1942–1960 |
Joseph Henri Maurice "Rocket" Richard PC CC OQ ( / r ˈːː/// / / 프랑스어 : [ i iʁa ] );1921년 8월 4일 ~ 2000년 5월 27일)는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그는 NHL 역사상 최초로 한 시즌에 50골을 넣은 선수였으며 1944-45년에는 50경기 만에 500골을 달성하였다.
리처드는 1960년 544골로 리그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은퇴했다.그는 1947년에 NHL의 가장 가치 있는 선수로 하트 트로피를 수상했고, 13번의 올스타 경기에 출전했고, 14번의 포스트 시즌 NHL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고, 8번의 1군 팀에 선정되었다.2017년,[1] 리차드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NHL 선수 1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그의 남동생 앙리 또한 모리스의 마지막 5년 동안 팀 동료로 활약한 캐나다 팀에서 선수 생활 전체를 뛰었다."포켓 로켓"이라는 별명을 가진 센터인 앙리는 모리스와 함께 하키 명예의 전당에 안치되어 있습니다.
리처드, 엘머 랙, 토 블레이크는 1940년대 고득점 전진라인인 펀치라인을 형성했다.리처드는 1956년부터 1960년까지 5회 연속 리그 기록을 포함하여 8개의 스탠리 컵 우승 팀의 일원이었다. 그는 마지막 4회 동안 팀의 주장이었다.명예의 전당은 자격을 얻기 위해 5년의 대기 기간을 포기하고 1961년에 리처드를 헌액했다.1975년 그는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캐나디엔스는 1960년 9번을 은퇴했고 1999년 모리스 "로켓" 리차드 트로피를 NHL에 기증했으며, 이 트로피는 리그 정규 시즌 득점 선두 선수에게 매년 수여된다.
8명의 아이들 중 장남인 리차드는 대공황 기간 동안 가난에 허덕이는 가정에서 태어나 처음에는 약한 선수로 여겨졌다.일련의 부상으로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캐나다 군대에 입대하지 못했다.강렬한 그는 신체적이고 때로는 폭력적인 경기 스타일로 유명했다.리처드는 1954-55시즌 후반에 라인맨을 친 악랄한 온 아이스 사건에 연루되었다.NHL의 클라렌스 캠벨 회장은 몬트리올에서 열린 리처드 라이엇을 촉발시킨 시즌과 플레이오프 잔여 기간 동안 그를 출전 정지시켰다.폭동은 이후 수십 년 동안 신화적인 양상을 띠었으며 종종 퀘벡의 조용한 혁명의 전조로 여겨진다.리처드는 퀘벡의 프랑스어권 사람들 사이에서 문화적 아이콘이었다; 그의 전설은 캐나다 문화의 상징 작품인 로치 캐리어의 단편 소설 하키 스웨터의 주요 모티브이다.
1998년, 리차드는 복부암 진단을 받았고 2년 후에 복부암으로 사망했다.그는 퀘벡주에서 국장으로 추서된 최초의 비정치인이었다.
초기 생활
조셉 헨리 모리스 리차드는 1921년 8월 4일 퀘벡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그의 부모인 오네심 리차드와 앨리스 라라메는 원래 퀘벡의 가스페 지역 출신이었으나 몬트리올로 이주하여 누보 보르도 [2]근처에 정착하였다.모리스는 8남매 중 장남으로 조지트, 롤랑드, 마르그리트 등 3남매와 르네, 자크, 앙리, [3]클로드 등 4남매를 두었다.오네시메는 목수였고, 모리스가 [4]태어난 직후 캐나다 태평양 철도 회사에 취직했다.리처드 부부는 대공황 기간 동안 고군분투했다; 오네시메는 1930년에 실직했고 1936년 [5]경 철도에서 재취업할 때까지 가족은 정부의 지원에 의존했다.
리처드는 4살 때 첫 번째 스케이트화를 받았고, 동네 강과 그의 아버지가 [6]만든 작은 뒷마당 얼음 표면에서 스케이트를 타며 자랐습니다.그는 14살이 될 때까지 조직적인 하키를 하지 않았다.대신, 리차드는 퍽 캐리어가 [7]퍽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다른 사람들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는 게임인 "shinny"와 "hog"를 하면서 그의 기술을 발전시켰다.그는 야구도 하고 권투 선수였지만 하키는 그의 열정이었다.조직된 리그에서 뛰기 시작한 후, 리차드는 몇몇 팀에 합류했고 선수들을 한 [8]팀으로 제한하는 규칙을 피하기 위해 "모리스 로천"과 같은 가명을 사용했다.한 리그에서, 그는 팀을 3회 연속 우승으로 이끌었고 1938-39 [9]시즌에 팀의 144골 중 133골을 넣었다.
16살에 리차드는 기계공으로서 [10]아버지와 함께 일하기 위해 학교를 중퇴했다.그는 무역 자격증을 [11]따기 위해 전문학교에 등록했다.18세 때, 리차드는 비록 신인으로서 정규 [12]시즌에서 아이스 타임을 거의 보지 못했지만 베르뎅 주니어스에 입단했다.정규시즌 10경기에서 4골을 넣었고 플레이오프 4경기에서 6골을 추가해 베르뎅이 [13][14]우승을 차지했다.1940년 퀘벡 시니어 하키리그 몬트리올 캐나디엔스로 승격했지만 첫 경기에서 보드에 부딪혀 발목이 부러져 남은 시즌을 [15]놓쳤다.이 부상으로 인해 캐나다 군대에 입대하려는 그의 희망도 좌절되었다: 그는 1941년 중반 신병 센터에 소집되었지만 [16]전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얼음판을 벗어나면 리차드는 [9]말이 거의 없는 조용하고 겸손한 청년이었다.그는 열일곱 살 때 미래의 아내 루실 노르셰를 만났다. 그녀가 거의 열네 살 때였다.그녀는 보르도에서 그의 팀 동료 중 한 명의 여동생이었고 그녀의 밝고 외향적인 성격은 리처드의 내성적인 [17]성격을 보완했다.루실은 그가 하키와 [18]인생에서 겪은 시련과 실망을 통해 그를 인도하는 데 능숙하다는 것을 증명했다.그들은 그가 20살이었을 때 약혼했고 그녀의 부모님은 그녀가 너무 어리다고 생각했지만 그녀가 [19]17살이었던 1942년 9월 12일에 결혼했다.
선수 경력
제1회 스탠리컵
1941-42시즌에 맞춰 부러진 발목에서 회복된 리차드는 QSHL 캐나디엔스로 돌아와 31경기에 출전해 17득점을 기록한 뒤 다시 [13]부상당했다.그는 수비수와 얽혀서 [20]그물에 부딪혀 손목이 부러지는 부상을 입었다.리처드는 플레이오프전을 위해 팀에 다시 합류했다.그가 QSHL에서 보여준 기량은 NHL의 모 구단이 전쟁에 참가하지 못하고 부진한 기록과 프랑코폰 선수의 부족으로 인해 팬들을 끌어 모으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리처드는 1942-43시즌에 [19][21]캐나다 팀을 상대로 테스트를 받게 되었다.그는 그 해 3,500달러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고 등번호 15번 스웨터를 입고 [22]NHL에 데뷔했다.리처드의 첫 번째 골은 1942년 [23]11월 8일 뉴욕 레인저스와의 경기였다.
그는 다리가 [24]부러진 16경기 만에 신인 시즌이 끝나면서 부상으로 다시 출전하지 못했다.선수 생활 초기에 골절상을 입었기 때문에 관찰자들은 리처드가 최고 [8]레벨에서 뛰기에는 너무 연약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그는 군대에 입대하기 위해 두 번째 시도를 했지만 엑스레이에서 그의 뼈가 제대로 낫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다시 거절당했다; 리차드의 발목이 영구히 변형된 채로 남겨졌고, 그는 스케이트 스타일을 바꾸어야 했다.거절당한 것에 굴욕을 느낀 그는 훈련을 강화했고 1943-44시즌 몬트리올의 훈련 캠프에 완전히 [25]건강한 상태로 보고했다.그의 딸 휴게트가 도착하자 리차드는 출생 당시 몸무게 9파운드에 [26]맞춰 유니폼을 9번으로 바꾸게 되었다.
시즌 내내 건강했던 리차드는 몬트리올의 50경기 중 46경기에 출전했다.그는 32골로 캐나다 팀을 이끌었고 [27]팀 내 3위인 54득점을 기록했다.그의 첫 NHL 시즌은 그의 리그에서의 활약 능력에 대한 비판을 종식시켰을 뿐만 아니라,[24] 그를 리그 최고의 젊은 선수들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시켰다.딕 어빈 감독은 그를 왼쪽 날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토 블레이크와 엘머 라흐와 함께 포워드 라인에 앉혔다.펀치라인으로 알려진 이 3인조는 1940년대 [8]내내 지배적인 득점 단위를 형성했다.캐나다 팀은 10월 이후 단 6경기만 패했고, 13년 [24]만에 처음으로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했다.리처드는 준결승전에서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를 상대로 5골을 넣는 등 12개의 플레이오프 [28]골로 리그를 이끌었다.그는 뉴시 랄론드의 NHL 골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고, 그 결과 그는 찰스 [30]메이어 기자가 선정한 이 [29]경기의 1, 2, 3번째 스타로 선정되었다.리처드는 이번 시즌에 이어 두 번째 올스타로 선정되었다.그는 14년 연속 [31]리그 올스타로 선정되었다.
50경기 50골
1944-45년 NHL 시즌은 리처드에게 기록을 세운 시즌이었다.그는 1944년 12월 28일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와의 경기에서 5골 3도움을 기록하며 한 경기에서 처음으로 포인트 신기록을 세웠다. 그의 8득점은 세 명의 [32]선수가 가지고 있던 이전 기록인 7점을 깼고 1976년 대릴 시틀러가 [33]이를 넘어설 때까지 32년 동안 서 있었다.리처드는 그날 오후 [34]새 집으로 이사하느라 지쳐 경기장에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업을 달성했다.그는 전례 없는 속도로 득점을 계속했고, 1945년 2월, 한 [35]시즌 동안 44골을 기록한 조 말론의 27세 NHL 기록에 근접하고 있었다.리처드는 1945년 2월 25일 토론토와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하며 기록을 깼다.말론은 리처드에게 45번째 골을 [36]넣기 위해 사용한 퍽을 선물하기 위해 참석했다.
리처드가 시즌 50골에 근접하자 상대 선수들은 그의 득점을 막기 위해 점점 더 격렬한 노력을 기울였다.그는 과거의 슬래시, 후크, 그리고 심지어 등에 몸을 [34]걸치는 선수들과 싸워야 했다.리처드는 8경기 무득점,[34] 그리고 49골로 몬트리올의 마지막 정규 시즌 경기인 3월 18일에 보스턴 브루인스를 상대로 원정 경기를 시작했다.그는 2:15로 경기를 남겨두고 골을 넣음으로써 마침내 이정표에 도달했고, 몬트리올은 4-2로 [38]승리했다.그는 50골을 넣은 최초의 선수가 되었으며, 1960-61시즌까지 이 기록은 동료인 버니 "붐 붐" 제프리온이 64번의 정규시즌 경기에서 50골을 넣었을 때 까지 유지되었다.1965-66시즌 시카고 블랙호크스에서 뛰는 동안 바비 헐이 65경기에서 54골을 넣기 전까지는 리처드의 기록이 실제로 깨지지 않았다.그의 50경기 50골 기록 또한 NHL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가 되었고, 36년 후인 1981년 마이크 보시가 이 기록을 세웠던 이후 [39]70여 년 만에 리처드의 50-in-50골 기록과 맞먹는 단 4명의 선수 중 처음으로 기록되었다.펀치 라인이 리그 [40]득점 1위, 2위, 3위를 차지하면서 리처드는 라흐에게 7점, 블레이크에게 6점 뒤진 73점으로 시즌을 마쳤다.리처드는 리그 MVP로 뽑힌 하트 트로피 투표에서 라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리처드의 비평가들은 그의 득점 기록이 전쟁으로 야기된 재능의 희박함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1945-46년에 많은 선수들이 복귀했을 때, 그는 몬트리올에서 그의 두 번째 스탠리 컵을 우승했지만, 그의 골 생산량은 27개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리처드는 1946-47시즌에 다시 최고 득점 기록을 달성하였고, 60경기 동안 45골로 리그를 이끌었으며,[41][42] 그의 경력 중 단 한 번으로서 리그 최우수 선수로 뽑혔다.그는 하트 트로피 투표에서 통산 5번 더 2위 또는 3위를 차지했다.반대자들은 리처드가 격렬한 보복과 싸움으로 [43]인해 게임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리처드를 분노나 좌절로 몰아넣으려는 시도를 계속했다.1947년 스탠리컵 결승에서 리처드가 [44]막대기로 토론토 빌 이지니키의 머리를 가격해 페널티킥을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리처드는 메이플 리프스가 [45]이긴 시리즈의 세 번째 게임을 위해 출전 정지를 당했다.
군림하는 가장 가치 있는 선수로서, 리차드는 1947-48시즌 전에 연봉 인상을 추구했다.프랭크 셀케 단장은 리처드와 주장 에밀 부샤르 모두 시즌 [46]전 경기에 불참한 후 항복하고 시즌이 시작되자 복귀를 거부했다.펀치 라인은 블레이크가 선수 생활을 마감하는 다리 [41]부상을 입은 후 해체되었다.리처드의 시즌도 무릎 [46]부상으로 시즌 마지막 경기를 결장하면서 조기 종료됐다.그는 53경기에서 53득점으로 팀 득점 2위를 차지했지만 몬트리올은 [47]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1948-49시즌 38득점만을 기록한 리차드는 다음 시즌 65득점 캠페인을 펼쳤고 그의 43득점은 NHL을 [13][42]세 번째로 이끌었다.1950-51시즌, 리차드는 통산 271호 골을 포함해 42골을 [13]넣어 몬트리올의 역대 골 [48]선두가 되었다.
역대 득점 선두 주자
리처드는 1951-52시즌 20경기 이상을 부상으로 [49]결장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50]또 다른 병을 극복했다.보스턴과의 준결승 7차전에서 리차드는 리오 라바인의 검문을 받고 넘어져 빌 콰켄부시의 [50]무릎에 머리를 부딪힌 뒤 의식을 잃었다.분명히 멍한 상태였지만, 리차드는 눈 위의 큰 상처가 봉합된 후 3교시 후반에 경기에 복귀했다.캐나다 출신의 딕 어빈 감독은 리처드가 뇌진탕을 겪었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대회 마지막 순간에 리처드를 얼음 위로 돌려보냈다.리처드는 몬트리올을 1952년 스탠리컵 [51]결승전으로 이끈 2-1 승리로 결승골을 넣었다.경기가 끝난 후, 피가 흥건하고 여전히 정신을 잃은 리차드가 보스턴 골키퍼 짐 헨리와 악수하는 장면이 사진에 찍혔는데, 짐 헨리는 이 시리즈로 인한 부상 증상을 보였고 몬트리올 선수의 "의식 없는 골"[52]에 이어 리처드에게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것처럼 보였다.Roger St. Jean의 사진은 [51]리차드의 가장 유명한 이미지 중 하나이다.결승전에서 몬트리올은 디트로이트에 [53]4연패했다.
1952-53시즌은 리처드가 넬스 스튜어트의 NHL 사상 최다골인 324골을 [54]바짝 추격하면서 시작되었다.리처드는 1952년 10월 29일 토론토에서 열린 메이플 리프스와의 경기에서 2골을 넣으며 동률을 이뤘다. 그의 업적은 몬트리올의 라이벌 [55]팬들로부터 열렬한 박수를 받았다.그는 다음 세 경기에서 기록 [56]경신에 대한 기대감으로 각 대회에 열광한 팬들이 따라붙으면서 득점하지 못했다.11월 8일 시카고와의 경기에서 리처드는 두 번째 경기인 10분 1초에 325번째 골을 넣었다.몬트리올 가제트에 따르면 리처드는 몬트리올 [57]포럼의 "서까래를 흔들었다"고 한다.그는 팀을 이끄는 총점 61점과 28골로 시즌을 마쳤는데, 이는 NHL 역사상 처음으로 그의 첫 10시즌 [58]동안 20골을 넣은 선수가 되었다.리처드의 12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의 7골에 힘입어, 캐나다 팀은 1953년 스탠리 컵 결승전에서 보스턴을 꺾고 1946년 [13][59]이후 몬트리올의 첫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했다.
리처드는 1953-54년에 37골로 통산 4번째 골을 넣었고, 1954-55년에 38골로 5번째 골을 넣었다.[42]그는 1954년 12월 18일 [60]시카고전에서 통산 400번째 골을 넣었다.
리처드 라이엇
그는 장 벨리보가 고의로 시카고의 빌 모시엔코와 레인저스의 잭 에반스에 의해 두 번 부상을 당했을 때 캠벨은 어떻게 했을까.벌칙도 없고 벌금도 없고 정직도 없어요디트로이트의 고디 하우가 돌라드 세인트 로랑의 눈을 거의 기절시킬 뻔 했을 때 정직시켰나요?안 돼!이런 독재자에 맞서 우리의 권리를 지키면서 생계를 위태롭게 할 용기가 딕 어빈과 나밖에 없다니 이상하다.
—Campbell forced Richard to cease writing for Samedi-Dimanche following these comments.[61]
상대 선수들은 물리적인 위협을 통해 리처드를 말리려 했고, 그는 종종 동등한 힘으로 보복했다.이 상황은 클래런스 [62]캠벨 NHL 회장과 계속되는 불화로 이어졌다.리처드는 캠벨이 사메디-디망쉬의 [63]저자를 도운 주간 칼럼에서 캠벨을 비판한 후, 캠벨로부터 여러 차례 벌금을 부과받았고, 한 때 1,000달러의 "선행 채권"을 게시해야 했다.리처드는 캠벨이 영국인 [64]선수들보다 프랑스계 캐나다 선수들을 더 심하게 대한다고 믿었던 퀘벡의 많은 사람들 중 하나였다.불붙는 논쟁은 1955년 3월 13일 보스턴과의 경기에서 할 레이코가 막대기로 [65]리처드의 머리를 때린 사건 이후 불거졌다.리처드는 레이코의 머리를 잔인하게 베는 것으로 보복했고, 관계자가 [66]개입을 시도하자 라인맨 클리프 톰슨에게 주먹을 날렸다.보스턴 경찰은 사건 이후 리처드를 폭행 혐의로 체포하려 했지만 몬트리올의 코칭스태프와 팀 동료들은 이에 [67]항의하며 경찰 입국을 거부했다.
이틀간의 심사숙고 끝에 캠벨은 당시 NHL 전체 득점 레이스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던 리처드를 정규시즌과 [68]플레이오프 남은 기간 동안 출전 정지시켰다고 발표했다.영국 캐나다에서 캠벨은 변덕스러운 리처드를 통제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는 찬사를 받았다.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캠벨은 리처드의 지난 폭발에 대해 오랫동안 정직 처분을 내리기를 원했다.그러나 NHL 회장으로서 캠벨은 결국 리그 구단주들에게 대답했고,[69] 그들은 경기관객 증가에 대한 가치 때문에 리그 스타 선수 중 한 명에게 가해지는 그러한 엄격한 징계를 보는 것을 꺼렸다.프랑스 퀘벡에서 정직은 부당하다고 여겨졌는데, 이는 영어권 기득권에 [8]의해 프랑스어권 영웅에게 내려진 부당한 처벌이었다.리처드의 지지자들은 캠벨에게 화가 난 반응을 보였다. 캠벨은 몇 번의 살해 위협을 받았고 다음 캐나다 경기에서 그가 평소처럼 자리에 앉았을 때, 제멋대로인 팬들은 그에게 야채, 계란, 그리고 다른 [65]파편들을 던졌다.한 팬은 캠벨에게 최루탄을 던졌고, 결국 포럼은 철수했고 경기는 디트로이트에 유리하게 몰수되었다.경기장을 탈출한 팬들은 경기 [65]시작 전에 밖에서 모여든 대규모 시위대와 마주쳤다.
2만 명이 넘는 군중이 폭동으로 발전했다.포럼과 주변 비즈니스에서 창문과 문이 부서졌다.다음날 아침, 65세에서 70세 사이의 사람들이 체포되었다.[70]50개 이상의 상점이 약탈당하고 37명이 부상당했다.피해액은 10만달러(2020년 971,631달러)[71][65]로 추정됐다.리차드도 그 경기에 참석했지만, 몰수당한 후 바로 떠났다.프랭크 셀케는 군중을 해산시키기 위해 돌아오도록 그를 설득하려 했지만, 리처드는 오히려 [72]그가 폭도들의 열정을 더 자극할 것을 우려하여 거절했다.그는 다음날 라디오에 출연해 "더 이상 해를 끼치지 마라.플레이오프에서 팀에 밀리다.벌칙을 받고 내년에 돌아와 구단과 [65]젊은 선수들이 우승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번 출전정지로 리처드는 리그 득점왕에 올랐지만 팀 동료 제프리온에게 [40]1점 차로 패했다.리처드는 포인트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했고, 통산 5번이나 2위를 했다.몬트리올 팬들은 정규 [73]시즌 마지막 날 제프리온이 리처드를 앞섰을 때 야유를 보냈다.팬들은 다음 [74]시즌까지 제프리온을 계속 야유했다.몬트리올은 1955년 스탠리컵 결승에 진출했다가 리처드 [75]없이 4 대 3으로 패했다.그 패배는 분노를 [76]억누르려고 애쓰는 리처드에게 쓰라린 손실이었다.
왕조의 대장
리처드는 1955-56년 몬트리올을 스탠리 컵 우승으로 이끌면서 캐나다 팬들에게 한 [75]약속을 이행했다.이번 시즌은 그의 동생이자 미래의 동료 NHL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앙리가 캐나다 선수단에 [77]"포켓 로켓"이라는 별명이 붙으면서 시작되었다.그것은 또한 그의 전 펀치라인 동료인 토 블레이크가 감독으로 [78]복귀하는 것을 의미했다.블레이크는 프랭크 셀케 총감독과 함께 피스커프 [74]대신 골로 상대팀의 도발에 대처하고 화를 누그러뜨리는 데 주력했다.리처드는 38골과 71점으로 시즌을 마쳤는데, 이는 장 벨리보의 47골과 [79]88점에 이어 팀 내 2위였다.리처드는 연장전 10경기에서 14점을 보탰고 몬트리올은 디트로이트를 꺾고 스탠리컵을 [80]차지했다.그는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경기에서 두 번째 골을 넣었고, 결국 컵을 쥐는 골을 넣었고, 3-1로 [81]승리했다.
1956-57시즌에 그의 15번째 NHL 시즌을 시작하면서, 리차드의 팀 동료들은 [82]그를 시즌 전에 은퇴한 에밀 부샤르의 뒤를 이어 캐나다 팀의 주장으로 임명하였다.33골, 62득점으로, 리차드는 다시 팀 내에서 벨리보에 [83]이어 2위를 차지했다.플레이오프에서, 그는 준결승 5차전에서 연장 결승골을 넣어 뉴욕을 없앴고, 5-1로 이긴 보스턴과의 결승 1차전에서 4골을 넣어 [84]5연승과 몬트리올의 2연패를 이끌었다.
리처드는 1957-58시즌 초반에 주요 득점 기록을 달성했다.1957년 10월 19일 시카고와의 경기에서 그는 [85]NHL 역사상 500골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리처드가 팀 동료들과 축하를 할 때 몬트리올 포럼 관중들에게 "미스터 하키 선수 모리스 [86]리처드가 넣은 캐나다 골"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그는 아킬레스건이 [87]절단되어 3개월을 결장하면서 그 시즌 정규 경기 28경기에 출전해 [13]34득점을 기록했다.플레이오프에 맞춰 복귀한 리처드는 11골 15득점으로 몬트리올을 앞서며 스탠리컵 3연패를 달성했다.그는 보스턴과의 결승 5차전에서 연장 결승골을 넣었다.이 골은 그의 생애 6번째 연장 결승골이었고, 두 골 모두 NHL [88]기록으로 결승전 기간 동안 세 번째 골이었다.
37세의 리차드는 1958-59년 [89]NHL에서 최고령 선수였다.그는 42경기에서 [13]38득점을 올렸지만 [89]발목 골절로 6주간 결장했다.1959-60년 시즌 동안 광대뼈 [90]골절로 한달간 결장하면서 부상이 또 다시 리처드를 괴롭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몬트리올은 두 시즌 모두 스탠리 컵에서 우승했다.리처드는 1959년 스탠리컵 결승에서 4경기에서 무득점을 기록했지만 1960년에는 [13]1골 3도움을 기록했다.이 타이틀은 리처드의 [42]통산 7번째와 8번째 우승이었고 몬트리올의 5회 연속 우승은 [91]기록으로 남아있다.1956-60년 캐나다 [92]왕조는 NHL이 인정한 8개의 왕조 중 하나이다.
1960년 9월 15일,[93] 그는 선수로서의 은퇴를 선언했기 때문에, 플레이오프 골은 리처드의 마지막 골이었다.리처드는 그 해 가을 몬트리올의 훈련 캠프에 보고했지만, 셀케는 심각한 부상의 위험을 우려하여 리처드에게 선수 생활을 끝내라고 강요했다.리처드의 은퇴 연설에서 그는 2년 동안 경기를 떠날 생각을 해왔고 39세의 나이에 경기가 자신에게 [94]너무 빨라졌다고 말했다.리처드의 은퇴 소식을 접한 고디 하우는 "그는 확실히 그림 카드였다.그는 우리의 임금 지급을 돕는 군중을 끌어들였다.리처드는 분명 이 경기에서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이었고 우리는 [95]그를 그리워할 것입니다."
플레이 스타일
리처드는 경력 초기에 "혜성"이라는 별명을 얻었다.팀 동료 레이 게틀프가 리처드가 상대 골대에 접근하면서 "로켓처럼 들어갔다"고 말했을 때, 리차드는 지역 스포츠 라이터에 의해 "로켓"으로 불렸고 몬트리올 스타의 바즈 오메아라와 몬트리올 가제트의 딩크 캐롤 둘 다 [31]그 이름을 얻었다.그 별명은 리처드의 경기를 속도, 힘, 그리고 결단력 측면에서 묘사했다.팀 동료이자 코치인 토 블레이크는 "그가 이륙할 때 그를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그 별명이 어울린다고 말했다.[96]골키퍼 자크 플랑테는 종종 리처드의 눈에 나타나는 격렬한 강도에 주목하고 그것을 "성조기"[31]에서 언급되는 "로켓의 붉은 빛"에 비유하면서 운동선수에게 붙여진 가장 적절한 별명 중 하나라고 선언했다.글렌 홀은 동의했다: "로켓에 대해 내가 가장 기억하는 것은 그의 눈이었다.그가 막대기에 퍽을 꽂고 당신을 향해 날아왔을 때, 그의 눈은 온통 환하게 빛나고 있었고, 마치 핀볼 기계처럼.무서웠어요.[96]

리처드의 경력 중 전성기는 2차 세계대전 직후로, 전투로 악화된 선수들이 NHL로 복귀하여 투박하고 육체적이며 종종 폭력적인 [97]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글레디에이터" 스타일을 구현했다.리차드 [98]폭동을 촉발시킨 그의 행동으로 알 수 있듯이, 리차드 자신의 성질은 악명이 높았다.
순수한 골잡이였던 리차드는 기교를 부리지 않았고 [8]패스로도 유명하지 않았다.그의 팀원 중 한 명이 "모리스는 소금도 건네주지 않을 것이다"[98]라고 말했다.리처드는 NHL에서 5골을 넣었지만,[96] 승점에서는 한 번도 없었다.그는 블루라인에서 골망을 향해 돌진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포핸드나 백핸드에서도 똑같이 골을 넣는 데 능숙했다.그의 업적은 1930년대에 [99]팬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애쓰던 몬트리올의 캐나다 프랜차이즈를 부활시켰다.포스트 시즌 올스타 팀에 14번 출전하는 것 외에, 리처드는 1947년부터 [31]1959년까지 13번 연속 NHL 올스타 게임에 출전했다.
고디 하우가 개인 통산 최다 득점 기록을 [100]추월했을 때 리차드는 여전히 현역 선수였다.하우는 1963년 544골을 기록한 리차드의 기록을 넘어섰고,[31] 한 시즌 50골을 기록한 하우는 1965년 바비 헐에 의해 깨질 때까지 20년 동안 존속했다.몬트리올 캐나디엔스는 1999년 모리스 "로켓"[101] 리차드 트로피를 NHL에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기부했다.
사생활
선수 은퇴 후, 셀케는 리차드에게 팀 앰배서더 자리를 제안했고 첫 [102]해에 그의 선수 연봉을 전액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3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한 후, 리차드는 1964년에 캐나다 부의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그는 자신이 무력하고 명예롭다고 느끼는 역할에 불만을 품게 되었고,[103] 1년 후에 사임했다.리처드는 팀의 운영에 관여하고 싶은 욕구가 무시되면서 조직과 소원해졌고 1965년 [104]캐나다 팀이 프랭크 셀케를 은퇴시키도록 강요하면서 분열이 심화되었다.그는 결국 자신의 이름을 그 [105]팀과 연관시키는 것을 거부했다.
리처드는 은퇴 후 삶의 목적을 찾아야 할 필요성과 [106]잊혀질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군분투하면서 수많은 노력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그는 '모리스 리처드의 하키 일러스트레이티드'[107]라는 잡지의 컨설팅 편집자로 활동했고 몬트리올에 '544 / 9 Tavern'(경력 목표 총수와 스웨터 수에서 따온 이름)을 소유했으며 맥주, 염색약, 자동차 배터리, 낚시 도구, 어린이 장난감 등 수십 가지 제품의 피치맨이었다.그는 [108]퇴임 후 30년 넘게 홍보 수단으로 자신의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리처드는 1972년 세계하키협회 [109]퀘벡 노르디케스의 감독으로 잠시 하키에 복귀했다.코치의 [110]부담을 감당하지 못할 때까지 그는 1승 1패 두 경기만 버텼다.리처드는 1981년 캐나다 팀과 화해하고 팀 홍보대사 [111]역할을 재개했다.
리처드와 그의 아내 루실은 몬트리올에서 7명의 아이를 키웠다.휴게트, 모리스 주니어, 노먼, 안드레, 수잔, 폴로, 장.[112]그들에게는 14명의 [113]손자가 있었다.루실은 리처드 부부가 결혼 50주년을 [115]맞은 지 2년 후인 [114]1994년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리처드의 만년에 동행한 사람은 소니아 [116]레이몬드였다.
질병과 죽음
리처드가 복부암 진단을 받은 것은 1998년에 발표되었다.그는 2년 후인 2000년[117] 5월 27일 이 병으로 사망했고 [118]몬트리올의 노트르담 데 네이제 묘지에 안장되었다.뉴저지 데빌스와 댈러스 스타스의 2000년 스탠리 컵 결승 1차전 전에, 리처드의 경력의 위대한 순간과 유산을 강조하는 짧은 추모 비디오가 있었다.
레거시
많은 영예가 리처드에게 주어졌고, 캐나다 언론은 그를 올해의 남자 운동선수로 세 [119]번 선정했고, 1957년 리처드는 [120]올해의 캐나다 운동선수로 루 마시 트로피를 수상했습니다.캐나다 [42]하키 명예의 전당은 은퇴 후 5년의 대기기간을 포기하고 1961년 [8]그를 헌액했다.같은 해, 5,000석 규모의 모리스 리처드 아레나가 그의 [121]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1967년 캐나다 훈장이 창설되자 리차드는 초대 멤버[122]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고 1998년 캐나다 [123]훈장의 동반자로 승격되었습니다.캐나다의 스포츠 명예의 전당은 [124]1975년에 그를 기렸고,[123] 리차드는 1999년에 캐나다 명예의 거리에 별을 받았습니다.그는 1992년 [111]캐나다 여왕 추밀원에 임명되었습니다.

그가 캐나다 전역에서 인기 있는 선수였던 반면,[23] 리차드는 퀘벡의 아이콘이었다.작가 로치 캐리어(Roch Carrier)는 리처드가 1979년 캐나다 고전 단편소설 하키 [125]스웨터에서 팬들에게서 이끌어낸 열정을 설명했다.캐리어는 그와 그의 친구들이 리처드의 스타일과 매너리즘을 모방한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5명의 모리스 리처드와 다른 5명의 모리스 리처드가 퍽에 몸을 던지고 있었다.우리는 모두 몬트리올 캐나디엔의 유니폼을 입고 모두 같은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우리는 모두 그 유명한 숫자 9를 등에 [126]맸어요."이 이야기의 출판과 이후 미국 영화 위원회 애니메이션 단편으로 각색된 것은 리처드의 범캐나다 [127]아이콘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리처드의 인기는 그의 인생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몬트리올 포럼에서의 마지막 하키 경기 이후 세리머니의 일부로 소개되었을 때, 리처드는 11분간의 [128]기립박수로 그를 인정했던 캐나다 팬들에 의해 눈물을 흘렸다.그가 사망하자 퀘벡 주는 리처드에게 비정치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국장을 수여했다.115,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몰슨 [129]센터에서 그의 누워있는 모습을 보며 조의를 표했다.
리처드 폭동은 캐나다 [130]민속에서 신화적인 위치를 차지했다.이번 폭동은 퀘벡 내 프랑스인들의 불만을 폭력적으로 표출한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폭동이 1960년대 조용한 [65]혁명의 전조라고 생각한다.몬트리올 신문 라 프레세는 폭동 40주년 회고전에서 "40년 전 퀘벡과 [131]하키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가 시작되었다"라는 구절로 시작했다.리처드 자신은 문화적 또는 정치적 [132]변화의 촉매제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공개적으로 일축했다.1975년 인터뷰에서 그는 "잉글랜드 보이즈"와 놀았고 그 [133]당시 프랑스 퀘벡의 상황을 거의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폭동이 일어난 지 4일 후에 발행된 기사에서, 언론인 안드레 로렌도는 이것이 퀘벡에서 증가하고 있는 민족주의의 징후라고 가장 먼저 시사했다.로렌도는 폭동이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명백한 무관심과 오랜 수동성의 배후에 있는 것을 배신했다"[134]고 주장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그의 책 로켓: 모리스 리처드의 문화사에서, 베노 멜란송은 역사에서 인식된 중요성은 리처드의 [135]신화와 함께 소급하여 증가했다고 말하면서 폭동의 중요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멜란손은 이렇게 썼다: "이 유명한 이야기에 따르면, 퀘벡 사람들은 처음으로 자신들을 옹호했다; 특히 영국 캐나다는 이것이 1960년대 조용한 [136]혁명의 시작이었다고 시대착오적으로 발표하는 것을 기뻐한다."
Richard는 2005년 전기 영화 The [137]Rocket의 주제이다.
경력 통계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계절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핌. | GP | G | A | PTS | 핌. | ||
1939–40 | 베르둔 단풍잎 | QJHL | 10 | 4 | 1 | 5 | 2 | 4 | 6 | 3 | 9 | 2 | ||
1939–40 | 베르둔 단풍잎 | QSHL | 1 | 0 | 1 | 1 | 0 | — | — | — | — | — | ||
1939–40 | 베르둔 단풍잎 | Mem. | — | — | — | — | — | 7 | 7 | 9 | 16 | 16 | ||
1940–41 | 몬트리올 캐나다 (Sr. | QSHL | 1 | 0 | 1 | 1 | 0 | — | — | — | — | — | ||
1941–42 | 몬트리올 캐나다 (Sr. | QSHL | 31 | 8 | 9 | 17 | 27 | 6 | 2 | 1 | 3 | 6 | ||
1942–43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16 | 5 | 6 | 11 | 4 | — | — | — | — | — | ||
1943-44*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46 | 32 | 22 | 54 | 45 | 9 | 12 | 5 | 17 | 10 | ||
1944–45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50 | 50 | 23 | 73 | 46 | 6 | 6 | 2 | 8 | 10 | ||
1945-46*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50 | 27 | 22 | 49 | 50 | 9 | 7 | 4 | 11 | 15 | ||
1946–47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60 | 45 | 26 | 71 | 69 | 10 | 6 | 5 | 11 | 44 | ||
1947–48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53 | 28 | 25 | 53 | 89 | — | — | — | — | — | ||
1948–49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59 | 20 | 18 | 38 | 110 | 7 | 2 | 1 | 3 | 14 | ||
1949–50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70 | 43 | 22 | 65 | 114 | 5 | 1 | 1 | 2 | 6 | ||
1950–51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65 | 42 | 24 | 66 | 97 | 11 | 9 | 4 | 13 | 13 | ||
1951–52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48 | 27 | 17 | 44 | 44 | 11 | 4 | 2 | 6 | 6 | ||
1952-53*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70 | 28 | 33 | 61 | 112 | 12 | 7 | 1 | 8 | 2 | ||
1953–54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70 | 37 | 30 | 67 | 112 | 11 | 3 | 0 | 3 | 22 | ||
1954–55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67 | 38 | 36 | 74 | 125 | — | — | — | — | — | ||
1955-56*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70 | 38 | 33 | 71 | 89 | 10 | 5 | 9 | 14 | 24 | ||
1956-57*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63 | 33 | 29 | 62 | 27 | 10 | 8 | 3 | 11 | 8 | ||
1957-58*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28 | 15 | 19 | 34 | 28 | 10 | 11 | 4 | 15 | 10 | ||
1958-59*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42 | 17 | 21 | 38 | 27 | 4 | 0 | 0 | 0 | 2 | ||
1959-60* | 몬트리올 캐나다 | NHL | 51 | 19 | 16 | 35 | 50 | 8 | 1 | 3 | 4 | 2 | ||
NHL 합계 | 978 | 544 | 422 | 966 | 1285 | 133 | 82 | 44 | 126 | 188 |
*스탠리컵 챔피언.
상과 명예
상 | 연도 | 레퍼런스 |
---|---|---|
1군 올스타 | 1944-45, 1945-46 1946-47, 1947-48 1948~49년, 1949~50년 1954-55, 1955-56 | [31] |
세컨드 팀의 올스타 | 1943-44, 1950-51 1951-52, 1952-53 1953-54, 1956-57 | [31] |
스탠리컵 8회 우승 | 1943-44, 1945-46, 1952-53,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 |
하트 트로피 최우수 선수 | 1946–47 | [138] |
상 | 연도 | 레퍼런스 |
---|---|---|
캐나디안 프레스 올해의 남자 선수 | 1952, 1957 1958 | [119] |
루 마시 트로피 올해의 캐나다 선수 | 1957 | [120]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각주
- ^ "100 Greatest NHL Players". National Hockey League. January 1, 2017. Retrieved January 1, 2017.
- ^ Melanson 2009, 페이지 11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30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23
- ^ 2011년, 29-31페이지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25~26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26
- ^ a b c d e f 포드니크스 2003, 페이지 723
- ^ a b 캐리어 2001, 37페이지
- ^ 오브라이언 1961, 29페이지
- ^ 캐리어 2001, 36페이지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37
- ^ a b c d e f g h Maurice Richard playing card, National Hockey League, retrieved March 3, 2014
- ^ 캐리어 2001, 페이지 41
- ^ 캐리어 2001, 페이지 45
- ^ 캐리어 2001, 페이지 47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34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41
- ^ a b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42
- ^ 캐리어 2001, 페이지 48
- ^ 캐리어 2001, 55페이지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43
- ^ a b Maurice Richard biography, Hockey Hall of Fame, retrieved March 10, 2014
- ^ a b c An emblematic icon of the Montreal Canadiens, Maurice Richard's influence and impact transcended the game, Montreal Canadiens Hockey Club, retrieved March 10, 2014
- ^ 2011년 44~45페이지
- ^ 캐리어 2001, 페이지 63
- ^ 라빈 2013, 288페이지
- ^ 라빈 2013, 페이지 289
- ^ Rocket's three stars, Montreal Canadiens Hockey Cl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4, retrieved March 11, 2014
- ^ "Charles Mayer". Canada's Sports Hall of Fame. 1971. Retrieved December 25, 2020.
- ^ a b c d e f g 카메론 2013, 페이지 156
- ^ "Maurice Richard holds new National League scoring mark", Nashua Telegraph, p. 9, December 29, 1944, retrieved March 12, 2014
- ^ Campbell, Neil (February 9, 1976), "Sittler's 10 points bring bundle of records", Ottawa Citizen, p. 15, retrieved March 12, 2014
- ^ a b c 맥킨리 2006, 페이지 141
- ^ "Maurice Richard sets torrid pace in NHL scoring", Ottawa Citizen, p. 9, February 13, 1945, retrieved March 12, 2014
- ^ "Rocket gets 45th as Habs humble Leafs, 5–2", Ottawa Citizen, p. 11, February 26, 1945, retrieved March 13, 2014
{{citation}}
: CS1 유지보수: 날짜 및 연도(링크) - ^ Kreiser, John (November 24, 2010), Stamkos hoping to join the NHL's 50-in-50 club, National Hockey League, retrieved April 1, 2014
- ^ 50-in-50, Montreal Canadiens Hockey Clu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5, 2013, retrieved March 12, 2014
- ^ 핀커스 2006, 57페이지
- ^ a b 다이아몬드 2013, 페이지 154
- ^ a b 핀커스 2006, 74페이지
- ^ a b c d e 카메론 2013, 페이지 158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50
- ^ "Maurice Richard finds himself in real trouble", Lewiston Evening Journal, p. 19, April 11, 1947, retrieved March 13, 2014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62
- ^ a b 2011년, 페이지 63-64
- ^ 라빈 2013, 295페이지
- ^ Melanson 2009, 페이지 20-22
- ^ 캐리어 2001, 페이지 194
- ^ a b 캐리어 2001, 페이지 196
- ^ a b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75
- ^ The bloody meeting, Canadian Museum of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4, retrieved March 20, 2014
- ^ Degeer, Vern (April 16, 1952), Detroit sets record in capturing Stanley Cup, p. 18, retrieved March 20, 2014
- ^ 캐리어 2001, 페이지 200
- ^ "Rocket ties N.H.L. goal record but Leafs win 7–5", The Gazette, Montreal, p. 19, October 30, 1952, retrieved March 26, 2014
- ^ 캐리어 2001, 페이지 202
- ^ Carroll, Dink (November 10, 1952), "Rafters shake as Rocket bags record goal", The Gazette, Montreal, p. 20, retrieved March 26, 2014
- ^ 라빈 2013, 300페이지
- ^ 캐리어 2001, 페이지 209
- ^ "Maurice Richard scores 400th goal", Reading Eagle, p. 38, December 19, 1954, retrieved March 26, 2014
- ^ For 2011, 80-81 페이지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77
- ^ Wheatley, W. R. (December 4, 1954), "Canadiens' Maurice Richard seeks no. 400. It may come Sunday against New York club", The Gazette, Montreal, p. 11, retrieved March 30, 2014
- ^ 캐리어 2001, 페이지 211
- ^ a b c d e f 핀커스 2006, 페이지 86
- ^ "Rocket goes wild at Boston, clouts Laycoe, linesman", The Gazette, Montreal, p. 23, March 14, 1955, retrieved March 30, 2014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89
- ^ Wheatley, W. R. (March 17, 1955), "Richard out for season and playoffs", The Gazette, Montreal, p. 1, retrieved March 30, 2014
- ^ 2011년, 82-83페이지
- ^ MacDonald, D. A. L. (March 18, 1955), "Mob rule wrecks Forum, game", The Gazette, Montreal, p. 1, retrieved March 30, 2014
- ^ 1688~1923년: 겔로소, 빈센트, A Price Index for Canada, 1688~1850(2016년 12월 6일).그 후, 캐나다의 치솟은 인플레 통계 캐나다 18-10-0005-01(이전에 CANSIM 326-0021)"소비자 물가 지수의 평균 연봉은 계절적 요인 조정되지 않"tables에 근거한다.캐나다 통계청.4월 17일 2021년. 그려지고 표 18-10-0004-13"소비자 물가 지수는 제품 그룹에 의해, 월 1회, 둘레, 계절적 요인 조정되지 않, 캐나다, 도, 화이트 호스, 옐로 나이프와 이칼루 이트"Retrieved.캐나다 통계청.4월 17일, 2021년까지 Retrieved.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98
- ^ Art Ross Trophy winner – Geoffrion, Bernie, Hockey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4, retrieved March 31, 2014
- ^ a b 캐리어 2001, 234–235페이지
- ^ a b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100
- ^ 캐리어 2001, 페이지 229
- ^ Henri Richard biography, Hockey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9, 2015, retrieved March 31, 2014
- ^ 캐리어 2001, 페이지 232
- ^ 라빈 2013, 304페이지
- ^ 라빈 2013, 305페이지
- ^ Carroll, Dink (April 11, 1956), "Canadiens defeat Red Wings, 3–1, win Stanley Cup", The Gazette, Montreal, p. 1, retrieved March 31, 2014
- ^ "Rocket" captain", Ottawa Citizen, p. 13, September 27, 1956, retrieved March 31, 2014
- ^ 라빈 2013, 306페이지
- ^ 라빈 2013, 307페이지
- ^ Carroll, Dink (October 21, 1957), "Rocket gets 500th goal, Canadiens defeat Hawks 3–1", The Gazette, Montreal, p. 25, retrieved March 31, 2014
- ^ Curran, Pat (October 21, 1957), "Happy like a rookie", The Gazette, Montreal, p. 25, retrieved March 31, 2014
- ^ "'Rocket' Richard to return", Spokane Daily Chronicle, February 12, 1958, retrieved March 31, 2014
- ^ 라빈 2013, 309페이지
- ^ a b "Rocket Richard out 6 weeks", Daytona Beach Morning Journal, p. 11, January 21, 1959, retrieved March 31, 2014
- ^ "Rocket Richard out for month", Daytona Beach Morning Journal, p. 7, November 28, 1959, retrieved March 31, 2014
- ^ 라빈 2013, 313페이지
- ^ Dynasties: Standings, National Hockey League, retrieved March 31, 2014
- ^ "Maurice (the Rocket) Richard Retires", The Gazette, Montreal, p. 25, September 16, 1960, retrieved August 3, 2016
- ^ "Gave fans more thrills than any star in history", Ottawa Citizen, p. 25, September 16, 1960, retrieved March 31, 2013
- ^ "One of greats says Gordie", The Gazette, Montreal, p. 25, September 16, 1960, retrieved August 3, 2016
- ^ a b c Grimsley, Will (October 22, 1988), "Richard: The original Rocket", The Telegraph, Nashua, NH, p. C10, retrieved April 1, 2014
- ^ 2011년의 경우, 59페이지
- ^ a b Murray, Jim (April 22, 1966), "'Rocket' used sheer terror on puck foes", Milwaukee Sentinel, p. Pt. 2, Pg. 3, retrieved April 1, 2014[영구 데드링크]
- ^ Carroll, Dink (February 7, 1985), "Players owe a large debt to Richard", The Gazette, Montreal, p. E8, retrieved April 1, 2014
- ^ "Gord Howe ties Rocket Richard but Wings lose", Ottawa Citizen, p. 17, January 14, 1960, retrieved April 1, 2014
- ^ Maurice "Rocket" Richard Trophy, Hockey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7, retrieved April 2, 2014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129
- ^ "Maurice Richard resigning as Canadiens' vice-president", The Gazette, Montreal, p. 21, August 30, 1965, retrieved April 2, 2014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134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135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133
- ^ "Richard branches out", Reading Eagle, p. 36, November 7, 1962, retrieved April 2, 2014
- ^ Melanson 2009, 페이지 52
- ^ Bauch, Hubert (July 28, 1972), "Rocket returns – as Quebec WHA pilot", The Gazette, Montreal, p. 15, retrieved April 2, 2014
- ^ "Filion follows Richard as Nordiques' coach", The Gazette, Montreal, p. 33, October 28, 1972, retrieved April 2, 2014
- ^ a b Vigneault, Michel (2005), "Richard, Maurice, known as the Rocket",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University of Toronto, retrieved August 3, 2016
- ^ 2011년도의 경우, 페이지 164
- ^ Maurice Richard dead at 78, Slam! Hockey, May 27,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 2014, retrieved April 2, 2014
- ^ 2011년의 경우, 페이지 166
- ^ "Richard: 50 goals, 50 years of marriage", Lakeland Ledger, p. 2D, September 15, 1992, retrieved April 2, 2014
- ^ Melanson 2009, 13페이지
- ^ Rocket Richard dead at 78,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December 18,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3, 2021, retrieved August 3, 2016
- ^ Répertoire des personnages inhumés au cimetière ayant marqué l'histoire de notre société (in French). Montreal: Notre Dame des Neiges Cemetery.
- ^ a b Conacher–Rosenfeld winners, Canada's Sports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3, 2021, retrieved February 19, 2014
- ^ a b "Lou Marsh winners", Toronto Star, December 9, 2008, retrieved February 19, 2014
- ^ "Sunday opening Richard arena", The Gazette, Montreal, p. 32, December 7, 1961, retrieved August 3, 2016
- ^ "Canada honors its own after long hesitation", Toledo Blade, p. 11, December 25, 1967, retrieved April 2, 2014
- ^ a b Maurice Richard, Canada's Walk of Fame, retrieved April 2, 2014
- ^ Honoured member – Maurice Richard, Canada's Sports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4, retrieved April 2, 2014
- ^ Campbell, Ken (2010), "The Greatest Jerseys of All Time", The Hockey News, p. 38, ISSN 0018-3016
- ^ Tarasoff, Tamara, Roch Carrier and The Hockey Sweater,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retrieved January 1, 2013
- ^ The Hockey Sweater,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January 3, 2013
- ^ Brodie, Rob (June 3, 2000), "Forum for a true icon", Ottawa Su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 2014, retrieved April 2, 2014
- ^ A hero's funeral for Maurice Richard,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April 2, 2014
- ^ 멜란손 2009, 186–187페이지
- ^ Melanson 2009, 페이지 114
- ^ 캐나다 방송 1975년 12시 47분 시작
- ^ 1975년 5시 51분 캐나다 방송공사 시작
- ^ Laurendeau, André (March 21, 1955), "On a tué mon frère Richard", Le Devoir (in French), p. 4
- ^ Melanson 2009, 페이지 115
- ^ Blake, Jason (August 2009), Two Hockey Solitudes in the Rocket: A Cultural History of Maurice Richar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Online, retrieved April 2, 2014
- ^ Field, Russell (Spring 2014). "Representing "The Rocket": The Filmic Use of Maurice Richard in Canadian History" (PDF). Journal of Sport History. 41 (1): 17. JSTOR 10.5406/jsporthistory.41.1.15 – via JSTOR.
- ^ Hart Memorial Trophy Winner – Maurice Richard, Hockey Hall of Fame, retrieved February 19, 2014
일반
- 경력 통계:
- Cameron, Steve, ed. (2013), Hockey Hall of Fame Book of Players, Richmond Hill, Ontario: Firefly Books, ISBN 978-1-77085-224-2
- Looking back on the milestone Richard Riot,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March 17, 1975, retrieved August 21, 2018
- Carrier, Roch (2001), Our Life With The Rocket: The Maurice Richard Story, Fischman, Sheila (translator), Toronto, Ontario: Penguin Books, ISBN 0-670-88375-1
- Diamond, Dan (2013), National Hockey League Official Guide & Record Book 2014, Toronto, Ontario: Diamond Sports Data, Inc., ISBN 978-1-894801-26-3
- Foran, Charles (2011), Maurice Richard, Toronto, Ontario: Penguin Books, ISBN 978-0-670-06412-0
- Lavigne, Carl, ed. (2013), 2013–14 Montreal Canadiens Media Guide, Montreal Canadiens Hockey Club
- McKinley, Michael (2006), Hockey: A People's History, Toronto, Ontario: McClelland & Stewart, ISBN 0-7710-5769-5
- Melançon, Benoît (2009), The Rocket: A Cultural History, Reed, Fred A. (translator), Vancouver, British Columbia: Greystone Books, ISBN 978-1-55365-336-3
- O'Brien, Andy (1961), Rocket Richard, Toronto, Ontario: Ryerson Press
- O'Brien, Andy (2001), Rocket Richard, Toronto, Ontario: Ryerson Press, ISBN 978-0-9686220-4-9
- Pincus, Arthur (2006), The Official Illustrated NHL History, Montreal, Quebec: Readers Digest, ISBN 0-88850-800-X
- Podnieks, Andrew (2003), Players: The ultimate A–Z guide of everyone who has ever played in the NHL, Toronto, Ontario: Doubleday Canada, ISBN 0-385-25999-9
외부 링크
- NHL.com, Eliteprospects.com, Hockey-Reference.com, Hockey-Reference.com, Legends of Hockey, Internet Hockey Database의 전기 정보 및 경력 통계
- "로켓" 리차드: 전설 – 유산 – 캐나다 역사 박물관
- "Maurice Richard".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online e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9–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