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알라이트

Marialite
마리알라이트
Marialite-169082.jpg
일반
카테고리텍토실리케이트
공식
(기존 단위)
나알시오클43924
IMA 기호3월[1]
스트룬츠 분류9.FB.15
크리스털 시스템4각형
크리스털 클래스디피라미달(4/m)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I4/m
단위세포a = 12.06 å, c = 7.572(3) å; Z = 2
식별
무색, 흰색, 회색, 분홍색, 보라색, 파란색, 노란색, 갈색, 주황색 갈색, 옅은 녹색 또는 적갈색
수정습관전형적으로 평평하고 피라미드 모양의 줄무늬 결정체; 거대하고 세밀한
클라바주{100} 및 {110}에서 구분
골절콘코이드에 불균일함
고집브리틀
모스 눈금 경도5+12–6
루스터유리, 진주, 수지
스트릭흰색
발데인성투명에서 불투명까지
비중2.55–2.74
밀도2.5–2.62 g/cm3
광학 특성일색(-)
굴절률nω = 1.539–1.550nε = 1.532–1.541
바이레프링스δ = 0.007 - 0.009
참조[2][3][4][5][6]

마리알라이트는 순수 엔드 멤버인 경우 NaAlSiOCl의 화학식을 가진 규산염43924[5][6] 광물 또는 메오나이트 함량이 증가하는 Na4(AlSiO38)(3Cl23,CO, SO4)이다.[3]마리알라이트는 스카폴라이트 그룹의 일원으로, 마리알라이트와 칼슘 최종 성분인 메오나이트 사이에 고체 용액이 존재한다.[3]그것은 수집가의 돌로 주로 사용되는 희귀한 광물이다.

결정학

마리알라이트는 4각형 결정체와 4/m 크리스털 클래스를 가지고 있다.90° 거울 평면으로 4배 회전한다.크리스탈은 보통 프리즘과 쌍극자 모양의 두드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7]

마리알라이트는 하나의 원형 섹션과 주형 스페노이드 모양의 주요 섹션을 가진 단일 음극 광학 클래스에 속한다.

발견 및 발생

마리알라이트는 1866년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클레이레아 화산단지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처음 묘사되었다.독일의 광물학자 게르하르드가 라스의 아내 마리아 로사가 라스를 토해 이름을 지었다.[4][5]

마리알라이트는 대리석, 석회석, 그라눌라이트, 그린스키스트 등 지역과 접촉 변태에서 발생한다.그것은 또한 스칸, 페그마타이트, 열수변화화산암에서도 발생한다.[4][5]이것은 마리알라이트가 고압 및/또는 고온 환경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광물에나틀라스
  3. ^ a b c 클라인, C, 그리고 더트로, B. (2007) 제23회 광물 과학 설명서, 675 페이지 존 와일리 앤 선스 주식회사.미국 뉴저지 주 호보켄
  4. ^ a b c 광물학 편람
  5. ^ a b c d Mindat.org
  6. ^ a b 웹미네랄 데이터
  7. ^ 존센, O. (2000) 세계 광물 사진 가이드 439 페이지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그레이트 클라렌던 가,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