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오 베네데티
Mario Benedetti마리오 베네데티 | |
---|---|
![]() 1981년 베네데티 | |
태어난 | 파소 데 로스 토로스 | 1920년 9월 14일
죽은 | 2009년 5월 17일 몬테비데오 | (만 88세)
직종. | 작가. |
국적. | 우루과이 사람 |
교육 | 도이체 슐레 몬테비데오 |
마리오 베네데티 파루지아[1]( 스페인어 발음:ˈ마 ɾ호 베타엔 ˈð에티(, 1920년 9월 14일 ~ 2009년 5월 17일)는 우루과이의 언론인, 소설가, 시인이다.80권 이상의 책을 출판하고 20개 국어로 출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영어권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3]스페인어권에서 그는 21세기 후반 라틴 아메리카의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4]
어린시절과 교육
베네데티는 1920년 우루과이 타쿠아렘보 주의 파소 데 로스 토로스에서 제약 및 화학 와인 제조업자인 브렌노 베네데티와 이탈리아계 마틸데 파루지아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5]2년 뒤 이들은 주의 주도인 타쿠아렘보로 이사를 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화학제품을 사려고 했지만 사기를 당해 파산하게 되면서 [6]이들은 나라의 수도 몬테비데오로 이사를 가서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 살게 됩니다.[7]마리오는 도이체 슐레 몬테비데오에서 초등학교 6년을 마쳤고, 그곳에서 독일어도 배웠고, 이것은 나중에 그가 우루과이의 프란츠 카프카의 첫 번째 번역가가 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그의 아버지는 나치 이데올로기가 교실에 등장하기 시작하자 즉시 그를 학교에서 퇴학시켰습니다.그 후 2년 동안, 그는 리세오 미란다에서 공부했지만, 남은 고등학교 기간 동안 그는 교육 기관에 다니지 않았습니다.그 해 동안 그는 오랫동안 생계를 유지해 온 속기를 배웠습니다.그는 14살 때 처음에는 속기사로 일을 시작했고 그 후 판매원, 공무원, 회계사, 언론인, 방송인, 번역가로 일을 했습니다.
직업
그는 주간지 마르차에서 카를로스 키자노와 함께 기자로 훈련을 받았습니다.[8]1938년부터 1941년까지 그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살았습니다.예를 들어,[9] 그는 리오 데 라 플라타 강의 양쪽 강둑에서 다른 직업에서 일했습니다.1946년 루이스 로페스 알레그레와 결혼.
그는 카를로스 마지, 마누엘 플로레스 모라, 앙헬 라마, 에미르 로드리게스 모네갈, 이데아 빌라리뇨, 카를로스 레알 데 아수아, 호세 페드로 디아스, 아만다 베렌게르, 이다 비탈레, 리베르 팔코, 후안 카를로스 오네티 등 우루과이의 지적, 문학 운동인 "45세 시대"의 일원이었습니다.[10]
그는 1945년부터 1973년 군사정부에 의해 강제 폐간될 때까지 우루과이 주간지 마르차에 기고했고 1954년부터는 문예감독을 맡았습니다.1957년, 그는 유럽을 여행했고 마르차 주간지와 엘 디아리오 신문의 특파원으로 9개국을 방문했습니다.[11]
엑자일, 1973-1985
1973년부터 1985년까지 12년 동안, 시민-군사 독재가 우루과이를 통치했을 때, 베네데티는 망명 생활을 했습니다.그는 처음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갔다가 페루 리마로 가서 구금되고 추방된 후 사면을 받았습니다.그는 1976년에 쿠바로 갔고 그 다음해에 스페인 마드리드로 갔습니다.[6]그의 망명은 특히 그의 아내가 그들의 어머니 둘 다를 돌보기 위해 우루과이에 남아있어야 했기 때문에 시도되었습니다.1980년, 그는 마요르카의 팔마로 이사를 갔습니다.
리턴 투 우루과이, 1985

베네데티는 1985년 3월 민주주의 회복 이후 우루과이로 돌아와 몬테비데오와 마드리드를 오갔습니다.그는 우루과이의 레푸블리카 대학교, 스페인의 알리칸테 대학교, 스페인의 바야돌리드 대학교로부터 호노리스 카우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1986년, 그는 국제 보테브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2005년 6월 7일 메넨데스 펠라요 국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그의 시는 1992년 아르헨티나 영화 심장의 어두운 면(El ladooscuro del corazón)에서도 사용되었는데, 그는 그의 시 중 일부를 독일어로 읽었습니다.[12]
2006년 마리오 베네데티는 미국으로부터 푸에르토리코의 독립을 지지하는 청원서에 서명했습니다.
개인적인 삶과 죽음
그의 삶의 마지막 10년동안, 베네데티는 천식을 앓았고, 추위를 피하기 위해 여름인 마드리드에서 겨울을 보냈지만, 그의 건강이 악화되어 결국 몬테비데오에 머물렀습니다.2006년, 그의 아내 루스 로페스가 사망하면서 60년 이상의 결혼 생활이 끝이 났습니다.
죽기 전에 그는 그의 개인 비서인 아리엘 실바에게 그의 마지막 시가 될 것을 지시했습니다.[13]
미비다 하시도 코마나 파르사 | 내 인생은 사기같았습니다. |
—(조각) |
2009년 5월 17일 몬테비데오에서 사망했습니다.그는 1년 넘게 호흡기와 장 질환을 앓아왔습니다.그의 유해는 몬테비데오 중앙 묘지에 있는 국립 판테온에 묻혔습니다.[14]
일하다.
그의 시와 소설들로 베네데티는 수많은 국제적인 상들을 수상했습니다.1960년에 처음 출판된 라 트레구아는 그 이후로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해리 모랄레스에 의해 영어로) 1974년 영화 트루스에 영감을 주었습니다.아래의 각 연도는 해당하는 "문학의 해" 또는 "시의 해" 기사와 연결됩니다.
시
- 1945: 지워지지 않는 이브(Lavispera indelle), 그의 첫 번째 저서[15]
- 1956: Poemas de oficina ("오피스 시")[15]
- 1963:
- 1977: 라카사이 엘 라드리요 ("The House and the Brick")[15]
- 1981: 비엔토 델 엑실리오 ("망명의 바람")[15]
- 1986: 프레군타스 알라자르 ("Random Questions")[15]
- 1988: Yesterday y mañana ("Yesterday and Tomorrow
- 1991: 라솔레다데스 드 바벨 ("바벨의 외로움")[15]
- 1994: Inventario dos (1985-1994) ("Inventory Two (1985-1994)", 마드리드[15] 출판
- 1995: ("재량권 행사: 망각은 기억으로 가득 차 있다"), 스페인에서[15] 출판.
- 1996: 엘라모르, 라스 무제레시 라비다. 애절한 시.
- 1997: 라비데 파렌테시스[15]
- 2002년: 인섬니오시 뒤르메벨라스, ISBN84-7522-959-X
- 2004: Defensa propia, ISBN 950-731-438-5
- 내 창문의 작은 돌들 (양국어판; 찰스햇필드 번역소개) ISBN 1-880684-90-X
- 포에마스 데오트로스
- 노시온 데 파트리아
- 솔로미엔트라스탄토
- 퀘말라스네브
- 아스 데 수에뇨
- 레트라스 드 이머젠시아
- 2007: 비비라드레데
단편소설
- 1960: 몬테비데오
- 리스피라비엔
- 로스포킬로
- 돌이킬 수 없는 일
- 에스크리토 엔 위벌링겐
- 엘레이노 데 로스 시엘로스
- 미스 기억상실증
- 우나카르타 데 아모르
- 라노체 데 로스 페오스
- 사이렌아비우다
- 엘부존 델 티엠포
- 1977: 라베치나 오릴라
에세이
- 1960: 엘파이스 데 라 콜라 데 파하
- 콜레시온
플레이즈
- 1958년 아이다 부엘타
- 1979년 페드로 옐 카피탄
소설
- 1953년 퀴엔 데 노소트로스
- 1960: 라트레구아, 휴전의 근거 (1974년 영화)
- 1965년: 1984년 동명 영화의 기초가 된 그라시아스 포엘 푸에고; 1984년 아르헨티나의 영화 목록 참조
- 1971년: 후안 앙헬의 엘쿰플레아뇨스
- 1982: Primavera con una esquina rota
- 1993: 라보라 델 카페
- 1996년 안다미오스
- 2003: 엘포르벤 드 미파사도
여러가지 종류의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Martinez, Ezequiel (2000). "Los 80 años de Mario Benedetti". Especial Mario Benedetti en El Clarín. Retrieved 27 October 2006.
- ^ "The Associated Press: Famed Uruguayan writer Benedetti dies at 88". Retrieved 17 May 2009.
- ^ Gregory, Stephen William George (1999)대화의 붕괴: 우루과이 위기의 지식인과 정치, 1960-1973 논문, 현대언어학, 뉴사우스웨일스 대학OCLC 44284108, 초록
- ^ "Mario Benedetti: Writer in the vanguard of South America's literary". 11 June 2009. Retrieved 17 October 2022. 마리오 베네데티:20세기 후반 남미 문학 붐의 선봉에 선 작가
- ^ "Biografía de Mario Benedetti - Mario Benedetti". Biblioteca Virtual Miguel de Cervantes (in Spanish). Retrieved 17 October 2022.
- ^ a b c Nick Caistor (7 June 2009). "Poet of Uruguay's revolutionary moment".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17 October 2022.
- ^ "Página/12 Web - Sociedad - "Del exilio se vuelve cambiado, otra persona"". 26 Septem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07. Retrieved 17 October 2022.
- ^ 마리오 베네데티
- ^ "Mario Benedetti Biografía Detallada: 1920-1959 – Fundación Mario Benedetti" (in Spanish). Retrieved 7 September 2020.
- ^ Generación del 45: severa en la critica y brilliant en la creación.Wayback Machine에서 2012년 9월 22일 보관
- ^ "Mario Benedetti Biografía Detallada: 1920-1959 – Fundación Mario Benedetti" (in Spanish). Retrieved 14 September 2020.
- ^ IMDb 엘라두스쿠로 델 코라존
- ^ "Rostros de vos". El Diario Ecuador. 21 May 2009. [엘 디아리오 데 에콰도르:마리오 베네데티 그의 마지막 시 (스페인어)
- ^ 베네데티 사망 (스페인어)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2009년 5월 27일 회수된 "현대판 마리오 베네데티 - 엘 오토르의 비블리오테카 데 아우토레스" 웹페이지 제목의 웹페이지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