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사 메르스

Marisa Merz
마리사 메르스
태어난(1926-05-23)23 1926년 5월
이탈리아 토리노
죽은2019년 7월 20일(2019-07-20) (93)
이탈리아 토리노
국적이탈리아의
로 알려져 있다.조각
움직임아르테 포베라
수상비엔날레 디 베네치아 평생 공로상

마리사 메르스(Marisa Merz, 1926년 5월 23일 ~ 2019년 7월 20일)는 이탈리아의 화가 겸 조각가였다.[1]1960년대에, Merz는 급진적인 아르테 포베라 운동과 연관된 유일한 여성 주인공이었다.[2][3]2013년 그녀는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평생 공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4]그녀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살고 일했다.[1]

초년기

마리사 메르스는 1926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태어났다.[1]그녀의 아버지는 피아트 자동차에서 일했다.[5]그녀는 고전 발레를 공부했고 펠리체 카소라티를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모델링을 했다.1950년대에 그녀는 토리노에서 공부하고 있던 그녀의 남편이 될 예술가 마리오 메르스를 만났다.1960년에 그들은 결혼하여 베아트리체 (Bea) 메르즈라는 이름의 딸을 낳았다.[5]이 부부는 알프스 산맥의 프루티겐에서 3년 동안 살았다.[6]그녀의 처녀적 이름을 포함한 머즈의 초기 삶에 대해 공개적으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5]

아르테 포베라와 커리어

제목 없는 1966년, 테이트 모던

1967년 6월, Merz는 토리노의 Gian Enzo Sperone 갤러리에서 첫 단독 전시회를 가졌는데, 이 전시회를 위해 그녀는 접은 알루미늄 호일을 설치했다.[7]1967년 12월, 그녀는 급진적인 예술 행사를 개최하기 위해 그 해 전에 개장한 토리노 이스코인 파이퍼 플라리 컵에서 또 다른 쇼를 가졌다.[6]1968년 10월, 그녀는 아말피에서 게르마노 셀란트가 주관하는 3일간의 아르테 포베라 + 아지오네 포베라 행사에 참가했다.[8]미술가 미켈란젤로 피스토레토, 알리기에로 보에티, 조반니 안셀모, 마리오 메르스 등이 참여한 이 아르테 포베라 행사는 매일 '나쁜' 재료들을 예술로 전시하는 전위적인 전시로 급진적이었다.[8]그녀의 작품은 유기적인 형태, 주관성, 공예품을 포함한 낮은 형태의 미술의 사용, 예술과 삶의 관계 등 아르테 포베라 예술가들이 몰두하고 있는 많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계속 반영했다.1969년 그녀는 로마의 아티코 갤러리에서 단독 전시회를 가졌다.[7]그녀의 작품은 일련의 "방"에서 공공연히 환경적 성격을 띠었다.[9]그녀의 남편 마리오가 그녀의 예술과 경력을 지지했고 그녀의 설치를 도왔다.[10]1975년에 그녀는 로마에서 단독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이 전시회는 아드옥치 치우시 글리 오치 소노 스트라다이나리아멘테 아페르티('눈을 감으면 눈이 유난히 뜬다')[11]라는 제목으로 뜨개질 구리를 이용해 만든 설치물을 선보였다.

젊은 예술가로서 Merz는 그 장면에 큰 공헌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폭넓은 인정을 받지 못했다.[5]후에 페미니즘의 성장은 그녀에게 더 큰 배려를 가져다 주었다.마리사 메르스의 예술은 서정적이고, 섬세하며, 선견지명이 있고, 사사로운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12]그녀의 시설은 집이 친밀한 장소, 사적인 공간, 여성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그녀의 1966년 설치 작품인 Untitled(살아있는 조각상)가 그 예인데, 이 작품은 그녀의 집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갤러리에 전시될 예정이기도 했다(한때 그녀는 '내 삶과 내 작품 사이에는 어떤 구분이 있었던 적이 없다'고 말했다).설비는 얇은 알루미늄 스트립으로 구성되었고, 천장에서 잘려져 있고 매달려서 코일과 나선형을 형성했다.이 작품은 2009년 테이트 모던이 인수했다.그녀의 연습은 전통적으로 여성들과 관련된 공예와 관습의 측면을 통합시켰고(예: 뜨개질) 그녀의 가정 환경을 반영하는 구리, 알루미늄, 왁스 페이퍼, 파라핀 왁스 같은 평범한 재료들을 종종 채용했다.이런 식으로 그녀의 예술은 아르테 포베라 집단의 예를 보여주는데, 이 집단은 "위반하지는 않더라도" 미술의 높은 광택과 기관 상품으로서의 그것의 죽음성을 문제 삼으려 했다.[13]예술가로서, Merz는 그녀의 작품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짓거나 연대를 하는 것을 거절했고, 예술 제작은 "시간을 넘어서" 운영된다고 주장했다.[14]

1975년 그녀의 예술가 진술에서 그녀는 자신의 삶과 그녀가 창조한 작품 사이의 부재한 분열에 대해 이야기했다.이때쯤 그녀는 미술계에서 몸을 빼내어 사실상 자신의 작업실에 틀어박혀 일을 하게 되었다.[15]그곳에서 그녀는 그녀의 알루미늄 조각품을 만드는 동안 그녀의 딸 베아와의 삶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그녀의 딸이 어떻게 그 당시 그녀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는지.[16]1977년, Merz는 이탈리아 밀라노의 Galleria Salvatore Ala에서 단독 전시회를 가졌다.[6]2003년 남편의 죽음 이후 메르즈는 스튜디오를 손대지 않은 채 90대까지 일을 계속했다.[6]2015년 베아트리체 메르스는 이후 토리노에 현대미술관 폰다지오네 메르스를 개관했다.[17]

1982년에는 Documenta 7에, 1992년에는 Kasel에서 Documenta 9에 참가했다.그녀는 또한 1988년에 베니스 비날레에 포함되었다.[18]1994년, 그녀는 바바라 글래드스톤에서 첫 미국 공연을 가졌다.[6]

수상

2001년 베니스 비엔날레, 즉 비엔날레 디 베네치아에서 메르즈는 특별 심사위원상을 받았다.[1]2013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그녀는 평생 공로 황금 사자상을 받았다.[4]

최근 전시회

출처:[19]

  • 미니애폴리스 MN Walker Art Center시간 형태 / 2005–2009
  • 이탈리아어, 전통과 혁명 사이의 이탈리아 예술, 1968–2008년, 팔라초 그라시, 프랑코 피노 재단, 베니스 이탈리아 / 2009–2010
  • Marisa Merz, 뉴욕 글래드스톤 갤러리 / 2010년 5월 - 7월
  • 바두즈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쿤스트무세움 리히텐슈타인아르테 포베라 / 2010
  • Marisa Merz, 뉴욕 글래드스톤 갤러리 / 2010년 10월 - 11월
  • 벨기에 브뤼셀 글래드스톤 갤러리의 마리사 메르스 / 2011년 1월 – 3월
  • 그리스 아테네 버니어 엘라데스에서의 그룹 / 2011년 11월 – 2012년 1월
  • 마리사 메르스: 그리기 그리기 이탈리아 토리노의 파운데이션 메르즈에서 걷는 이미지 사상을 다시 그리기 / 2012
  • 스위스 세인트 모리츠 주오즈 모니카 데 카르데나스의 마리사 메르스 / 2012년 12월 – 2013년 2월
  • 영국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마리사 메르스 / 2013년 9월 – 2013년 11월
  • 마리사 머즈: The Sky Is a Great Space at New York City / 2017년 1월 24일 – 5월 7일, 해머 박물관, 로스앤젤레스, CA / 2017년 6월 4일 – 2017년 8월 20일
  • Marisa Merz, Bernier/Eliades, Athernes / 2018년 12월 13일 - 2019년 2월 14일
  • PA, 필라델피아 필라델피아 미술관마리사 메르스 / - 2020년 여름

죽음

메르스는 2019년 7월 19일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0]

참조

  1. ^ a b c d "마리사 메르즈 전기", 글래드스톤 갤러리.2018년 10월 18일 회수
  2. ^ 서펜타인 갤러리 마리사 머즈2018년 10월 18일 회수
  3. ^ "마리사 메르스: "하늘은 위대한 공간이다." 해머 박물관2018년 10월 18일 회수
  4. ^ a b 캐스콘, 사라 (2013년 6월 5일) 마리아 라스니그와 마리사 메르스에게 베니스 비엔날레 골든 라이온즈.미국의 예술
  5. ^ a b c d "마리사 메르즈의 꿈의 공장", The New Yorker.2018년 10월 18일 회수
  6. ^ a b c d e Basciano, Oliver (26 July 2019). "Marisa Merz obituary".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9 February 2020.
  7. ^ a b 럼리, 로버트.현대 미술의 움직임: 아르테 포베라.런던 (2004년) : 34. 인쇄.
  8. ^ a b "아르테 포베라 피에우 아지오니 포에베레 1968."2018년 10월 18일 회수
  9. ^ "Marisa Merz. Disegnare disegnare ridisegnare il pensiero immagine che cammina".
  10. ^ 럼리, 로버트.현대 미술의 움직임: 아르테 포베라.런던 (2004년) : 37. 인쇄.
  11. ^ "Ad occhi chiusi gli occhi sono straordinariamente aperti" [With closed eyes the eyes are extraordinarily open] (in Italian). Capti.
  12. ^ Schwarz, Dieter; Claire Gilman (Spring 2008). "The Irony of Marisa Merz". October. 124: 157–168. doi:10.1162/octo.2008.124.1.157. S2CID 57567688. Retrieved 24 March 2013.
  13. ^ Fisher, Cora (November 2011). "Marisa Merz". The Brooklyn Rail.
  14. ^ Basciano, Oliver (26 July 2019). "Marisa Merz obituary".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9 February 2020.
  15. ^ Grenier, Catherine (1994). "Sur le nl du temps". Marisa Merz. Musee national d'Art modern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73–104, 261–78.
  16. ^ Merz, Marisa (September–October 1975). Artist's Statements. Milan: compiled by Anne-Marie Sauzeau Boetti. pp. 50–55.
  17. ^ "Marisa Merz, the Legendary Italian Artist Who Brought a Woman's Perspective to Arte Povera, Has Died artnet News". artnet News. 22 July 2019. Retrieved 29 February 2020.
  18. ^ "Marisa Merz, the Legendary Italian Artist Who Brought a Woman's Perspective to Arte Povera, Has Died". artnet News. 22 July 2019. Retrieved 29 February 2020.
  19. ^ "Events & Exhibits of Marisa Merz". Mutual Art.
  20. ^ Russeth, Andrew (20 July 2019). "Marisa Merz, Key Arte Povera Figure and Relentlessly Inventive Sculptor, Is Dead at 93". Art News. Retrieved 21 July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