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포넨 루코세

Mary Poonen Lukose
메리 포넨 루코세
Mary Poonen Lukose.svg
Mary Poonen Lucose의 벡터 그림
태어난(1886-07-30)1886년 7월 30일
죽은1976년 10월 2일 (1976-10-02) (90세)
직업산부인과, 산부인과
로 알려져 있다.의료
배우자K. K. 루코세
아이들.그레이시 루코즈, K. P. 루코즈
상위 항목T. E. 푸넨
수상파드마 슈라이
바이다야사스라쿠세라쿠아과

Mary Poonen Lucose는 인도의 산부인과 의사, 산부인과 의사, 그리고 인도 최초의 여성 외과의사였다.[1] 그녀는 나가르코일결핵 요양소 설립자였고 엑스레이와 라듐 연구소티루바난타푸람프린스리트라반코레 주 보건부장을 역임했으며, 주 최초의 여성 입법자였다.[1] 인도 정부는 1975년에 그녀에게 파드마 슈라이의 네 번째로 높은 인도 시민상을 수여했다.[2]

전기

메리 루코세(Mary Lukose, née Mary Poonen)는 1886년[5] 8월 2일 영국 성공회 시리아 기독교 부잣집에서 외동딸로[3][4] 태어났다.[6] 아이마남(Aymanam)은 훗날 영국령 인도 제국의 왕자다운 트라반코어(현대판 케랄라)의 소설의 배경이 되어 유명해진 작은 마을이다.[7] 그녀의 아버지 T. E. Poonen은 의사였으며, 트라반코어 주의 첫 번째 의대 졸업자였고, 트라반코어 주의 왕실 의사였다.[1][5] 그녀의 어머니는 메리가 영국 가정교사들에 의해 양육된 건강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홀리 엔젤스 컨벤트 고등학교인 티루바난타푸람에서 학교를 마치고 입학시험에서 1등을 했다. 그러나 그녀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마하라자스 칼리지인 티루바난타푸람(현재의 대학 칼리지인 티루바난타푸람)에서 과학 과목 입학을 거부당했고, 1909년 마하라자가 배출한 마하라스 칼리지의 유일한 여학생이자 최초의 여성 졸업자로 마하라스 칼리지의 역사학(BA)을 추구해야 했다.s 대학은 소속되어 있었다.[1] 인도 대학들이 여성들에게 의학을 위한 입학 허가를 내주지 않자, 그녀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런던 대학에서 MBBS를 확보했는데,[7] 이것은 나중에 케랄라가 의학을 졸업한 최초의 여성이 될 것이다.[8] 그녀는 영국에서 계속하여 더블린의 로툰다 병원으로부터 MRCOG(간부인과 의사)를 받았고 그레이트 오몬드 스트리트 병원에서 소아과에서 고급 훈련을 받았다.[1] 후에 그녀는 영국의 여러 병원에서 일했고 동시에 런던 음악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음악 공부를 했다.[1]

메어리는 아버지가 죽은 해인 1916년 인도로 돌아와 [4]티루바난타푸람[8] 티코우드 여성아동병원에서 산부인과 의사직을 맡았으며 또한 병원장으로 근무하면서 결혼 후 고향으로 돌아온 서양인을 대신했다.[7] 1년 후, 그녀는 후에 트라반코르 고등법원의 판사가 될 변호사인 [9]쿠리빌라 루코세(K. K. Lukose)와 결혼했다.[7] K. K. 루코제는 인도 정교회 기독교인이었다.[3] 티카우드 병원 재직 시절에는 현지 산파 자녀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산파 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병원에서 첫 출산한 것으로 알려졌다.[7] 1922년, 그녀는 Sree Chitra State Council로 [10]알려진 Travancore 의회에서 지명되었고, 따라서 주에서는 최초의 여성 의원이 되었다.[7] 2년 후, 그녀는 트라반코르 주의 외과의사 대리로 승진하여, 인도에서 외과의사 대장으로 임명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7][11] 그녀는 1938년까지 병원에 계속 있었고, 그 기간 동안 그녀는 1937년까지 계속해서 주 의회에 지명되었다.[7] 1938년, 그녀는 32개의 정부 병원, 40개의 정부 기관, 20개의 민간 기관을 관장하는 외과의사가 되었다.[4] 그녀는 세계 최초의 여성 외과의사로서 임명되었으며 1990년에야 미국 최초의 여성 외과의사가 임명되었다고 보도되었다.[1][5][7][12][4]

메리는 젊은 여성기독교연합(YWCA)의 티루반탄타푸람 지부의 창립자 중 한 사람이었으며, 1918년 창립총재가 되었으며,[13] 1968년까지 재임하였다.[7] 그녀는[1][4] 인도에서 걸 가이드의 최고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산부인과 학회로 시작인도의학협회와 인도 산부인과학협회 연합회(FOGSI)의 창립 멤버였다.[7] 그녀는 국가의 외과의사로서 인도 최초의 요양소 중 하나인 나가르코일에 결핵 요양소를 세웠으며, 후에 칸야쿠마리 관립 의과대학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 그녀는 또한 티루바난타푸람에 엑스레이와 라듐 연구소를 설립했다.[7]

메리와 루코스는 장남 그레이시와 뉴델리[15] 레이디 하딩겐 의대 조교수, 막내 K. P. 루코세 전 총영사, 유엔 주재 인도 대표, 불가리아 주재 인도 대사 등 두 자녀를 두었다.[7][5] 그녀의 남편은 1947년에 사망했고 그녀의 두 자녀 또한 그녀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그녀는 1976년 10월 2일 9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7] 그녀는 트라반코어의 마지막 마하라자 치티라 시투날 발라라마 바르마로부터 바이다야사스트라쿠세라쿠아라는 칭호를 받은 사람이었다.[1] 인도 정부는 1975년 그녀에게 파드마 슈라이의 시민적 영예를 수여했다.[2]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Mary Poonen Lukose (1886-1976)". Stree Shakti. 2015. Retrieved 15 June 2015.
  2. ^ a b "Padma Shri" (PDF). Padma Shri.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November 2014. Retrieved 11 November 2014.
  3. ^ a b Jeffrey, Robin. Politics, Women and Well-Being: How Kerala became 'a Model'. Springer. pp. 92–93, 98. ISBN 978-1-349-12252-3.
  4. ^ a b c d e K.S. Mohindra, PhD (2015). "Dr. Mary Poonen Lukose". Hektoen International - A Journal of Medical Humanities. VII (2). ISSN 2155-3017.
  5. ^ a b c d "The Doctors behind the Poonen Road, Secretariate, Trivandrum". Doctors' Hangout.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April 2013. Retrieved 15 June 2015.
  6. ^ "God of Small Things by Arundhati Roy". Scribbles of Soul. 2015. Retrieved 15 June 2015.
  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Nair, K. Rajasekharan (July 2002). "A Pioneer Medicine-Dr. Mary Poonen Lukose (1886-1976)". Samyukta - A Journal of Women's Studies. II (2): 117–1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15 June 2015.
  8. ^ a b "The Changing Social Conception of Old Age" (PDF). Shodhganga. 2015. Retrieved 15 June 2015.
  9. ^ "Dr. Mary Poonen Lukose". Genie. 2015. Retrieved 15 June 2015.
  10. ^ J. Devika (2005). Her-Self: Gender and Early Writings of Malayalee Women. Popular Prakashan. p. 181. ISBN 9788185604749.
  11. ^ "Evolution of Modern Medicine in Kerala". National Medical Journal of India.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15 June 2015.
  12. ^ "Then and Now". Blog. Pazhayathu. 20 May 2014. Retrieved 15 June 2015.
  13. ^ "YWCA of Trivandrum". YWCA. 2015. Retrieved 15 June 2015.
  14. ^ "Welcome to Our Institution". 2015. Retrieved 15 June 2015.
  15. ^ "Lukose, Grace Mary (1918 - 1954)". Lives Online. 2015. Retrieved 15 June 2015.

추가 읽기

  • Nair, K. Rajasekharan (July 2002). "A Pioneer Medicine-Dr. Mary Poonen Lukose (1886-1976)". Samyukta - A Journal of Women's Studies. II (2): 117–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