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랜드로191번길

Maryland Route 191
Maryland Route 191 marker
메릴랜드로191번길
메릴랜드로191번길
경로 정보
MDSHA에 의해 유지 관리
길이7.16mi[1](11.52km)
존재했다1927년-현재
주요 접점
웨스트엔드 포토맥 MD 190
주요 교차점
동쪽 끝 체비 체이스MD 185
위치
카운티몽고메리
고속도로 시스템
MD 190MD 192

메릴랜드191번 국도(MD 191)는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고속도로다.브래들리 대로로 알려진 이 고속도로는 포토맥 동쪽의 MD 190에서 체비 체이스의 MD 185까지 7.16마일(11.52km)을 달린다.MD 191은 몽고메리 카운티 남서부 베데스다를 통과하는 S자형 길을 통해 포토맥과 셰비 체이스를 잇는 골프장이 많은 부유한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브래들리 레인은 1910년까지 고속도로의 체비 체이스 지역의 이름이다.여기에는 1940년대에 주 고속도로에서 해제된 MD 185와 MD 186 사이의 차선 구간이 포함되었다.나머지 MD 191은 1920년대 초 베데스다와 포토맥(Potomac)을 통해 대부분 새로운 정렬을 따라 건설되었다.이 고속도로는 원래 현재의 서쪽 종착역을 넘어 감나무길을 따라 남쪽으로 이어져 존 선실로 이어졌다.MD 191은 1940년대와 1960년대에 현재의 MD 355MD 614 사이의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이 고속도로는 1960년대 초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495번 주간고속도로(I-495)의 감나무길 건널목에서 이전되었다.MD 191의 캐빈 존-포토맥 부분은 1999년에 주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제거되었다.

경로 설명

Potomac의 Seven Locks Road에서 MD 191을 따라 북쪽 보기

MD 191은 포토맥 중심에서 남동쪽으로 MD 190(리버 로드)과의 교차로에서 시작된다.브래들리 대로변은 포토맥과 캐빈 존을 잇는 감나무길에서 끝까지 의회 컨트리 클럽 가장자리를 따라 카운티 고속도로로 서쪽을 잇고 있다.이 도로의 종착역은 잘 알려진 또 다른 골프 코스인 에비넬 농장의 TPC 포토맥 근처에 있다.MD 191은 의회 컨트리 클럽의 다른 지역 가장자리를 따라 2차선 미분양 도로로 북동쪽으로 향하고 그 경로가 세븐록 로드를 가로지르기 전에 캐빈 존 크릭을 가로지른다.이 고속도로는 베데스다 컨트리클럽을 지나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고가 I-495(캐피탈 벨트웨이)를 중심으로 2차선 분할된 넓은 고속도로로 일시적으로 확장된다.MD 191은 버닝 트리 클럽의 북쪽을 지나 베데스다의 서쪽 부분을 통해 남동쪽으로 커브한다.동쪽으로 MD 187(구 조지타운 로드)로 이어지는 헌팅턴 파크웨이에서는 주 고속도로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MD 188(윌슨 레인)을 교차한다.[1][2]

MD 191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MD 614(골드스보로)와 교차하는 6차선 분할 고속도로로 확장된다.이 고속도로는 알링턴 로드를 가로지른 후 수도 초승달 트레일 아래로 통과한다. 6개 노선의 도로 중 2개 노선은 트레일 지하도에서 동쪽으로 주차 차선이 된다.MD 191의 분할된 고속도로 구간은 베데스다 시내 남쪽 끝에 있는 MD 355(위스콘신 애비뉴)와 교차로에서 끝난다.주 고속도로는 남쪽으로 체비 체이스 컨트리 클럽과 북쪽으로 체비 체이스 마을 사이를 지나는 좁은 2차선 미분양 거리인 브래들리 레인이 동쪽으로 계속된다.MD 191은 컨트리 클럽과 타운 동쪽 끝에 있는 MD 185(커넥티컷 애비뉴)에서 동쪽 종착역에 도달한다.브래들리 레인은 남쪽으로 셰비 체이스 빌리지와 북쪽으로 체비 체이스 섹션 3의 마을을 구분하는 거리로 동쪽으로 이어진다.거리는 MD 186(브룩빌 로드)까지 계속되며, 그 주 고속도로에서 조깅을 한 후 마틴 증설 마을에서는 막다른 골목까지 계속된다.[1][2]

베데스다의 수도 초승달 트레일에서 MD 191을 따라 동쪽으로 보기

역사

브래들리 레인은 1910년까지 동부 위스콘신 애비뉴에서 브룩빌 로드로 가는 마카담 도로로 포장되었다.[3]MD 191의 원래 범위의 나머지는 1921년과 1923년 사이에 건설되었다.[4][5]이 고속도로는 존 캐빈 북쪽에 있는 맥아더 대로에서 포토맥까지, 동쪽으로 브래들리 대로를 따라 리버로드까지 기존의 감나무길을 따라 마카담길로 건설되었다.MD 191은 리버 로드에서 7개의 잠금 도로로 이어지는 새로운 정렬을 따라 콘크리트 도로로 건설되었다.이 고속도로는 세븐록츠 로드에서 헌팅턴 파크웨이로 가는 기존 도로를 따라 마카담으로 표면화되었다. 그리고 나서 위스콘신 애비뉴와 브래들리 레인의 교차점에 남쪽과 동쪽의 새로운 선로를 따라 나타났다.[5]MD 193(현재의 MD 185)에서 MD 186까지 브래들리 레인의 비중은 1939년 현재 주 고속도로 시스템에 포함되었지만, 언제 제거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6]주 지도에는 더 이상 1946년까지 MD 193 동쪽의 브래들리 레인이 표시되지 않지만, 1960년대에 연방 지도에 주 고속도로로 표기되어 있다.[7][8]

MD 191은 1945년까지 미국 국도 240호선(현재의 MD 355)에서 볼티모어와 오하이오 철도 건널목(현재의 수도 초승달 트레일)에 이르는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9]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철도의 다리는 1951년까지 제자리에 놓여 있었다.[10]분할된 고속도로는 1962년까지 골드스보로 부근까지 서쪽으로 연장되었다.[11]I-495를 가로지르는 MD 191의 다리는 벨트웨이가 건설 중이던 1962년에 건설되었다.[11][12][13]브래들리 대로 다리와 그 접근은 분할된 고속도로로 건설되었다.[14]감나무길 교량 부지에 MD 191과 에거트 드라이브를 이전하고, 벨트웨이 교량 바로 북쪽에 4방향 교차로를 형성하기 위한 차단군 도로가 건설되었다.[15][16]국도(國道)는 1999년까지 단절 대신 감나무길(지금의 감나무길)의 옛 정렬을 따라 계속되었다.[17][18]그해 MD 191이 MD 190에서 잘려나가고 감나무길의 고속도로와 MD 190 서쪽 브래들리 대로의 일부가 고속도로 교환으로 몽고메리 카운티 정비소로 이관되어 그레이트 세네카 고속도로를 MD 119로 지정하였다.[19]

접속 목록

체비 체이스에서 MD 355와 MD 185 사이의 MD 191

전 노선은 몽고메리 카운티에 있다.

위치mi
[1]
km목적지메모들
포토맥0.000.00 MD 190(리버 로드) / 브래들리 대로 서쪽 – 베데스다서부 종착역
베데스다4.717.58 MD 188(Wilson Lane) – Glen Echo
5.538.90 MD 614 남쪽(골드스보로) – 글렌 에코MD 614의 북쪽 종착역
6.4310.35 MD 355(위스콘신 애비뉴) – 워싱턴주 록빌
체비 체이스7.1611.52 MD 185(Connecticut Avenue) / 브래들리 레인 동부 – 워싱턴 켄싱턴동부 종착역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2013).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4-01-16.
  2. ^ a b Staff. Maryland General Highway Statewide Grid Map (PDF) (Map) (2013 ed.).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F10B, F11A. Retrieved 2014-01-16.
  3. ^ Maryland Geological Survey (1910). Map of Maryland (Map). Baltimore: Maryland Geological Survey.
  4. ^ Maryland Geological Survey (1921). Map of Maryland: Showing State Road System and State Aid Roads (Map). Baltimore: Maryland Geological Survey.
  5. ^ a b Maryland Geological Survey (1923). Map of Maryland: Showing State Road System and State Aid Roads (Map). Baltimore: Maryland Geological Survey.
  6.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39). General Highway Map: State of Maryland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7.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46).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1946–1947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8. ^ Washington West, DC quadrangle (Map) (1965 ed.). 1:24,00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9. ^ Washington West, DC quadrangle (Map) (1945 ed.). 1:31,86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0.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51).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1. ^ a b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62).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2. ^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2). "NBI Structure Number: 100000150111010". National Bridge Inventory.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3. ^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2). "NBI Structure Number: 100000150105010". National Bridge Inventory.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4.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68).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5. ^ Falls Church, VA quadrangle (Map) (1956 ed.). 1:24,00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6. ^ Falls Church, VA quadrangle (Map) (1965 ed.). 1:24,00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7.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63).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8.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99).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1999–2000 ed.).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 ^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1999).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4-01-16.

외부 링크

경로 지도: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