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면 마러더

Masked Marauder
복면 마러더
Maraudermarvel.jpg
존 로미타의 미술
출판 정보
출판사마블 코믹스
첫 등장데어데블 #16 (1966년 5월)
작성자스탠 리
존 로미타 시니어
프랭크 지아코아
인스토리
풀네임프랭크 파넘
팀 소속마자
주목할 만한 별칭던 씨
능력숙련된 발명가
천재 엔지니어
훈련된 무술가
다양한 무기를 휘두른다.

'복면 마러더'는 마블 코믹스가 발간한 미국 만화책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그는 잠시 데어데블 타이틀의 중심 악역을 맡았다.

출판이력

복면 마러더는 데어데블 #16-19 (1966년 5월-8월)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스탠 리, 존 로미타 시니어, 프랭크 지아코아에 의해 만들어졌다.[1]

이후 등장인물은 데어데블 #22-23 (1966년 11월-12월), #26-27 (1967년 3월-4월), 아이언맨 #60-61 (1973년 7월-8월, 밤의 늑대 #42-43 (1977년 1월, 3월), 스펙터클 스파이더맨 #25-28 (1979년 12월-3월)에 등장한다. 이 캐릭터는 수년 후 푸니셔 전쟁 저널 #4(2007년 4월)에 다시 등장한다.

복면 마러더는 마블 유니버스 A to Z: 업데이트 #3(2007)의 올 뉴 공식 핸드북에 출품되었다.

허구의 인물 전기

대데어데블

프랭크 파넘은 넬슨과 머독의 법률 사무소가 있는 맨해튼 빌딩의 관리인이었다. 그가 어떻게 그리고 왜 복면 마러더가 되었는지는 지금까지 밝혀진 적이 없다. 그는 처음에 남자, 돈, 자원을 총동원하여 이미 성공한 범죄 지도자로 등장했다.

'복면 마러더'는 스파이더맨과의 대결에서 처음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고, '스파이더맨'은 그의 계획을 무산시켰지만, 마러더 자신은 탈출했다.[2] 그는 나중에 스파이더맨과 다시 충돌했는데, 같은 결과로, 그가 새로운 자동차 엔진 설계인 XB-390을 무기로 개조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월드 모터스 빌딩에 큰 공격을 가했다.[2]

그는 스파이더맨이 세 번째 그를 저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섯 명의 부하들에게 데어데블을 사칭하고 스파이더맨을 공격하라고 명령하면서 두 슈퍼히어로가 갈등으로 몰아가기를 바랐다. 그는 생방송을 통해 스파이더맨과 데어데블의 싸움 소식을 듣고 월드모터스 빌딩에 신선한 공격을 감행해 XB-390을 훔쳤다.[2] 그러나 J. 조나 제임슨은 XB-390이 연료를 주입하는 공식 없이는 소용없다고 발표함으로써 함정을 세웠다. 속임수에 넘어간 복면 마러더는 다시 세계 모터스 빌딩을 공격했고, 그의 계획은 스파이더맨에 의해 다시 좌절되었다. 격분한 그는 스파이더맨을 격파하고 그를 죽이려 했으나 데어데블에 의해 저지당했다. 다시 한 번 그의 부하들이 모두 붙잡혔다. 현장을 탈출하던 중 그는 자신의 건물에서 사무실에서 일하는 변호사인 안개 넬슨카렌 페이지에게 자신이 정말 데어데블이라고 암시하는 것을 우연히 들었다.[3] 며칠 후, 그는 페이지가 어느 날 저녁 늦게 법률사무소로 들어가는 것을 눈치챘다; 그의 의심에 자극된 그는 그녀가 넬슨의 비밀을 몇 가지 누설하기를 바라면서 민간인 신분에서 그녀와 대치했다. (편집 감독 때문에, 그는 이 장면에서 "Dunn씨"라고 불린다.) 그러나 페이지는 아무 것도 내주지 않고 그들의 대화 도중 기절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넬슨을 고용하여 그의 건물에 대한 새로운 임대료를 마련하였다;[5] 이것이 진정으로 사업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그가 데어데빌이라고 믿었던 그 남자를 더 자세히 연구하기 위한 구실인지는 결코 밝혀지지 않았다.

마러더는 뉴욕시 지하세계에서 도태된 새로운 남자들을 상대하면서 글래디에이터를 감옥에서 나오게 할 준비를 했다. 그는 그를 미화한 근육으로 사용할 생각이었으나 글래디에이터는 길들이기가 매우 힘들다는 것을 증명했고, 마러더는 그를 그의 파트너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부하들에게 자신의 집무실에서 안개 넬슨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비록 그들은 실패했지만, 그들의 공격은 넬슨이 사실 데어데블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6] 글래디에이터와 함께 데어데블을 공개적으로 물리침으로써 마자아를 점령할 계획을 부화시켰고, 그에게 트라이맨이라는 안드로이드를 보냈다. 이것이 실패하자 그는 글래디에이터와 데어데빌을 마자아가 감독하는 콜로세움 영화로 운송했다. 그러나 글래디에이터는 데어데블을 경기장의 사자들로부터 구해낸 후 계속해서 싸우기를 거부했다. 그의 거듭된 실패에 넋을 잃은 마자아는 복면을 쓴 마러더에게 "마스코트를 위해 당신을 원하지도 않을 것"[7]이라고 말했다.

여전히 넬슨과 데어데블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확신한 마러더는 스틸트맨과 팀을 이뤄 넬슨과 그의 파트너 맷 머독(다레데블의 분신), 그리고 캐런 페이지를 납치해, 헬리콥터에 포로로 잡고, 접촉하는 것은 무엇이든 분해해 버린다. 머독은 그들에게 데어데블이 그의 쌍둥이 형 마이크라고 말했고 스틸트맨은 존재하지 않는 마이크를 찾는 동안 그의 복장으로 갈아입었다. 그는 마러더와 싸웠고 본의 아니게 그를 치명적인 병력으로 몰아 넣었다.[8]

다른 영웅들과 싸우며

복면 마러더는 몇 년 후 디트로이트에 다시 나타나기 전까지 죽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는 자신의 힘장 분해기가 사실 다른 곳에서 탈출해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해주는 순간이동 장치였다고 밝혔다.[Note 1] 그는 심복인 스틸과 해커와 함께 토니 스타크의 실험 우주왕복선을 훔쳐 그를 격파한 아이언맨과 충돌했다.[10]

나중에 마러더는 잭 러셀, 밤의 늑대인간과 함께 아이언맨과 다시 마주쳤다. 그의 계획(새 심복인 파르디, 크레아흐, 스트롱크 등과 함께)에는 마자족에 대한 복수를 돕기 위해 트라이애니맨(남성 세 마리 대신 세 마리의 동물이 합쳐져 만들어진 안드로이드)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실패했다.[11]

다음에 마러더가 나타났을 때, 그는 어쩐지 마자족의 네파리아 "가족"의 리더인 빅 M이 되어 있었다. 스파이더맨과 데어데블과의 전투에서 그는 '영구적으로' 웹 슬링거를 눈이 멀게 하고, 핵 장치를 운반하는 트라이맨인 '폭탄데로이드'로 뉴욕을 위협했다. 눈이 먼 스파이더맨이 폭탄을 해체하는 데 성공하자 데어데블은 마러더를 물리쳤다.[12][13]

남북 전쟁

복면을 쓴 마러더는 여러 하위급 감독관과 함께 스틸트맨을 위한 관람/장식/바룸 싸움에 참석하고 있었는데, 이때 푸니셔(바텐더로 위장)는 술집을 폭파하기 전에 술을 독살했다.[14] 이들은 모두 위장을 펌핑해 3도 화상 치료를 받아야 했다.[15]

시크릿 인베이젼

비밀 침입 이야기 줄거리 동안, 복면을 쓴 마러더는 후드가 스크룰과 싸우는 것을 돕는 것이 목격되었다.[16]

권력과 능력

복면을 쓴 마러더는 헬멧이 "옵티 블래스트"를 투사해 희생자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장님으로 만들 수 있는 진부한 범죄 과학자다. 그는 공학의 천재로서, 그의 발명품에는 트라이맨, 트라이애니맨, 봄드로이드, '유체 호이스트'가 달린 트럭, 힘줄이 있는 헬리콥터, 멀리 떨어져 있는 목표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순간이동 장치 등이 있다. 그는 무술에서도 겸손한 훈련을 받고 있다.

그의 계획 능력과 신뢰감을 고취시키는 재주는 그가 잘 훈련된 심복들을 지휘할 수 있게 해주었다. 하지만 그의 계획은 종종 그의 정신 이상 때문에 망쳐진다. 그는 강박-강박성[volume & issue needed] 인격장애를 앓고 있으며, 부하들에게 2단계로 내려가는 시간표에 따라 계획을 실행하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그의 시간표 중 하나에서 몇 초의 일탈도 그를 극도로 동요하게 한다. 그는 또한 지나치게 거만하고, 이 점에서 반복적으로 틀린 것으로 증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그의 반대자들이 그의 선택들에 의해 완전히 무력하게 될 것이라고 가정한다.[17]

메모들

  1. ^ 이때 미디어는 데어데블의 사망 소식을 오래 전부터 보도해 왔기 때문에 마러더는 그에 대한 복수를 위한 탐구를 재개할 이유가 없었다.[9]

참조

  1. ^ Rovin, Jeff (1987). The Encyclopedia of Supervillains. New York: Facts on File. p. 208. ISBN 0-8160-1356-X.
  2. ^ a b c 데어데블 #16호
  3. ^ 데어데빌 #17
  4. ^ 데어데블 #18호
  5. ^ 데어데블 #18, 22
  6. ^ 데어데블 #19호
  7. ^ 데어데블 #22-23
  8. ^ 데어데블 #26-27
  9. ^ 데어데블 #41-42
  10. ^ 아이언맨 #60
  11. ^ 밤별 늑대 #42-43
  12. ^ 피터 파커, 스파이더맨 #22-28
  13. ^ Cowsill, Alan; Manning, Matthew K. (2012). Spider-Man Chronicle: Celebrating 50 Years of Web-Slinging. DK Publishing. p. 106. ISBN 978-0756692360.
  14. ^ 푸니셔 전쟁 저널 #4
  15. ^ 셰헐크 제2권 제17호
  16. ^ 비밀 침공 #6
  17. ^ 데어데블 #17번과 19번, 스펙터클 스파이더맨 #22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