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객(캐릭터)

Swordsman (character)
검객
Avengers19.jpg
어벤져스 1권 19호(1965년 8월)의 표지의 검객.
아트 바이 헥, 커비, 프랭크 자코아.
출판 정보
출판사마블 코믹스
첫 등장어벤져스 1권 19호
(1965년 8월)
작성자스탠 리(작가)
돈 헥(예술가)
인스토리
분신자크 뒤크네
팀 소속어벤져스
악의 사신
언라이벌의 군단
리살 레지옹
범죄의 서커스
파트너십에릭 조스틴 (파워맨)
능력올림픽 수준의 선수
검술사
교활한 전략가
고도로 숙련된 비무장 전투원
현상반사
다양한 에너지 빔과 가스를 투사하는 수정된 검 사용
다양한 던지기 칼과 단도를 운반한다.

검객(Jacques Duksne)은 마블 코믹스가 발행하는 미국 만화책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의 첫 출연은 어벤져스 1권 19호(1965년 8월)이며 스탠 와 돈 에 의해 창작되었다.[1] 처음에는 호크아이와 어벤져스의 적으로 소개되었지만, 이후 이 캐릭터는 슈퍼히어로와 슈퍼히어로 둘 다로 등장하였다.

토니 달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디즈니+ 시리즈 호크아이(2021년)에서 잭 듀크스로 이름이 바뀐 캐릭터의 변형을 그린다.

출판이력

검객은 어벤져스 1권 19호(1965년)에 처음 감독으로 등장했다.[2] 그는 계속해서 어벤져스 1권 20, 30, 38, 65, 78, 79(1965–1970)에 출연했다. The Swordsman changed his ways and became a superhero in Avengers Vol. 1 #100 (1972) and later became a member of the Avengers in Avengers Vol. 1 #112–130 (1973–1974), Defenders Vol. 1 #9–11 (1973), Captain Marvel Vol. 1 #32–33 (1974), Fantastic Four Vol. 1 #150 (1974), Giant-Size Avengers Vol. 1 #2 (1974) and Avengers Spotlight #22 (1989). 이후, 코타티 칼잡이 어벤져스 1권 134호, 135호, 157호, 160호(1975년–1977년), 자이언트 사이즈 어벤져스 1권 4호(1975년), 웨스트 코스트 어벤져스 2권 39호(1988년)에 등장했다.

The Swordsman has been a member of various supervillain groups, including the Lethal Legion in Avengers Vol. 1 #78–79 (1970) and Iron Man Annual #7 (1984), the Emissaries of Evil in Alpha Flight Special Vol. 2 #1 (1992), and the Legion of the Unliving in Avengers Annual #16 (1987), Avengers West Coast Vol. 2 #61 (1990) and Avengers Vol. 3 #10–11 (1998).

어벤져스》지에 호크예의 악당 상대역으로 소개된 검객은 호크예 1권 1위(1983년), 솔로 어벤져스 2위(1988년), 호크예 3위(2004년), 호크예: Hawkeye의 기원에 속하는 사각지대 1위(2011년). 검객은 또한 88번 이야기에서 캡틴 아메리카(1967년), 105번 캡틴 아메리카(1968년)와 싸웠다.

2010~2011년 크로스오버 스토리 라인 혼돈 전쟁은 검객의 복귀를 보았다. 그는 타이인 시리즈 혼돈 전쟁: 데드 어벤져스(2010~2011년)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검객은 또한 혼돈 전쟁 #2 & 4–5 (2010–2011), 혼돈 전쟁: 아레스 #1 (2010)에도 출연했다.

허구의 인물사

자크 뒤크네는 당시 프랑스 통치하에 있던 동남아시아 국가 시안콩에서 특권층 청년으로 성장했다. 두크네는 아버지를 비롯한 유럽 주민들과 달리 시안콩 원주민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았고, 토착종에게 친절을 베풀어 프랑스 통치에 대한 공산 반역에 가담하도록 초청받았다. 검객으로 분장한 두크스는 몸부림치는 자유 투사를 자처하며 시안콩을 해방시키는 데 일조했으나 반란군 지도자 왕추가 두크스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망연자실하고 환멸을 느낀 듀크스는 모험을 위해 시안콩을 떠났다.[3] 듀크스의 초기 경력에 대해서는 다른 것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결국 카슨 카니발 여행 불가사의에 동참했다. 비록 그의 칼놀이가 그를 카니발의 스타 명소 중 하나로 만들었지만, 그는 점차 그의 젊은 이상주의인 도박과 취중에 빠져들게 되었다.

결국 듀크스는 30대 이상의 나이에 클린트 바튼이라는 젊은 가출자를 휘어잡고 그에게 블레이드 무기 사용법을 가르쳐 주었고, 또 다른 연주자인 트릭 샷은 바튼 양궁을 가르쳤는데, 이 때 그는 명수임을 증명했다.[4] 어린 클린트는 도박 빚을 갚기 위해 카니발의 급료 주인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듀크네를 우연히 만났다. 클린트는 자신의 멘토를 법으로 넘기려 했으나 듀크스의 추격을 받아 심하게 얻어맞았다. 듀크스가 치명타를 날리기 전에, 트릭 샷이 어린 소년을 구하기 위해 끼어들었다. 그 후 듀크스는 카니발에서 도망쳤고 그의 칼장난 행위를 채택하여 악명 높은 감독관이 되었다.[5]

몇 년 후, 칼스맨은 어벤져스 아이디와 함께 하는 혜택을 이용하기 위해 어벤져스(현재 슈퍼히어로 호크예로 알려진 클린트 바튼을 포함한 멤버들)에 가입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주로 호크예의 항의와 다른 주에서 수배된 사실 때문에 팀 진입을 거부당했고, 캡틴 아메리카를 붙잡은 후 살해하겠다고 협박했지만 나머지는 그를 구출할 수 있었다.[4] 처음 실패한 후, 그는 어벤져스에 합격했다. 그러나 그는 어벤져스가 잡아들이기도 전에 자신의 성으로 텔레포트해 준 만다린의 요원이었고, 검객을 어벤져스에게 추천하기 위해 철인의 사이비 이미지를 만들어냈다.[6] 만다린어는 검객에게 검객을 겨누면 역전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검객에게 인공 번개탄을 쏘는 것과 같은 여분의 힘을 가했다. 어벤져스에 입단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검객은 본심을 드러내고 팀을 배신하면서 리모컨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제어판에 폭탄을 심었다. 그는 곧 마음이 바뀌었고 어벤져스를 구하기 위해 만다린을 배신했다. 그의 영웅적인 행동에도 불구하고 검객은 중국어가 이제 그에게 불리하게 될 것을 알고 어벤져스의 대열을 떠났다.[7]

검객은 다시 고용된 감독관으로 돌아가 여러 번 어벤져스와 싸웠다. 블랙 위도우의 지휘 아래 검객은 원조 파워맨과 팀을 이뤄 슈퍼히어로 팀원들을 거의 다 사로잡으며 슈퍼히어로 팀과 싸웠다.[8] 파워맨과 함께, 그는 레드 스컬의 요원으로 캡틴 아메리카에 맞서 싸웠다.[9] 검객은 다른 악당들과 함께 만다린의 세계 정복 시도에 참여하기도 했다.[10] 그는 나중에 다시 캡틴 아메리카와 싸웠고,[11] 배트록 여단의 일원으로서 에그헤드에 의해 고용되었다. 에그헤드는 그곳에서 호크아이(골리앗 페르소나)와 싸웠다.[12] '파워맨'과 함께 '스웨덴스맨'은 슈퍼 악당 '치사 군단'에 합류해 '어벤져스'와 싸웠다.[13] 결국 검객은 올림푸스에서 아레스와의 전쟁에서 어벤져스에 잠시 합류했다.[14] 이후 어벤져스의 동맹인 맨티스를 만났고,[15] 이후 몰래 어벤져스와 사랑에 빠진 뒤 다시 합류했다.[16] 그는 이후 어벤져스/디펜더 전쟁에 참가했다.[17]

그의 마지막 임무에서, 듀크스는 "천주 마돈나"를 찾는 강승희의 탐구와 관련된 분쟁에서 어벤져스를 도왔다. 강씨는 자신의 계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시 어벤져스인 비전, 토르, 아이언맨, 사마귀, 주홍마녀, 손님 아가사 하크니스 등을 붙잡아 두었으나 검객을 무용지물로 여겼기 때문에 검객을 남겨두고 떠났다. 굴욕적이지만 자신의 진가를 보여주기로 결심한 검객은 포로가 된 어벤져스를 기즈에 있는 강씨의 피라미드 기지로 추적했고, 그곳에서 강씨의 연대기적 분신인 라마-투트와 마주쳤다. 그의 도움과 휴직에서 막 돌아온 호크예의 도움으로 검스맨은 동료 어벤져스를 겨우 풀어주었다. 맨티스가 사실 "천주 마돈나"라는 것이 나중에 밝혀졌다. 강씨의 계획이 무산되고 마돈나를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않기로 한 뒤 검객은 맨티스를 겨냥한 강씨의 에너지 폭발을 가로채 목숨을 희생했다.[18]

사마귀는 곧 지구의 외계인 코타티 중 맏이와 결혼했는데, 그는 다시 부활하여 검객의 시체를 소유하고 그 안에 자신의 의식의 일부를 주입했다.[19] 사마귀와 검객은 계속해서 세쿼이아라고 불리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는 천체 메시아가 되었다.[20] 어벤져스와 싸우고 난 후, 코타티 검객은 산산조각이 났다.[21]

혼돈 전쟁 이야기 중 검객은 아마츠미카보시로부터 저승사자를 방어하기 위해 명왕성이 공개한 죽은 영웅들 중 하나이다.[22] 지구로 돌아온 검객은 마벨 대위가 이끄는 '죽은' 어벤져스 팀에 합류한다. 어벤져스는 그림 리퍼로부터 무의식적인 동료들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팀을 맡는다. 전투가 끝난 후 검객과 리타 데마라 옐로재킷만이 남았다.[23]

'Empyre로 가는 길'에서는 여전히 검객의 몸을 사용하는 지구 코타티 중 맏이와 산소가 풍부한 지역이 활성화되면서 달의 푸른 영역에 세쿼이아가 다시 등장했다. 그들은 어벤져스가 크리/스쿨 동맹에 의한 또 다른 코타티 대학살을 피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한다.[24] 그러나 코타티족이 어벤져스를 속이고 있다는 사실을 재빨리 타전하며 인간성을 시작으로 모든 '고기'에 기반을 둔 삶을 몰살하려 한다. 검객은 와칸다에서 그를 파괴하는 흑표범과 대치한다.[25]

권력과 능력

검객은 초인적인 힘이 없는 올림픽 수준의 선수로, 경이적인 반사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비무장 전투에 매우 능숙한 교활한 전략가다. 검객은 블러드 무기, 특히 검과 칼을 사용하는 데 명수로서, 그의 주 무기는 막루안 기술에서 나온 초벌레인 만다린에 의해 변형된 검이다. 검술사는 칼자루의 단추 중 하나를 누르면 뇌진탕력 빔, 분해하는 광선, 화염의 큰 분출물, 번개를 닮은 형태의 전기 에너지 또는 일시적인 무의식을 유도하는 신경 가스의 흐름을 투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던지기 칼과 단검도 들고 다닌다.

다른 등장인물인 검객

필립 자베르

다른 우주에서 온 검객 필립 자베르(Philip Javert)는 개더스의 일원이었다. 개더러는 프록터(Black Knight의 대체 버전)에 의해 모아져 다중우주의 모든 세르시를 사냥했다. 프록터와 개티어들은 세르시의 버전을 죽이기 위해 주류 마블 유니버스(Earth-616)로 이동했다. 검객은 동료 개티어스 멤버 막달렌과 함께 프록터에게 등을 돌리며 잠시 어벤져스의 주류판에 합류했다.[26] 몇 년 후, 그들은 어벤져스호와 비행대 슈프림과 팀을 이루었고 지구-616을 떠나 알 수 없는 부품들을 찾았다.[27]

안드레아스 폰 스트러커

검녀

검스우먼이라는 새로운 여주인공이 나중에 유로포스라는 유럽의 슈퍼히어로 팀의 일원으로 등장한다.[28] 그녀는 후에 파리에서 온 검객의 사생아 10대 딸 마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29]

악당 검객

후에 비브라늄 합금 카타나를 휘두르며 자크 뒤크네의 맨틀을 물려받았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검객이 등장한다. 그는 사우가 강에 홍수를 내겠다고 위협하여 돈을 갈취하려 하지만 캡틴 아메리카에게 패한다.[30]

기타 버전

마블 좀비

좀비처럼 생긴 검객이 마그네토(Magneto)를 공격하고 먹어치우는 모습이 보인다.[volume & issue needed] 마그넷토의 패배 후 검객은 그렇지 않아도 카메오 출연을 했다.[volume & issue needed] 그리고 나서 그는 Ultimate Universe의 Fantastic Four를 죽이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Ultimate Invoid Woman에 의해 일시적으로 눈이 멀게 되었다.[volume & issue needed] 그리고 그는 은색 서퍼도 죽이려 했지만 그것도 성공하지 못했다;[volume & issue needed] 그는 말 그대로 파워 우주 에너지에 의해 갈기갈기 찢겨져 죽임을 당했다.[volume & issue needed]

히어로즈 리바이벌

검객의 한 버전은 프랭클린 리차드에 의해 만들어진 "Heroes Revened" 세계의 토착지로 등장한다. 그와 그의 세계는 어벤져스가 Onslaught와 "죽은" 후에 만들어졌다.[31] 이 버전의 검객은 블랙 나이트의 에보니 블레이드를 휘둘렀다.[32] 어벤져스가 강정호와 맨티스를 만나 싸울 때 검스맨은 프랭클린이 만들어낸 구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전생을 기억하는 듯 했다.[33] 이 버전은 후에 데드풀로 가장하여 채택되었다.[34]

하우스 오브 엠가

M가 현실에서 검객은 콜린 윙, 맨티스, 자란, 마체테와 함께 샹치 드래곤즈 범죄 조직의 일원이었다.[35] 그는 용들이 킹핀의 암살자들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을 때 불세예에 의해 살해되었다.[36]

다른 매체에서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참조

  1. ^ DeFalco, Tom; Sanderson, Peter; Brevoort, Tom; Teitelbaum, Michael; Wallace, Daniel; Darling, Andrew; Forbeck, Matt; Cowsill, Alan; Bray, Adam (2019). The Marvel Encyclopedia. DK Publishing. p. 367. ISBN 978-1-4654-7890-0.
  2. ^ Brevoort, Tom; DeFalco, Tom; Manning, Matthew K.; Sanderson, Peter; Wiacek, Win (2017). Marvel Year By Year: A Visual History. DK Publishing. p. 109. ISBN 978-1465455505.
  3. ^ 어벤져스 스포트라이트 #22 (1989). 마블 코믹스
  4. ^ a b 어벤져스(1권) #19 (1965년 8월). 마블 코믹스
  5. ^ 호크아이 3권 2-3호. 마블 코믹스
  6. ^ Rovin, Jeff (1987). The Encyclopedia of Supervillains. New York: Facts on File. pp. 334–335. ISBN 0-8160-1356-X.
  7. ^ 어벤져스 20번. 마블 코믹스
  8. ^ 어벤져스(1권) #29~30번. 마블 코믹스
  9. ^ Tales of Stuss #88. 마블 코믹스
  10. ^ 어벤져스 연간 1위. 마블 코믹스
  11. ^ 캡틴 아메리카 105호. 마블 코믹스
  12. ^ 어벤져스 65번. 마블 코믹스
  13. ^ 어벤져스 (본 1) #78–79. 마블 코믹스
  14. ^ 어벤져스 100번. 마블 코믹스
  15. ^ 어벤져스 #112. 마블 코믹스
  16. ^ 어벤져스 114번. 마블 코믹스
  17. ^ 어벤져스 #116–118; 수비수 #9–10. 마블 코믹스
  18. ^ 어벤져스 129번과 자이언트 사이즈의 어벤져스 2번. 마블 코믹스
  19. ^ 어벤져스 #131–135 & 자이언트 사이즈 어벤져스 #4. 마블 코믹스
  20. ^ 자이언트 사이즈 어벤져스 4위. 마블 코믹스
  21. ^ 웨스트 코스트 어벤져스 39호. 마블 코믹스
  22. ^ 혼돈전쟁 #2. 마블 코믹스
  23. ^ 혼돈 전쟁: 데드 어벤져스 1 대 3 마블 코믹스
  24. ^ 어벤져스 #0. 마블 코믹스
  25. ^ 엠피레 #1-6(2020). 마블 코믹스
  26. ^ 어벤져스 #343–397(1992–1996). 마블 코믹스
  27. ^ 어벤져스 연간 1위(1998년). 마블 코믹스
  28. ^ 어벤져스 월드 8위. 마블 코믹스
  29. ^ 어벤져스 월드 12번지. 마블 코믹스
  30. ^ 캡틴 아메리카 696번. 마블 코믹스
  31. ^ 히어로즈 리바이벌 1위-4위 7위 마블 코믹스
  32. ^ 어벤져스 1위(1996년). 마블 코믹스.
  33. ^ 어벤져스 3위(1997년). 마블 코믹스
  34. ^ 히어로즈 리바이벌: 잔당 1위(2000년) 마블 코믹스
  35. ^ 하우스 오브 M: 어벤져스 2번. 마블 코믹스
  36. ^ 하우스 오브 M: 어벤져스 #4. 마블 코믹스
  37. ^ Otterson, Joe (December 3, 2020). "'Hawkeye' Series at Disney Plus Adds Six to Cast, Including Vera Farmiga and Tony Dalton (EXCLUSIV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