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웅가포하투

Maungapohatu
마웅가포하투
마웅가포하투
어원: 바위산[1]
Maungapohatu is located in New Zealand
Maungapohatu
마웅가포하투
마웅가포하투의 위치
좌표:38°34′14″S 177°05′43″E/38.57056°S 177.09528°E/ -38.57056; 177.09528좌표: 38°34′14″S 177°05′43″E / 38.57056°S 177.09528°E / -38.57056; 177.09528
나라뉴질랜드
북섬
지역풍요의 만
영토권한화카탄 구
마오리족 정착1907
표고
600m(2,000ft)
시간대UTC+12
• 여름(DST)UTC+13(NZDT)

마웅가포하투(Maungaphoatu)는 뉴질랜드 북섬풍요 지역만에 있는 정착지다.와이카레모아나 호수 북쪽 약 20km(12mi)의 우레베라 덤불국가의 외딴 지역에 위치하며, 1907년 루아 타푸누이 카나나가 설립하여 이후 20년 동안 실질적으로 두 번 재건되었다.절정기에는 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그곳에 살았지만 오늘날 그곳은 다시 한번 매우 인적이 드문 곳이다.

투회 iwi에 신성시되는 동명 1366m 산기슭에 놓여 있다.[2]

마웅가포하투 마라에(Te Mapou Marae)는 타마키모아나의 투회 하푸(Tuhoe Hapu)의 전통적인 회의장으로, 타네누이아랑기(Tane-nui-a-rangi) 회의장이 있다.[3]2020년 10월, 정부는 마래 고도화를 위해 도 성장 기금으로부터 49만 518달러를 약속하여 21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다.[4]

우레베라 산맥

테우레와라는 타우포 호수의 북동쪽에 있는 울창한 언덕의 나라다.마오리족 주권에 대한 입장으로 유명한 투회의 역사적 본거지다.오늘날, 대부분의 땅이 테우레와라 국립공원 내에 포함되어 있는데, 면적은 2,126 평방 킬로미터(821 평방 미)이고 2013년에는 인구가 2,133명에 불과했다.[5]주 38번 고속도로로토루아 인근 와이오타푸에서 무루파라를 거쳐 와이로아까지 이어지는 유일한 주요 간선도로다.

고립되고 울창한 숲 때문에 테 우레와라는 20세기 초까지 영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거의 손대지 않고 있었다; 1880년대에는 마오리족의 지배하에 여전히 효력을 발휘하고 있었고 그 지역에 들어가는 위험을 각오한 파케하도 거의 없었다.[6]

1894년 리차드 세돈 수상이 테우레와라를 방문한 후 투회 수장인 투타캉가하우 수장은 정부에 유니온 깃발을 요청했다.이것은 적어도 1897년부터 마웅가포하투 마라에에서 날아왔다.'고타히 테 투레/모 은가 이위 에 루아/마웅가포하투'(한 가지 법칙/양 민족을 위한 것/마웅가포하투)라는 말이 꿰매져 왕관과의 평화로운 관계의 표시로 만들어졌었다.[7]이 단어들은 "지배적 문화는 마오리족 차별의 법을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는 중요한 원리"[8]를 긍정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루아 타푸누이 케나나

투타캉가하우(Tutakangahau)의 손자 루아 타푸누이 케나나는 마오리족 예언자, 신앙 치유자, 토지 권리 운동가였다.그는 비록 이것이 논란이 되고 있지만, 1869년 마웅가포하투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2][9]그의 아버지는 유격대원이자 링가투 종교의 창시자인 테 쿠티를 위해 싸우다 전사했다.[10]

1887년에 떠난 투회[9] 루아 사이에서 자라났고 기스본과 풍요의 만 구역의 양 역에서 일했다.[11]루아는 마웅가포하투 산에서 신비로운 경험을 한 후 테 쿠티와 마오리 형제 그리스도의 후계자라고 주장했다.1906년 4월 12일 그는 6월 25일에 "왕좌를 물려줄 것"이라고 예언했고 에드워드 7세가 기스본에 도착할 것이라고 예언했다.왕이 나타나지 않자 루아는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나는 정말 그 왕이다.내가 여기 있소, 내 모든 백성들과 함께."[9]그 후 루아는 마웅가포하투로 돌아와 선지자로 자신을 세우고 마웅가포하투에서 하나님의 성읍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9]

마웅가포하투 건설은 성경의 도시 예루살렘을 의식적으로 재현하는 것이었다.[2]인구는 스스로를 이하라이라, 이스라엘 자손이라고 불렀고, 루아는 '모세'라는 이름을 얻었다.공동체의 건설은 그들의 시련의 시작을 알리고 그들의 충실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마웅가포하투는 그들의 "구원의 도시"였다.여기서 언젠가는 그 약속들이 모두 마무리되고 몰수된 땅과 국민의 자율성이 회복될 것이다."[2][9]

결산이력

초년

1908년 마웅가포하투

루아는 1907년의 겨울이 시작되자 이 고립된 전초기지에 도착했다.첫 해 동안 감자 수확은 실패했고 먹을 돼지는 없었다.그 해 겨울 적어도 50명이 사망했는데, 그들 중 대부분은 주택 부족, 계곡 캠프에서 발생한 장티푸스의 발생, 그리고 지역 사회를 황폐화시킨 홍역 전염병으로 인해 죽었다.때로는 후후, 그리고 보통 옷으로만 사용되는 거친 토이 잎 외에는 먹을 것이 없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불미스러운 시작부터 지역사회는 풍요로운 첫 여름까지 계속 싸웠다.두 집단이 모여 주의 성스러운 파아투오테아투아(te pa tapu o te atua), 투회족 전체의 절반 정도, 그리고 몰수를 통해 육지가 거의 없는 화카토아(Wakatohea)를 만들었다.루아는 이 두 마타투아 부족의 연합을 나타내기 위해 두 개의 게이블로 지은 '주군의 집' 히루하라마 후우를 건설했다.한쪽은 투회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한쪽은 화카토아를 위한 것이었다.[12]

마웅가포하투는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법원, 은행, 의원실이 있는 인상적인 정착지였다.거리에는 기름 램프가 켜져 있었고, 그곳에는 세탁과 요리를 위한 수영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가족들은 장로들과 예언자 지도자의 모임을 통해 시행된 그들만의 행동 규칙을 세웠다.마웅가포하투에는 이 첫 해에 약 500~600명이 살았다."[2]루아는 강력한 공동체를 기반으로 토지 소유와 토지 이용의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이것은 또한 재산에 대한 가족 소유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타푸와 노아의 개념은 이 두 가지 아이디어를 반영하기 위한 섹션이 서로 다른 설계의 중심이었다.시민 편의시설과 침실이 포함된 성지대는 와히타푸라고 불리며 주변 노아 지역에서 울타리를 치고 식량을 준비하는 등 일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건물들이 세워졌다.성경은 또한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히루하라마 후다윗이 <크로니클스와 왕들의 책>에 기술된 솔로몬의 집을 위해 내린 지시에서 영감을 받았다.[13][14]

더 히오나

호나(지온)라고 불리는 2층 구조물이 세워졌는데, 이 구조물은 지역사회가 운영되던 곳에서 의회가 되었다.이 원형 회의장은 블루클럽(루아의 개인 상징물)과 옐로 다이아몬드를 디자인한 것으로 꾸며졌으며, 파의 안쪽 생텀 안에 서 있었다.이것은 루아의 "의회 회의실 및 코트 하우스" - 또한 "루아의 사원"이라고도 알려져 있다.루아는 (그의 방이 예배의 장소가 되지 않아도) 예루살렘 사원을 본떠 만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모델은 이슬람교의 성지인 예루살렘 사원 산에 있는 암석의 돔(Dome of the Rock)이었다.구불구불한 계단과 '좁은 빛의 창'이라는 두 개의 문이 달린 내부 디자인은 성경적 기록을 바탕으로 더욱 견고하게 설계되었다.그 독특한 원통형 모양은 전통적인 북섬 마오리 건축에서 급진적으로 벗어난 것이었다.[10][13]

그러나 당국은 루아 케나나를 파괴적인 영향력으로 보고 1907년 토후가 억제법으로 그를 표적 삼았다. 토후가 억제법은 마오리족 전통의학의 일부인 약초와 다른 치료법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15]1908년까지 루아의 권력 투쟁은 투회를 내전 직전까지 몰고 갔고 수상 조셉 워드는 예언자의 영향력을 억제하려는 시도에 개입했다.[12]

제2상

1913년 말에 마웅가포하투는 쇠퇴하였다.화카토아는 떠났고 약 30가족의 공동체가 되었다.1914년에 그 공동체는 스스로 해체되었고, 투회가 1907년에 "신과 인간의 거주지"로 설정한 2만 에이커의 면적이 분할되었다.루아는 떠났고 히오나는 버려져 건초 가게로 쓰이게 되었다.1914년에 좀 더 전통적인 스타일의 새로운 만남의 집이 지어졌다 -Tane Nui A Rangi - '천국의 위대한 타인'[16]그렇더라도 논란은 좀처럼 가시지 않았다.루아는 1910년 간교한 죄로 벌금형을 받았고 1915년에는 이와 유사한 범죄로 짧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감옥에서 돌아오면서 그는 마웅가포하투의 재건을 시도했다.1913년경 버려진 파는 "새롭고 더 완벽한 공동체의 의식적 부활"[17]이라는 3일 동안 매일 3시간씩 일했던 백 명의 남자들의 도움으로 재건되었다.이는 타푸노아 지역 사이의 울타리를 해체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타푸 관찰의 이완과 함께 이루어졌다.[13]

루아는 1차 세계대전 당시 투회를 설득해 병역거부를 시도했다.[18]이것은 기득권 세력에 의해 진압으로 받아들여졌고 마침내 정부와 루아의 타락자들에게 그와 마웅가포하투 공동체에 대해 개입할 동기를 부여했다.1916년 4월 2일 루아를 체포하기 위해 중무장한 70명의 경찰관이 도착했다.마을이 워낙 외진 곳이라 경찰들이 마차, 포장마차 등을 동원한 채 잘 갖춰져 와서는 도중에 진을 쳤다.

경찰이 도착했을 때 일어났던 일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있다.개인적으로[10] 루아의 격렬한 저항은 없었지만 그는 체포를 거부했고, 그의 지지자들은 경찰과 30분 동안 활발한 총격전을 벌였다.이 교환으로 루아의 아들 토코와 마오리 경호원 1명이 사망하고 마오리 2명과 경장 4명이 부상을 입었다.교전이 중단되자 루아는 체포되어 로토루아로 이송되었다.그는[19] 결국 경찰에 대한 '도덕적 저항'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고 징역 18개월에 이어 12개월의 징역 18개월을 선고받았다.[7]그는 오클랜드의 에덴산 감옥에서 9개월을 복역했다.[10]

3단계 및 최종 단계

각종 재판에서의 방어비용은 빚을 갚기 위해 주식과 토지를 팔아야 했기 때문에 지역사회를 재정적으로 망쳐 놓았다.지역사회는 경찰 전체의 작전 비용을 지불하고 마웅가포하투에서 급습하라는 명령까지 받았다.대법원은 1917년 5월 1일 루아의 체포가 불법이라고 판결하고 1916년 4월의 사건, 그곳 경찰의 행동, 그에 따른 목격자들의 협박에 대해 전면적인 공개수사를 요구하는 마웅가포하투 사람들을 대표하여 의회에 법적 청원이 초안되었지만, 어떠한 보상도 주어지지 않았다.[20]

루아가 우레와라로 돌아왔을 때, 정착지는 분할되었고, 토지는 너무 커졌으며, 공동체의 상당 부분이 이전되었다.존 러플턴 목사 휘하의 장로교 선교회는 마웅가포하투로 옮겨와 장로교 기독교와 파케하 가치 체계를 가르치고 있었다.루아는 파케하 학교를 원래의 지역사회에서 금지시켰지만, "뉴질랜드에서 어떤 학교가 유지되는 가장 고립된 장소에"[21]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원형 학교 건물은 1920년대 초반에도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다.[7]아마도 의식 정화의 일환으로 루아에게는 히루하라 호우히오나가 모두 파괴되었을 것이다.[13]1925년 초, 지역사회에 장티푸스 전염병이 발생했고 1926년 러플턴이 떠난 후 루아는 세 번째,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을 전체의 건설을 조직했다.[22]새로운 디자인은 루아 케나나의 구약성서 예언자 스타일에서 신약성서 평화주의자로의 전환을 반영했다.[13]아연도금 철제 지붕을 가진 슬래브와 판자집들이 지어졌다.큰 길 두 개가 있었고 그 길들을 따라 집들이 조심스럽게 모여 있었다.[22]그는 이 재건이 세계의 종말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이것이 일어나지 않자 추종자들을 비난했다.결국 그는 1937년 죽을 때까지 살았던 동부 풍요의 만 마타히로 하류로 이동했다."[9][7]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테니스 코트와 야외 댄스 플로어를 포함한 시설은 한동안 번창했다.1927년과 1929년 사이에 마운가포하투는 약 15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시기는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에 의해 애틋하게 기억되었다.[23]그러나 1936년까지 인구는 21가구로 감소했다.[24]비니(1983)는 장기간 정착이 감소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이런 외진 곳에 살면서 유급근로를 구하기가 어려운 점, '농사에 극도로 벅찬' 지형의 특성, 재개발을 위한 자본의 원천을 찾지 못하는 지역사회의 무능 등이 있다고 지적한다."빈민들은 국가에 보조금을 지급했지만, 국가는 그들에게 실질적으로 무관심했다."[25]

1930년대에 "오클랜드의 트램핑 걸스"라는 두 명의 식물학자인 루시 크랜웰루시 무어는 마웅가포하투 산의 동식물들을 연구하기 위해 현장 학습을 실시했다.[26] 크랜웰은 "오전 3시에 파파토타라 안장으로 돌아가는 PDW 트럭을 타고 출발했다"고 밝혔다. 거기서부터 깊은 마모된 말 트랙을 3개의 가파른 능선을 가로질러 루아스 파까지 산기슭에 있는 루아스 파까지 걸었다. 거의 수직에 가까운 조사원이 해가 질 무렵에 우리를 평탄한 정상으로 데려갔다.동이 트자 산초는 섬세한 서리 층으로 뒤덮여 있었다."[27]

현대

응가이 투회는 마웅가포하투와 동부 만과 루아타후나를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될 수 있도록 1922년 정부에 1만6000ha의 토지를 기부했으나 건설되지 않았다.1964년에 마침내 목재 회사에 의해 작은 정착지로 가는 도로가 만들어졌고 1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개막 축하 행사에 참석했다.몇 년 동안 제분작업은 집단생활에서의 루아의 실험이 끝난 후 "주민들의 대부분 탈출에서 결코 회복되지 않았던 이 고립되고 빈곤한 지역에 가장 큰 번영을 가져왔다"고 말했다.1960년대에 겨우 15명으로 추산되었던 마웅가포하투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다.[28]

2006년 와이아푸 교구 연회장은 1907년 토후가 탄압법에서 성공회의 역할을 사과하는 동의안을 통과시켰고, 그해 5월 브라운 투레이 대주교와 다른 교회 성도들이 마웅가포하투로 순례했다.교회는 마웅가포하투 마라에 재건에 기여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15]2014년 루아 케나나의 체포 당시 1916년 경찰에 의해 제거된 마웅가포하투 깃발은 '타옹가와 관련된 역사적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박물관들의 약속'의 일환으로 오클랜드 박물관에 의해 투회에 반환되었다.[7]

마웅가포하투족

  • Rua Tapunui Kenana(1869-1937) - 위 참조.
  • Tuhoe의 지도자 겸 예술가 Te Pairi Tuterangi (d. 1954년)
  • 시누누누이(Te Inhuanui, 1907년 d. Tuhuanui)는 투회장이었다.
  • 위휘투(1908–1983) 대장장이 겸 외제사, 누나는 루아의 아내 중 한 명이었다.

인용구

  1. ^ "테 위키 오 테 레오 마오리 - 마오리 언어 주간. 5페이지에서 1000페이지의 장소 이름"뉴질랜드 역사.검색된 항목 7.01.18.
  2. ^ a b c d e 비니(1983) 페이지 353
  3. ^ "Maungapōhatu (Te Māpou)". maorimaps.com. Te Potiki National Trust.
  4. ^ "Marae Announcements" (Excel). growregions.govt.nz. Provincial Growth Fund. 9 October 2020.
  5. ^ "Bay of Fully place: 13페이지의 내륙 우레와라"테아라.검색된 5.01.18.
  6. ^ 킹(2003) 페이지 295
  7. ^ a b c d e "마웅가포하투 깃발"오클랜드 박물관.검색된 3.01.18
  8. ^ 비니(2009) 페이지 427
  9. ^ a b c d e f 빈니(1996년)
  10. ^ a b c d "Prophet Rua Kenana". ngaituhoe.com. 검색된 5.01.18.
  11. ^ 맥린톡, A. H. (1966) "루아 타파누이 헤페티파, 또는 케나나 루아 헤페티파"아라.2015년 2월 13일 회수
  12. ^ a b 빈니연구진(1979) 페이지 45-56
  13. ^ a b c d e 갈색(2007) 페이지 25-28
  14. ^ 2 연대기 3:4, 7, 15-17 & 1 킹스 6:3
  15. ^ a b "99년 만에 교회 사과"(2006-09-18) 호크스베이 투데이: 뉴질랜드 헤럴드.검색된 6.01.18.
  16. ^ 비니(1983) 페이지 354
  17. ^ 비니(1983) 페이지 357
  18. ^ 싱클레어(1969년) 페이지 274
  19. ^ 빈니연구진(1979) 페이지 119-124
  20. ^ 빈니연구진(1979) 페이지 131-132
  21. ^ 빈니(1983) 페이지 362 러플턴 인용
  22. ^ a b 비니(1983) 페이지 358-60
  23. ^ 비니(1983) 페이지 362
  24. ^ 비니(1983) 페이지 361
  25. ^ 비니(1983) 페이지 365, 366, 387
  26. ^ "루시 크랜웰" 아웃시더세츠퀘어검색된 항목 7.01.18
  27. ^ 캐머런, 에웬 K(2000) "부고 - 루시 메이 크랜웰, MA, DSc, DSc(혼), FLS(론드), FRSNZ, 1907-2000". (pdf) 보타니 뉴질랜드 저널 38. 페이지 527-35.검색된 항목 7.01.18.
  28. ^ "마웅가포하투 1길 개통"뉴질랜드 역사.검색된 3.01.18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