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타니 철도

Mauritania Railway
모리타니 철도
Map Mauritania Railway.png
모리타니 철도 지도
테크니컬
회선 길이704 km (437 mi)
트랙 게이지1,435 mm (4피트 (8+1인치) 표준 게이지
루트 맵
0km 칸사도
0km 누아디보우
96km 불레누아르
222km 아게이지트
255km 이날
318km 마이미차트
393km 벤 아미라
460km 초움
초움터널 (사용되지 않음)
모리타니서사하라 국경
모리타니서사하라 국경
485km 문자
568km 투아드실
625km 프데록
650km 주에랏
670km 구엘브라인 광산
700km 마우다트 광산
735km 스토란빌 광산

모리타니 철도는 모리타니의 국영 철도이다.이 노선의 건설은 1960년에 시작되었고 [1][2]1963년에 개통되었다.주에랏철광 중심지와 푸데릭초움을 거쳐 누아디부 항구를 연결하는 704km(437mi)의 단일 철도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국영 기관인 Société Nationale Industrielle et Miniére (SNIM, National Mining and Industrial Company)가 철도 노선을 제어합니다.

초움 터널이 폐쇄된 이후, 철도의 5 km(3.1 mi) 구간은 서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이 통제하는 부분을 통과합니다.21°21°18°N 13°00°46°W / 21.354867°N 21.012644°W / 21.354867; -13.012644)

역사

이 노선은 성공적이었고 모리타니 GDP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그 결과 [3]1974년에 국유화되었습니다.1976년 모리타니가 서사하라 남부를 합병한 후, 폴리사리오 민병대의 지속적인 공격을 받아, 이 라인은 사실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그로 인해 모리타니 [4]경제는 마비되었다.이는 1978년 모리타니 대통령 모크타르 울드 다다를 타도하고 이듬해 서사하라에서 철수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현재 노선이 안전해지면서, 보수 작업이 진행되었고 1980년대 [5]초에 다시 한번 열차들이 이 노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이 철도는 옛 소련이 아닌 [citation needed]국가에서는 드문 소련식 커플러 SA-3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통.

누아디부 역의 모리타니 철도 열차

철도의 열차는 길이가 [6]3킬로미터(1.9마일)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길고 무거운 열차 중 하나입니다.디젤 전기 EMD 기관차 3, 4대, 철광석 84t을 실은 차량 각각 200~210대, 서비스 차량 2~3대로 구성된다.총 교통량은 연평균 1,660만 톤이다.

승객들은 가끔 기차로 운송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SNIM 자회사, socié d'Assainissment, de Travaux, de Transport et de Maintenance(abb. ATTM)[7]에 의해 관리됩니다. 객차는 때때로 화물 열차에 연결되지만, 승객들은 단순히 호퍼 객차 위에 자유롭게 탑승합니다.승객 중에는 현지인, 상인, 그리고 가끔 모험 관광객도 포함됩니다.낮 기온이 40°C를 넘고 추락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citation needed]흔할 정도로 이러한 승객들의 조건은 매우 혹독하다.

2019년 1월, 철도는 10년 만에 관광을 재개했습니다.선로의 일부는 관광 금지 구역을 통과했습니다.관광 코스의 정류장 중 하나가 철광입니다.관광 루트는 보통 객차 [8]두 대를 실은 기관차에 의해 운영된다.

기관차

2010년 10월,[9] SNIM은 고온에서의 운용을 위해 특별히 개조된 6량의 EMD SD-70ACS 기관차를 주문했습니다.이에 앞서, 철도는 21대의 MIFERNA Class CC 01-21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미국에서 제작된 EMD SDL40-2를 운영하였습니다.이 기관차들은 모두 먼지가 많고 고온의 환경에서의 운행에 대처하기 위해 특별히 개조되었다.

글렌코어 엑스스트라타

2014년, 광산 회사 Glencore는 SNIM의 철도 및 항만 인프라스트럭처에 18년간 액세스하기 위해 10억 달러를 지불했습니다.이 인프라스트럭처는 Askaf와 Guelb El Aouj새로운 철광 지선에 연결됩니다.이 계약을 통해 그 회사는 자체 선로와 [10]시설을 건설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을 것이다.하지만, 글렌코어는 철광석 [11][12]가격이 40% 가까이 떨어지자 불과 1년 후 프로젝트에서 손을 뗐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메모들

  1. ^ "Mauritania, a Nation of Moorish Nomads, Suddenly Finds Herself in 20th Century". The New York Times. January 20, 1964. last June, the 20th century elbowed its way into this Biblical picture
  2. ^ Pazzanita, Anthony G. (2008). Historical Dictionary of Mauritania. Scarecrow Press. pp. 424–25. ISBN 9780810862654. Retrieved 25 January 2020.
  3. ^ Pazzanita, Anthony G. (2008). Historical Dictionary of Mauritania. Scarecrow Press. pp. 424–25. ISBN 9780810862654. Retrieved 25 January 2020.
  4. ^ Pazzanita, Anthony G. (2008). Historical Dictionary of Mauritania. Scarecrow Press. pp. 424–25. ISBN 9780810862654. Retrieved 25 January 2020.
  5. ^ Pazzanita, Anthony G. (2008). Historical Dictionary of Mauritania. Scarecrow Press. pp. 424–25. ISBN 9780810862654. Retrieved 25 January 2020.
  6. ^ "The ore train". Société Nationale Industrielle et Miniè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08. Retrieved December 17, 2008.
  7. ^ http://www.attm.mr/index.php/entreprise/presentation
  8. ^ "Desert train of Mauritania running again after 10 years". www.euronews.com. 18 January 2019. Retrieved 2019-01-18.
  9. ^ "Railway Gazette: High temperature locomotives ordered from EMD". Retrieved 2010-10-30.
  10. ^ http://www.railpage.com.au/f-t11332401.htm (등록 필요)
  11. ^ Ker, Peter (11 March 2015). "Glencore abandons Mauritania iron ore project after $US1bn investment".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0 December 2018.
  12. ^ "Iron Ore Price Outlook". FocusEconomics. 13 February 2016. Retrieved 2019-08-26.

추가 정보

  • Robinson, Neil (2009). World Rail Atlas and Historical Summary. Volume 7: North, East and Central Africa. Barnsley, UK: World Rail Atlas Ltd. ISBN 978-954-92184-3-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