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바토어
Mbato language![]() | 본 기사는 해당 기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2020년 10월) 중요한 번역 지침은 [쇼]를 클릭한다.
|
음바토 | |
---|---|
네이티브: | 아이보리 코스트 |
지역 | 라메 |
원어민 | (1993년 인용된 25,000명)[1] |
언어 코드 | |
ISO 639-3 | gwa |
글로톨로지 | mbat1247 |
음바토(Mbatto), 응글와(Nghlwa), 포투(Potu) 또는 과(Gwa)라고도 알려진 음바토는 아이보리 코스트와 가나에서 사용되는 콰어이다.에브리어와 함께 두 개의 포토우어 중 하나이다.음바토족은 주로 아이보리 코스트의 라 메 지역에 살고 있으며, 특히 알레페 부서의 올와포 하위 정원에 살고 있다.[2]
음운론
라비알 | 치과의 | 구개체 | 벨라르 | 라비오벨라 | |
---|---|---|---|---|---|
플롯시브: 포티스, 무성음 | p | t | c | k | |
플롯시브: fortis, 유성음 | (b) | d | ɟ [ɟ, dʒ] | g | gb [g͡b] |
플롯시브: 레니스, 유성 | ɓ¹ | ʄ | ɠ | gɓ [g͡] | |
소노란트: 레니스 | ɓ² [ɓ, m] | j [j, ɲ] | w [w, ŋʷ, ŋmm] | ||
프리카테우스 | f/ (v) | s/(z) | h [x, h] |
음바토에는 비음 음소가 없지만, 비음모음(아래 표 참조)은 소노란트 [ɓ, l, j, w]가 동화되어 [m, n, ɲ, ŋ][3]로 발음된다.
/ bil¹¹/과 /ɓ²/의 두 가지 양립성 내포음음이 있다.첫째는 항상 [ɓ]로 발음하고, 둘째는 비모음 문맥에서 [m]으로 발음한다.[4]
[b, v, z] 소리는 한계적이며 외래어에서만 발생한다.[3]
구강 | 콧물 | ||||
---|---|---|---|---|---|
가까운. | i | u | ɪ̃ | ʊ̃ | |
중앙의 | e [e, ɪ] | o [o, ʊ] | |||
개방하다 | ɛ | a | ɔ | ɛ̃ | ɔ̃ [ɔ̃, ã] |
프로토-포투 언어는 ±ATR 계통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에브리에는 사라졌고 음바토에는 흔적만 남겼다.[3]
음바토는 세 가지 레벨 톤으로 구성된 톤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3]
문법
명사 클래스
음바토에 있는 명사 계급 접두사는 특정한 동음이의어와 단수와 복수형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원래 이 시스템은 다른 니제르콩고 언어에서 볼 수 있듯이 더욱 견고했을 것이다.[3]
네 개의 명목 접두사는 o-, à́-, ʊ̃-이다.비음모음인 후기 2개는 sylĺ-와 ɴ-로 표기된 음절 나사로도 실현할 수 있다.[3]
접두사[3] | 단어 | 광택 |
ó- | 오부 | 돌로 만든 |
à- | ́́́ | 고양이를 |
ʊ̃́-, ɴ́- | ɴ́́ē | 야무지게 |
ʊ̃̀-, ɴ̀- | ʊ̃́́̄̄ | rope.pl |
참조
- ^ Ethnologue에서의 Mbato (2015년 18차 개정판) (가입 필요)
- ^ Goa, Kacou (2016). "Culture and communication of the African ethnic minorities: Example of Gwa from Ivory Coast". Journal of Scientfic Research and Studies. 3: 202–210.
- ^ a b c d e f g h i Bôle-Richard, Rémy (2018). "Contribution à la phonologie historique du Niger-Congo: vers la reconstruction du Proto-Potou". Linguistique africaine: perspectives croisées (in French). Institut de Phonétique. ISBN 978-29-570-8944-4.
- ^ Bôle-Richard, Rémy (1984). "Le Nghlwa, langue sans consonne nasale". Cahiers ivoiriens de recherche linguistique. 16: 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