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팅 포인트

Meeting Point
미팅 포인트
匯點
회장라우나이경
영섬
앤서니 장
설립됨1983년 1월 9일 (1983-01-09)
용해됨1994년 10월 2일 (1994-10-02)
로 병합됨민주당
이념자유주의
자유 민족주의
사회자유주의
정치적 입장중앙-좌측
지역 제휴친민주주의 진영
색상 녹색
미팅 포인트
중국어 번체匯點

미팅 포인트(중국어: 匯點)는 1970년대 학생운동가 출신 단체와 지식인들이 모여 1983년 홍콩전망 문제에 대한 중-영 협상 논의를 위해 결성한 홍콩자유주의 정치조직이자 정당이다. 홍콩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선호하면서도 자유롭고 민주적이며 자율적인 홍콩을 원했던 홍콩 최초의 단체 중 하나이다.[1]

1980년대에 대표적인 민주화 단체 중 하나로 떠올랐으며, 1994년에 통합되었던 오늘날의 민주당의 두 전임자 중 한 명이었다.

역사

중영 협정

1983년 1월 9일 1970년대에 활동한 전직 학생 운동가들과 지식인들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이 중 상당수가 홍콩대학의 졸업생이었다. 단체는 라나이경 창립총회장과 영섬 부총회장을 필두로 1997년 이후 중-영 양국이 홍콩 주권을 놓고 협상을 벌이는 와중에 중국 주권에 따른 '홍콩 통치'의 자치정부를 강조해 당시 주류 여론은 압도적으로 작지 않은 의견이었다. 영국의 지배를 지지하다 중국과의 평화통일을 위한 중국의 지지가 중국의 지지를 끌어냈다.[2]

그 post-agreement 시대에, 그 그룹과 지방 지방 자치 선거에 참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두 주요 민주화 단체들은 협회 민주화 운동과 사람들의 생활(ADPL)과 홍콩 문제 협회(HKAS)와 전략적 동맹을 형성하였다. 다른 진보적인 기관들과, 그것은 또한 직접적인 선거 도입과 타당한 정부를 요구했다. 그것은 민주 정부(JGPDG)1988년의 홍콩 입법회에 대한 직접 선거의 진흥에 관한 합동 위원회가 동참했다. 그 기간 동안 만남의 포인트 베이징과의 따뜻한 관계 남아 있었다. 1987년 회장 라우 Nai-keung이 중국 인민 정치 협상 회의 베이징에 의해 임명되었다.

1991년 레그코 선거와 1994년 개혁안

1989년 6월에 홍콩 자유 주의자들 강하게 단속을에 반대한 학생 시위자들을 떠받치던 천안문 광장의 탄압, 베이징과 그룹의 관계 악화되었다. 1990년 4월 만남의 포인트뿐만 아니라 ADPL과 HKAS의 멤버들은 새로운 파티, 미국 민주당 홍콩의 마틴, 베이징에 의해"반역죄"로 그 때, 홍콩 입법회에 대한 1991년 최초의 직접적인 선거 준비를 보여진 것이 이끄는을 형성했다. 그 회의 포인트 미국 민주 당원들과, 프레드 LiWah-ming과 Tik Chi-yuen은 지리학적 선거구에서 2석으로 역사적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로 재커리 웡 Wai-yin은 신제 서부 선거구에서 획득한 1991년 보궐 선거에 여분의 좌석을 얻었다. 그것은 공식적인 파티에 13명 9월 1992년에 약 150개의 오래 된 구성원을 파티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고 개종했다.[3] 콘트라스트 미국 민주 당원들에게, 만남의 포인트로 남아 보다 실용적인 자세와 베이징 정부와 조화로운 관계이다.[4] 1992년에, 에드워드 Leong Che-hung은 의료 선거구의 Leong의 홍콩 민주 재단의 일부 의원들과 만남의 포인트에 합류했다.

1994년, 회의 포인트는 베이징 정부가 강하게 반발한 크리스 패튼주지사가 수행한 선거 개혁안을 지지했다. 총회가 패튼의 제안에 찬성표를 던진 후 라우나이경, 창수기, 왕책기 등 창당파들이 당을 탈퇴하는 '미팅 포인트' 내부 분열을 초래했다. 회의 포인트는 나중에 에밀리 라위잉이 움직인 완전 선출된 입법부를 위한 수정안에서 기권했는데, 그것은 기본법을 위반하면 베이징이 불안정해지고 설치된 정치구조가 해체되는 결과를 더욱 화나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5]

민주당으로 통합

온건한 접근방식의 실효성과 1995년 입법회 선거를 위한 친민주 진영의 결집을 위해 안소니 장빙룽과 마틴 리가 이끄는 모임 포인트와 통합민주당은 1994년 4월 발표한 신당으로 통합했다. 영섬 전 의장과 앤서니 청 전 의장은 신당의 두 부위원장이, 앤드루 풍웨이훙은 재무부장이었다. 앤서니 청의 중국측 홍콩담당 보좌관 임명도 양당이 합당하면서 무산됐다. 당 총회는 1994년 5월 15일 민주당 창당안을 통과시켰다. 1994년 10월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더 친중, 친시장, 온건한 의제로 민주당 내 주요 계파가 됐다. 또 투쟁을 둘러싼 베이징 및 홍콩 정부와의 대화와 거리행동을 둘러싼 의회정치도 강조했다.[6] 1998년 지도부 선거에서 '젊은 투르크파'가 앤서니 청을 부의장으로 물리치기 위해 라우진쉐크를 임명하는 등 성공적인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후 앤서니 청은 2005년 당을 떠나 싱크탱크인 시너지넷을 설립했다. 이후 2012년 교통주택부 장관으로 정부에 입성했다.

회장 목록

  1. 라우나이경, 1983-1988
  2. 영섬, 1988-1989
  3. 앤서니 청, 1989-1994

저명인원

선거실적

입법회 선거

선거
일반 투표
의 비율
일반 투표
GC
좌석을
FC
좌석을
EC
좌석을
총좌석 +/−
1991 98,588Steady 7.20Steady 2 0 -
2 / 60
2Increase

주: 1991년 선거에서 각 유권자는 두 표를 얻었다.

시의회

선거
일반 투표
의 비율
일반 투표
우르브코
좌석을
레고
좌석을
합계
선출직 의석
1986 35,411Steady 10.06Steady
1 / 15
1 / 12
2 / 27
1989 21,702Decrease 10.21Increase
0 / 15
2 / 12
2 / 27
1991 12,476Decrease 3.18Decrease
1 / 15
0 / 12
1 / 27

지방 이사회 선거

선거
일반 투표
의 비율
일반 투표
합계
선출직 의석
+/−
1985 9,714Steady 1.41Steady
4 / 237
4Increase
1988 41,878Increase 6.57Increase
16 / 264
12Increase
1991 18,386Decrease 3.46Decrease
11 / 272
2Increase

참조

  1. ^ Scott, Ian. Political Change and the Crisis of Legitimacy in Hong Ko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210.
  2. ^ Goodstadt, Leo F. (2000). "China and the Selection of Hong Kong's Post-Colonial Political Elite". China Quarterly. 163: 732–3.
  3. ^ Read Their Lips (I): A dossier of political leaders in Hong Kong. Pace Publishing Ltd.
  4. ^ Wong, Denise (15 October 1992). "A little dragon that blows plenty of fire". Hong Kong Standard.
  5. ^ Sing, Ming (2004). Hong Kong's Tortuous Democratization: A Comparative Analysis. Routledge. p. 145.
  6. ^ Kuan, Hsin-chi; Liu, Zhaojia; Wang, Jiaying, eds. (2002). Out of the Shadow of 1997?: The 2000 Legislative Council Election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Chinese University Press. pp. 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