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후프라 베로
Melhupra Vero멜후프라 베로 | |
---|---|
태어난 | 1934[1] 인도 나가란트 페크구 룽구즈 마을 |
죽은 | (86세) 디마푸르 |
휴게소 | 룽구즈 분기점 |
직업 | 정치인 및 사회복지사 |
배우자 | 케일 베로 |
아이들. | 딸 하나 아들 하나 |
수상 | 파드마 슈라이 |
멜후프라 베로(Melhupra Vero, 1934–2020)는 인도의 정치인이자 나가족 출신으로는 최초의 의회 의원이었다.[2] 그는 사회사업에 기여한 공로로 2006년 인도에서 네 번째로 높은 민간상인 파드마 슈라이의 수상자였다.[3]
얼리 라이프
1934년, 베로는 룽구즈 마을에서 지금의 페크 지구에서 태어났다.
초주바에 있는 중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으며, 1956년 정부 고등학교 코히마에서 입학시험을 마쳤다. 그는 성에서 학사 학위를 마쳤다. 1959년 에드먼드 대학 신룽.[4]
정치생명
1967년 12월 라지야 사바에서 공식언어(수정) 법안이 상정되자 베로는 나갈란드가 이미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했으므로 센터와 주 모두에서 무기한 영어를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5]
그는 두 번이나 나가란드 입법회에 당선되었다: 첫째는 나가 국가 기구 표로 페크(1974년)에서, 그리고 나중에 조즈바(1979년)[6]에서.
베로는 1997년 새로 취임한 나가호호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첫 세션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내가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나가스가 나를 잘난다고 생각한다면, 나는 매우 행복하다. 그리고 내가 어떤 분야에서든 영리하고 능력 있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도 잘 알고 있듯이, 나는 나가스를 위해 좋은 일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너에게 말해야겠다. 하지만 우리 국민을 위해 나쁜 짓은 하지 않겠다고 약속할게. 나는 너와 신에게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고마워[7]
그는 대통령으로서 애틀랜타 평화 회의에 참석했다. 나가호호의 일원으로 나가 지하 집단과 인도 정부 사이의 휴전을 촉진했다. 그는 2004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4]
2015년 10월 1일, 나가랜드 정부는 국제 노인의 날 기념식에서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8]
죽음
베로는 2020년 1월 24일 디마푸르 거주지에서 잠시 병을 앓다가 사망했다. 그의 유족으로는 아내인 케일 베로, 아들, 딸,[4] 손자 9명, 증손자가 있다.[6]
그러자 나갈랜드 주지사 R.N. 라비는 "국가가 헌신적이고 성실한 공공 지도자를 잃었다"[6]고 말했다. 칭광 곤야크는 베로를 매우 좋은 친구로 생각했고,
[우리] 둘 다 1960년대 후반 NNO 시대부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이후 [인도국민당] 의회에서... 나는 30대 중반의 젊은이로써 함께했던 우리에 대한 수많은 애틋한 기억들을 가지고 있다 – 조쉬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려는 열정으로 가득 차 있다. 나는 그가 사회를 위해 개인적인 위안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는 유쾌하고 친절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6]
나가 어머니회도 "젊은 세대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나가 사회 내에 공간을 만들도록 여성 지도자들을 이해하고 격려한 남자였다"[6]는 말과 함께 애도의 뜻을 전했다.
나갈란드 국가사회주의협의회(I-M)도 베로의 죽음에 대한 충격과 사별을 전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베로가 "나가 문제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기 위해 돌을 던지지 않았다"면서 "나가 국가 정치단체 모두가 용서와 망각의 정신을 통해 화해해 달라"[9]고 호소했다.
제13차 나갈랜드 입법회는 베로와 Z에 대한 부고참고로 제5차 회기를 시작했다. 오벳.[10]
니케투 이랄루는 추도사에서 이렇게 썼다.
나가 가문의 단결 복원은 베로의 가장 깊은 그리움이었다. 그의 지도력이 서로에 대한 신뢰와 호의가 생기기 시작한 것은 모든 나가스가 "나가스는 하나"라는 비전을 새롭게 믿게 만들었다. 그는 신념과 긴박감을 가지고 그것을 위해 싸웠다... 베로의 기민함과 겸손함, 한결같은 유머감각과 진정한 호의에 대한 생생한 기억들이 눈에 띄는데, 나는 그가 공공의 지도자로서 그의 백성들에게 무엇을 주었는지를 되짚어 보려 한다. 우리는 그가 무엇을 하고 목숨을 바쳤는지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단점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반드시 되어야 하는 것이 되기 위한 우리의 탐색과 불굴의 투쟁에서 말이다.[7]
참조
- ^ 누가 누구인가, 페이지 58
- ^ "A festival for beauty forever: Tributes on International Day for the elderly". Easter Mirror Nagaland. 1 October 2015. Retrieved 15 December 2015.
- ^ "Padma Awards" (PDF).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November 2014. Retrieved 21 July 2015.
- ^ a b c "Former MP and Padma Shri recipient Melhüpra Vero passes away". Eastern Mirror. 24 January 2020.
- ^ UNI and PTI (22 December 1967). "Demand for withdrawal of Language Bill". The Times of India. p. 12.
- ^ a b c d e Nagaland Post News (24 January 2020). "M.Vero, first Naga MP(RS), ex-minister dies". Nagaland Post. Retrieved 13 January 2022.
- ^ a b Iralu, Niketu (28 January 2020). "Melhupra Vero: What stands out about him?". Morung Express. Retrieved 13 January 2022.
- ^ "Continue teaching young people". Morung Express. 1 October 2015. Retrieved 15 December 2015.
- ^ "NSCN(I-M) condoles". Imphal Free Press. 24 January 2020.
- ^ "Sharingain Longkumer elects as Speaker of Nagaland Assembly". United News of India. 7 Februar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