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나나 하발라
Renana Jhabvala레나나 하발라 | |
---|---|
태어난 | |
국적 | 인디언 |
모교 | 델리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
직업 | 사회복지사 |
수상 | 파드마 슈라이 1990 |
레나나 하발라는 인도 아흐메다바드에 본사를 둔 인도 사회복지사로, 수십 년 동안 인도 내 조직과 노동조합에 여성을 조직하는 데 적극적이었으며, 빈곤한 여성과 비공식 경제와 관련된 정책 이슈에 광범위하게 관여해 왔다. 그녀는 인도 자영업여성협회(SEWA)와의 오랜 인연과 비공식 경제에서 여성 문제에 관한 글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1990년, 그녀는 사회사업 분야에서 기여한 공로로 인도 정부로부터 파드마 슈라이 상을 받았다.[2] 2012년 4월, 그녀는 인도 타밀 나두의 간주 대학인 간디그람 농촌 연구소의 총장이 되었다.
어린 시절, 가족, 교육
Renana Jhabvala는 Delhi에서 부커상 수상 소설가 겸 시나리오 작가인 Ruth Prawer Jhabvala와 유명한 건축가 Cyrus S. H. Jhabvala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녀의 조부모는 20세기 초중반 동안 공공생활에 적극적이었다. 그녀의 할아버지 샤바크샤 하발라는 초기 인도 노동조합 운동에 적극적이었고, 할머니인 메흐라벤 하발라는 신흥 여성운동에 적극적이었다. 2012년 2월 인도 국제 센터(델리)에서 열린 강연에서 레나나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여성 전용 조직자 겸 여성 옹호자였던 메라벤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했다.[4]
자브발라는 델리에서 자라서 교육을 받았고 1972년 BSC Maths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델리 대학교의 힌두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BA 수학의 추가 학위를 따기 위해 하버드 대학에 다녔다. 그 후 그녀는 예일 대학교에 진학하여 경제학 석사과정을 밟았다.[5]
경력 및 명예
그녀의 연구를 마친 후, Jhabvala는 1977년 아메다바드의 SEWA에 조직위원으로 가입했다.[6] 그녀는 무슬림 지역인 아메다바드에서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퀼트를 꿰매고 일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SEWA에서 최초의 협동조합을 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녀의 주된 업무는 여성을 노동조합으로 SEWA에 조직하는 것이었다. 1981년 엘라 바트의 주도로 SEWA 사무총장에 선출되었고, 더 높은 소득, 더 나은 근로 조건, 일할 수 있는 공간, 사회 보장을 위해 베디 노동자, 농업 노동자, 의류 노동자, 노점상 등을 조직했다.[8] 그녀는 인도 전역의 SEWA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적극적이었으며,[9] 조직의 경험을 마디야 프라데시, 비하르 같은 주로 가져갔고, 가장 최근에는 우타라크한드와 웨스트 벵갈로 가져갔다.
Jhabvala는 현재 인도 17개 주에서 SEWA의 국가 연합인 SEWA Bharat를 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1995년에 그녀는 SEWA의 국가 코디네이터가 되었고 델리에서 국가 사무소를 시작했다.
SEWA의 여성 회원들이 기본적인 인프라와 주택에 대한 필요성을 표현하기 시작했을 때, 그녀는 마힐라 하우징 SEWA 트러스트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다. 2002년에 그녀는 SEWA 은행장이 되었고 전국 많은 지역의 가난한 여성들을 위한 금융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9]
그녀는 1995년과 1996년 국제노동기구(ILO)에서 SEWA를 대표하여 가정노동자협약에 관한 논의 중이었고, 그 후 2002년 비공식경제 결의안에서도 SEWA를 대표하여 국제적인 수준에서 활동했다.[11] 남아시아 수준에서 그녀는 인도, 파키스탄에 있는 조직들을 하나로 모으면서 홈넷 남아시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부탄은 여성 가정 노동자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12] 그녀는 현재 홈넷 남아시아의 회장이다. 그녀는 WIEGO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이자 현재 회장이다. 그녀는 비공식 경제에서 여성 노동자들을 위한 국제 네트워크 형성에 적극적이었다.[5]
그녀는 여성을 노동조합과 협동조합으로 조직하는 것 외에도 가난한 여성과 비공식 경제의 정책 이슈에 관심을 갖고 관여해왔다. 그녀는노점상을위한 경영자 회의 정책에서부터, 비조직 노동자의 사회보장을 위한 법률, 그리고 여러 주에서 조직되지 않은 노동자들을 위한 정책까지 다양한 정책을 수립한 많은 정부 위원회와 태스크포스(TF)에서 활동해왔다.[11] 그녀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저널과 신문에 널리 썼고 7권의 책을 공동 저술했다.
사생활
그녀는 하리쉬 카레와 결혼했다. 그 부부는 아들이 하나 있다.[13]
보류(선택)된 위치
SEWA 조직 제품군
- 회장, SEWA 그리린 리미티드 (SEWA 주택금융회사) (2014–현재)
- 회장, SEWA은행(2002~2008) & 이사회 회원(2009~2017)[9]
- 국가 조정자, SEWA (1995–2017)
- 회장, SEWA Bharat (All India SEWA)(2001–현재)[9]
- 경영 신탁, Mahila Housing SEWA Trust(1994–현재)[9]
- SEWA 장관(1981–1995)
국제기구(선정)
- 회원, 2016~2017년[14] 유엔 사무총장 여성경제권한 고위급 패널
- 회장, WIGO (비공식 고용 여성: 글로벌화 및 조직화) (2009~2020)[11]
- 회장, 홈넷 남아시아(2007-현재)[11]
정부 내(선택됨)
- 인도 정부의 주택 및 도시빈곤 해소부 산하 제12차 5개년 계획(2012~2017년) 수립과 관련한 도시빈곤, 빈민가,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위원, 운영위원회, 워킹그룹.
- 위원, 전문가 그룹, 도시지역 빈곤선 이하 가족 식별을 위한 세부 방법론 추천(2010~2014년)
- 주거빈곤완화부 적정주택 대책위원회 위원(2008)
- 의원님, 국무총리 국가기술개발위원회. (2009–2014)
- Madhya Pradesh 정부, Ungorganized Sector의 노동자에 대한 Task Force 위원장, Madhya Pradesh 정부. (2001–2002)
- 회원, 노점상 국가 정책에 관한 태스크포스. (2002–2003)
- 위원장, 여성 노동자와 아동 노동에 관한 그룹, 국가 노동 위원회, 인도 정부(2000년)
기타
- IRADe(Intember Council), IRADe(Integrated Research for Action and Development)(2015–Present )
- 인도 선임 에너지 자문 위원회(ISEAC), Shell Company 후원(2014~2016년)
- 간디그람 농촌대학교 총장(2012~2017)[15]
- 이사, Invest Invest India Micro Pensions (빈곤층을 위한 연금 회사) (2006–2014)
- 인간개발연구소 이사. 뉴델리(2006~2016년)
- 구르가온 인도개발재단 이사회(2010~2012년)
- 이사진, 인도 국토연구원(2010–현재)[16]
수상
- 인도 상공회의소 및 산업 여성 단체 연합이 수여하는 2017년 평생 공로상 수상
- 2014년 라디오 원(Radio One)이 수여하는 "올해의 여성상" 공로상 수상
- 2013년 인도 투데이 그룹(India Today Group)이 수여한 인도 투데이 인 공공 서비스 부문 여성
- 비넷 굽타 기념 신탁, 1991년 사회봉사 우수작품
- 1990년[17] 인도 정부가 수여한 파드마 슈라이
- 인도 상공회의소 및 산업 여성 단체 연맹이 수여한 탁월한 사회복지사, 1990년
- Jaycees Karnavati가 수여하는 뛰어난 청년상, 1984년
- 국립과학인재장학금, 1969–1972
출판물
1. 책
- 기본소득 : 인도의 변혁적 정책 : Sarath Davala, Soumya Kapoor Mehta & Guy Standing, Bloomsbury 출판, 2015 ISBN978-1-47258-310-9
- The Idea of Work: Ela Bhatt, Indian Academy For Self Employed Women, 2012.
- 사회적 소득 및 불안: 구자라트의 연구: 가이 스탠딩, 제몰 운니, 우마 라니와 공동저자 2010년 루트리지. ISBN 978-0-41558-574-3
- 불안정한 세상에서 여성 역량 강화: SEWA 가입으로 차별화: Sapna Desai, Jignasa Dave와 공동 저술 SEWA 아카데미, 2010.
- Martha Chen, Ravi Kanbur, Carol Richards와 공동 편집된 회원 기반 빈곤층 조직. 2007년 루트리지. ISBN 978-0-41577-073-6
- 여성, 일, 빈곤: 마사 첸, 조안 바넥, 프랜시 룬드, 제임스 하인즈 등이 레나나 하발라, 크리스틴 보너와 공동저술했다. UNIFEM, 2005년 뉴욕. ISBN 978-1-93282-726-2
- 비공식 경제 센터 복원: 새로운 고용 구조: Ratna M과 공동 편집. 수다르산과 제몰 운니. 2003년 뉴델리 세이지 출판사 ISBN 978-0-76199-710-8
- 미조직 부문: 작업 안전 및 사회 보호: R.K.A. Subrahmanya와 공동 편집. 2000년 뉴델리 세이지 출판사 ISBN 978-0-76199-419-0
- Speak Out: 남아시아의 여성 경제력 강화: 마사 첸, 마릴린 카와 공동 편집. IT 출판사, 1996. ISBN 978-1-85339-382-2
2. 학술지 선정 기사
- 파이낸셜 익스프레스(The Financial Express)는 2020년 6월 "왜 기본소득이 Covid-19 시대에 가장 잘 베팅된 것처럼 보이는가"라고 소개했다.
- 2020년 6월 힌두스탄의 '부흐 키 안데키 차비야'
- "2020년 5월 힌두스탄 타임즈의 "여성: 배고픔의 보이지 않는 얼굴*" 분석.
- "2020년 5월 인도 타임즈 오브 인디아"에서 "배급카드와 상관없이 모든 가정에 3개월 동안 무료 음식을 제공하라"고 말했다.
- 기본소득은 여성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인신매매와 노예제도를 넘어서). Opendemocracy.net 2019년 9월.
- "기본소득은 최대한 포함되어야 한다", Governance Now, 2017년 2월.
- 캐러밴, 2016년 11월 " 짝수 10km 반경 내 벽돌과 모타 은행 없음: 악마화와 농촌 경제에 레나나 하발라"
- 2016년 5월 파이낸셜 익스프레스(The Financial Express)에서 "인도의 무조건적인 현금 이체 시기 – 우리는 기본 소득 체제로 나아가야 하지만, 취약한 인구가 고통받지 않도록 조심해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 2015년 12월 파이낸셜 익스프레스에서 "현금이 마지막 마일(last mile)에 고착됨 – 은행들은 은행 특파원 모델을 올바르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칼럼: 현금 이전을 통해 여성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 무조건적인 현금 이전을 통해 여성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여성의 삶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 수 있다."(박사와 함께). 파이낸셜 익스프레스의 가이 스탠딩) 2015년 5월
- 2014년 12월 인도 익스프레스에서 "적용되는 조건 없음"
- 거버넌스 now, 2014년 5월 "CSR을 활용해 인민부문을 강화하자"
- 2014년 인디안 익스프레스에서 "The Uncounted"
- "남아시아 국가들 간에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여성 가정 노동자들: 2011년 12월 SAARC 인재육성 저널 7권 1호 1호에서 SEWA와 홈넷의 경험(도나 도네와 함께)
- 2010년 경제 및 정치 주간지 Vol. XLV, 26&27호에서 "고정 파이프와 관료주의적 깜빡이" (Guy Standing 포함)
- 비교 노동법 정책 저널, 제27권, 제2호, 2006년 겨울의 "비공식 경제 여성 노동자들을 위한 사회적 보호" (샬리니 신하와 함께)
- 2004년 경제정치주간지 XXXIX, 제48권 XXXIX의 "직장의 아이디어" (엘라 바트와 함께)
- 2003년, 변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에서 "인도 여성들은 집단 행동을 촉발시키기 위해 비디오를 사용한다."
- "새로운 형태의 근로자 조직: 2003년 4월 6월 인도 노동 경제 저널 46권 2호에서 "표현과 목소리의 시스템"을 향하여.
- 2002년 5월 25일 경제정치주간지 '자유화와 여성노동자'(샬리니 신하와 함께)
- "인도적 노동조합원: 2001년 11~12월 호 127호 만우시에 있는 자발라의 노동자 권리를 위한 선구적 노력".
- 122호 마누시의 "지진의 여파로: SEWA의 쿠치 구호 활동"
- 2001년 10~12월 인도 노동경제학 저널(The Ind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Conference Event)에 실린 "비조직 부문의 여성 노동자들을 위한 사회보장"(샬리니 시나와 함께)
- "자유화와 여성"은 2000년 11월, 풋루즈 노동에 관한 특별 이슈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다.
- 2000년 7월, 노점상 특별호 세미나에서 "역할과 인식"
- 1998년 경제정치주간지 제33권 제10호 '근로자의 필요에 따른 최저임금'
- 경제정치주간지 XXX "미조직 부문을 위한 사회보장"1998년 5월 22일 III.
- 1998년 국가 적용 경제 연구 간행물인 "성별, 고용 및 보건 노동 시장의 개입 사례 연구".
- "비조직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1997년 10월~12월 NCAER 간행물 제30권 제1호에 수록된 "SEWA 경험"의 교훈.
- "인민 부문 여성: 1997년 8월-9월 사회복지 분야 "SEWA"의 경험, 제44권, 제5-6호, 제5-6호.
- 1997년 4월 세미나에서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자를 위한 준비"
- "그림자 밖으로: 1996년 제 18호, SEED의 "국제 인정을 위한 노동자 조직" (제인 테이트와 함께)
- 1996년 4월 뉴델리 Centre for Communications, Centre for Communications, Vol. 2권 4호 노동 파일의 "인도 주도할 수 있다"
- 1995년 12월 9일 경제 및 정치 주간지 "보이지 않는 노동자들이 국제 고원에 도달하다"
- 레나나 하발라와 우샤 주마니가 쓴 "아흐메다바드 2001: 빈곤층을 위한 계획—자영업 여성에 초점을 맞춘 것"은 1988년 10월 12월, XX권, 제4권, 제4권이다.
- 1986년 1월~2월 아메다바드의 채소 판매상들의 투쟁"이라고 주장했다.
- 1985년호, 마누시 "밀스에서 거리로: 아메다바드 직물 제분소에서 여성의 긴축에 관한 연구"
- "완전한 성공도 완전한 실패도 아니다: SEWA는 "비디" 노동자들을 조직한다, Manushi, 제22호, 1984년 5월~6월.
3. 편집된 볼륨의 선택된 기사
- "지상에서 본 세계화와 경제개혁: SEWA의 인도에서의 경험" (edd.) 인도의 신흥경제: 1990년대 실적과 전망, 그리고 MIT 프레스, 캠브리지, 2004년 MA.에서 본 것. 2002년 4월 19-20일 코넬 대학교에서 열린 인도 경제 회의에서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ISBN 978-0-26202-556-0
- Veena Jha (ed.) Trade, Globalization and Gender—Evidence from South Asia.의 "세계화, 자유화 및 비공식 경제의 여성" UNDP 및 UNCTAD와 협력하여 UNIFEM 출판물, 2003. ISBN 978-0-91291-785-6
- 주드 페르난도와 알리사 아이레스, 진보, 약속, 파트너십의 "개발의 리더로서의 여성" 1998년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또한 1998년 10월 5일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컨퍼런스에서 기조 연설로 진행되었다.
- 인도 여성노동자 비나 마줌다르(ed.)의 '일하는 여성: 신화와 현실—무슬림 여성노동자 그룹의 경험' Chanakya Publishes for ICSSR, 1990. ISBN 978-8-17001-073-9
- 인도 도시빈곤의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 "도시 지역의 가난한 여성: 취약 계층에 도달하기" 1999년 뉴델리 국립 도시문제연구소
4. SEWA 아카데미 출판물
- Renana Jhabvala, Mirai Chatterjee, Mita Parikh, 1996년에 Sangini 육아와 노동자의 협동조합을 통한 CDS 구현의 영향.
- 인민부문의 노동세계와 그 내재적 강점: 레나나 하발라와 엘라 바트의 SEWA 경험, 1995.
- 1995년 레나나 하발라의 비공식 경제 여성들.
- "나의 집, 나의 직장: 타나바나의 보안으로부터의 투쟁의 삶 칼 오스너와 마날리 샤(N.d.)와 함께 워프와 웨프트 오브 라이프(Weft of Life)이다.
- 성장하는 도시경제에서 노점상의 역할(n.d.)
- 임금에 기반한 가정용 작업자 고정 비율: 라히마 샤이크, SEWA 아카데미 팀과 함께 한 인도 구자라트 노동자들의 조사에 기초한 기술 연구, 1995.
- 인민 부문의 섬유: 글로벌 무역 관행이 인도의 비조직 섬유 부문의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1995년. 또한 남아시아의 글로벌 무역 관행 및 빈곤 해소에 관한 지역 세미나 의 일부: 1995년 1월 30일~2월 1일 UNIFEM과 스웨덴 국제개발청(SIDA), 뉴델리(New Delhi)가 주관한 성별 관점.
- 1991년 Namrata Bali, Working Paper, Series II, 1991년 "My Life, My Work: SEWA 도시 구성원의 사회학적 연구".
참조
- ^ "Author Page". openDemocracy. Retrieved 10 March 2020.
- ^ "Padma Awards Directory (1954–2009)" (PDF). Ministry of Home Affai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0 May 2013.
- ^ "Renana Jhabvala" (PDF). Wiego.org.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Jhabvala, Renana (27 February 2012). "Celebrating Women's Leadership". India International Centre. Retrieved 13 May 2018.
- ^ a b "Indian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nana Jhabvala". Retrieved 10 March 2020.
- ^ https://sewabharat.org/about-us/governance/.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Renana Jhabvala" (PDF). Wiego.org.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Renana Jhabvala" (PDF). Wiego.org.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a b c d e "Governance". SEWA Bharat.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History". SEWA Bharat.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a b c d "Renana Jhabvala". Ideas for India.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About Us". HomeNet South Asia. Retrieved 20 February 2021.
- ^ Wiego (PDF) https://www.wiego.org/sites/default/files/resources/files/Renana-Jhabvala-CV.pdf. Retrieved 20 February 2021.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Renana Jhabvala". HACHETTE India.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Renana Jhabvala". next billion. Retrieved 22 February 2021.
- ^ "Renana Jhabvala" (PDF). Indian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trieved 20 February 2021.
- ^ "Padma Awards" (PDF).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 Retrieved 21 Jul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