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올리 역
Miaoli railway stationTRA 철도역 | |||||||||||||||||
![]() | |||||||||||||||||
한자이름 | |||||||||||||||||
중국어 번체 | 苗栗 | ||||||||||||||||
| |||||||||||||||||
일반 정보 | |||||||||||||||||
위치 | 1 웨이공 Rd 미아올리군 미아오리 타이완 | ||||||||||||||||
좌표 | 24°34′12″N 120°49′20″E/24.5700°N 120.8223°E좌표: 24°34′12″N 120°49′20″E / 24.5700°N 120.8223°E | ||||||||||||||||
회선 | |||||||||||||||||
거리 | 킬릉로140[1].6km | ||||||||||||||||
연결 | |||||||||||||||||
건설 | |||||||||||||||||
구조형식 | 지상 레벨 | ||||||||||||||||
다른 정보 | |||||||||||||||||
스테이션 코드 | T03(통계학) | ||||||||||||||||
분류 | 퍼스트 클래스(중국어: 一等)[2] | ||||||||||||||||
웹사이트 | www | ||||||||||||||||
역사 | |||||||||||||||||
열린 | 1903년 5월 25일 ([3] | ||||||||||||||||
전기화됨 | 1978년 7월 18일 ([4] | ||||||||||||||||
이전 이름 | 비오리츠(일본어: 苗栗) | ||||||||||||||||
승객 | |||||||||||||||||
2017 | 연간[5] 442만6000명 ![]() | ||||||||||||||||
순위 | 228명 중 29명 | ||||||||||||||||
서비스 | |||||||||||||||||
| |||||||||||||||||
위치 | |||||||||||||||||
미아올리(중국어: 苗栗; 핀인:미아올레)는 타이완 철도가 운행하는 대만 미아올리 현의 철도역이다.
개요
역은 한 쪽 편 승강장과 한 쪽 섬 승강장이 있다.관광안내소도 갖추고 있다.미아올리 역은 타이중 선의 중요한 역이며, 화물/화물 서비스를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역사
- 1903년 5월 25일:이 역은 일본 시대에 별리쓰에키(별리쓰에키)로 지어졌다.
- 1930: 역은 벽돌 건물로 재건축된다.
- 1935년 4월 21일: 1935년 신치쿠-타이추 지진 이후 역이 재건되었다.
- 1935년 4월 24일:역 기차 창고가 재건되었다.
- 1943년: 그 역은 태평양 전쟁 중에 폭격으로 파괴되었다.
- 1955년 8월:역의 교통량 증가로 인해 1번 승강장이 재건축되고, 고가 보행로가 철거되고, 터널이 새로 건설되었다.
- 1975년 11월:3세대 역은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해 2층 역으로서 재건축하였다.
- 1978: 제2층 및 역 입구는 시계를 포함하도록 재구성된다.
- 1997: 마운틴 라인의 복선전철 건설로 인해 역의 입구, 승강장, 증설 등 다시 한번 역의 재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 1998년 10월 11일: 복선전철 사업 완료 후 역은 정차역이 된다.
- 1999년 6월 10일:TRA 철도 박물관은 서비스를 위해 문을 연다.
- 2006년 11월 1일:푸안 지하도는 이용하기 위해 개방된다.
- 2008년 6월 25일:타로코 급행은 역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 2009년 6월 16일:이 역은 쯔치앙 유한운행의 발원지가 된다.
- 2010년 10월 29일:교차 플랫폼 스테이션 설계를 위한 공사가 시작된다.
- 2010년 12월 22일: 중화민국 10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TRA는 (남측 링크 라인을 통해) 미아올리에서 화롄까지의 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한다.
플랫폼 레이아웃
여객서비스
1 | 1 | ■ 서해안선(남행) | 타이중, 치에이, 가오슝, 핑둥 쪽으로 |
2 | (플랫폼 없음) | ■ 트랜스퍼 라인 | 주차/트랜스퍼 트랙 |
3 | 2A | ■ 서해안선(북행) | 타이베이 타오위안 방면, 치두 방면, 킬룽 방면 |
■ 동부선 (크로스선 남행) | 일란, 수아오, 화롄, 타이퉁을 향하여 | ||
4 | 2B | ■ 서해안선(남행, 발원) | 가오슝 향, 핑둥 향, 타이둥 향, 화롄 향 |
■ 서해안선 - 해안선, (북행, 청즈후이선을 통해 발원) | 원리 방향, 타이베이 방향, 화롄 방향, 타이퉁 방향 | ||
■ 서해안선(북행, 발원) | 킬룽과 수아오, 화롄과 타이퉁을 향하여 | ||
■ 서해안선(남행, 발원) | 창화 방면, 두류 방면, 치에이 방면, 가오슝 방면 |
운임서비스
1 | 1 | ■ 서해안선(프리라이트) 북쪽/남쪽 방향 | 타이둥, 타오위안, 타이베이, 킬룽을 향해 |
■ 서해안선(프리라이트) 크로스 라인 북쪽/남쪽 방향 | 일란, 수아오, 화롄, 가오슝을 향하여 |
역 주변
- 미올리 현
- 미올리군 도시계획 전시관
- 미아올리 철도박물관
- 국립 유나이티드 대학교
- 까르푸 미아올리 지부
- 펑니안 성야시장
- 문화원 야시장
- 스테이션 프런트 마켓
- 미아오리이밍사
- 중산 Rd.올드 스트리트
- 중정 Rd.올드 스트리트
- 미올리 현립 공공도서관
- 미아올리 현립 국제 문화 센터
참고 항목
참조
- ^ "Archived copy" 各站營業里程-1.西部幹線. Taiwan Railways Administration (in Chinese). 11 Dec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18. Retrieved 1 September 20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rchived copy" 車站數-按等級別分 (PDF). Taiwan Railways Administration (in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0 October 2018. Retrieved 30 October 20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蘇昭旭. 台灣鐵路車站大觀 [The Practical Guide of Taiwan Railway Stations] (in Chinese (Taiwan)). 人人出版. p. 64. ISBN 978-986-461-140-9.
- ^ "Archived copy" 臺灣鐵路電訊. Taiwan Railways Administration (in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18. Retrieved 12 September 20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rchived copy" 臺鐵統計資訊. Taiwan Railways Administration (in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ugust 2018. Retrieved 1 September 20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TRA 미아올리 역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