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엘 2세

Michael II Asen
미카엘 2세
Michael-Asen-Kastoria.jpg
불가리아의 황제
군림하다1246–1256/1257
전임자칼리만 아센 1세
후계자칼리만 아센 2세
태어난c. 1239
죽은1256년/1257년 1월
배우자마스코의 안나
아센 왕조
아버지이반 아센 2세
어머니아이린 콤네 두카이나

마이클 2세 아센(불가리아어: ::и II а iiе; 1239년 – 1256년 12월/1257년 1월)[a]은 1246년부터 1256년 또는 1257년까지 불가리아의 황제(tsar)였다.그는 이반 아센 2세아이린 콤네네 두카이나의 아들이었다.그는 이복동생 칼리만 1세의 뒤를 이었다.그의 어머니나 다른 친척들은 그의 소수민족 기간 동안 불가리아를 통치했을 것이다.

요한 3세, 니케아의 황제 두카스 바타체스에피루스의 마이클 2세가 마이클의 즉위 직후 불가리아를 침공했다.바타체스는 바르다르 강을 따라 불가리아 요새를 점령했고, 에피루스의 미카엘은 마케도니아 서부를 점령했다.라구사 공화국과 연합하여 1254년 마이클 2세 아센이 세르비아에 침입하였지만 세르비아 영토를 점령할 수는 없었다.바타츠가 죽은 후, 그는 니스카에게 빼앗긴 대부분의 영토를 재조명했지만, 바타체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테오도르 2세 라스카리스가 성공적인 반격에 나서면서 마이클은 평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조약 직후 불만을 품은 소년(고블맨)들이 마이클을 살해했다.

초년기

A bearded man wearing a crown and holding a long sword in his right arm right above his shoulder
마이클의 아버지 이반 아센 2세의 기념비

마이클은 불가리아의 이반 아센 2세아이린 콤네네 두카이나의 아들이었다.[1]그는 아마도 1239년에 태어났을 것이다.[1]1241년 상반기에 세상을 떠난 그의 아버지는 마이클의 7살 이복동생 칼리만이 뒤를 이었다.[2]칼리만은 1246년 8월이나 9월에 (동시대적인 소문에 의하면 중독으로 인해) 뜻하지 않게 죽었다.[1][3]

군림하다

영토손실

겨우 7, 8세였던 마이클이 이복동생의 뒤를 이었다.[1]학설에 따르면 마이클의 어머니는 그의 소수민족 시절 불가리아를 통치했지만, 그의 대관식이 끝난 지 불과 3개월 만에 테살로니키에 머물렀다.[1][3]다른 이론에 따르면, 그의 처남인 세바스토크레이터 피터가 소차르에 대한 섭정을 맡았다.[1][3]

니케아의 황제 요한 3세는 칼리만이 죽은 직후 불가리아를 침공했다.[3][4]그는 세레스를 사로잡고 지역 주민들의 지원으로 멜니크를 사로잡았다.[5]그는 곧 바르다르 강의 골짜기를 침공하여 그 지역의 모든 요새를 점령하였다.[3][5]에피루스의 지배자인 미카엘 2세 콤네노스 두카스도 불가리아에 침입해 서부 마케도니아를 점령했다.[3]불가리아인들은 1246년 말이나 1247년 초 평화 조약에서 바타체스가 정복한 것을 인정했다.[6][7]조약은 또한 그들에게 콘스탄티노플의 라틴 제국에 대항하여 바타츠를 지원하도록 규정하였다.[6][7]

새로운 전쟁

헝가리의 벨라 4세는 1247년 6월 2일 호스피스탈러 기사단에게 세베린의 바나테를 승인했다.[8]그 보조금 헌장은 불가리아를 공격하려는 베라의 계획을 증명하면서 호스피스탈러들이 군사 지원을 할 반대 국가들 중 불가리아를 열거했다.[9]헝가리와 불가리아의 긴장된 관계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군은 1247년 8월 바타체스를 도와 라틴 제국의 트라키아 영토를 침공했다.[7]

1253년에서 1255년 사이에 몽골 제국을 방문한 루브록의 윌리엄은 몽골인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국가들 중 마이클의 영지("블라키아-아산의 영토-그리고 리틀 불가리아")[10]를 열거했다.[11]마이클은 1254년 세르비아의 왕 스테판 우로시 1세를 상대로 라구사 공화국(현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과 동맹을 맺었다.[12]이 조약은 세바스토크레이터 피터가 불가리아의 넓은 영토를 마이클과 거의 독립적으로 통치했음을 보여준다.[13]흄의 라도슬라브군이 연합군에 합류한 후, 마이클은 세르비아에 대항하여 캠페인을 벌이며 비젤로 폴제까지 도달했다.[12][14]학설에 따르면 불가리아에 대한 헝가리의 공격으로 마이클이 세르비아에서 급히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12]

바타체스는 1254년 11월 4일에 죽었다.[15]미카엘은 상당한 니케네 군대의 부재를 틈타 마케도니아에 침입하여 1246년 또는 1247년에 바타체스에게 빼앗긴 땅을 재조사하였다.[15][16]비잔틴 역사학자 조지 아크로폴리스는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는 지역 주민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요크'[17][15][18]를 떨쳐내고 싶어 마이클의 침공을 지지한다고 기록했다.헝가리와의 평화로운 관계를 확보하기 위해 마이클은 베를라 4세의 딸 안나(Anna)와 남편 로스티슬라프 미하일로비치(Rosislav Mikilovich)의 딸이었던 마스코의 안나(Annna)와 결혼했다.[15]카스토리아의 세인트 마이클 교회의 아이콘에 그려진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마이클과 그의 아내(또는 어머니)와 잘못 연관되어 있었다.[19]

지난 해

바타체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테오도르 2세 라스카리스는 1255년 초 반침략을 감행했다.[20]루브록은 니스카와 불가리아의 새로운 전쟁을 언급하면서 마이클을 "몽골에 의해 힘이 침식된 한낱 젊은이"[21]라고 묘사했다.[20]마이클은 침략에 저항할 수 없었고 니케네 군대는 스타라 자고라를 사로잡았다.[22]테오도르의 군대가 침공을 계속하지 못하게 한 것은 오직 혹독한 날씨뿐이었다.[22]니케네 부대는 봄에 공격을 재개하여 로도프 산맥의 대부분의 요새를 점령하였다.[22]멜니크에서의 반란으로 테오도르는 마을을 향해 진군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는 겨우 폭도들을 물리치고 겨우 겨울을 나기 위해 아시아 마이너로 돌아왔다.[22]

마이클은 1256년 봄에 니카 제국의 유럽 영토에 침입했다.[22]그는 콘스탄티노플 근처에서 트레이스를 약탈했지만 니케네 군은 그의 쿠만 군대를 무찔렀다.[23]그는 6월에 장인에게 불가리아와 니케아의 화해를 중재해 달라고 부탁했다.[23]테오도르는 마이클이 불가리아를 위해 주장했던 영토의 손실을 인정한 후에야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로 동의했다.[23]이 조약은 마릿사 강의 상류를 양국 국경으로 정했다.[18]평화 조약은 마이클을 그의 사촌인 칼리만 아센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한 많은 보야르들을 격분시켰다.[23][24]칼리만과 그의 동맹들은 1256년 말이나 1257년 초에 그의 상처로 죽은 차르족을 공격했다.[23][24]

불가리아인들의 통치자인 마이클은... [테오도레 2세 라스카리스]와 로마인에 대한 엄청난 증오를 키웠던 사람은 [타르노보]의 특정 거주민들에 대한 지식으로 그의 첫 사촌 칼리만에게 치명상을 입었는데, 그때 [마이클]은 이 마을 바깥 어딘가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즉시 죽었다.

George Akropolites: The History[25]

조상

메모들

  1. ^
    불가리아 역사학에서는 마이클 2세 아센[29](Michael II Asen, (а II аанн)으로 알려져 있다.[30][31]

참조

  1. ^ a b c d e f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36. 대상 (
  2.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25, 229. 대상 (
  3. ^ a b c d e f 맑음 1994 페이지 156.
  4.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728.
  5. ^ a b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37. 대상 (
  6. ^ a b 맑음 1994, 페이지 157.
  7. ^ a b c 마드게아루 2016, 페이지 238. 오류: 없음:(
  8. ^ 2005년 바사리 146페이지
  9.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38–239. 대상 (
  10. ^ 루브루크의 윌리엄 주교의 임무 (1.5), 페이지 66.
  11.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33–234. 대상 (
  12. ^ a b c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39. 대상 (
  13.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45. 대상 (
  14. ^ 좋아 1994, 페이지 201.
  15. ^ a b c d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40. 대상 (
  16.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730.
  17. ^ 조지 아크로폴리스:역사(54장), 페이지 283.
  18. ^ a b 맑음 1994 페이지 159.
  19.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40–241. 대상 (
  20. ^ a b 마드게아루 2016, 페이지 241. 오류: 없음: (
  21. ^ 루브루크의 윌리엄 프리알의 미션 (에필로그 2. 페이지 277).
  22. ^ a b c d e 마게아루 2016, 페이지 242. 대상 (
  23. ^ a b c d e 마드게아루 2016, 페이지 243. 오류: 없음:(
  24. ^ a b 맑음 1994, 페이지 170.
  25. ^ 조지 아크로폴리스:역사 (73장), 페이지 334.
  26. ^ 마게아루 2016, 페이지 81, 112, 221, 236. 대상 (
  27. ^ 니콜 1984, 페이지 252.
  28. ^ 트레드골드 1997, 페이지 660.
  29. ^ Kiril Petkov (31 August 2008). The Voices of Medieval Bulgaria, Seventh-Fif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a Bygone Culture. BRILL. pp. 532–. ISBN 978-90-04-16831-2.
  30. ^ Димитър Зафиров (2007).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TRUD Publishers. pp. 164–. ISBN 978-954-528-752-7.
  31. ^ Vasil Gi͡uzelev (1981). Srednovekovna Bŭlgarii︠a︡ v svetlinata na novi izvori. Nar. prosveta. p. 165.

원천

일차 출처

  • 조지 아크로폴리스:History (Ruth Macrides에 의해 번역 및 소개 및 해설)(2007)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921067-1
  • 루브루크의 윌리엄 수상의 임무: 1253–1255년 (피터 잭슨이 번역, 소개, 노트, 부록이 피터 잭슨과 데이비드 모건이 번역함) 대칸 뮌케의 코트로의 여행 (2009년)하클루이트 학회.ISBN 978-0-87220-981-7.

이차 출처

  • Fine, John V. A. (1994).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0-472-08260-4.
  • Madgearu, Alexandru (2017). The Asanids: The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of the Second Bulgarian Empire, 1185–1280. BRILL. ISBN 978-9-004-32501-2.
  • Nicol, Donald M. (1984). The Despotate of Epiros, 1267–1479: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Greece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3089-9.
  • Treadgold, Warren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2630-2.
  • Vásáry, István (2005). Cumans and Tatars: Oriental Military in the Pre-Ottoman Balkans, 1185–13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3756-1.
미카엘 2세
출생: c. 1239사망: 1256/1257년
섭정 직함
선행자 불가리아의 황제
1246–1256/57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