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레드힐
Michael Redhill마이클 레드힐 | |
---|---|
![]() 에덴 밀스 작가 축제의 레드힐 | |
필명 | 잉거 애쉬 울프 |
아이들. | 2 |
마이클 레드힐(Michael Redhill, 1966년 6월 12일 출생)은 미국 태생의 캐나다 시인, 극작가, 소설가다.[1] 그는 또한 Inger Ash Wolfe라는 필명으로 글을 쓴다.[2]
조기생활과 교육
레드힐은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서 태어나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서 자랐다.[3] 그는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1년간 공부한 뒤 캐나다로 돌아와 요크 대학교와 토론토 대학교에서 교육을 마쳤다.
경력
레드힐은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하우스 프레스 코치의 편집 이사회에서 일했으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캐나다의 문학 잡지 브릭의 발행인이었다. 2001년 그의 소설 마틴 슬로운은 길러상 후보에 올랐다.[4] 2017년 소설 벨뷰 광장(Bellevue Square)으로 길러상을 수상했다.[5]
그의 최신 시집인 트위치 포스는 2019년에 출판되었다.[6][7]
잉거 애쉬 울프 역
2012년 레드힐은 자신이 2008년 울프의 추리소설 출판사들이 '잘 알려져 있고 존경받는 북미 문학 소설가'의 필명으로 표현한 잉거 애쉬 울프라는 필명으로 출판된 소설의 저자임을 밝히기도 했다.[8] 그 가명은 원래 덴마크의 범죄 작가가 이미 그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인정되기 전까지 잉거 울프(Inger Wolf)로 되어 있었다.[9]
울프로서 레드힐은 캐나다, 미국, 영국에서 동시 개봉한 2008년 그의 첫 추리 소설 "The Calling"을 출간했다. 이 책은 좋은 평을 받았지만, 이 책들 중 많은 사람들에게 저자의 진짜 정체성에 대한 추측이 큰 역할을 했다. 캐나다 평론가들은 린다 스팔딩, 마이클 레드힐, 제인 우르쿠하트, 데이비드 애덤스 리처즈 등을 추천했다.[10] 미국 평론가들은 마거릿 애트우드, 그리고 팔리 모왓을 제안했다.[11] 울프의 두 번째 소설 테이큰은 2010년에 출판되었다. 세 번째, A Door in the River는 2012년에 출판되었다. 책마다 시리즈 탐정 헤이즐 미칼레프가 등장한다. 이 시리즈의 네 번째 소설 '밤의 종'은 2015년에 출판되었다. 2014년 8월, 수잔 사란던이 헤이즐 미칼레프 역으로 출연한 영화 '더 콜링'이 개봉되었다.
출판물
시
- 사일런스를 위한 음악 (자체 출판, 1985년)
- 임시 캡티브(개인적으로 게시됨, 1989년)
- 즉흥적인 균형감각(Don Mills, ON: Wolsak and Wynn, 1990)
- 노라 암스 호수(토론토: 코치 하우스, 1993; 아난시 하우스 재발행, 2001)
- 아스포델 (토론토: McClelland and Stewart, 1997)
- 라이트 크로싱(토론토: 아난시 가문, 2001)
- 트위치 포스(토론토: 아난시의 집, 2019)
픽션
- 마틴 슬로운(토론토: 더블데이 캐나다, 2001)
- 피델리티(토론토: 더블데이 캐나다, 2003)
- 위로(토론토: 더블데이 캐나다, 2006)[12]
- 벨뷰 광장(토론토: 더블데이 캐나다, 2017)
잉거 애쉬 울프 역의 소설
- 더 콜링 (토론토: McClelland & Stewart, 2008)
- 테이큰 (토론토: McClelland & Stewart, 2010)
- 강의 문 (토론토: McClelland & Stewart, 2012)
- The Night Bell (토론토: McClelland & Stewart, 2015)
드라마
- 이단자(개인적으로 출판, 1993년)
- 예루살렘 건설(토론토: 극작가 연합 캐나다, 2001)
- 다행(토론토: 코치의 집, 2005)
앤토리얼스
- 깃발의 불일치 (개인적으로 발행, 1992년) (공동편집자)
- 블루스와 참된 결론(토론토: 아난시 가문, 1996년)
- 로스트 클래식 (토론토: Knopf Canada, 2000) (에스타 스팔딩, 마이클 온다트제, 린다 스팔딩과 함께 편집) ISBN0-676-97299-3
수상
건축 예루살렘
마틴 슬로운
- 2001년 캐나다 최초의 소설상 수상자
- 영연방 작가상 수상자(캐나다캐리빈 지역), 2002년
- 2001년 길러상 후보
- 2002년 토론토 시 도서상 후보
- 2002년 트릴리움 도서상 후보
- 2002년 Torgi/CNIB상 후보
위로
벨뷰 광장
- 2017년 스코티아방크 길러상 수상
기타상
- 1988년 캐나다 시인 연맹 전국시인대회 1등상
- 노마 엡스타인 시상(토론토 대학), 1990년
- E.J. Pratt Prize for 시(University of Toronto,
- 2006년 에딘버러의 캐롤 탐보르 베스트 어워드(Godd, Godder, 2006)
- 스코틀랜드인 프린지 제1상(에딘버그 페스티벌 프린지), 2006년
사생활
레드힐은 아들이 둘 있고 토론토에 살고 있다.[13]
그는 벨뷰 광장행 CA$100,000 Giller Prize 수표를 현금으로 바꾸었을 때 그의 은행 계좌에 411.46이 남아 있었다.[13]
참조
- ^ 캐나다 백과사전의 마이클 레드힐.
- ^ "마이클 레드힐 2017 Giller Prize" 캐나다 언론, 2017년 11월 20일 빅토리아 아헨
- ^ "질러상 수상자인 마이클 레드힐은 문학과 토론토에 살고 있다." 2017년 12월 3일 글로브 앤 메일
- ^ "길러 상은 작가 마이클 레드힐이 먹고 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토론토 스타, 데보라 던다스, 2017년 11월 20일
- ^ Ahearn, Victoria (November 20, 2017). "Michael Redhill wins Scotiabank Giller Prize". CTV News.
- ^ '2019년 봄 체크아웃 캐나다 시 20편' CBC 북스, 2019년 1월 25일.
- ^ "미카엘 레드힐의 트위치 포스" 퀼 앤 퀴어, 2019년 4월.
- ^ 마이클 레드힐 "진짜 잉거 애쉬 울프가 일어선다" The Globe and Mail, 2012년 7월 27일.
- ^ 사라 와인만, 2008년 2월 6일 "인거 애쉬 울프 응답"
- ^ 이 목록은 2008년 5월 25일 '인거 애쉬 울프'의 아이디에 대한 추측성 어바운스: "누가 미스터리 작가인가: 추측성"이라는 노바스코시안의 메리 조 앤더슨의 리뷰에서 나온 것이다. 참고 항목: 비트 바그너 "책 미스터리: Inger Ash Wolfe가 누구인가?: 범죄 소설의 필명 작가의 정체성에 대한 추측이 곧 출간될" 2008년 2월 17일 토론토 스타"에 대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 2008년 5월 5일 LA 타임즈 북 리뷰, LA 타임즈 북 리뷰, "잉거 애쉬 울프의 "The Calling": 여자 형사는 캐나다 시골에서 악랄한 연쇄 살인범을 가면을 벗기고 막아야 한다."
- ^ "모든 예술은 실패한 예술이다." 마이클 레드힐은 실패를 편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CBC 뉴스, Ryan B. 패트릭 · 2017년 11월 20일
- ^ a b Doherty, Brennan (November 23, 2017). "Michael Redhill had $411 in the bank before depositing $100,000 Giller Prize cheque". Toronto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