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쟁이 세포

Midget cell
난쟁이 세포
Midget vs Parasol cell.png
크기 비교를 위해 파라솔 셀(오른쪽)과 난쟁이 셀(왼쪽)의 스케치
세부 사항
일부의 망막
시스템.시각계
해부학 용어

난쟁이 세포는 망막신경절세포(RGC)의 한 종류이다.난쟁이 세포는 망막신경절 세포 층에서 유래하고, 외측 유전핵(LGN)의 근세포 층에 투영됩니다.난쟁이 세포의 축삭은 시신경시신경을 통해 이동하며, 궁극적으로 LGN의 근세포 세포와 동기화됩니다.이 세포들은 수지상 나무와 세포체의 작은 크기 때문에 난쟁이 망막 신경절 세포로 알려져 있다.RGC의 약 80%는 난쟁이 세포이다.비교적 적은 수의 로드와 원뿔로부터 입력을 받습니다.많은 경우, 그것들은 각각 [1]하나의 원뿔에 연결된 난쟁이 양극성 세포에 연결됩니다.

이러한 뉴런은 길항 중심과 주변이 있는 대략적인 원형 수용 필드를 보여준다. 이 특성은 공간적 대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뉴런은 [2]일반적으로 수용 영역의 중심에 떨어지는 광자에 의해 흥분되는지 또는 억제되는지에 따라 ON 또는 OFF-중심으로 나뉜다.이러한 셀의 대부분은 색적으로 반대되는 것으로, 장파장과 중파장의 가시광선(각각 빨간색과 녹색에 근사)이 중심과 [2]주변에 반대 효과를 발휘한다.예를 들어, 색적으로 대립하는 L-ON 미드젯 셀은, 수신 필드 중앙에 있는 원뿔 또는 원뿔에 긴 파장의 빛이 떨어지면, 들뜨고(그리고 스파이크 활동 전위를 높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수신 [2]필드 주위에 떨어지는 중파장 빛에 의해 억제됩니다.단, 모든 난쟁이 세포가 색상으로 [2]대항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들은 느린 전도 속도를 가지고 있고 높은 시간 주파수(즉, 빠르고 낮은 공간 주파수)[3]에 매우 민감하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눈, 인간."브리태니커 백과사전"200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06 Ultimate Reference Suite DVD
  2. ^ a b c d Le, Wool; Jd, Crook; Jb, Troy; Os, Packer; Q, Zaidi; Dm, Dacey (2018-02-07). "Nonselective Wiring Accounts for Red-Green Opponency in Midget Ganglion Cells of the Primate Retina".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PMID 29305531. Retrieved 2020-05-29.
  3. ^ Kandel, Eric; Schwartz, James; Jessell, Thomas (2000-01-05).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Fourth Edition. ISBN 0838577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