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로 지브코비치
Mihailo Živković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지브코비치 – · · · (2021년 4월) (이 템플릿 하는 |
미하일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Belgrade, 1856년 8월 29일 세르비아 공국 - 베오그라드, 1930년 4월 28일 세르비아 왕국)는 세르비아의 장군이자 전쟁 장관이었다.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세르비아-투르크 전쟁, 1885년 세르보-불가리아 전쟁,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대를 지휘했고 군복무로 많은 훈장을 받았다.
어린 시절과 가족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856년 8월 29일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조반은 상인이었고 그의 어머니는 스탄카라고 이름 지어졌다.아버지와 어머니의 대사를 통해 밀렌코 스토지코비치, 하지쿠 벨지코 페트로비치의 후손이었다.그는 베오그라드에서 초등학교와 체육관을 마쳤다.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발예보 출신의 상인 란코 고데바크의 딸 다린카와 결혼했다.그들에게는 세 아들 미오그라그와 요반과 밀라노가 있었다.[1] [2]
세르비아-터키 전쟁
1874년 9월 20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세르비아 군에 입대했다.포병학교 11학급 생도로 배치되었다.[3] 그는 1875년 9월 6일 생도 상병으로, 1876년 5월 4일 생도 부관, 1876년 7월 1일 생도 하사로 진급했다.
포병학교 2학년을 마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생도 병장으로 오스만군과 싸우기 위해 파견되었다.그는 자보르 군 사령관인 프란티셰크 자흐 장군에 질서정연하게 배속되었다.보병[의사]으로 진급된 후, 2급 우지체 여단의 라차 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차차크 여단의 전임 지휘관으로서 프리폴락 능선을 넘어 프리슈티나로 왔다.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이후 차차크 여단의 드라고체보 대대장을 맡아 터키군으로부터 프로쿠플레와 쿠르수믈리야 해방에 참여했다.
평시 1878년 ~ 1885년
오스만 제국과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급 차작 여단의 부관으로 활동했다.1878년 4월 3일, 상비군 제7대대에 병장으로 임명되었다.1879년 11월.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포병학교로 돌아왔다.그는 1880년 말에 졸업했다.
졸업 후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상비군 제6대대에 병장으로 임명되었다.1882년 10월 20일 보병 중위로 진급하고 1883년 10월 12일 상비군 제8대대에 중대장이 되었다.1885년 3월 27일, 7대대에서 같은 임무를 수행하고, 9월 13일부터는 10보병연대 2대대에서 같은 위치에 있다.[1] [2]
세르보-불가리아 전쟁과 휴전
1885년 불가리아와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1보병연대 제2대대에서 처음으로 회사를 지휘했다.이후 알도미로브츠시 근방의 불가리아군 3개 진지를 점령한 제2대대의 사령관이 되었다.불가리아와 정전협정을 체결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886년 3월 11경비대대의 중대장으로 임명되었고, 1887년 12월부터는 4월부터 근무했다.총참모부 부참모장.
1887년 12월,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러시아의 군사 대학에 보내졌다.그 동안 성에서 러시아 제국군 제145연대와 함께 연습했다. 페테르부르크.그는 1889년 러시아에서 수행된 기동훈련에 참가했다.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889년 10월 학교를 마치고 세르비아로 돌아왔다.
1889년 10월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가 제3경비대대대대대대령 직무대행으로 임명되었다.동시에 대학교에서 사격과 소총 싸움도 가르쳤다.1890년 10월.그는 피토마치카 사관학교의 사령관이 되었다.그는 1891년 6월 12일까지 그 직책에 머물러 있었는데, 그 때 그는 전쟁부 종합군사부 총참모부에 근무하게 되었다.
1891년 10월부터 1893년 8월까지.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가 연기자로, 그 후 제6보병대대대장이 되었다.그 후 1894년 6월까지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제3 근위대 연대장을 지냈다.1894년 6월 1일 슈마디자 사단장 직무대행을, 같은 해 9월 9일 보병사찰단 참모총장 직무대행을 맡았다.
1894년 12월 10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두 번째로, 전쟁부 총참모부로 이관되었다.그는 1895년 3월 22일부터 1897년 3월 18일까지 보병 부사관학교의 지휘관이었다.그때부터 1897년 12월까지 14보병 연대장이자 크나셰바크에 있는 그곳의 사령관이었다.1897년 12월 25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현역군사령부 군단부의 보병 장교로 임명되었다.[4][5]
1900년 3월 23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티모치카(Timochka)의 지휘관 대행이 되었으며, 이후 1901년 10월 30일부터 드리나 보병여단 사령관이 되었다.1902년 4월 19일부터 1902년 10월 11일까지, 그는 nis의 지휘관으로 있다가 티모크 사단장이 되었다.지휘 임무 외에도 1902년 5월부터 10월까지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육군사관학교에서 전술을 가르쳤다.1903년 7월부터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도 고등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1908년 3월 말 육군사관학교 소장으로 임명되었고, 다음 달에는 보병사찰관으로 임명되었다.
전쟁 장관
페타르 벨리미로비치 내각의 재건을 계기로 1908년 12월 23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가 스테파나 스테파노비치 장군을 대신하여 전쟁부 장관에 임명되었다.스토얀 노바코비치 신내각에서는 1909년 2월 11일부터 이 부서를 지켰다.
1909년 10월 1일,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류보미르 스토야노비치(Ljubomir Stojanovich)에 의해 전쟁장관으로 교체되었다.1909년 10월 9일, 그는 다시 육군사관학교의 지배인 직책을 맡았고, 그곳에서 1912년까지 머물렀다.1910~1911년 행정업무 외에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도 군징계법원장을 지냈다.[4][5]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1912년 9월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 후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군 지휘부로 복귀했다.그는 이바르 작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이 부대와 함께 노비 파자르와 라슈카의 지휘를 맡았다.1913년에는 알바니아 전선 부대의 사령관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1914년 그는 베오그라드 방위군 사령관이었다.[6]그는 1915년에 이 군대의 선두에 있었다.세르비아군이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불가리아군에 함락되면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세르비아군의 나머지 부대를 이끌고 코르푸로 가서 1916년 이 사령부가 해체되었다.
1916년 6월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러시아 세르비아 의용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이 부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 포로로 구성되었다.러시아 제국군의 지휘 아래 이 부대는 세르비아, 루신스, 슬로바키아, 체코 등 여러 민족을[7] 포함했다 1사단은 이미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가 오데사에 도착하기 전에 결성되었기 때문에 2사단의 편성을 이어받았다.
은퇴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시작되면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테살로니키 전선으로 파견되는 세르비아인 지원군단에 합류하기로 결정했으나 도중에 병이 난 뒤 파리에 머물렀다.[8]건강검진을 통해 그는 더 이상 현역 군 복무를 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918년 6월 1일 은퇴했다.[4][5]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의 국가가 성립하면서,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예비역 장교로서 군 복무를 계속하지 않기로 선택했다.[4][5]
죽음
지브코비치-그보즈데니는 1930년 4월 28일 사망하였다.[9]
장식 및 시상
- 3, 4도 칼 든 카라조레 별의 훈장
- 카라조레 왕립 3도 별
- 흰독수리 3급, 4급, 5급
- 5도 칼을 든 다코보 십자가 훈장
- 2·3도 타코보 십자가 훈장
- 생사바 2도
- 무공훈장
- 전쟁 기념 메달: 1876-1878, 1885, 1912-1913, 1914-1918.
- 위대한 세르비아 퇴각 기념 메달
참조
- ^ a b 밀리치치&포포포비치 1998, 페이지 157-161. 오류: 없음: CITREFM일리치
- ^ a b Milichevich & Popovich 2003, 93-97. sfn
- ^ Opachichi 2008, 페이지 405.
- ^ a b c d ил & && п &п 1998 1998, 페이지 157-161. 오류: 없음: CITREFмм (
- ^ a b c d ил && п &п 2003, p. 93-97. 오류: CITREFмм
- ^ Istorijski institut, B.S.U.R.; Rudić, S.; Biagini, A.; Vučetić, B. (2015). Serbian-Italian Relations: History and Modern Times : Collection of Works. Collection of Works / The Institute of History Belgrade, vol. 28. Institute of History Belgrade. ISBN 978-86-7743-109-9. Retrieved 2021-04-14.
- ^ Gahlen, G.; Petrova, D.; Stein, O. (2018). Die unbekannte Front: Der Erste Weltkrieg in Rumänien. Krieg und Konflikt (in German). Campus Verlag GmbH. ISBN 978-3-593-50961-7. Retrieved 2021-04-14.
- ^ Williamson, S.R.; Pastor, P. (1983). Essays on World War I: Origins and Prisoners of War. Atlantic studies on society in change. Social Science Monographs, Brooklyn College Press. ISBN 978-0-88033-015-2. Retrieved 2021-04-14.
- ^ [1][데드링크]
원천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 번역 및 각색: :аооооооћћћ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