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칸 전쟁

Balkan Wars
발칸 전쟁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엘리 전투, 룰 부르가스 전투, 프릴렙 전투, 킬키스-라차나스 전투, 도이란 전투
날짜.1912년 10월 8일 ~ 1913년 8월 10일
(9개월, 1주, 3일)
제1차 발칸 전쟁:
  • 1912년 10월 8일 ~ 1913년 5월 30일
    (7개월, 3주, 1일)
제2차 발칸 전쟁:
  • 1913년 6월 16일 ~ 8월 10일
    (1개월, 1주일, 5일)
위치
결과

제1차 발칸 전쟁:

제2차 발칸 전쟁:

Belligerents
제1차 발칸 전쟁:
오스만 제국
제1차 발칸 전쟁:
제2차 발칸 전쟁:
불가리아
제2차 발칸 전쟁:
지휘관 및 지도자

Ottoman Empire 437,000+


Kingdom of Bulgaria 600,000+

Kingdom of Bulgaria 450,000+
Kingdom of Serbia 230,000
Kingdom of Greece 125,000
Kingdom of Montenegro 44,500
합계:
85만명


Kingdom of Serbia 348,000
Kingdom of Romania 330,000
Ottoman Empire 255,000
Kingdom of Greece 148,000
Kingdom of Montenegro 12,800

합계:
1,093,800 men


Ottoman Empire 632,000~150만 오스만 무슬림 민간인 사망자[1][2]
Ottoman Empire 오스만 무슬림 난민[3][4] 400,000~81만 3,000명
12만명이 넘는 알바니아인들[5] 학살당했습니다.
구세르비아에서[5][6] 추방된 알바니아인은 60,000~30,000명}

발칸 전쟁은 1912년과 1913년에 발칸 국가에서 일어난 일련의 두 분쟁입니다.제1차 발칸 전쟁에서 그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의 발칸 4개국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이를 물리쳤고, 이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의 유럽 속주를 빼앗고 동트라키아만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습니다.제2차 발칸 전쟁에서 불가리아는 제1차 전쟁의 다른 네 명의 원래 전투원들과 싸웠습니다.또한 북쪽에서 루마니아의 공격에 직면했습니다.오스만 제국은 유럽에서 영토의 대부분을 잃었습니다.전투원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훨씬 확장된 세르비아가 남슬라브 민족의 연합을 추진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상대적으로 약해졌습니다.[7]그 전쟁은 1914년 7월 위기의 발판을 마련했고 따라서 1차 세계대전의 전초전 역할을 했습니다.[8]

20세기 초까지 불가리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이루었지만, 그들 민족 인구의 많은 요소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습니다.1912년에 이 나라들은 발칸 연맹을 결성했습니다.제1차 발칸 전쟁은 1912년 10월 8일 연맹 회원국들이 오스만 제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고, 8개월 후 1913년 5월 30일 런던 조약이 체결되면서 끝이 났습니다.제2차 발칸 전쟁은 1913년 6월 16일 마케도니아의 패배에 불만을 품은 불가리아가 전 발칸 동맹국들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세르비아군과 그리스군의 연합군은 우세한 수를 앞세워 불가리아군의 공세를 물리치고 불가리아를 서쪽과 남쪽에서 침공하여 반격했습니다.루마니아는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함께 공격할 군대가 온전했고, 양국 간의 평화협정을 위반하여 북쪽에서 불가리아를 침공했습니다.오스만 제국도 불가리아를 공격해 트라키아로 진격해 아드리아노플을 되찾았습니다.결과적으로 불가리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얻은 영토의 대부분을 되찾았습니다.그러나 도브루자 지방의 옛 오스만 남부를 루마니아에 넘겨줄 수밖에 없었습니다.[9]

발칸 전쟁은 모든 당사자들이 민간인에 대한 중대한 만행에 책임이 있고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전쟁 범죄를 포함한 후대의 만행에 영감을 주는 인종 청소로 특징지어졌습니다.[10][11][12][13]

배경

1900년 오스만 제국의 지도, 오스만 제국의 속주 이름.
1912년 10월 2일 영국 만화가 레너드 레이븐 힐의 펀치 만화는 "발칸의 문제"라고 표시된 냄비 위에 뚜껑을 덮고 앉아 있는 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그리고 러시아를 묘사하며 1차 발칸 전쟁에 이르기까지의 발칸 지역의 상황을 풍자합니다.
오스만 군대의 참모총장 나즈 ı름 파샤는 1913년 1월 그의 실패로 인해 젊은 터키인들에 의해 암살되었습니다.

전쟁의 배경은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에 국민국가가 불완전하게 등장한 데 있습니다.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 세르비아는 상당한 영토를 얻었고, 그리스는 1881년에 테살리아를 획득했습니다 (비록 1897년에 오스만 제국에 다시 일부 지역을 빼앗겼지만), 불가리아는 이전에 구분되었던 동부 루멜리아 지방을 통합했습니다 (1885년).몬테네그로뿐만 아니라 세 나라 모두 동부 루멜리아,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로 구성된 루멜리아라고 불리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는 큰 지역 내에 추가 영토를 구했습니다.

제1차 발칸 전쟁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4][8][15]

  1. 오스만 제국은 다양한 민족들의 민족주의가 증가하는 것에 대처할 수도, 스스로를 개혁할 수도, 만족스럽게 통치할 수도, 대처할 수도 없었습니다.
  2. 1911년 이탈리아-오트만 전쟁과 알바니아 지방에서의 알바니아 반란은 제국이 깊은 상처를 입었고 또 다른 전쟁에 반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3. 열강들은 서로 다투었고, 오스만 제국이 필요한 개혁을 수행할 것을 보장하지 못했습니다.이것은 발칸 국가들이 그들만의 해결책을 강요하도록 이끌었습니다.
  4.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지역의 기독교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아 기독교 발칸 국가들이 행동에 나서야 했습니다.
  5. 가장 중요한 것은 발칸 동맹이 형성되었다는 것이고, 그 구성원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조직적이고 동시에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는 것이 그들의 동포를 보호하고 발칸 반도에서 그들의 영토를 확장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강대국의 정책

19세기 내내 열강은 "동방의 문제"와 오스만 제국의 통합을 놓고 서로 다른 목표를 공유했습니다.러시아는 흑해로부터 지중해의 "따뜻한 바다"에 접근하기를 원했고, 범슬라브 외교 정책을 추진했고, 따라서 불가리아와 세르비아를 지원했습니다.영국은 러시아가 "따뜻한 바다"에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기를 원했고, 오스만 제국의 통합을 지지했지만, 오스만 제국의 통합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그리스를 제한적으로 확장하는 것도 지지했습니다.프랑스는 이 지역, 특히 레반트(오늘날 레바논, 시리아, 이스라엘)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를 원했습니다.[16]

합스부르크가 통치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오스만 제국의 존속을 기원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곤경에 처한 다국적 기업이었기 때문에 하나의 붕괴는 다른 하나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합스부르크 왕가는 또한 보스니아, 보이보디나 및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을 부르짖는 것에 대한 균형추로서 이 지역에 오스만 제국의 존재가 강하다고 여겼습니다.당시 이탈리아의 주요 목표는 아드리아해에 대한 다른 주요 해양 강국의 접근을 거부한 것으로 보입니다.독일 제국은 다시 "드랑나흐 오스텐" 정책 하에 오스만 제국을 사실상의 식민지로 만들려는 열망을 가졌고, 따라서 독일 제국의 통합을 지지했습니다.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불가리아와 그리스는 오스만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를 두고 경쟁했습니다.그리스인들은 그리스인들의 "불가리아화"를 추구한 불가르족의 강제적인 "헬렌화"를 추구했습니다.양국은 자국의 민족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무장한 변절자들을 오스만 영토로 보냈습니다.1904년부터 마케도니아에서는 그리스와 불가리아의 악단과 오스만 군대 사이에 저강도 전쟁이 벌어졌습니다.1908년 7월 영 튀르크 혁명 이후 상황은 급변했습니다.[17]

젊은 투르크 혁명

1908년 젊은 투르크 혁명은 오스만 제국에서 입헌 군주제의 부활과 제2차 입헌 시대의 시작을 보았습니다.반란이 일어났을 때, 그것은 지식인들과 군대 그리고 제국의 거의 모든 소수 민족들의 지원을 받았습니다.그것은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에게 1876년에 폐지된 오스만 헌법과 의회를 다시 채택하도록 강요했습니다.개혁과 자치의 희망이 발칸 민족들 사이에서 제기되었습니다.선거는 대표적인 다민족 오스만 제국 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실시되었습니다.그러나 1909년 술탄의 반쿠데타 실패 이후 젊은 투르크족의 자유주의적 요소는 소외되었고 민족주의적 요소가 우세하게 되었습니다.[18]

1908년 10월,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오스만 제국의 정치적 격변을 계기로 1878년부터 점령하고 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방을 합병했습니다.불가리아는 1878년에 그랬던 것처럼 독립을 선언했지만, 이번에는 독립이 국제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크레타 자치국의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와의 통일을 선언했지만, 강대국들의 반대로 후자의 조치는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19]

발칸반도의 반동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편입으로 북쪽에서 좌절했습니다.1909년 3월 세르비아는 합병을 수용하고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반합스부르크 선동을 억제해야 했습니다.대신 세르비아 정부(PM: Nikola Pasichi)는 과거 남부의 세르비아 영토, 특히 노비 파자르의 산작코소보 지방을 고려했습니다.

1909년 8월 15일, 그리스 장교들로 이루어진 군사동맹이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군사동맹은 새로운 정치체제를 만들기 위해 크레타의 정치가 엘레우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정치고문으로 아테네로 불러들였습니다.베니젤로스는 조지 1세를 설득해 헌법을 개정하고 연맹에 국회를 찬성하는 쪽으로 해산을 요청했습니다.1910년 3월, 군사동맹은 스스로 해체되었습니다.[15][20]

1909년 4월 오스만 제국의 독립을 인정받고 러시아의 우호를 누렸던 불가리아는 [21]오스만 제국의 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를 병합하는 방안도 모색했습니다.1910년 8월 몬테네그로는 불가리아의 전례를 따라 왕국이 되었습니다.

전쟁 이전의 조약

아드리아노플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기를 기다리는 불가리아군

1911-1912년 이탈리아-투르크 전쟁에서 이탈리아가 승리하고, 젊은 터키 정권의 오스만 제국화 정책의 심각성과 오스만 제국의 세 번의 반란이 알바니아를 점령한 후, 젊은 터키인들은 쿠데타 후 권력에서 떨어졌습니다.기독교 발칸 국가들은 어쩔 수 없이 행동에 나서야 했고, 이를 몰락하는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노예가 된 공동 애국자들을 해방함으로써 국가적 의제를 추진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겼습니다.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한 조약망을 구축하고 동맹을 맺었습니다.

발칸 국가들의 정부 간 협상은 1911년 후반에 시작되어 모두 비밀리에 진행되었습니다.그 조약들과 군사 협약들은 11월 24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 파리의 르 마탱에서 발칸 전쟁 이후 프랑스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습니다. 1911년 4월, 그리스 총리 엘레우테리오스 베니젤로스가 불가리아 총리와 합의를 이루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방어 동맹을 결성하려는 시도는 성과가 없었습니다.불가리아인들은 그리스 군대의 힘을 의심했기 때문입니다.[22]그 해 말, 1911년 12월, 불가리아와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철저한 감시하에 동맹을 맺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습니다.세르비아와 불가리아 간의 조약은 1912년 2월 29일/3월 13일에 체결되었습니다.세르비아는 "구세르비아"로 확장을 시도했고, 밀라노 밀로바노비치가 1909년 불가리아인에게 "우리가 당신과 동맹을 맺지 않는 한 크로아츠와 슬로벤에 대한 우리의 영향력은 미미할 것입니다."[23]라고 언급했습니다.반면 불가리아는 두 나라의 영향력 아래 마케도니아 지역의 자치권을 원했습니다.당시 불가리아 외무장관이었던 스테판 파프리코프는 1909년에 "오늘이 아니면 내일, 가장 중요한 문제는 다시 마케도니아 문제가 될 것이 분명할 것입니다.그리고 이 질문은 어떤 일이 일어나든 발칸 국가들의 직접적인 참여 없이는 결정될 수 없습니다."[23]마지막으로, 그들은 전쟁의 승리 후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구성되어야 할 분할에 대해 언급했습니다.불가리아는 로도피 산맥과 스트리모나 강 동쪽의 모든 영토를 얻고 세르비아는 스카르두 산의 북쪽과 서쪽의 영토를 합병할 것입니다.[15]

1912년 5월 16일, 그리스와 불가리아 간의 동맹 조약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 대한 구체적인 분할을 규정하지 않은 채 체결되었습니다.[22][23]1912년 여름, 그리스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와 "신사 협정"을 맺었습니다.[23]10월 22일 세르비아와의 동맹조약 초안이 제출되었지만 전쟁 발발로 인해 정식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습니다.그 결과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과 싸우겠다는 공통된 목적 외에 영토나 다른 약속이 없었습니다.

1912년 4월 몬테네그로와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시 몬테네그로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포함한 협정을 맺었습니다.그리스와의 신사협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얼마 지나지 않아 타결되었습니다.9월 말까지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사이의 정치적, 군사적 동맹이 이루어졌습니다.[22]1912년 9월 말까지 불가리아는 세르비아, 그리스, 몬테네그로와 공식적인 동맹을 맺었습니다.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사이에도 공식적인 동맹이 체결되었고, 그레코-몬테네그로와 그레코-세르비아 협정은 기본적으로 구두 "신사 협정"이었습니다.[citation needed]이 모든 것들이 발칸 동맹의 형성을 완료했습니다.

발칸 동맹

그 당시 발칸 국가들은 조국의 노예가 된 일부를 자유롭게 해주겠다는 생각에 고무되어 각 나라의 인구와 관련하여 많은 군대를 유지할 수 있었고, 행동하기를 열망했습니다.[23]불가리아 군대는 연합군의 선두적인 군대였습니다.그것은 잘 훈련되고 완벽한 장비를 갖춘 군대로 제국 군대와 맞설 수 있었습니다.오스만 수도 근처의 전선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어 불가리아군의 대부분이 트라키아 전선에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세르비아군은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행동할 것이었고, 그리스군은 무력하다고 여겨져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습니다.그리스는 해군과 에게해를 지배하여 오스만 군대를 지원군에서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발칸 동맹에 필요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12년 9월 13일/26일, 트라키아에서 오스만 제국의 동원으로 세르비아와 불가리아는 스스로 행동하고 동원을 명령했습니다.9월 17일/30일 그리스도 동원령을 내렸습니다.국경 상태에 관한 협상이 실패하자 몬테네그로는 9월 25일/10월 8일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습니다.9월 30일/10월 13일,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의 대사들이 오스만 정부에 공동 최후통첩을 보냈으나 즉각 거절당했습니다.1912년 10월 4일,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스 외교관들이 오스만 제국 수도를 떠나 선전포고를 하는 동안, 제국은 소피아, 베오그라드, 아테네에서 대사들을 철수시켰습니다.[15]

제1차 발칸 전쟁

1913년 4월 제1차 발칸 전쟁으로 인한 영토 변화는 세르비아불가리아 간의 전쟁 전 합의된 확장 노선을 보여줍니다.
불화의 사과: 1912년 12월 테살로니키에서 그리스의 조지 1세불가리아의 페르디난트 황제.그들의 동맹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마케도니아에 대한 그레코-불가리아의 적대감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슬라브 3개국(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은 전쟁 전 비밀 정착지를 계속 유지하고 러시아의 철저한 관리 하에 전쟁 노력을 조정하기 위한 광범위한 계획을 세웠습니다(그리스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불가리아 산작 극장에서, 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에서 공격할 것입니다.

오스만 제국의 상황은 매우 어려웠습니다.약 2,600만 명의 인구가 엄청난 인력 풀을 제공했지만 인구의 4분의 3이 제국의 아시아 지역에 살고 있었습니다.증원군은 주로 해상을 통해 아시아에서 와야 했고, 이는 에게 해에서 터키와 그리스 해군 간의 전투 결과에 달려 있었습니다.

전쟁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은 3개의 육군 사령부(콘스탄티노플에 있는 트라키아 사령부, 살로니카에 있는 서부 사령부, 스코페에 있는 바르다르 사령부)를 각각 불가리아, 그리스, 세르비아에 대항하도록 창설했습니다.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병력의 대부분은 이 전선에 할당되었습니다.대부분 요새화된 도시를 중심으로 소규모 독립 부대가 다른 곳에 배치되었습니다.

몬테네그로는 10월[8] 8일(O.S. 9월 25일) 가장 먼저 전쟁을 선포했습니다.주요 추진력은 슈코드라를 향했고, 노비 파자르 지역에서 2차 작전을 수행했습니다.나머지 연합국들은 공통의 최후통첩을 한 뒤 일주일 뒤 전쟁을 선포했습니다.불가리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의 차탈카선과 갈리폴리 반도 지협에서만 저지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은 서트라키아와 동마케도니아를 점령했습니다.세르비아는 스코페모나스티르를 향해 남쪽으로 공격한 후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현재의 알바니아로 가서 아드리아해에 도달했고, 제2군은 코소보를 점령하고 몬테네그로군과 연계했습니다.그리스의 주력 부대는 테살리아에서 사란타포로 해협을 통해 마케도니아로 공격했습니다.11월 7일 오스만 제국의 제안에 따라 그들은 테살로니키의 항복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습니다.그리스군이 이미 주둔하고 있고, 불가리아 제7릴라 사단이 북쪽에서 테살로니키를 향해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산 타신 파샤는 그의 위치가 절망적이라고 여겼습니다.[24]그리스인들은 불가리아인들보다 더 매력적인 조건을 제시했습니다.11월 8일, 타신 파샤는 조건에 동의했고 26,000명의 오스만 군대가 그리스에 포로로 들어갔습니다.그리스인들이 그 도시에 들어가기 전, 독일 군함 한 척이 전 술탄 압둘 하미드 2세를 콘스탄티노플에서 보스포루스 강을 건너 테살로니키에서 그의 망명을 계속하기 위해 잽싸게 탈출시켰습니다.테살로니키에서 그들의 군대와 함께, 그리스인들은 니그리타를 포함한 동쪽과 북동쪽으로 새로운 위치를 잡았습니다.1912년 11월 12일(10월 26일), 그리스는 점령 지역을 확장하고 세르비아군과 북서쪽으로 팀을 이루었고, 주력 부대는 카발라를 향해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불가리아에 도달했습니다.또 다른 그리스 군대는 이오아니나를 향해 에피로스를 공격했습니다.[25]

해군 전선에서 오스만 함대는 다르날레스를 두 번이나 빠져나갔고 엘리렘노스 전투에서 그리스 해군에 두 번이나 패배했습니다.에게 해에서 그리스의 지배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중동에서 트라키아로, 그리고 마케도니아 전선으로 (불가리아에 대항하여) 이동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26]에릭슨(E.J. Ericson)에 따르면 그리스 해군은 오스만 군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3개의 트라키아 군단(제1차 발칸 전쟁, 불가리아 작전 극장 참조)을 전쟁의 가장 중요한 첫 라운드에서 무력화시킴으로써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합니다.[26]오스만 함대의 패배 이후, 그리스 해군은 에게 해의 섬들을 자유롭게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니콜라 이바노프 장군은 그리스 해군의 활동이 동맹국들의 전반적인 성공의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26][27]

1월, 젊은 육군 장교들의 성공적인 쿠데타 이후, 오스만 제국은 전쟁을 계속하기로 결정했습니다.서-트라키아 전선에서 오스만의 반격에 실패한 불가리아군은 세르비아군의 도움을 받아 아드리아노플을 정복했고, 그리스군은 비지니 전투에서 오스만을 물리치고 이오아니나를 점령했습니다.세르비아-몬테네그로 합동 작전 극장에서 몬테네그로군은 슈코드라를 포위하고 점령하여 거의 500년 만에 차탈카라인 서쪽의 유럽에서 오스만 제국의 존재를 종식시켰습니다.전쟁은 1913년 5월 30일 런던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끝났습니다.

제2차 발칸 전쟁의 서막

마케도니아 분할에 관한 세르보-불가리아 전쟁 전 협정으로 분쟁 지역이 회색으로 표시됨

1913년 5월 30일,[28] 그리스와 세르비아에 대한 동맹국들의 압력으로 런던 조약의 체결이 이루어졌습니다.이 조약으로 발칸 연합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쟁은 끝이 났습니다.이제부터 영토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에 대한 결정권을 열강이 가지게 되었고, 이는 독립된 알바니아를 탄생시키기까지 했습니다.오스만 제국에 속한 에게 해의 모든 섬은 임브로스테네도스를 제외하고 크레타 섬을 포함한 그리스인에게 넘어갔습니다.

또한 에노스-미디야(에네스-크 ı리 ı쾨이) 선의 서쪽에 있는 오스만 제국의 모든 유럽 영토는 발칸 동맹에 양도되었지만, 동맹 간의 영토 분할은 조약 자체로 결정할 수 없었습니다.

이 사건은 그리스와 세르비아가 공동 국경을 형성하려고 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 영토에 두 개의 '사실상' 군사 점령 지역이 형성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결국 불가리아인들은 1912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조약에 따라 세르비아가 약속을 지키기를 거부한 것에 대해 분노했습니다. 이 조약은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지역을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사이에 경쟁하는 지역과 권리에 의해 두 나라에 의해 불가리아로 인정되는 지역으로 나누었습니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 세르비아는 불가리아를 지지하기 위해 오흐리드-크리바 팔란카 선의 동쪽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고, 마케도니아의 북서쪽 모퉁이를 형성하는 약 11,000 평방 킬로미터의2 영토의 미래는 러시아 황제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동맹의 상급자이자 보증인이었던 사람입니다.[30]

마케도니아에 대한 정당한 몫을 받을 것이라는 조약의 조항에 의해 불가리아는 거의 모든 군대를 트라키아 전선으로 보냈고, 이것은 전쟁의 결과를 예상되고 결국 실제로 결정했습니다.[31]동시에 세르비아는 코소보와 마케도니아 북부로 진격했습니다.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중개한 독립적인 알바니아 국가의 설립이 세르비아인들에게 그들이 많이 차지했던 아드리아 항을 빼앗기면서, 그들은 경쟁 지역 전체뿐만 아니라 그들이 차지했던 모든 경쟁 지역을 요구했습니다.예를 들어, 조약의 조항, 세르비아인(29,698명)[32]과 불가리아인 사상자(87,926명)[33] 사이의 물질적 차이, 또는 불가리아의 실리스트라 시의 루마니아 항복 등을 인용하여 러시아 황제에게 호소하려는 불가리아의 노력은 지속적인 중립에 대한 보상이 헛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34]대신 세르게이 사조노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불가리아가 세르비아의 요구사항을 계속해서 들어줄 것을 계속 독려했습니다.[35]

결국 불가리아의 과도한 러시아 제국에 대한 의존도는 불가리아 통일을 증오하는 세력이었고,오스만 술탄은 루멜리아 동부를 탈환하기 위해 초대했고, 불과 30년 전에 불가리아 왕자를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켰고,[36][37][38][39] 터키 해협에 대한 오랜 열망과 불가리아가 그리스와 타협하기를 꺼려하는 바람에 이스탄불을 향한 페르디난트의 돌격을 잘못된 경계로 지켜보았습니다.그리스 총리 베니젤로스의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35] 세르비아는 정복된 모든 영토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또 다른 분쟁의 길을 열었습니다.

1913년 5월 1일, 그리스와 세르비아는 이견을 정리하고 불가리아를 상대로 군사 동맹을 맺었습니다.1913년 6월 29일 밤, 불가리아군은 세르비아군과 그리스군을 전투 계획이나 선전포고 없이 여러 분쟁 지역에서 몰아냄으로써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잘못된 시도를 했습니다.대신에, 그 행동은 세르비아와 그리스에게 카수스 벨리를 주었고 2차 발칸 전쟁을 시작했습니다.[40][41][42]

제2차 발칸 전쟁

콜레라는 전투국의 군인들 사이에서 흔했습니다.
제1차,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발칸반도의 경계

비록 발칸 동맹국들이 공동의 적에 맞서 함께 싸웠지만, 그것은 그들의 상호 경쟁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았습니다.발칸 반도 연맹의 원본 문서에서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에게 마케도니아의 대부분을 약속했습니다.그러나 1차 전쟁이 끝나기도 전에 세르비아와 그리스는 (이전의 합의를 위반하여) 그들의 군대가 점령했던 영토를 계속 소유할 계획을 밝혔습니다.이 행위는 불가리아의 차르가 그의 동맹국들을 침략하게 만들었습니다.제2차 발칸 전쟁은 1913년 6월 29일([43]16일) 불가리아가 제1차 발칸 전쟁에서 동맹국인 세르비아와 그리스를 공격한 반면, 몬테네그로와 오스만 제국은 나중에 불가리아에 개입했고, 루마니아는 평화 조약을 위반하여 북쪽에서 불가리아를 공격했습니다.

제1차 발칸 전쟁에서 그리스군이 불가리아 제7사단보다 하루 앞서 테살로니키로 들어갔을 때, 그들은 불가리아군 대대가 도시로 들어오는 것을 허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그리스는 그리스 부대가 세레스 시로 들어가는 것을 허락하는 대가로 받아들였습니다.테살로니키에 입성한 불가리아 부대는 대대 대신 18,000명의 사단으로 밝혀졌고, 그리스인들은 이를 도시 에 콘도미니엄을 세우려는 불가리아의 시도로 보고 우려했습니다.이 사건에서 트라키아 전선에 시급한 지원군이 필요했기 때문에 불가리아 사령부는 곧 도시에서 군대를 철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상호 조약에 의해 세레스에 근거지를 둔 그들의 부대를 제거하고 데데아 ğ아흐(현재의 알렉산드루폴리스)로 수송하기로 합의했습니다.)그러나 그것은 진지를 강화하기 시작한 대대를 남겼습니다.

그리스는 또한 불가리아가 트라키아로 향하는 철도의 가장 큰 부분을 지배했기 때문에 그리스가 그리스가 점령한 영토에 놓여있는 테살로니키-콘스탄티노플 철도의 연장을 통제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트라키아에서의 작전이 끝나고 그리스의 우려를 확인한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에서 지배하던 영토에 만족하지 않고 즉시 그리스에 테살로니키와 피에리아 북쪽의 땅에 대한 지배권을 포기할 것을 요청하여 사실상 그리스 마케도니아 전체를 넘겨버렸습니다.이러한 요구는 오스만에 대한 공동 전쟁이 끝난 런던 조약 이후 불가리아인들이 군대의 동원을 거부하면서 그리스를 놀라게 했고, 그리스도 군대를 계속 동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제2차 발칸 전쟁이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나, 수백 명의 오랜 불가리아 현지인들이 체포되면서, 테살로니키라는 불가리아 공동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습니다.불가리아 군인 1,300명과 약 500명의 코미타지들도 체포되어 그리스 감옥으로 이송되었습니다.1913년 11월, 그리스인들이 테살로니키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불가리아인들은 그들의 패배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44]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에서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대한 후자의 열망으로 인해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사이의 긴장은 그들의 각 군대 사이에 많은 사건을 일으켰고, 세르비아는 군대를 계속 동원하게 만들었습니다.세르비아와 그리스는 평화적 해결을 위한 첫 단계로 세 나라가 각각 군대를 4분의 1로 줄일 것을 제안했지만 불가리아는 이를 거부했습니다.이러한 현상을 보고 그리스와 세르비아는 일련의 협상을 시작했고 1913년 6월 1일(5월 19일) 조약에 서명했습니다.이 조약으로, 불가리아 또는/및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공격에 대한 상호 군사 및 외교적 지원을 위한 협정과 함께 양국 간의 상호 국경이 합의되었습니다.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스 2세는 잘 알고 있었고, 1912년 세르보-불가리아 조약의 규정에 따라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제안하는 동일한 개인 메시지를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왕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다가오는 분쟁을 막으려고 했습니다.그러나 불가리아는 러시아의 중재를 조건부로 받아들임으로써 사실상 어떠한 논의도 부인함으로써 러시아는 불가리아와의 동맹을 거부하게 되었습니다(1902년 5월 31일 체결된 러시아-불가리아 군사 협약 참조).

세르비아와 그리스는 전쟁 전야에 군사적 우위를 점했는데, 이는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오스만 군대와 맞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상자를 낸 [45]반면, 불가리아는 트라키아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였기 때문입니다.세르비아인들과 그리스인들은 마케도니아에서 그들의 위치를 강화할 시간을 가졌습니다.불가리아 사람들은 또한 내부 통신과 공급선을 통제하면서 몇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45]

1913년 6월 29일, 차르 페르디난트 1세의 직접적인 명령을 받은 사보프 장군은 불가리아 정부와 상의도 없이, 공식적인 선전포고도 없이 그리스와 세르비아에 대한 공격 명령을 내렸습니다.[46]1913년 6월 30일 밤, 그들은 브레갈니카 강에서 세르비아 군대를 공격했고, 니그리타에서 그리스 군대를 공격했습니다.세르비아군은 갑작스러운 야간 공격에 저항했고, 불가리아 진영은 세르비아인 옆에 위치해 동맹국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병사들은 자신들이 누구와 싸우고 있는지조차 알지 못했습니다.몬테네그로군은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고, 또한 전투를 위해 달려갔습니다.불가리아군의 공격은 중단되었습니다.

그리스 군대도 성공적이었습니다.[45][better source needed]테살로니키가 남은 불가리아 연대를 정리하는 동안 이틀 동안 계획대로 후퇴했습니다.그 후, 그리스 군대가 반격하여 킬키스(쿠쿠시)에서 불가리아인들을 물리쳤고, 그 후 불가리아인들이 대부분 약탈당하고 불에 탔고, 대부분의 불가리아인들 중 일부가 그리스 군대에 의해 학살당했습니다.[47][better source needed]킬키스를 함락한 이후 니그리타, 세레스, 독사토의 보복 파괴와 시디로카스트로, 독사토에서 비전투 그리스 주민들을 불가리아군이 학살하는 것을 막기에는 그리스군의 속도가 빠르지 못했습니다.[48]그러자 그리스군은 병력을 나누어 두 방향으로 진격했습니다.일부는 동쪽으로 진행하여 서부 트라키아를 점령했습니다.나머지 그리스군은 스트루마 계곡으로 진격하여 도이란과 벨레스 산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을 물리치고 소피아를 향해 북쪽으로 진격을 계속했습니다.크레스나 해협에서 그리스군은 세르비아 전선에서 새로 도착한 불가리아 제2군과 제1군에게 매복당했는데, 이들은 칼리만치에서 불가리아군이 승리한 후 이미 방어 진지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킬키스-라차나스 전투의 그리스 석판화

7월 30일, 그리스군은 칸나에형 전투에서 그리스군을 포위하려는 불가리아군에 의해 수적으로 열세에 놓였습니다.[49]그리스 군대는 지쳤고, 병참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이 전투는 7월 29일부터 8월 9일까지 11일 동안 아무 결론 없이 숲과 산으로 이루어진 미로의 20km를 넘어 계속되었습니다.그가 싸웠던 부대들이 세르비아 전선에서 온 것을 본 그리스 왕은 세르비아인들에게 그들 앞의 전선이 이제 얇아졌기 때문에 그들의 공격을 재개하도록 설득하려고 했지만 세르비아인들은 거절했습니다.그때쯤 루마니아군이 소피아를 향해 진격하고 함락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포위의 위험에 직면한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군대가 더 이상 적대를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그리하여 그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제안에 동의하고 루마니아를 통해 전해진 대로 불가리아의 휴전 요청을 받아들였습니다.

루마니아는 6월 28일(6월 27일)에 군대를 증강하고 불가리아에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불가리아는 루마니아의 중립을 대가로 제1차 발칸 전쟁 이전에 약속된 바와 같이 실리스트라 요새를 양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발칸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경고했습니다.그리스군은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았고, 불가리아의 휴전 요청을 받아들였을 때, 그들은 소피아 중심에서 11km 떨어진 브라즈데브나에 도착했습니다.

불가리아 군대의 군사적 입장을 보고 오스만은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그들은 1914년 소피아 회의의 일부로 불가리아에 공식적으로 양도되었던 그들의 땅을 다시 되찾는데 성공했습니다.요새화된 도시 아드리아노플함께 오늘날의 터키 공화국의 유럽 영토보다 약간 더 넓을 뿐인 유럽의 한 지역을 되찾았습니다.

전쟁중 열강들의 반응

20세기로 접어든 티라나 바자회.
알렉산드르 1세 국왕이 패배한 불가리아 통치자를 구타하는 모습을 그린 세르비아 선전 포스터.

제1차 발칸 전쟁을 초래한 상황은 열강에 의해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오스만 제국의 영토 보전에 대한 유럽 열강 간의 공식적인 합의가 있었고, 이는 발칸 국가들에 대한 엄중한 경고로 이어졌지만, 비공식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이해관계가 엇갈려 각자 다른 외교적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결과적으로, 공동의 공식 경고의 가능한 예방 효과는 혼합된 비공식 신호에 의해 취소되었고, 전쟁을 예방하거나 중단하지 못했습니다.

  • 러시아는 발칸 동맹 수립의 주역으로 경쟁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미래 전쟁에 대비한 필수적인 도구로 여겼습니다.[50]그러나, 불가리아는 트라키아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계획을 알지 못했고, 그 영토는 오랫동안 야망을 품고 있었고, 동맹국인 프랑스와 영국으로부터 다가오는 중앙 열강과의 대전에 대한 보상으로 비밀스러운 확장 협정을 막 맺었습니다.
  • 1912년 독일과의 전쟁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프랑스는 동맹국인 러시아에게 발칸 동맹의 행동이 초래할 경우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간의 잠재적인 분쟁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단호하게 알리며 전쟁에 대해 전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그러나 프랑스는 발칸 분쟁을 막기 위한 공동의 개입에 영국의 동참을 이끌어내지 못했습니다.
  • 영국은 공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통합을 강력하게 지지했지만, 러시아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그리스의 동맹 가입을 장려하는 비밀 외교 조치를 취했습니다.동시에 영국 정부가 러시아의 팽창에 대해 러시아에 부여한 보장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트라키아보다 불가리아 트라키아를 선호하는 불가리아인들의 열망을 부추겼습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아드리아해 연안의 항구를 차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오스만 제국을 희생시키면서 남부의 확장을 위한 방법을 모색했지만, 그 어느 나라도 이 지역의 확장을 반대했습니다.동시에 합스부르크 제국은 독일-헝가리의 다국적 국가에 대한 지배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인 슬라브족의 상당한 인구에 대한 자체적인 내부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오스트리아가 점령한 보스니아를 향한 열망이 비밀이 아니었던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의 슬라브 민족을 선동하는 배후에 있는 적이자 러시아 공작의 주요 도구로 여겨졌습니다.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확고한 대응을 위해 독일군의 지원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처음에 빌헬름 2세 황제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에게 독일은 심지어 세계대전의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모든 상황에서 오스트리아를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은 망설였습니다.결국 1912년 12월 8일 독일 제국 전쟁 평의회에서 독일은 적어도 1914년 중반까지는 전쟁을 준비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고 합스부르크 왕가에 그 취지를 전달했습니다.결과적으로, 세르비아인들이 10월 18일 오스트리아의 최후 통첩에 동의하고 알바니아에서 철수했을 때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었습니다.
  • 이미 오스만 내부 정치에 깊이 관여한 독일은 공식적으로 제국과의 전쟁을 반대했습니다.그러나 그녀는 중앙 열강을 위해 불가리아를 쟁취하려는 노력과 오스만 제국의 해체의 불가피성을 간파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을 그녀의 산 스테파노 국경에서 우호적인 대불가리아로 대체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불가리아 왕의 독일 기원과 그의 반러시아 정서에 기초한 생각이었습니다.

제2차 발칸 전쟁은 수세기 동안 "따뜻한 바다"에 대한 접근에 중점을 두었던 발칸 반도의 러시아 정책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습니다.첫째, 그것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대항하는 러시아 방어 시스템의 중요한 팔인 발칸 동맹의 종말을 의미했습니다.둘째, 주로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간의 토지 분할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분쟁에서 러시아가 취할 수밖에 없었던 명백한 친세르비아적 입장은 양국 간의 영구적인 단절을 야기했습니다.따라서 불가리아는 현재 주로 세르비아에 반대하는 새로운 국가적 열망으로 인해 정책을 반세르비아 전선에 대한 중앙 강대국의 이해에 더 가까운 것으로 되돌렸습니다.그 결과 세르비아는 경쟁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맞서 군사적으로 고립되었고, 이는 결국 1년 후 다가올 전쟁에서 세르비아를 파멸시켰습니다.가장 큰 피해를 준 것은 새로운 상황이 효과적으로 러시아의 외교 정책을 가뒀다는 것입니다: 1913년 이후 러시아는 이 중요한 지역에서 마지막 동맹국을 잃을 여유가 없었고 따라서 1914년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 사이의 위기가 고조되었을 때 무조건 세르비아를 지원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었습니다.이는 다른 어떤 강대국보다 러시아가 (군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준비가 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한 세계대전으로 러시아를 끌어들인 입장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 지역에서 국가적 열망을 희생시키면서 세르비아의 영토가 크게 증가한 것과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슬라브 인구에 대한 세르비아의 위상이 상승한 것에 대해 경각심을 가졌습니다.이 우려는 세르비아를 러시아의 위성으로 본 독일에 의해 공유되었습니다.이러한 우려는 세르비아를 상대로 전쟁을 하겠다는 두 중앙국의 의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이것은 세르비아의 지원을 받는 조직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개혁적인 왕위 계승자인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하여 1914년 7월 위기를 일으켰을 때, 그 갈등은 빠르게 확대되었고 1차 세계 대전이라는 결과를 낳았음을 의미했습니다.

에필로그

부쿠레슈티 조약

이 9개월간의 범발칸 전쟁의 에필로그는 주로 1913년 8월 10일 부쿠레슈티 조약에 의해 그려졌습니다.루마니아 대표부가 주최한 그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대표단은 협상 타결을 위해 부쿠레슈티에 도착했습니다.회담이 발칸 동맹국들 사이의 문제를 엄격히 다루기 위한 것이라는 이유로 오스만의 참가 요청은 거절되었습니다.[23]강대국들은 매우 영향력 있는 존재감을 유지했지만, 그들은 절차를 지배하지는 않았습니다.이 조약은 마케도니아를 분할하고 발칸 국경을 변경하며 알바니아의 독립 국가를 수립했습니다.[51]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 동북부의 영토를 얻어 불가리아와 동쪽 국경을 맞대고 노비바자르 산작의 동쪽 절반을 차지해 영토를 두 배로 늘렸습니다.[51]몬테네그로는 노비바자르 산작의 서쪽 절반을 차지하고 세르비아와의 국경을 확보했습니다.그리스는 동쪽 국경에 있는 도시 항구인 카발라를 포함하여 마케도니아 남부의 가장 큰 부분인 남부 에피루스를 얻음으로써 영토를 두 배 이상 확장했습니다.에게해 제도는 도데카네스족과 별개로 그리스 왕국에 합병되어 크레타 통일이 완성되고 공식화되었습니다.루마니아는 도브루자 지방의 남부를 합병했습니다.불가리아는 비록 패했지만, 제1차 발칸 전쟁으로 인한 영토적 이익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불가리아는 스트룸니차를 포함한 마케도니아의 일부와 항구도시 알렉산드루폴리스를 포함한 에게해 연안 70마일을 가진 트라키아 서부를 포함했습니다.[22]

최종 조약

불가리아 대표단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협상을 위해 오스만 제국을 만났습니다.불가리아군 대다수가 정복에 어려움을 겪고 많은 사람들이 사망한 동트라키아의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으려는 불가리아의 희망은 터키군이 반격에서 되찾은 땅을 유지하면서 좌절되었습니다.아이노스-미디아의 직선은 동쪽 국경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로젠그라드, 룰레 부르가스-부니 히사르, 아드리아노플 지역은 오스만 제국으로 귀속되었습니다.[23]1913년 9월 3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 이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고 그리스와 세르비아를 상대로 동맹을 맺으려고 했습니다.

그 후 1913년 11월 14일, 튀르크와 그리스 사이에 아테네 조약이 체결되어 그들 사이의 분쟁이 마무리 되었습니다.그러나 그리스의 지배하에 있는 에게해 제도의 지위는 문제로 남겨졌습니다.특히 임브로스 섬과 테네도스 섬은 다르다넬스 스트레이트 근처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습니다.이 조약을 체결한 후에도 양국 관계는 매우 좋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고, 1914년 봄에 거의 전쟁이 발발할 뻔했습니다.

마침내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제2차 조약은 세르비아와 오스만 제국의 관계를 다시 수립하여 공식적으로 발칸 전쟁을 종결시켰습니다.몬테네그로는 터키와 협정을 맺은 적이 없습니다.[23]

발칸 전쟁은 동부 트라키아와 콘스탄티노플(현재의 이스탄불)을 제외한 발칸 반도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종식시켰습니다.영 튀르크 정권은 제국의 쇠퇴를 되돌리지는 못했지만, 1913년 6월에 독재 정권을 수립하면서 권력을 유지했습니다.[51]

모든 발칸 전쟁 분쟁

제1차 발칸 전쟁

불가리아-오트만 전투

전투 연도 불가리아 사령관 오스만 제국 사령관 결과
카르잘리 전투 1912 바실 델로프 메흐메드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커크 킬리스 전투 1912 라드코 디미트리예프 마흐무트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룰레 부르가스 전투 1912 라드코 디미트리예프 압둘라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메르함리 전투 1912 니콜라 제네브 메흐메드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칼리크라 해전 1912 디미타르 도브레브 휘세인베이 불가리아의 승리
제1차 차탈카 전투 1912 라드코 디미트리예프 나짐 파샤 오스만 제국의[52] 승리
불레어 전투 1913 게오르기 토도로프 무스타파 케말 불가리아의 승리
ş아르쾨이 전투 1913 스틸리얀 코바체프 엔버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제2차 차탈카 전투 1913 바실 쿠틴체프 아흐메트 파샤 우유부단한
아드리아노플 공방전 1913 Georgi Vazov 가지 파샤 불가리아의 승리

그리스-오스만 전투

전투 연도 그리스 사령관 오스만 제국 사령관 결과
사란타포로 전투 1912 콘스탄틴 1세 하산 파샤 그리스의 승리
예니드제 전투 1912 콘스탄틴 1세 하산 파샤 그리스의 승리
펜테 피가디아 전투 1912 사파운차키스 에사트 파샤 그리스의 승리
소로비치 전투 1912 마타이오풀로스 하산 파샤 오스만 제국의 승리
히마라 반란 1912 사파운차키스 에사트 파샤 그리스의 승리
레스보스 전투 1912 쿠운투리오티스 압둘 가니 그리스의 승리
키오스 전투 1912 다미아노스 지네 베이 그리스의 승리
드리코스 전투 1912 마타이오풀로스 에사트 파샤 오스만 제국의 승리
엘리 전투 1912 쿠운투리오티스 렘지 베이 그리스의 승리
코릿사 함락 1912 다미아노스 다비트 파샤 그리스의 승리
렘노스 전투 1913 쿠운투리오티스 렘지 베이 그리스의 승리
비지니 전투 1913 콘스탄틴 1세 에사트 파샤 그리스의 승리

세르비아-오스만 전투

전투 연도 세르비아 사령관 오스만 제국 사령관 결과
구마노보 전투 1912 라도미르 푸트니크 Zeki Pasha 세르비아 전승
프릴렙 전투 1912 페타르 보요비치 Zeki Pasha 세르비아 전승
모나스티르 전투 1912 페타르 보요비치 Zeki Pasha 세르비아 전승
룸 전투 1912 보 ž다르 얀코비치 Bajram Curri 세르비아 대패
스쿠타리 공방전 1913 니콜라 1세 하산 파샤 현상유지종[53]
아드리아노플 공방전 1913 스테파노비치 가지 파샤 세르비아 전승

제2차 발칸 전쟁

불가리아-그리스 전쟁

전투 날짜. 불가리아 사령관 그리스 사령관 결과
킬키스-라하나스 전투 1913년 6월 19일~21일 니콜라 이바노프 콘스탄틴 1세 그리스의 승리
도이란 전투 1913년 6월 23일 니콜라 이바노프 콘스탄틴 1세 그리스의 승리
데미르 히사르 전투 1913년 6월 26일~27일 니콜라 이바노프 콘스탄틴 1세 그리스의 승리
크레스나 협곡 전투 1913년 7월 27~31일 미하일 사보프 콘스탄틴 1세 교착상태

불가리아-세르비아 전투

전투 날짜. 불가리아 사령관 세르비아 사령관 결과
브레갈니카 전투 1913년 6월 30일 ~ 7월 9일 미하일 사보프 라도미르 푸트니크 세르비아의 승리
크냐 ž바크 전투 1913년 7월 4일 ~ 7월 7일 바실 쿠틴체프 부코만 아라치치 불가리아의 승리
피로 전투 1913년 7월 6~8일 미하일 사보프 보 ž디다르 얀코비치 세르비아의 승리
벨로그라드치크 전투 1913년 7월 8일 미하일 사보프 보 ž디다르 얀코비치 세르비아의 승리
비딘 공성전 1913년 7월 12일~18일 크라스유 마리노프 부코만 아라치치 평화 조약
칼리만치 전투 1913년 7월 18일~19일 미하일 사보프 보 ž디다르 얀코비치 불가리아의 승리

불가리아-오스만 전투

전투 연도 불가리아 사령관 오스만 제국 사령관 결과
아드리아노플 공방전 1913 미하일 사보프 엔버 파샤 제1차 정전협정
오스만 제국의 트라키아 진격 1913 벌코 벨체프 아흐메드 파샤 최종 휴전

불가리아-루마니아 전쟁

전투 연도 불가리아 사령관 루마니아 사령관 결과
루마니아의 불가리아 상륙 작전 1913 페르디난트 1세 카롤 1세 제1차 정전협정
남부 도브루자 공세 1913 페르디난트 1세 카롤 1세 최종 휴전

레거시

터키의 시민들은 발칸 전쟁을 이 나라의 역사상 중대한 재난(발칸 하르비 파시아스 ı)으로 여깁니다.두 차례의 발칸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은 마리차 강 서쪽의 유럽 영토를 모두 잃었고, 이는 오늘날 터키의 서쪽 국경을 의미했습니다.1923년까지 1912년 무슬림 인구의 38%만이 발칸에 살았고 발칸 터키인의 대부분이 죽거나 추방되었습니다.[54]예상치 못한 몰락과 터키가 지배하는 유럽 영토의 갑작스러운 포기는 많은 터키인들 사이에서 5년 안에 제국 자체의 궁극적인 붕괴를 촉발하는 충격적인 사건을 만들었습니다.폴 모제스는 발칸 전쟁을 '인정받지 못한 대량학살'[55]이라고 불렀습니다.

오스만 육군 참모총장 나즈 ı름 파샤는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13년 1월 23일 오스만 쿠데타 중에 암살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발칸 전쟁을 서사시적 업적의 시기로 여깁니다.그들은 고대부터 그리스인들이 거주하던 영토를 해방하고 그리스 왕국의 두 배 크기로 확장하여 거의 반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테살로니키이오아니나 같은 주요 도시를 점령했습니다.우세한 오스만 군대에 비해 작고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리스 군대는 매우 중요한 전투에서 승리했습니다.그것은 그리스를 열강의 체스 경기에서 실행 가능한 졸개로 만들었습니다.그리스 외교 정책의 주역인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와 왕세자, 그리고 후에 그리스 육군 소장 콘스탄티노스 1세라는 두 명의 위대한 인물이 그리스 정치 무대에서 부상했습니다.[15][57]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McCarthy, Justin. "1912–1913 Balkan Wars, Death and Forced Exile of Ottoman Muslims" (PDF). tc-america.org.
  2. ^ Hupchick, Dennis P., 발칸반도: 콘스탄티노플에서 공산주의까지. 321쪽.
  3. ^ McCarthy, Justin. "1912–1913 Balkan Wars, Death and Forced Exile of Ottoman Muslims" (PDF). tc-america.org.
  4. ^ Hupchick, Dennis P., 발칸반도: 콘스탄티노플에서 공산주의까지. 321쪽.
  5. ^ a b Alpion, Gëzim (30 December 2021). Mother Teresa: The Saint and Her Nation. Bloomsbury. pp. 11, 19. ISBN 9789389812466.
  6. ^ Qirezi, Arben (2017). "Settling the self-determination dispute in Kosovo". In Mehmeti, Leandrit I.; Radeljić, Branislav (eds.). Kosovo and Serbia: Contested Options and Shared Consequence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9780822981572.
  7. ^ Clark 2013, pp. 45, 559.
  8. ^ a b c 2000호관.
  9. ^ Winston Churchill (1931). The World Crisis, 1911–1918. Thornton Butterworth. p. 278.
  10. ^ Biondich, Mark (20 October 2016). "The Balkan Wars: violence and nation-building in the Balkans, 1912–13".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18 (4): 389–404. doi:10.1080/14623528.2016.1226019. S2CID 79322539. Retrieved 10 April 2022.
  11. ^ Levene, Mark (2018). ""The Bulgarians Were the Worst!" Reconsidering the Holocaust in Salonika within a Regional History of Mass Violence". The Holocaust in Gree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4. ISBN 978-1-108-47467-2.
  12. ^ Farrar, L L Jr. (2003). "Aggression versus apathy: The limits of nationalism during the Balkan Wars, 1912-1913". East European Quarterly. 37 (3): 257–280. ProQuest 195176627.
  13. ^ Michail, Eugene (2017). "The Balkan Wars in Western Historiography, 1912–2012". The Balkan Wars from Contemporary Perception to Historic Memo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319–340. ISBN 978-3-319-44642-4.
  14. ^ 헬름라이히 1938년
  15. ^ a b c d e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Έθνους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in Greek) (Vol. 14 ed.). Athens, Greece: Ekdotiki Athinon. 1974. ISBN 9789602131107.[페이지 필요]
  16. ^ M.S. Anderson, The Eastern Question, 1774–1923: 국제관계에 관한 연구 (1966) 온라인
  17. ^ J. A. R. 메리어트, 유럽외교의 동양문제 역사연구 (1940), 408-63쪽온라인
  18. ^ 하산 우날(Hasan Unal)은 1908-9년 불가리아 독립 위기 동안 오스만 정책을 시행했습니다.오스만 제국과 불가리아는 젊은 투르크 혁명의 시작이었습니다."중동 연구 34.4 (1998): 135–176.
  19. ^ 메리어트, 유럽외교에서의 동양문제 역사연구 (1940), 433–63쪽.
  20. ^ æ 브리태니커 온라인 백과사전 "Military League"
  21. ^ "THE BALKAN WARS". US Library of Congress. 2007. Retrieved 15 April 2008.
  22. ^ a b c d e Anderson, Frank Maloy; Hershey, Amos Shartle (1918). Handbook for the Diplomatic History of Europe, Asia, and Africa 1870–1914. Washingt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페이지 필요]
  23. ^ a b c d e f g h 홀2000[페이지 필요]
  24. ^ 홀 2000, 61쪽
  25. ^ 발칸 전쟁 백과사전 æ디아 브리태니커 온라인.
  26. ^ a b c 에릭슨 2003, 페이지 333.
  27. ^ 2000호 홀, 65쪽
  28. ^ 홀 2000, 101쪽
  29. ^ 홀 2000, 페이지 537
  30. ^ Geshov, Ivan (1915), The Balkan League, London: John Murray, pp. 115–118
  31. ^ Erickson 2003, p. 285-289.
  32. ^ Boeckh, Katrin (1996), Von den Balkankriegen zum Ersten Weltkrieg: Kleinstaatenpolitik und ethnische Selbstbestimmung auf dem Balkan (in German),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p. 119
  33. ^ 홀 2000, 페이지 135.
  34. ^ Geshov, Ivan (1915), The Balkan League, London: John Murray, pp. 137–138
  35. ^ a b Markov, Georgi (1989), България в Балканския съюз срещу Османската Империя, 1912-1913 г. [Bulgaria's Participation in the Balkan League v. the Ottoman Empire, 1912-1913], Sofia: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pp. Глава 4. Залезът на Османския полумесец в Европа. Раздел: Разпра със съюзниците / Chapter 4. The Decline of the Ottoman Crescent in Europe. Section: Dispute with the Allies
  36. ^ Christopoulos, Georgios; Bastias, Ioannis (1977).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Εθνους: Νεώτερος Ελληνισμός απο το 1881 ως 1913 [History of the Greek Nation: Modern Greece from 1881 until 1913] (in Greek). Vol. XIV. Athens: Ekdotiki Athinon. pp. 24–26. ISBN 960-213-110-1.
  37. ^ Пантев, Андрей (1983). Българската криза 1886 – 1887. Във: Кратка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The Bulgarian Crisis 1886-1887. In: Dimitrov, Ilcho (Ed.), Short History of Bulgaria] (in Bulgarian). Sofia: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p. 253.
  38. ^ Гочев, Янко (2006). "Съединението на Княжество България и Източна Румелия от 1885 г.". Руската империя срещу България - Част 1 [The Russian Empire Against Bulgaria - Part I] (in Bulgarian). Sofia: Анико. pp. Русия и Съединението на Княжество България и Източна Румелия от 1885 г./Russia and the Unification of the Principality of Bulgaria and Eastern Rumelia of 1885. ISBN 9789549185225.
  39. ^ Nikolay Pavlovich Ignatyev (1986). Diaries 1875-1878 (Записки 1875-1878) (in Bulgarian). София: Отечествен фронт. pp. 51–53, 56.
  40. ^ 스타브리아노스 2000, 539쪽.
  41. ^ Дървингов, Петър (1925), История на Македоно-одринското опълчение [History of the Macedonian-Adrianopolitan Volunteer Corps] (in Bulgarian), vol. II, София, p. 607{{citation}}: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42. ^ Filipov, I. (1941), Войната между България и другите балкански държави през 1913 г. [The War Between Bulgaria and the Other Balkan states in 1913], vol. I, Sofia, p. 309{{citation}}: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43. ^ 마조워 2005, 페이지 279.
  44. ^ 마조워 2005, 280쪽.
  45. ^ a b c 홀 2000, 페이지 117.
  46. ^ George Phillipov (Winter 1995). "THE MACEDONIAN ENIGMA". Magazine: Australia &World Affai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April 2008. Retrieved 15 April 2008.
  47. ^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1914).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to Inquire Into the Causes and Conduct of the Balkan Wars.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p. 279.
  48. ^ 국제 발칸 전쟁의 원인과 행위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 보고서, Innovement Washington, D.C. 1914, p. 97–99 pp.79–95
  49. ^ 홀 2000, 121쪽.
  50. ^ Stowell, Ellery Cory (2009). The Diplomacy Of The War Of 1914: The Beginnings Of The War (1915). Kessinger Publishing, LLC. p. 94. ISBN 978-1-104-48758-4.
  51. ^ a b c Jelavich, Barbara (1983).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Vol. 2. NYC,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4593.[페이지 필요]
  52. ^ ŭ치코프, 99-103쪽
  53. ^ 소멜, 셀주크 아크 ş린.오스만 제국의 역사 사전.허수아비 출판사 2003. lxvi
  54. ^ "Expulsion and Emigration of the Muslims from the Balkans". EGO(http://www.ieg-ego.eu) (in German). Retrieved 22 December 2021.
  55. ^ Mojzes, Paul (November 2013). "Ethnic cleansing in the Balkans, why did it happen and could it happen again" (PDF). Cicero Foundation: 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2.
  56. ^ 굴 토카이."오트만 외교, 발칸 전쟁과 강대국"도미닉 게퍼트에서 윌리엄 멀리건, 안드레아스 로즈, 에드.대전 이전의 전쟁 ISBN 978-1-107-06347-1, 2015, 페이지 70
  57. ^ Mavrogordatos, Georgios (2015). 1915, Ο Εθνικός Διχασμός [1915, The National Division] (in Greek) (VIII ed.). Athens: Ekdoseis Patakis. pp. 33–35. ISBN 9789601664989.

서지학

더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