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산레모
Milan–San Remo![]() | |
경기내용 | |
---|---|
날짜. | 3월 중순 |
지역 | 이탈리아 북서부 |
영문이름 | 밀라노-산레모 |
로컬 이름 | 밀라노-산레모 (이탈리아어) |
닉네임 | 라클래식시마 디 프리마베라 (이탈리아어로) |
규율 | 도로 |
경쟁. | UCI 월드투어 |
유형 | 1일 자전거 경주 |
주최자 | RCS 스포츠 |
레이스 디렉터 | Mauro Vegni |
웹사이트 | www |
역사 | |
초판 | 1907 |
판본 | 114(2023년 기준) |
첫번째 우승자 | ![]() |
다승 | ![]() |
가장 최근 | ![]() |
밀라노-산레모(Milano-Sanremo, 이탈리아어: "The Spring classic" 또는 "La Classicissima")는 이탈리아 북서부 밀라노와 산레모 사이에서 매년 열리는 도로 사이클 경기입니다. 298km(~185.2마일)의 거리로 현대 사이클에서 가장 긴 프로 1일 경기입니다. 그것은 보통 3월 셋째 주 토요일에 열리는 시즌의 첫 번째 메이저 클래식 경주입니다. 첫 번째 판은 1907년에 열렸습니다.[1]
그것은 전통적으로 사이클링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하루 경기 중 하나로 여겨지는 다섯 개의 기념물 중 첫 번째 기념물입니다. 2005년 UCI 프로 투어와 2011년 월드 투어로 대체되기 전까지는 UCI 로드 월드컵 시리즈의 개막전이었습니다.
7번의 승리로 가장 성공한 라이더는 벨기에의 에디 머크엑스입니다.[2] 이탈리아의 Costante Girardengo는 전간기에 11번의 시상대 결승전을 달성하여 6번의 경기에서 우승했습니다. 현대에는 독일의 에릭 자벨과 스페인의 오스카 프라이어가 각각 4승과 3승을 기록했습니다.
밀라노-산 레모는 주로 평평한 코스 때문에 단거리 선수의 고전으로 여겨집니다(비록 포조가 결승점에 가까이 오르는 것은 펀치와 룰루르에게 종종 기회가 되었지만).[3] 반면 가을에 열리는 또 다른 이탈리아 기념 경기인 지로 디 롬바르디아는 등반가의 고전으로 여겨집니다.[4]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여자 경주인 프리마베라 로사는 남자 경주와 함께 조직되었지만 더 짧은 거리에서 조직되었습니다.[5]
역사
개척시대
밀라노와 산레모 사이의 자전거 경주에 대한 아이디어는 Unione Sportiva Sanremese에서 비롯되었습니다.[1] 1906년 4월 2일과 3일에 두 단계(밀란-아퀴 테르메, 아퀴 테르메-산레모)[6]에 걸쳐 첫 아마추어 경기가 열렸지만 성공은 거의 없었습니다. 1905년 롬바르디아 투어를 시작한 밀라노의 언론인 툴로 모르가니는 이 코스를 통해 하루 만에 프로 사이클 경기를 조직하자는 아이디어를 내놨습니다. 그는 이 프로젝트를 인기 스포츠 신문인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의 이사인 유제니오 코스타마냐에게 제안했습니다.[1]

1907년 4월 14일 밀라노-산 레모의 첫 공식 경기가 열렸습니다. 시작은 새벽 5시 밀라노의 콘카 팔라타 여관이었습니다. 60명의 선수가 등록했지만 33명만이 출발했습니다. 창립대회는 유난히 추운 날씨의 영향을 받아 특히 어려웠습니다. 그것은 평균 시속 26.206 킬로미터 (16.5 마일)의 속도로 286 킬로미터 (177 마일)를 완주한 프랑스인 루시앵 쁘띠-브레튼이 차지했습니다.[1] 14명의 선수만 마쳤습니다.
이 경주는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유럽 사이클 최고의 선수들을 끌어들였고,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는 1908년 벨기에의 시릴 반 하우워트가 우승한 두 번째 경기를 조직하게 되었습니다. 밀라노-산레모의 첫 번째 이탈리아 우승자는 1909년 프랑스의 에밀 조지를 한 시간 차이로 이긴 루이지 간나였습니다.
1910년 프리마베라는 극심한 기상 조건 때문에 영원한 명성과 자전거 전설의 자리를 얻었습니다.[1] 심한 눈보라가 펠로톤을 휩쓸었기 때문에, 탑승자들은 도로를 따라 있는 집들로 피신해야 했습니다.[7] 63명의 선수 중 4명만이 경주를 마쳤습니다. 프랑스인 외젠 크리스토프(Eugène Christophe)는 자신이 잘못된 길을 걸었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산레모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승리했습니다. Christophe는 12시간 24분만에 경주를 마쳤고, 이것은 지금까지 가장 느린 경기가 되었습니다. 지오반니 코치는 우승자와 1시간 17분에 2위를 차지했습니다.[8]
라클래식시마

그 경주의 선구적인 시절 이후, 그의 이름을 클래식과 지울 수 없이 연결시킨 Costante Girardengo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1917년부터 1928년까지 지라르뎅고는 6번 우승한 기록적인 11번의 시상대 결승전을 치렀습니다. 그 후 몇 년간은 리어코 게라와 알프레도 빈다 사이의 경쟁으로 특징지어졌는데, 그 경쟁으로 인해 몇 가지 특정한 승리를 잃게 되었습니다. 1940년대 Fausto Coppi와 Gino Bartali의 신화적 시대와 비슷한 경쟁 관계가 있었는데, 그들의 결투는 강력한 보도의 대상이었고 서사적인 인종을 초래했습니다.
밀라노-산 레모는 그 인기의 정점에 있었고 이탈리아 언론은 모든 고전 중 가장 위대한 번역할 수 없는 용어인 La Classicissima를 공동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3] 1935년부터 1953년까지 이 경주는 매년 성 요셉의 축제인 3월 19일에 열렸기 때문에, 주로 가톨릭 국가인 이탈리아의 언론은 이 경주에 또 다른 별명인 라 가라 디 산 주세페(la Garadi San Giuseppe)를 붙였습니다. 1949년에 그 경주는 산레모의 중심부에 있는 번화한 쇼핑 거리인 상징적인 비아 로마(Via Roma)에서 처음으로 끝이 났습니다.
1950년대부터 그 경주는 주로 벨기에와 스페인 단거리 선수들에 의해 우승되었고, 1953년 이후, 이탈리아 선수들은 17년 동안 우승을 확정지을 수 없었습니다.[6] 1960년에 Vincenzo Torriani 경주 감독은 산레모에 도착하기 직전에 Poggio 등반을 추가했습니다.[1] 레이스 피날레를 더 어렵게 만들려는 의도였지만, 이번 결정은 소기의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비이탈리아의 승리 행진은 계속됐습니다.
1966년에는 에디 머크엑스의 전설적인 시대가 열렸는데, 그는 7번의 우승이라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기록을 달성했습니다.[2] 7승은 또한 지금까지 단일 클래식에서 라이더가 거둔 기록적인 승리 횟수입니다. 식인종 이후 1997년 독일의 에릭 자벨이 4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을 시작할 [9]때까지 어떤 선수도 밀라노-산 레모를 다시 지배할 수 없었습니다.[2][10]
스프린터 클래식

1990년 이탈리아의 지아니 부뇨는 롤프 gö츠를 4초 차이로 이기는 6시간 25분 06초의 경주 기록을 세웠으며, 평균 시속 45.8km(28.45mph)를 기록했습니다. 또 다른 기억에 남는 달리기는 1992년에 세안 켈리가 모레노 아르젠틴을 포조 강에서 잡았고 2인 스프린트에서 이탈리아 선수를 이겼습니다.[2] 그것은 켈리의 마지막 한번의 우승이었습니다. Erik Zabel의 우승 사이에 Andrei Tchmil이 1999년 대회에서 우승했는데, 그는 1킬로미터의 배너 아래에서 결정적인 공격을 시작했고, Zabel이 2위를 차지하면서 전력 질주하는 펠로톤보다 아슬아슬하게 앞섰습니다.[11]
2004년, 자벨은 5번째 우승을 할 수도 있었지만, 오스카 프라이어에게 패했습니다. 그 이유는 그가 축하하기 위해 팔을 들어올렸고 너무 일찍 페달을 밟지 않았기 때문입니다.[2][12] Freire는 이후 총 3번의 Primavera 우승을 차지할 것입니다.[13] 2008년에는 59년 만에 처음으로 비아로마 도로 공사로 인해 다른 장소로 마감이 옮겨졌습니다. 스위스의 파비안 칸셀라라(Fabian Cancellara)는 산 레모(San Remo) 거리에서 최후의 단독 공격 후 룽고마레 이탈리아(Lungomare Italo Calvino)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14]
2009년에 100번째 밀라노-산 레모 대회가 열렸는데, 영국의 육상 선수 마크 캐번디시가 첫 시도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15] 캐번디시는 밀리미터 달리기에서 호주의 하인리히 하우슬러를 이겼습니다.[16]

2013년 레이스는 처음부터 끝까지 최악의 날씨 조건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폭설과 영하의 기온으로 인해 주최측은 52km(32마일)를 단축하여 두 개의 주요 등반인 Passo del Turchino와 Le Manie를 제거하고 두 번째 레이스를 시작하기 위해 버스 환승을 준비해야 했습니다.[17] 그 경주는 피터 세이건과 파비안 칸셀라라를 앞지른 독일의 제럴드 치올렉이 이겼습니다.[18]
2015년 경기 감독 Mauro Vegni는 해변에서 7년을 보낸 후 결승전을 비아 로마로 다시 옮기기로 결정했습니다.[19] 독일의 존 데겐콜브(John Degenkolb)가 이전 우승자인 알렉산더 크리스토프(Alexander Kristoff)를 앞서 우승했습니다.[20] 2016년 레이스는 프랑스의 단거리 선수 아르노 데마레가 우승했지만, 데마레는 시프레사 등반에 다시 합류하기 위해 팀카의 견인차를 사용하여 경주 후에 비난을 받았습니다.[21] 데마레는 자신의 바로 뒤에 경주 위원들이 있었고, 그가 불법적인 일을 했다면 자격을 박탈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주장을 일축했습니다.[22][N 1]
2017년 미차우 크위아트코프스키는 3인조가 마지막 등반인 포지오 디 산 레모를 통과한 후 세계 챔피언 피터 사간, 줄리안 알라필리페와 함께 세 번의 스프린트 경기를 통해 폴란드의 첫 번째 우승자가 되었습니다.[24]
2020년판은 이탈리아의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해 8월로 부득이하게 옮겨졌고, 이는 스프링 클래식의 첫 번째 여름판이 되었습니다. 이 판은 벨기에 출신의 Wout van Aert가 수상했습니다.[25]
2022년 5월 RCS Sport는 2023년 여성판 편성 계획을 발표했습니다.[26] 그러나 2023년에는 여전히 계획에 불과했고, 여성 월드 투어 달력에는 아직 추가되지 않았습니다. 남성 판에서 출발 도시는 밀라노가 아니라 아바테그라소였습니다.[27]
경로
현재과정

밀라노-산레모는 시작과 동시에 북부 이탈리아의 산업 중심지인 밀라노에서 트레이드마크인 벨 에포크 빌라가 있는 이탈리아 리비에라의 세련된 해변 휴양지인 산레모에 이르는 직선 노선으로 구상되었습니다. 경기는 밀라노 중심부에 있는 두오모 광장에서 시작하여 바로 남서쪽으로 향하며, 롬바르디아 평원과 피에몬테 평원을 지나 파비아, 보헤라, 토르토나, 노비 리구레, 오바다를 따라 진행됩니다. 레이스가 리구리아로 진입할 때 펠로톤은 140km 후에 그날의 첫 등반인 파소 델 투르치노(Passo del Turchino)에 연설합니다.[28][29]
투르키노 강이 하강한 후, 경주는 중간 지점에 있는 볼트리의 리구리아 해에 도착합니다. 여기서 서쪽으로 아우렐리아 고속도로를 따라 코스가 펼쳐지며,[28] 리구리아 해안을 따라 장관을 이루고 전형적인 풍경을 보여줍니다. 경주는 아렌자노, 바라제, 사보나, 피날레 리구레, 피에트라 리구레, 란오, 보르게토 산토 스피리토, 세리얼레, 알벤가의 마을을 가로지르고 리비에라 데이 피오리(알라시오, 안도라, 디아노 마리나, 임페리아)를 따라 해변 휴양지를 지나갑니다. 알라시오(Alassio)와 임페리아(Imperia) 사이에는 해안을 따라 있는 세 개의 짧은 언덕이 있습니다: 카포 멜레(Capo Melle), 카포 세르보(Capo Cervo), 카포 베르타([30]Capo Berta). San Lorenzo al Mare에서 코스는 다음 등반인 Cipressa(시프레사)로 안쪽으로 돌아서며, 끝에서 22km 지점에 정상이 있습니다. 산토 스테파노 알 마레(Santo Stefano al Mare)와 아르마 디 타기아(Armadi Taggia) 마을이 마지막이자 가장 유명한 등반을 한 후, 사실상 산레모 교외의 포지오 디 산레모(Pogio di Sanremo)는 바다를 따라 언덕 위에 지어졌습니다.
결승점에서 5.4km 떨어진 포지오 정상에서 코스는 산레모의 중심으로 빠르고 굴곡이 많은 하강을 통해 내려갑니다. 산레모의 중심부로 향하는 코스는 전통적으로 도시의 유명한 쇼핑 거리인 비아 로마에서 경기가 마무리됩니다.[28][30]
인종특성
밀란-산 레모는 프로 1일 경기 중 가장 긴 경기로서 시즌 초반에 내구성을 시험하는 이례적인 경기입니다.[28][31] 종종 가장 빠른 단거리 선수가 아니라 강력한 스프린트 피니시로 가장 강하고 준비된 라이더가 우승합니다. 시프레사와 포지오는 전방 그룹에 머물지 못한 많은 단거리 선수들을 실패시켰습니다.

초창기에 유일하게 중요한 어려움은 종종 경주의 중추적인 장소였던 파소 델 투르치노(Passo del Turchino)였지만, 사이클링이 전문적이 되었을 때, 그 등반은 충분하지 않았고, 결정적이기에는 너무 멀리 있었습니다. 1960년, 결승전을 불과 몇 킬로미터 앞두고 4킬로미터를 오른 포조(Poggio)가 소개되었습니다. 1982년 임페리아 근처에 있는 시프레사가 추가되었습니다.[1] 다른 언덕으로는 카포 멜레, 카포 세르보, 카포 베르타가 있습니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주최 측은 르마니 등반도 추가했는데, 투르치노와 카피 사이에 있습니다.[6] 투르치노와 르마니는 펠로톤에서 첫 번째 선택을 하기 위해 더 긴 등반을 하는 반면, 카피, 시프레사, 포조는 다소 짧아 공격자들이 펠로톤을 멀리하도록 초대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레이스 후반기에 큰 선택이 있었던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많은 단거리 주자들이 등반에서 메인 펠로톤을 따라갈 수 있기 때문에, 경기는 대부분 단체 스프린트로 끝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조가 결승점에 가까이 있다는 것은 종종 경주에서 승리하기 위해 포조 위에 있는 선수들의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32]
평평한 코스와 긴 직선 코스에도 불구하고, 단거리 선수들의 팀들은 마지막 언덕에서의 결연한 공격에 의해 때때로 실패했습니다. 좋은 예로는 로랑 잘라베르트와 마우리치오 폰드리스트가 1995년에 탈출하여 결승전을 앞두고 있습니다.[33] 2003년 파올로 베티니는 루카 파올리니, 미르코 첼레스티노와 함께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 공격했습니다. 2012년, 빈센조 니발리와 파비안 칸셀라라가 포조를 공격했고, 호주의 사이먼 제란스가 결승전에서 그들을 앞질렀습니다.[34] 2018년, 니발리는 포조의 마지막 커브를 공격하여 조가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는 것에 저항했습니다.
제안된 변경사항
밀라노-산 레모는 첫 번째 판 이후로 큰 변화가 없었고, 주최자들은 원래의 의도에 충실하는 것을 영광으로 여겼습니다.[6]

이 과정의 마지막 변화는 2008년 르마니가 포함된 것입니다. 2013년 9월, 주최측인 RCS Sport는 Pompeiana의 Cipressa와 Poggio 사이의 등반을 포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35] 합리적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르마니를 제외할 것입니다. 이 길이 지나가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폼페이아나는 최대 경사도 13%로 5km를 오르므로 레이스 피날레에서 가장 어려운 등반이 될 것입니다.[6]
제안된 경로는 지난 2014년 3월 경기를 불과 몇 주 앞두고 뒤바뀌었는데, 당시 폼페이아나는 최근 산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어 사이클링 경주가 통과하기에는 너무 위험했습니다.[36] 그래서 그 경주는 경로를 바꾸었고 더 전통적이고 단거리 선수들에게 우호적으로 변했습니다. 이로 인해 마크 캐번디시를 포함한 추가 등반으로 인해 앞서 자신들을 배제했던 많은 단거리 주자들이 다시 라이딩에 관심을 표명했습니다.[37]
2015년, 르마니 등반은 경주에서 단절되었고, 폼페이아나도 궤도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2008년 이전 경로로, 경주 주최자들은 경주의 전통적인 코스를 존중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38]
2020년판
한여름에 이미 개최되는 2020년 판은 완전히 새로운 길을 걸었습니다. 이것은 처음에는 팬데믹에 의해 결정된 특별한 상황 때문이었고, 그리고 나서 경주 몇 주 전에 몇몇 해변 마을의 시장들이 경주가 해안 고속도로를 통과하는 것을 갑자기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Via Aurelia") 8월에는 관광객들의 교통으로 많이 붐볐지만, 3월에는 훨씬 덜 숨 막혔습니다. 통상적인 경주 시간 레이스는 랑헤 언덕과 타나로 강 계곡을 통해 우회하여 콜디 나바 고개와 콜레 산 바르톨로메오 터널을 통해 서부 리구리아 해안에 도달한 후 임페리아에서 일반 경로에만 도달했습니다.[39]
수상자
다승
이탤릭체의 라이더는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김. | 라이더 | 판본 |
---|---|---|
7 | ![]() | 1966, 1967, 1969, 1971, 1972, 1975, 1976 |
6 | ![]() | 1918, 1921, 1923, 1925, 1926, 1928 |
4 | ![]() | 1939, 1940, 1947, 1950 |
![]() | 1997, 1998, 2000, 2001 | |
3 | ![]() | 1946, 1948, 1949 |
![]() | 1973, 1978, 1979 | |
![]() | 2004, 2007, 2010 | |
2 | ![]() | 1917, 1920 |
![]() | 1929, 1931 | |
![]() | 1935, 1938 | |
![]() | 1952, 1953 | |
![]() | 1957, 1959 | |
![]() | 1988, 1989 | |
![]() | 1986, 1992 |
국가당 승수
이김. | 나라 |
---|---|
51 | ![]() |
22 | ![]() |
14 | ![]() |
7 | ![]() |
5 | ![]() |
4 | ![]() |
2 | ![]() ![]() ![]() ![]() |
1 | ![]() ![]() ![]() |
프리마베라 로사
1999년부터 2005년까지 7개의 여성을 위한 밀라노-산 레모 경기가 열렸습니다. 같은 날 조직되어 남자들 바로 전에 산레모에서 경기를 마쳤지만 더 짧은 거리를 커버했습니다. 시작은 밀라노가 아니라 바라제에 있었기 때문에 프리마베라 로사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UCI 여자 로드 월드컵의 일부였습니다. 2006년판은 처음에 계획되었으나 행사 전에 취소되었습니다.[40] 러시아의 줄피아 자비로바 선수가 두 번 우승한 유일한 선수였습니다.
2023년 RCS Sport는 2024년부터 여성 대회가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41] 이 인종이 프리마베라 로사라는 이름을 사용할지는 불분명합니다.
그란폰도 밀라노 산레모
Granfondo Milano-Sanremo는 밀라노에서 산레모까지의 프로 경기와 같은 코스를 달리는 레크리에이션 사이클 선수들을 위한 연례 사이클 스포츠 행사입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란폰도 중 하나로 1971년 우니온 시클로투리아 산레모가 설립해 전 세계 사이클로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현재 6월 두 번째 일요일에 개최되고 있으며, 2021년(2020년에서 연기됨)이 50회째를 맞이했습니다.[42][43]
대중문화 속에서
- 이 경주는 1980년 이탈리아 코미디 영화 판토치 콘트롤투티에 등장합니다.
- 1910년 레이스는 알렉시스 프레드릭 프로스트의 2006년 그래픽 소설 "라 프리마베라"의 주제입니다.[44]
메모들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Storia della Milano-Sanremo". La Gazzetta dello Sport (in Italian). RCS MediaGroup. Retrieved 17 March 2015.
- ^ a b c d e Hood, Edmond (17 March 2015). "Milan-Sanremo Preview: La Primavera". Pezcyclingnews.com.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a b "Milano-Sanremo". uci.ci. UCI.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Il Lombardia". uci.ch. UCI. Retrieved 20 February 2016.
- ^ Westemeyer, Susan (26 January 2006). "Women's Milan-San Remo cancelled". Cycling News. Retrieved 29 May 2015.
- ^ a b c d e "Milan-Sanremo's Ever-Changing Route". The Inner Ring. Retrieved 17 April 2015.
- ^ "3 aprile 1910 - Milano-Sanremo". museociclismo.it (in Italian). Retrieved 27 February 2016.
- ^ "1910 Milano - San Remo". bikeraceinfo.com. Retrieved 27 February 2016.
- ^ "Milan-San Remo - World Cup Round. 88th Milano-San Remo Race Report". Cycling News.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Milan - San Remo, World Cup round 1 Results and Reports Italy, March 21, 1998. Erik Zabel Triumphs". Cycling News.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90th Milan - San Remo. Summary". Cycling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1999.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Henry, Chris. "95th Milan-San Remo post race wrap. Freire fastest at San Remo". Cycling News.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Milan-San Remo 2010: Spain's Óscar Freire wins in sprint finish". The Telegraph.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Abrahams, Ben. "Swiss timing: Cancellara strikes in Sanremo". Cycling News.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Haake, Bjorn; Westemeyer, Susan; Brown, Gregor. "100th Milano-Sanremo. Cavendish pips Haussler on the line". Cycling News.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Mark Cavendish wins Milan-San Remo". Cycling Weekly. 21 March 2009.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MacMichael, Simon (17 March 2013). "Snow and TV schedules wreak havoc as race shortened". Road.cc. Farrelly Atkinson. Retrieved 15 February 2015.
- ^ "Cycling - Ciolek wins snow-shortened Milan-San Remo". Yahoo Eurosport UK. 17 March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3.
- ^ Brown, Gregor. "Milano-Sanremo brings back Via Roma finish, favoring attackers". VeloNews.
- ^ Ryan, Barry (21 May 2015). "Degenkolb wins Milan-San Remo". Cyclingnews.com. Retrieved 22 March 2015.
- ^ "Riders accuse Demare of taking a tow from a team car during Milan-San Remo". cyclingnews.com. 20 March 2016. Retrieved 21 March 2016.
- ^ "Demare hits back at Milan-San Remo tow allegations". cyclingnews.com. 20 March 2016. Retrieved 21 March 2016.
- ^ "Italian Federation investigating Arnaud Demare's Milan-San Remo victory". cyclingnews.com. 8 May 2016. Retrieved 9 May 2016.
- ^ Robertshaw, Henry (18 March 2017). "Brilliant Michal Kwiatkowski edges out Peter Sagan to win Milan-San Remo 2017". Cycling Weekly. Time Inc. UK. Retrieved 18 March 2017.
- ^ Ostanek, Daniel (8 August 2020). "Wout van Aert wins thrilling Milan-San Remo". Cyclingnews.com. Retrieved 16 October 2020.
- ^ "There will be a women's Milan-San Remo in 2023". CyclingTips. 3 May 2022. Retrieved 3 May 2022.
- ^ Stephen Farrand (2 February 2023). "Milan-San Remo becomes Abbiategrasso to San Remo for 2023". cyclingnews.com.
- ^ a b c d Farrand, Stephen. "Milan-San Remo preview". Cycling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6.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revistadesdelacunet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 ^ a b Condé, Mikkel (19 March 2015). "2015 Milan–San Remo Preview". cyclingtips.com.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LeMond predicts sprint finish at Milan-San Remo 2015". The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rch 2015.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Milan–San Remo Preview 2015". The Inner Ring.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Milano - Sanremo 1995 (CDM)". Cycling Fever.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MacLeary, John. "Milan San-Remo 2012: GreenEdge's Simon Gerrans makes it two in a row for Australia in opening monument". The Telegraph.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Brown, Gregor. "Milan-San Remo route change for 2014". Cycling Weekly.
- ^ Condé, Mikkel (20 March 2014). "Milan–San Remo Preview". Cycling Tips. Retrieved 18 February 2016.
- ^ Brown, Gregor (17 February 2014). "Pompeiana climb ruled unsafe for Milan-San Remo". Cycling Weekly.
- ^ Brown, Gregor (26 November 2014). "Milan-San-Remo-route-change-will-surprise-says-organiser". Cycling Weekly.
- ^ "Milan-San Remo route exceeds 300km after Alessandria reroute". 7 August 2020.
- ^ Westemeyer, Susan (26 January 2006). "Women's Milan-San Remo cancelled". cyclingnew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2. Retrieved 12 May 2011.
- ^ "A Women's Version of Milan-San Remo Is Planned. Sadly, It Will Be Much Shorter Than the Men's Race". Bicycling. 21 March 2023. Retrieved 10 August 2023.
- ^ milano-sanremo.org/en
- ^ "Home p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December 2004.
- ^ Press, One Percent. "Alexis Fredrick-Frost "La Primavera"". One Percent Press.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자전거 보관소에 있는 밀라노-산 레모 팜파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