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자벨
Erik Zabel![]() 2017년 자벨 | ||||||||||||||||||||
개인정보 | ||||||||||||||||||||
---|---|---|---|---|---|---|---|---|---|---|---|---|---|---|---|---|---|---|---|---|
풀네임 | 에릭 자벨 | |||||||||||||||||||
닉네임 | 에테 | |||||||||||||||||||
태어난 | 동베를린, 동독 | ) 1970년 7월 7일 )|||||||||||||||||||
높이 | 1.76m(5ft 9+1⁄2 인치)[1] | |||||||||||||||||||
무게 | 69kg (190lb; 10 st 12lb)[1] | |||||||||||||||||||
아마추어 팀 | ||||||||||||||||||||
TSC 베를린 | ||||||||||||||||||||
RC 올림피아 도르트문트 | ||||||||||||||||||||
프로팀 | ||||||||||||||||||||
1993–2005 | 팀 텔레콤 | |||||||||||||||||||
2006–2008 | 팀 밀람 | |||||||||||||||||||
관리팀 | ||||||||||||||||||||
2009–2011 | 컬럼비아팀-하이 로드 | |||||||||||||||||||
2012–2013 | 팀 카투샤 | |||||||||||||||||||
메이저 우승 | ||||||||||||||||||||
그랜드 투어스
기타
| ||||||||||||||||||||
메달 기록
|
에릭 자벨(독일어 발음: [ˈeːʁkk ˈt͡saːbl̩] (듣기); 1970년 7월 7일생)은 밀람과 마지막으로 경주를 한 독일의 전직 프로 도로 자전거 경주 선수다.프로 152승, 통산 211승을 거둔 그는 독일[2] 사이클 선수 중 역대 최고의 사이클 선수와 사이클 단거리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자벨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6년 연속 투르 드 프랑스에서의 포인트 분류와 2002년, 2003년, 2004년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서의 포인트 분류 등 그랜드 투어에서 기록적인 9점 분류를 획득했다.자벨은 밀라노-산 리무진에서 4번 우승했고 6일 동안 수많은 트랙 경기에서 우승했다.그는 겨울에 트랙 사이클을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년 내내 경주를 한 근래에 몇 안 되는 로드 사이클 선수 중 한 명이었다.2012시즌 동안 그는 팀 카투샤에 단거리 코치로 합류했다.[3]그는 이전에 HTC-Highroad 팀이 해체될 때까지 같은 포지션을 유지했다.자벨은 1996년부터 2004년까지 도핑을 시인했다.그는 사이클리스트 릭 자벨의 아버지다.
어린 시절과 아마추어 경력
자벨은 마르잔 자치구의 동베를린에서 자랐다.그의 아버지 데틀레프는 프로 사이클 선수였다.그가 주니어 시절 처음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둔 것은 동독 팀 추월 3위 때 트랙 세계선수권대회였다.1988년에 그는 포인트 레이스에서 5위를 했다.1989년 19세 때 동독의 프로 트랙 국가대표팀에 포함되었다.그 해에 그는 개인 추격을 통해 동독의 국가 챔피언이 되었다.
베를린 장벽 붕괴 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여 헤네스 준커만이 이끄는 아마추어 팀 RC 올림피아 도르트문트의 일원이 되었다.1991년 제1회 재통합 독일 국도선수권대회에서 2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지역선수권대회에서 1위, 8월 세계선수권 아마추어 독일팀에 포함됐다.1992년 그는 강력한 스프린터로서 이름을 떨쳤고, 피스 레이스에서 그린 저지를 우승했고, 무대 경주에서 몇 번의 스테이지 우승을 했다.7월에 그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도로 경주에서 4위를 차지했는데, 그 곳에서 펠로톤 단거리 경주에서 우승했다.[4]
직업 경력
1993-1995년: 초기
1992년 말 그는 작은 독일 팀 유니온-프론덴버그에서 프로로 전향한 후 1993년 팀 텔레콤으로 이적하여 스프린터로 더욱 발전하였다.1994년 4월 27일 자벨은 베넨달-베넨달의 클로스테볼 대사물에 양성반응을 보였다.그는 3000 스위스 프랑의 벌금을 부과받았고 50점을 잃었다.집행유예가 취소되었다.[5]그 해 말 그는 파리에서 우승했다.매스 스프린트 투어, 클래식 레이스 첫 우승
1995년에 그는 투르 드 프랑스에서 두 번의 무대를 따냈는데, 이것은 그랜드 투어에서의 첫 번째 성공이었다.
1996-1999: 녹색 저지와 고전적인 승리
1996년 그는 투르 드 프랑스에서 다시 두 번의 스테이지에서 우승했고 포인트 분류에서 우승했다.10단 그린저지를 인수해 투어가 끝날 때까지 착용했다.그해 그의 텔레콤 팀은 일반 부문에서도 각각 비야르네 리이스와 얀 울리히가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1997년 자벨은 그의 첫 기념비적인 고전인 밀라노-산 리무진을 수상했다.그는 40명의 조에서 유일한 스프린터였고 쉽게 단거리에서 우승했다.그해 말 투르 드 프랑스 무대에서 3차례 우승하며 두 번째 그린 저지를 확보했다.
1998년 밀라노-산 리무진에서 두 번째로 우승하여 독일의 국도 챔피언이 되었다.그는 투어 드 프랑스에서 세 번째 그린 저지를 획득했지만, 이번에는 무대 승리 없이 우승했다.
1999년, 그는 마지막 킬로미터에서 완전히 벗어나 간신히 그의 노력을 유지했던 안드레이 치밀에 뒤이어 펠로톤 스프린트에서 우승하며 밀라노-산 리무진에서 2위를 했다.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중요한 독일 준클래식 룬드 움 덴 데닝거 터름에서 우승했고, 4연속 그린저지를 차지해 숀 켈리의 기록과 동률을 이루며 무승부를 또 다시 이어갔다.
2000-2002년 세계 1위
2000년, 그는 봄 UCI 로드 월드컵에서 두 다리로 우승했다: 밀란-산 리무진 3회 우승과 암스텔 골드 레이스에서의 깜짝 우승으로 마이클 부거드를 단거리 달리기에서 이겼다.여름에 그는 전례 없는 다섯 번째 그린 저지를 획득하여 켈리의 이전 기록을 능가했다.연말에는 월드컵 종합 1위, UCI 세계랭킹 2위였다.
2001년 사이클 전설 에디 메르크스 이후 최다인 네 번째 밀라노-산레모 우승으로 이탈리아에서 시그노레 밀라노-산레모라는 별명을 얻었다.투르 드 프랑스에서 6회 연속 승점 분류승을 거두며 3단계까지 우승했다.자벨의 독특한 6연속 녹색 저시 연주는 그가 가장 강한 단거리 선수 중 하나였지만, 꽤 잘 오를 수 있다는 그의 만능력에 기인했다.이는 시간 보너스 덕분에 투르 드 프랑스 일반 분류에서 주도권을 쥐는 것 외에도 다른 단거리 주자들이 은퇴했을 때 더 많은 승리를 거두어 그린 저지를 (포인트 분류 선두의 상징으로) 파리로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그린 저지를 확보하면서 기억에 남는 우승은 2001년 투르 드 프랑스에서 있었는데, 당시 호주 스튜어트 오그라디와의 경쟁은 첫 주부터 파리에서의 마지막 단계까지 계속되었는데, 자벨의 더 좋은 순위는 오그라디의 어깨에서 그린 저지를 떼어냈다.그 해 여름, 그는 또한 독일 최대의 일일 클래식인 HEW Cyclassics에서 우승했고 7번째 월드컵 레이스에서 우승했다.9월에 그는 Vuelta a Espaigna에서 연속해서 3단계 우승을 했고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선수권 로드 레이스에서 5위를 했다.
2001년은 그의 가장 성공적인 해로 밝혀졌다.연말에는 29차례의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세계랭킹 폐막 순위 1위에 올랐다.
2002년 그는 밀라노-산 리무진에서의 이탈을 놓쳤지만 룬드 움 덴 헤닝거 투름에서 두 번째로 우승했다.여름에는 투르 드 프랑스에서 그린 저지를 7연속 우승하는 데 실패했다.통산 12번째인 1단계 우승을 차지했지만 최종 점수 분류에서 호주인 로비 맥이웬에게 결국 패했다.그는 스테이지에서 우승하지 않고 대신 Vuelta a Espaigna에서 포인트 분류를 획득했다.벨기에의 Zoward에서 그는 마리오 시폴리니와 로비 맥에웬에 이어 펠로톤 단거리에서 세계 챔피언쉽에서 3위를 차지했다.연말에는 세계랭킹 1위 자리를 지켰다.
2003-2005년: 부엘타의 성공과 시상대 자리
2003년 독일의 국도 챔피언에 두 번째로 올랐으나 투르 드 프랑스에서 한 단계도 우승하지 못하고 최종 점수 분류에서 3위를 차지했다.그는 부엘타에서 2단계 우승을 했고, 다시 경주 포인트 분류에서 우승했다.10월에 그는 파리에서 우승했다.투어는 통산 두 번째 출전으로, 하루 평균 시속 47.55km의 기록적인 속도로 우승해 비공식 루반 자운에게 수여되었다.이 기록은 2010년 오스카르 프레이어가 파리에서 우승할 때까지 계속되었다.평균 시속 47.73km로 달리는 투어.[6]그는 파올로 베티니에 이어 세계 랭킹 2위로 한 해를 마감했다.
2004년에 자벨은 시즌 5번째 밀라노-산 리무진을 잃기 시작했다.그는 단거리 경주에서 우승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해 보였지만 너무 일찍 축하하기 위해 팔을 들었고 결국 오스카르 프레이어에게 좌절당했다.투르 드 프랑스 포인트 분류에서는 3위, 부엘타 포인트 분류에서는 1위를 차지했지만, 수많은 2, 3위에도 불구하고 무대는 얻지 못했다.부엘타에서 1위를 차지한 것도 그랜드 투어, 역대 최고 기록인 포인트 분류에서 9번째 우승이었다.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그는 도로 경주에서 다시 4위를 차지했고, 세 명의 탈출자들 뒤에 있는 단거리에서 다시 우승했고 바르셀로나 이후 12년 만에 올림픽 메달을 놓쳤다.10월, 시즌 내내 9승 18초의 기록 끝에, 그는 그가 시작한 한 해를 마감했는데, 이것은 그가 베로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프리레에 이어 2위였다.
2005년 자벨은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룬드 움 덴 헤닝거-투름에서 시즌 첫 우승으로 세 번째 우승자가 되었다.지난 5월 지로디탈리아에서 생애 처음으로 출전해 아직 우승하지 못한 유일한 포인트 분류를 노렸지만 한 단계도 우승하지 못해 포인트 랭킹 6위에 올랐다.얀 울리히와 함께 투르 드 프랑스 우승에 열심인 그의 텔레콤 팀은 그 해 투어 선발전에 그를 포함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그가 연말에 팀을 떠날 것이라고 HEW 사이클래식스의 시작에 선언했던 자벨의 불만에 크게 작용했다.그는 부엘타를 탔지만 알레산드로 페타치에게 여러 차례 뒤진 2위에도 불구하고 무대나 포인트 분류를 할 수 없었고 마드리드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10월에 그는 파리에서 우승했다.구스타브 다넬스, 폴 메이, 귀도 레이브룩의 클래식 기록과 같은 세 번째 투어를 한다.
2006-2008: 팀 밀람
자벨은 13년 만에 소속팀 텔레콤을 떠나 2006년 이탈리아-독일팀 밀람에 입단해 알레산드로 페타치(Alessandro Petacchi)와 팀을 이뤘다.페타치는 당시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단거리 주자로 여겨져 이탈리아 프로그램에 집중하려 했으나 지로에서 무릎이 부러져 자벨이 그 시즌 팀의 리더가 됐다.바이에른 룬파흐르트의 무대인 시즌 첫 승을 거두기 위해서는 5월 24일까지 기다려야 했다.투어에서는 GC 경쟁자가 없는 상황에서 팀장을 맡아 최종 점수 분류에서는 2위를 차지했지만 최고의 무대 성적은 3위 2위였다.부엘타에서 그는 2006년 프로투어의 첫 우승인 두 단계를 우승한 후 세계선수권대회에 진출했다.잘츠부르크에서는 파올로 베티니, 알레한드로 발베르데와 함께 세계선수권대회 3번째 단상에 오른 3인 스프린트에서 2위를 했다.
2007년에 그는 바이에른 룬드파흐르트에서 2개, 투르 드 스위스에서 1개 스테이지에서 우승했다.그는 알레산드로 페타치가 살부타몰 양성반응으로 출전정지 처분을 받은 후 투르 드 프랑스 대표팀 선발에서 다시 주장을 맡았다.그는 어느 날 그린 저지를 입었고, 한 무대에서 두 번, 한 번은 세 번째였지만, 최종 점수 분류에서 한 번 더 3위를 차지했다.7월에는 통산 13번째인 도이칠란트 투어에서 1단계 우승을 차지하며 7회째 승점 분류에서 우승했다.9월에는 투르 드 스페인에서 세계 챔피언 벳티니를 제치고 7번째 스테이지에서 우승하여, 그의 선수 생활 내내 부엘타에서 총 8번의 스테이지 승리를 거두었다.
2008년 그는 시즌 초반 발렌시아 투어에서 한 경기, 무대에서의 승리를 거두었다.투어 드 프랑스에서의 마지막 참가에서, 38세의 나이에, 그는 최종 점수 분류에서 한 번 더 3위를 차지했다.2008년 9월, 자벨은 프로 사이클 선수로서 16년 만에 은퇴할 것이며 209번의 프로 도로 우승과 더 많은 시상대가 끝난다고 말했다.[7]2008년 12월 그는 마크 카벤디쉬, 안드레 그리펠, 마크 렌쇼와 같은 기수들과 함께 일하기 위해 콜롬비아 팀에 고문으로 합류했다.[8]
도핑 고백
2007년 5월 24일, 자벨과 전 팀 텔레콤 팀 동료 롤프 알다그는 1996년 투르 드 프랑스를 준비하기 위해 EPO를 사용했음을 인정했다.자벨은 기자 회견에서 일주일 동안 실험하다가 부작용 때문에 중단했다고 말했다.그는 과거에 EPO를 사용한 것에 대해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9]그의 고백은 전 팀 텔레콤 마사지사 제프 드혼트의 비난과 전 팀 텔레콤 멤버인 버트 디테즈, 우도 뵐츠, 크리스티안 헨의 고백으로 촉발되었다.2007년 4월 독일 정치전문지 '더 슈피겔'에 발췌된 D'Hont의 책은 1990년대 중반 EPO와 함께 조직적인 도핑을 한 팀 텔레콤을 고발했다.[10]
그의 이름도 1998년 투르 드 프랑스 때 수집된 2013년 7월 24일 프랑스 상원이 발표한 도핑 테스트 명단에 올랐다가 2004년 재시험에서 EPO 양성 판정을 받았다.[11]그 결과 자벨은 카투샤 팀 코칭에서 제명되고 UCI 프로 사이클 평의회 멤버십을 사임했다.[12]
며칠 후, 자벨은 마침내 sueddeutsche.de에 들어가 그의 진실 규명의 수준을 밝혔다.그는 독일 출판사에서 1996년과 2003년 사이에 다른 금지된 제품과 방법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 물질을 사용했다고 말했다.그는 "에포, 코르티손, 그리고 심지어 혈액 도핑까지 하는 것은 여전히 큰 문제"라고 말했다.[13]
주요결과
- 1992
- 올림픽대로4길
- 1993
- 제7회 종합티레노-아드리아토
- 1단계
- 1994
- 제1회 파리-투어
- 제1회 클래식 하리보
- 투르 드 라바니르
- 1점구분
- 1단계 2, 5, 7, 8
- 아라곤의 부엘타
- 1단계 2, 3단계 및 5단계
- 7대 옴루프 헤트 볼크
- 1995
- 제1회 뮌헨의 6일 (에티엔 드 와일드 포함)
- 투르 드 프랑스
- 1단계 6&17
- 투르 드 스위세
- 1단계 2단계 및 3단계
- 1단계 티레노-아드리아토
- 1stage 2 Vuelta a Aragon
- 제3회 콘스탄탈레일 클래식
- 제3회 던커크 4일
- 1단계 및 7단계
- 제7회 안달루치아 종합 부엘타
- 제8회 젠트-베벨렘
- 셸데프리 9기
- 1996
- 제1회 런드 엄 쾰른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롤프 알다그와 함께)
- 제1회 콘티넨탈레 클래식
- 투르 드 프랑스
- 1점구분
- 1단계 3&10
- 세트마나 카탈리나 데 치클리스메
- 1단계 1, 2단계 및 4단계
- 1단계 2 4일 던커크
- 1단계 2차 투어 드 룩셈부르크
- 1stage 3 Vuelta a Andalucia
- 1단계 5단 론드 판 네덜랜드
- 셸데프리 5기
- 6번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1997
- 제1회 안달루시아 전체 부엘타
- 1단계
- 제1회 밀라노-산 리무진
- 제1회 셸데프리즈
- 제1회 트로페오 루이스 푸이그
- 제1회 콘티넨탈레 클래식
- 투르 드 프랑스
- 1점구분
- 1단계 3, 7, 8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단계2~4단계
- 1stage 1 Tour de Suisse
- 1차 1단계 룩셈부르크 투어
- 1stage 3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1단계 4단 론드 판 네덜랜드
- 3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1998
- 1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제1회 밀라노-산 리무진
- 투르 드 프랑스
- 1점구분
- 2단계 이후 개최
- 티레노아드리아티코
- 1점구분
- 1단계 2, 7, 8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단계 및 4단계
- 아라곤의 부엘타
- 1단계 4~5단계
- 1stage 1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1단계2길
- 1차 4단계 투르 드 룩셈부르크
- 제2차 대륙별 클래식
- 제6회 겐트-베벨렘
- 10번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1999
- 1점 분류 투어 드 프랑스
- 1차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제1회 스파카센 지로보훔
- 제1회 콘티넨탈레 클래식
- 카탈루냐 볼타
- 1단계 4~5단계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단계2~4단계
- 아래 둘러보기
- 1단계2~4단계
- 1stage 1 Vuelta a Aragon
- 1stage 2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1단계 6차 독일 투어
- 제2차 밀라노-산 리무진
- 제2차 셸데프리즈
- 3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제9회 HEW 사이클래식스
- 2000
- 제1회 UCI 로드 월드컵
- 제1회 밀라노-산 리무진
- 제1회 암스텔 골드 레이스
- 제1회 트로페오 루이스 푸이그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롤프 알다그와 함께)
- 투르 드 프랑스
- 1점구분
- 1단계 20
- 도이칠란트 투어
- 1점구분
- 1단계 2, 5, 8
- 카탈루냐 볼타
- 1단계 2단계 및 3단계
- 세트마나 카탈리나 데 치클리스메
- 1단계 3, 4단계
- 1stage 1 Vuelta a Andalucia
- 1단계 바이에른-런드파흐르트
- 1stage 3a Rheinland-Pfalz Rundfahrt
- 1단계 4차 티레노-아드리아토
- 1stage 4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1단계 아래 5단계 투어 다운
- 제2 트로페오 칼라 밀러
- 제3회 파리-루바익스
- 제3회 트로페오 안드라텍스 미라도르 데스 콜로머
- 플랑드르 4차 여행
- 제4회 HEW 사이클래식스
- 셸데프리 7기
- 2001
- 제1회 밀라노-산 리무진
- 제1회 HEW 사이클래식스
- 제1회 트로페오 루이스 푸이그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롤프 알다그와 함께)
- 뮌헨의 첫 6일 (실비오 마르티넬로와 함께)
- 투르 드 프랑스
- 1점구분
- 1단계 1, 3단계 및 19단계
- 부엘타아 에스파냐
- 1단계 2, 3, 4단계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점구분
- 1단계 3, 4, 5, 6단계
- 도이칠란트 투어
- 1점구분
- 1단계 2, 3단계 및 8단계
- 투르 드 스위세
- 1점구분
- 1단계 및 8단계
- 1stage 2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1stage 3 Vuelta a Andalucia
- 2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제2차 대륙별 클래식
- 제3차 파리-투어
- 5번 로드레이스, UCI 로드 월드 챔피언십
- 제9회 젠트-베벨렘
- 2002
- 1차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1점 분류 부엘타 a 에스파냐
- 1점 분류 티레노-아드리아토
- 투르 드 프랑스
- 1단계6길
- 3단계 후 개최
- 1~9단계 및 11~12단계 후 개최
- 도이칠란트 투어
- 1점구분
- 1단계 1, 2, 5, 7단계
- 투르 드 스위세
- 1점구분
- 1단계 2단계 및 8단계
- 론드 판 네덜랜드
- 1점구분
- 1단계
- 세트마나 카탈리나 데 치클리스메
- 1단계 1, 2a
- 1단계 티레노-아드리아토
- 1차 1단계 룩셈부르크 투어
- 1stage 2 Vuelta a Aragon
- 1단계 바이에른-런드파흐르트
- 3번 로드레이스, UCI 로드 월드 챔피언십
- 3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제3차 파리-투어
- 트로페오 칼라 밀러 3기
- 3 트로페오 루이스 푸이그
- 제9회 젠트-베벨렘
- 제9회 암스텔 골드 레이스
- 제10회 안달루시아 종합 부엘타
- 1점구분
- 플랑드르 제10차 여행
- 2003
- 1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제1회 파리-투어
- 부엘타아 에스파냐
- 1점구분
- 1단계 10&11
- 세트마나 카탈리나 데 치클리스메
- 1단계 및 5단계
- 1stage 1 Deutschland 투어
- 1단계 3차 론드 판 네덜랜드
- 1단계 무르시아 부엘타
- 1단계 바이에른-런드파흐르트
- 2차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트로페오 칼라 밀러 3기
- 제4회 스파카센 지로보훔
- 셸데프리 5기
- 제5회 그랑프리 피노 세라미
- 제6회 밀라노-산 리무진
- 제6회 HEW 사이클래식스
- 제8회 종합티레노-아드리아토
- 2004
- 제1회 런드 엄 쾰른
- 1점 분류 부엘타 a 에스파냐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점구분
- 1단계 2단계 및 5단계
- 1stage 5 Vuelta a Andalucia
- UCI 세계 도로 선수권 대회, 2번 도로 경주
- 제2차 밀라노-산 리무진
- 제2 트로페오 칼라 밀러
- 제3회 종합티레노-아드리아토
- 올림픽대로4길
- 4 트로페오 루이스 푸이그
- 제7회 HEW 사이클래식스
- 7번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제7회 도전 일레발레즈
- 2005
- 제1회 파리-투어
- 1차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제1회 뮌헨의 6일 (로버트 바르트코와 함께)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롤프 알다그와 함께)
- 3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플랑드르 4차 여행
- 4 트로페오알쿠디아
- 5차 도전 일레 발리
- 제9회 젠트-베벨렘
- 2006
- 뮌헨의 첫 6일 (브뤼노 리시 포함)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브뤼노 리시와의)
- 1차 6일 밤 뷔트겐(브뤼노 리시 포함)
- 1차 포인트 분류 독일칠란드 투어
- 부엘타아 에스파냐
- 1단계 4&21
- 1단계 바이에른-런드파흐르트
- UCI 세계 도로 선수권 대회, 2번 도로 경주
- 제2회 카타르 종합 투어
- 제2회 바텐폴 사이클래식스
- 제3회 지로델라 프로빈시아 디 루카
- 제3회 국제 그랑프리 도하
- 제3회 스파카센 지로보훔
- 4번 런드 음 덴 헤닝거 투름
- 제5차 밀라노-토리노
- 제8회 브라반테 피일
- 2007
- 바이에른-룬파흐르트
- 1점구분
- 1단계 2단계 및 3단계
- 도이칠란트 투어
- 1점구분
- 1단계3길
- 1단계 7부엘타 아 에스파냐
- 1stage 1 Tour de Suisse
- 제5회 종합 니더사흐센-런드파흐르트
- 제5회 바텐폴 사이클래식스
- 제6회 밀라노-산 리무진
- 셸데프리 7기
- 투르 드 프랑스
- 5단계 이후 개최
- 2008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라이프 램파이터와 함께)
- 1stage 2 volta a la Comunitat Valenciana
- 2번 도로 레이스, 전국 도로 선수권 대회
- 뮌스터랜드 지로 2기
- 제4회 젠트-베벨렘
- 셸데프리 4기
- 제7회 파리-투어
- 2009
- 제1회 베를린 6일 (로버트 바르트코와 함께)
- 제1회 브레멘의 6일 (라이프 램프레이터 포함)
- 제1회 도르트문트 6일 (라이프 램파이터와 함께)
클래식 결과 시간 표시 막대
기념비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밀라노-산 리무진 | 94 | 16 | 69 | 39 | 1 | 1 | 2 | 1 | 1 | 70 | 6 | 2 | 14 | 21 | 6 | 17 |
플랜더스 투어 | 59 | 22 | 69 | 20 | 39 | 43 | 22 | 4 | 53 | 10 | 43 | — | 4 | 11 | DNF | 67 |
파리루바익스 | — | — | 44 | 36 | 41 | — | 29 | 3 | — | 26 | 15 | — | — | 12 | — | — |
리에베-바스토뉴-리에제 | — | — | — | — | — | — | — | 39 | — | — | — | 81 | — | — | — | — |
지로디롬바르디아 | 6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클래식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겐트-베벨렘 | — | 36 | 8 | 11 | 93 | 6 | 23 | 41 | 9 | 8 | — | — | 9 | 41 | — | 4 |
셸데프리즈 | 60 | — | 9 | 5 | 1 | — | 2 | 7 | — | — | 5 | — | — | — | 7 | 4 |
암스텔 골드 레이스 | — | — | — | 38 | 62 | 39 | 13 | 1 | DNF | 9 | 15 | 16 | 49 | — | 58 | 23 |
프랑크푸르트 그랑프리 | 46 | 46 | 53 | 6 | — | 10 | 1 | 29 | 53 | 1 | 2 | 7 | 1 | 4 | 13 | — |
함부르크 사이클래식스 | — | — | — | — | — | 22 | 9 | 4 | 1 | 77 | 6 | 7 | 15 | 2 | 5 | — |
참고 항목
참조
- ^ a b "Erik Zabel". T-Mobile Te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September 2004. Retrieved 15 October 2020.
- ^ Marszalek, Daniel. "Ranking" (in Pol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0.
- ^ "Zabel joins Katusha as sprint coach". Cyclingnews.com. 19 October 2011. Retrieved 12 August 2017.
- ^ Evans, Hilary; Gjerde, Arild; Heijmans, Jeroen; Mallon, Bill; et al. "Erik Zabel Olympic Results". Olympics at Sports-Reference.com. Sports Reference L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16. Retrieved 24 July 2016.
- ^ [1]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1997년 9월 21일 (독일어로)
- ^ Cyclingnews.com 2010년판 파리판 세부 정보 제공투어
- ^ "[2] 2008년 9월 26일 벨로뉴스
- ^ "[3] Cyclingnews.com, 2008년 12월 3일,
- ^ Westemeyer, Susan (24 May 2007). "Zabel and Aldag confess EPO usage". cyclingnews.com. Retrieved 24 May 2007.
- ^ 마사르 위프트 팀 텔레콤 시스템 도핑 vor Der Spiegel, 2007년 4월 28일
- ^ "French Senate releases positive EPO cases from 1998 Tour de France". 24 July 2013.
- ^ Grohmann, Karolos (30 July 2013). Osmond, Ed (ed.). "Doping -Team Katusha suspends Zabel after doping admission". Reuters. Retrieved 30 July 2013.
- ^ "Zabel admits to lying in 2007 about extent of his doping, now confirms eight-season period of use".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에릭 자벨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Erik Zabel collected news and commentary". The New York Times.
- 라이브러리에서 에릭 자벨에 대한 작업(WorldCat 카탈로그)
- 사이클링 기록 보관소의 에릭 자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