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 호출부호

Military call sign

군 호출부호는 군 통신의 고유 식별자로 지정된 호출부호다. 전시에서는 상대의 통신을 감시하는 것이 귀중한 정보 형태가 될 수 있다. 일관된 호출 부호는 이러한 모니터링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시에서는 군 부대가 종종 전술적인 호출 부호를 채용하고 때로는 정기적으로 호출 부호를 변경하기도 한다. 평시에, 일부 군대는 국제 시리즈에서 고정된 통화 표지를 사용할 것이다.

미군

2001년 2월 에어포스 원(Air Force One)으로 사용된 두 대의 VC-25 중 하나인 SAM 28000은 러시모어상공을 비행했다.

미 육군은 미국 육군본부가 사용하는 WAR과 같이 W로 시작하는 고정역 콜 표지를 사용한다. 전술적 호출 부호는 종종 회사 규모 이상의 장치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집합적인 "체크메이트"가 전체 회사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체크메이트 레드 6"은 제1 소대장이 될 수 있다(1차 소대는 빨간색, 2차 소대는 흰색, 3차 소대는 파란색, 사령부는 검은색, 그리고 종종 다른 부분은 추가 색상), 2차 소대장은 "체크메이트 화이트 6" 등이 된다. "체크메이트 6"은 중대장이며, "체크메이트 6 로미오"는 사령관의 무선전화 운영자(NATO 음성 R)이다. 일부 협약에 따라 6명은 지휘관 또는 지도자로, 5명은 2인자 또는 집행관, 7명은 NCO 책임자로 지정된다.[1] 또한, 기업들은 종종 자신이 지정한 편지('A', 'B', 'C' 또는 'D')를 콜사인의 첫 번째 문자로 한다. 이것은 'C' 회사가 잠재적으로 '체크메이트'를 그것의 호출부호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rmy wide를 사용한 특정 호출 부호는 DustOFF로, 베트남 최초의 전용 에어 앰뷸런스 부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 공군 기지 고정 호출 부호는 USAF 본부가 사용하는 AIR과 같은 A로 시작한다. USAF는 또한 이름 뒤에 두 자리 또는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된 반고정식 식별자를 사용한다. 미 국방부가 DEFCON 3으로 갈 때만 달라지는 준영구적 방식으로 부대에 이름이 배정된다. 예를 들어 JAMBO 51은 제5폭발 윙의 특정 B-52 항공전사에, NODAK 1은 노스다코타항공 주방위군과 함께 F-16 전투기에 배정된다. 개별적인 군 조종사나 다른 비행장교들은 보통 개인 비행사 호출 부호를 채택한다.

이러한 유형의 가장 눈에 띄는 호출 부호는 공군 항공기가 미국 대통령을 수송할 때 사용되는 에어포스 원이다. 마찬가지로 대통령이 미 해병대 헬기를 타고 비행할 때 호출 부호는 마린원이다. 공군 전투기 조종사 출신인 조지 W 부시 당시 대통령이 해군 S-3B 바이킹을 타고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으로 날아갔을 때 '네이비 원' 호출부호를 처음 사용한 것이다.

미 해군, 미 해병대, 미 해안경비대N자로 시작하는 선박과 함께 전술적 호출 부호와 국제 호출 부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를 들어, USSF. 케네디는 다른 선박과의 미분류 및 항법 통신에 대해 NJFK라는 호출 부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임무에 따라 다른 전술적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해군과 해병대의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항공기 꼬리코드에 근거한 국가별 명명 규칙을 사용하여 할당된 비행대 또는 항공 비행대를 식별하고 MODEX로 알려진 항공기의 코에 3자리 숫자를 칠한다. 예를 들면 "11월 리마 투제로원"이나 "해 11월 리마 투제로원"이 있을 수 있다. 해병대 항공기는 '마린델타 11월 1-제로-2'나 '샴록 원-제로-2'와 같은 호출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전술적 호출 부호는 임무 필수품이 지시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다.

해경 항공기 호출부호는 거의 항상 "코스트 가드"라는 단어와 4자리 항공기 번호(예: "코스트 가드 6-5-7-9iner")로 되어 있지만, 다른 호출부호는 항정신병 약물 상호작용을 비롯한 특수작전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적 상황에서 해병대는 육군과 유사한 호칭 규약을 활용한다.

2019년 5월, 미 해군은 잠재적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이름을 피하기 위해 훈련 중 조종사들에게 호출부호를 할당하는 새로운 절차를 발표했다.[2]

영국군

전술적 음성 통신("통신망 무선")은 문자 자릿수 형식의 호출 부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표준 보병 대대 내에서 이러한 문자는 각각 회사, 플래툰 및 구역을 나타내며, 따라서 3개 구역, 1개 소대 B 회사의 F13이 될 수 있다. 또한 초기 호출 부호 뒤에 접미사가 있으면 지정된 호출 부호 내에서 특정 개인이나 그룹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F13C는 찰리 소방대가 될 것이다. 사용되지 않은 접미사는 표준 호출 부호 매트릭스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호출 부호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은 33A 호출 부호는 중대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호출 부호의 문자 부분은 회사의 서한(위의 예에서 B 대 F)이 아니다. 대신 문자 지정은 BATCO 시트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할당되고 CEI(통신 전자 설명서)에 나타나며 24시간마다 BATCO 코드와 함께 변경된다. 이는 모든 부대가 같은 소리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주파수 변경과 음성 절차와 함께 단순한 교통 분석과 도청으로부터 군을 보호한다. B20과 같은 다른 무선 사용자들은 표준 대대 모델에 맞지 않지만 보호를 위한 호출 부호도 할당된다.

각 네트의 컨트롤러에는 호출부호 0("0")이 있다. 또한 예비역이나 지휘관이 통신 업무를 수화 사용자에게 위임했지만 때때로 직접 통화하기를 원하는 경우 호출부호 0A("제로 알파")를 사용하여 두 번째 통제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BATCO 시스템은 사용자와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일련의 임명 직함을 사용했으며, 예를 들어 적절한 리더를 가리킨다. 대부분의 임명직 호칭은 더 이상 영국 육군에 의해 사용되지 않지만, "선레이"와 "선레이 마이너"와 같은 호칭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3] 또한 임명직 호칭은 지역 사관군 통신 훈련 동안 계속 가르쳐진다.[4] 몇몇 다른 연방 군사나 간부 후보생 기관 또는 약속 타이틀을 계속 사용할, 그 Australia,[5]Canada,[6][7][8]뉴질랜드의 로디지아(현재의 짐바브웨)[9]와 시에라 Leone,[10]미국과 다양한 군사는 나토 국가들에 의해 일부 사용량 또한 약속 타이틀의 목록이 포함되기도 때문에 일어나는 데 사용할 수 있다.ACP125;[11][12]Commo에nucley 및 ACP 125 임명직명은 차이, 추가, 소급 등을 찾을 수 있지만 영국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것과 높은 수준의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영국 자신은 특정 직함이 평소와 다른 의미를 가지거나 또는 a로 대체된 운영 배너 동안 임명직명부 목록의 변형된 버전을 사용했다).대체 제목[13]. 임명 직함을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개 낮은 등급의 보안 커버만 주는 것으로 간주되며,[14][15][12] ACP 125는 이를 비분류로 간주한다.[11]

세르 약속 제목
1 사령관(배탈리온, 컴퍼니, 소대) 선레이
2 2인자 선레이 마이너
3 부관 갈매기
4 인텔리전스 오피셜 도토리
5 채석기 몰라
6 갑옷 아이언사이드
7 포병 셸드레이크
8 엔지니어 홀드패스트
9 신호. 프론토
10 보병 폭스하운드
11 메디컬 오피셜 별빛
12 오드넌스 인력거

참조

  1. ^ "US Army Field Manual 71-100-2". Retrieved 20 October 2020.
  2. ^ Military.com. "African-American pilots say they were given racist call signs, and now the Navy says it's changing how it gives them out". Business Insider. Retrieved 2019-05-30.
  3. ^ "British Army Appointment Titles". Retrieved 27 November 2012.
  4. ^ http://www.18f.co.uk/Training%20ACP's/First%20Class/ACP%2031%20Section%206%20Communications.pdf#page=28
  5. ^ https://tgsacu.files.wordpress.com/2016/10/cadet-instructors-handbook-ratel-2006.pdf#page=27
  6. ^ http://www.2824cops.com/wp-content/uploads/Army-Cadet-Reference-Manual.pdf#page=197
  7. ^ http://www.cfars.ca/ACP/ACP125_CANSUPP-1(C)_Chapter_4_Annex_A_8.pdf
  8. ^ https://army.ca/forums/index.php?topic=118427.0
  9. ^ https://www.freewebs.com/dudleywall/documents/Sigs%20Intaf-1.pdf#page=5
  10. ^ http://www.mod.gov.sl/docs/Doctrine%20-%20SOHB%20Part%201%20-%20Operations%20and%20Tactics.pdf#page=148
  11. ^ a b https://orwg.cap.gov/media/cms/ACP125GRadioTelephoneProceduresNOV2_EFFE1A51BA783.pdf#page=22
  12. ^ a b https://archive.org/details/DTIC_AD0384659/page/n169/mode/2up
  13. ^ https://www.army.gov.au/sites/default/files/2019-11/northern_ireland_operational_aide_memoire_1978_0.pdf#page=21
  14. ^ http://311sqn.aafc.org.au/sites/default/files/RCE%20Syllabus.pdf#page=13
  15. ^ http://321sqn.aafc.org.au/sites/default/files/RCE%20AL1(2).pdf#page=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