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오만)

Foreign Ministry (Oman)
오만 술탄국
외무부
وزارة الخارجية
National emblem of Oman.svg
에이전시 개요
관할권오만과 전세계 공관
본부무스카트
기관 임원
웹사이트mofa.gov.om

외무부(아랍어: وزرةةةةةرة)는 오만 술탄국의 정부기구로서 오만과 타국 및 지역 및 국제기구와의 관계를 조직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 외무장관은 세이이드 바드르 알부사이디다.그는 2020년 8월 18일에 임명되었다.

대외정책

외교부는 대화와 협력, 상호 존중을 통해 모든 나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외교부는 오만이 화목하게 사는 지역 공동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국가의 미래에 필수적인 경제 성장과 문화 발전을 촉진하면서 안보와 안정을 보장하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1]

국가기본법(오만헌)에 규정된 외교부의 임무는 다음과 같은 특정 핵심 원칙에 있다.[2]

  • 술탄국가를 보존하고 보호하며 그 독립과 주권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 상호 존중, 상호 이익, 내사 불간섭에 기초하여 우정의 유대를 재확인하고 모든 민족 및 모든 국가와의 협력의 유대를 강화한다.
  • 국제 협약과 지역 조약을 존중하고 국제적으로 법치를 인정하기 위해서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외교부는 술탄 국왕과 국왕 정부의 지시에 따라 술탄국의 외교 관계를 발전시키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2]

오만의 국제기구 대표로는 아랍연맹, 유엔, 인도양 지역협력협회, 이슬람협력기구, 중동담수화연구센터[3], 걸프협력위원회 등이 있다.[4]

역사

1970년 술탄 카부스 사이드세이드가 정권을 잡았을 때, 오만은 이웃 아랍 국가들을 포함한 외부 세계와의 공식적인 협정을 제한했다.새로운 술탄은 1970년 외무부(현 형태) 설립을 포함한 새로운 근대화와 진보의 길로 오만을 출범시켰다.

오만은 외무부 설립 이후 온건한 외교정책을 추구하며 외교관계를 획기적으로 확대했다.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지지했으며,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 이후 이집트와의 관계를 끊지 않은 소말리아, 수단과 함께 아랍연맹 3개 주 중 하나였다.[5]페르시아만 위기 동안, 오만은 유엔 연합의 노력을 도왔다.오만은 이웃 나라들과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켜왔다. 오만은 1981년 창설되었을 때 6명으로 구성된 걸프 협력 위원회에 가입했다.

오만은 1993년 오슬로 협정과 2002년부터 아랍 평화 이니셔티브를 맺은 것처럼 전통적으로 중동 평화 이니셔티브를 지지해 왔다.오만도 1991년 마드리드 회의의 적극적인 회원이었다.1994년 4월, 오만은 평화 프로세스 노력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자원 워킹 그룹의 전체 회의를 주최하였다.오만은 페르시아 만에서 회의를 개최한 첫 번째 국가가 되었고 걸프 만에서 이스라엘 총리(이츠하크 라빈)를 받은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6]오만은 1996년 중동 담수화 연구소를 설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MEDRC 본부는 무스카트에 있다.MEDRC는 평화와 환경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세계적인 거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

냉전 기간 중 오만은 도파르의 반란에 대한 공산당의 지원 때문에 공산주의 국가들과의 관계를 피했다.

최근 몇 년간 오만은 1992년부터 2008년까지 공동 송유관 사업에 참여했던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공화국들에서 외교 이니셔티브를 수행해 왔다.또 오만은 북쪽 이웃인 이란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 나라는 정기적으로 대표단을 교환한다.오만은 이란과 미국(다른 나라들 중) 긴장된 관계에서 정상 간 회담을 개최함으로써 대화를 촉진한다.존 케리국무장관은 2015년 JCPOA가 합의된 뒤 "오만은 중요한 회담을 여러 차례 개최했을 뿐 아니라 애초에 이 회담을 원점에서 벗어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고 오만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오만은 높은 수준의 내부 안정을 누리고 있지만 페르시아만 전쟁과 이란-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인한 지역적 긴장은 계속해서 많은 국방비를 필요로 하고 있다.오만은 2015년 99억 달러의 국방 예산을 책정했다.오만은 작지만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군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그리고 다른 나라들로부터의 품목들 에 주로 영국 장비를 공급받고 있다.비록 "오만화"라는 프로그램이 지난 몇 년 동안 오만의 장교들의 비율을 꾸준히 증가시켰지만, 영국 장교들은 술탄국에 대여하거나 계약을 맺고 군인들을 돕는다.

예멘에서 전쟁이 발발하자 오만 외무부는 평화 탐색에 촉진자 역할을 제공했다.

2017년 6월 시작돼 카타르와 사우디 주도의 연합군 사이에 균열이 생긴 카타르 외교 위기 때도 오만은 중립을 지키며 양측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오만 항구는 이 배들이 카타르 인근 국가들 대부분에 의해 보이콧되었을 때 카타르로 가는 화물의 경로를 바꾸는 데 사용되었다.이 균열은 바레인,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카타르와 외교·경제적 관계를 단절하는 등 걸프협력협의회에 위기를 초래했다.외교위기는 GCC 정상회의를 통해 2021년 1월 해결됐다.[8]

1970년 외무부 설치 이전에,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의 가장자리에 전략적 위치가 있고 해상 무역로가 번성하기 때문에 오만에는 인도양을 가로지르는 상업적이고 문화적인 긴밀한 연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나라들과 공식적인 합의는 거의 없었다.1800년 오만과 영국은 그들의 특별한 관계를 확립하고 영국이 오만의 민군 문제에 긴밀히 관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약에 서명했다.[9]1833년 오만은 미국의 무역대표부와 우호통상조약을 맺었다.[5]

영토 분쟁

1977-78년 아랍에미리트와 오만 국경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 분쟁이 일어났다.라스 카이마무산담 반도를 둘러싼 북쪽 경계는 1979년에 정착되었다.[10][11]두 주간의 관계는 1980년대-90년대에 따뜻해졌고, 그 결과 1999년에 국경의 남쪽 구역에 대한 국경 협정이 이루어졌고, 2002년 6월 22일에 아부다비에서 완전한 국경 구분법이 비준되었다.[10]

1990년 5월 남북 예멘이 합병한 후, 오만은 1992년 10월 1일 새로운 예멘 공화국과의 국경 분쟁을 해결했다.두 이웃은 협력적인 양국 관계를 맺고 있다.오만도 1990년대에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협정을 맺었고, 지금은 오만과 모든 이웃의 국경선이 구분되어 있다.

책임

외교부는 술탄국 외교관계를 함양하고 모든 외교업무를 관리해야 할 책임이 있다.

외교부는 전세계의 국가 및 단체들과 강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건설적인 협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들이 평화적 수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도록 장려함으로써 국제 평화, 안보, 경제 발전의 명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자 및 다자간 회의와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법률이 정한 절차에 따라 오만 대표단이 국제회의에 참여하고 국제협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지시와 권한을 제공한다.[2]

외교부의 책무는 2008년 왕령 제32호/2008년 제정된 외무부 구성법 제4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12]

  • 나머지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국제행사를 감시하며, 지역 및 세계행사와 관련하여 오만 정치입장을 발전시킨다.
  • 오만과 다른 나라 및 국제 기구와의 관계를 평가한다.
  • 타국과의 기술·경제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타 부처 및 기관과의 조정, 외국인 투자 촉진 및 수출 개발 촉진.
  • 국가 간 대화를 촉진하고 평화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분쟁을 해결한다.
  • 국제 조약 비준을 위한 법적 절차 수행.

외무부 장관

사무총장

사무총장은 외무부 장관에게 보고하지만, 장관 계급도 가지고 있다.다음은 외교부에 임명된 사무총장의 이름이다.

하급 비밀 요원들

비밀 요원들이 외무부 장관에게 보고한다.외교부는 현재 외교 업무와 행정 및 재정 업무를 담당하는 2명의 비밀요원을 두고 있다.다음은 외무부에 임명된 비밀요원의 이름이다.

  • Saif Hammad Albattashi - 재무 및 서비스 담당 차관(1986–1994)[16]
  • 세이이드 하이담 빈 타릭 알 사이드 - 정무차관(1986–1994)[16]
  • 아흐메드 유수프 알하르시 - 외교차관(2009~2019년)[17]
  • 셰이크 칼리파 알하르시 - 외교 담당 차관(2019년–현재)[18]
  • 모하메드 유수프 알자라피 - 행정 및 재정 담당 차관(2009~2020)[17]
  • 모하메드 알와하이비 - 행정 및 재정 담당 차관(2020–현재)[19]

양국 관계

브루나이

브루나이에는 무스카트에 대사관이 있고, 오만에는 반다르 세리 베가완에 대사관이 있다.[20]1984년 3월 24일에 관계가 성립되었다.두 나라 모두 브루나이(Brunei)를 위한 영국인, 오만(Ohman)을 위한 포르투갈인 등 유럽 열강의 수호국이었으며, 현재 두 나라 모두 이슬람 절대군주제의 지배를 받고 있다.[20][21][22]

이집트

오만은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인정한 후 자파르 니메리르 휘하의 수단 안와르 사다트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 유일한 아랍 국가였다.이집트 내 단체의 해외 자금 지원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NGO는 오만이 아랍에미리트와 함께 호스니 무바라크의 손자의 이름을 딴 모하메드 알라 무바라크 연구소에 1,410만 달러를 기부한 사실을 발견했다.[23]

인도

인도는 오만 무스카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인도 영사관은 1955년 2월 무스카트에 문을 열었고 5년 뒤 총영사관으로 격상됐다가 1971년 본격적인 대사관으로 발전했다.인도의 초대 대사는 1973년에 무스카트에 도착했다.오만은 1972년 뉴델리에 대사관을, 1976년 뭄바이에 총영사관을 설립했다.

코소보

2011년 2월 4일, 오만은 코소보 공화국을 독립국, 주권국가로 인정했다.[24]2011년 9월 20일, 코소보와 오만 정부 지도자들의 회담에 이어 이러한 인정은 재확인되었다.[25]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와 오만은 1983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그 이후 2010년 1~10월 말레이시아와 오만 간 양국 교역은 거의 5억RM에 달했으며, 말레이시아의 오만 주요 수출품은 식용유, 기계, 가전제품 및 부품, 목재 제품, 전기 및 전자 제품이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 가장 가까운 아랍 국가인 오만과 100여 년 전 오만에서 정착한 발로치스탄 주 출신이라는 사실 때문에 이슬라마바드무스카트의 관계는 따뜻하다.1958년 이전, 과다르는 오만의 일부였지만 그해 파키스탄으로 전근되었다.

러시아

러시아는 무스카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오만은 모스크바 주재 대사관을 통해 러시아에서 대표된다.오만과 러시아 모두 1986년 2월 5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여전히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오만은 2010년 12월 아랍에미리트(UAE)가 운영하는 첩보망을 발견해 오만 군부와 정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이들은 술탄 카부스의 뒤를 누가 이을지, 오만과 이란 관계에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26][27]쿠웨이트가 분쟁을 중재했다.[28]

영국

영국오만의 관계는 강하고 전략적이다.[29]2010년 4월 오만 정부는 영국으로부터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구입하고 싶다고 말했다.[29]영국은 무스카트미나 파알[30] 대사관이 있고, 오만에는 런던에 대사관이 있다.[31]

도파르 반란은 1962년부터 1975년까지 도파르 지방에서 무스카트의 술탄국, 오만과 영국에 대항하여 시작되었다.이란 제국군의 개입과 반군의 패배로 끝났지만, 이 운동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오만 주를 획기적으로 개혁하고 현대화해야 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2010년 11월 오만 제40회 국경절을 기념하여 오만에서 열리는 엄청난 기념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오만을 방문했다.이번이 그녀의 두 번째 술탄국 방문(1979년 첫 방문)이었다.오만은 2010년 방문을 몇 주 앞두고 UNDP로부터 지난 40년(19702010년) 동안 가장 발전된 국가로 꼽혔다.[32]

미국

1974년과 1983년 4월, 오만의 술탄 카부스는 미국을 국빈 방문하였다.조지 H 부시 부통령은 1984년과 1986년 오만 방문을, 클린턴 대통령은 2000년 3월 잠시 오만을 방문했다.딕 체니 부통령은 2002년, 2005년, 2006년, 2008년 오만을 방문했다.2005년 3월 미국과 오만은 2005년 10월 성공적으로 타결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시작했다.FTA는 2006년 1월 19일에 체결되었다.오만에는 워싱턴 DC에 대사관이 있고 미국은 무스카트에 대사관이 있다.

참고 항목

좌표:23°36′59″N 58°28′08″E/23.616373°N 58.468809°E/ 23.616373; 58.468809

참조

  1. ^ "Foreign policy". Foreign Ministry. Retrieved 2021-07-22.{{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 ^ a b c "The role of the Ministry". Foreign Ministry of Oman. Retrieved 2021-07-12.{{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 ^ a b "MEDRC About Us". Retrieved 2021-07-22.
  4. ^ "Foreign Policy". mofa.gov.o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O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0. Retrieved 2 July 2012.
  5. ^ a b Foreign Ministry. "History of the Foreign Ministry".{{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6. ^ Wolf and Newton. "Case Study Transboundary Dispute Resolution: Multilateral Working Group on Water Resources (Middle East)" (PDF). Department of Geosciences, Oregon State University.
  7. ^ "His Majesty lauded for his role as global peacemaker The Consulate General of the Sultanate of Oman". Retrieved 2021-07-22.
  8. ^ Barakat, Sultan. "Qatar-GCC agreement: A victory for measured diplomacy". www.aljazeera.com. Retrieved 2021-07-22.
  9. ^ Owtram, Francis (1999). "Oman and the West: State Formation in Oman since 1920" (PDF).{{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0. ^ a b Valeri, Marc (2009). Oman: Politics and Society in the Qaboos State. C Hurst and Co. pp. 76–7.
  11. ^ "Arabian Boundary Disputes – Historical, Political And Legal Dossier - Archive Editions". 2008-04-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23. Retrieved 2021-07-22.
  12. ^ Oman, Ministry of Legal Affairs (2008). Royal Decree No. 32/2008. Official Gazette.
  13. ^ Allen, JR & Rigsbee, II, Calvin & W. Lynn (2000). Oman Under Qaboos. FRANK CASS. pp. 34–64.{{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4. ^ Oman, Ministry of Legal Affairs (1994). Royal Decree No. 110/94. Official Gazette.
  15. ^ Oman, Ministry of Legal Affairs (2007). Royal Decree No. 82/2007. Official Gazette.
  16. ^ a b Oman, Ministry of Legal Affairs (1986). Royal Decree No. 2/86. Official Gazette.
  17. ^ a b Oman, Ministry of Legal Affairs (2009). Royal Decree No. 70/2009. Official Gazette.
  18. ^ "Key people". Foreign Ministry of Oman. Retrieved 2021-06-26.
  19. ^ "Key figures". Foreign Ministry of Oman. Retrieved 2021-06-26.
  20. ^ a b "Brunei-Oman Relatio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Brune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February 2014. Retrieved 22 February 2014.
  21. ^ "BRUNEI AND OMAN: STRENGTHENING BILATERAL RELATIONS". Asia Economic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8. Retrieved 22 February 2014.
  22. ^ Oxford Business Group (2009). The Report: Brunei Darussalam 2009. Oxford Business Group. pp. 36–. ISBN 978-1-907065-09-5.
  23. ^ "Egypt Independent". Retrieved 21 February 2015.
  24. ^ 코소보 공화국 코소보 공화국 외무부 오만 술탄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 2011-02-04
  25. ^ 오만 술탄국으로부터의 인정, 코소보 공화국 외무부, 2011-10-20
  26. ^ "BBC News - Oman uncovers 'spy network' but UAE denies any links". BBC News. 31 January 2011. Retrieved 21 February 2015.
  27. ^ "Oman says busts UAE spy network, UAE denies role". Reuters. 30 January 2011. Retrieved 21 February 2015.
  28. ^ Defaiya (5 March 2011). "Kuwaiti Mediation Resolves Oman-UAE Spy Dispute". Retrieved 21 February 2015.
  29. ^ a b "BBC News - Oman 'wants to buy' Eurofighter planes from the UK". 2 April 2010. Retrieved 21 February 2015.
  30. ^ "UK and Oman". Retrieved 21 February 2015.
  31. ^ 영국 오만 대사관, 웨이백 기계에 2010-03-25 보관
  32. ^ "Oman most-improved nation in last 40 years, UN index says". Retrieved 2021-07-22.

Public Domain이 기사는 CIA 월드 팩트북 웹사이트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공개 도메인 자료를 통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