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of Myanmar미얀마 포털 |
역사적으로 긴박했던 미얀마의 대외관계, 특히 서방국가들과의 관계는 2012년 이후 개선되었다.2017년 로힝야 [1][2]사태로 관계가 다시 경색됐다.미얀마(버마라고도 함)는 일반적으로 가까운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회원국이다.
외교 관계
# | 나라 | 날짜. |
---|---|---|
1 | 영국 | 1947년 7월 7일 |
2 | 파키스탄 | 1947년 8월 1일 |
3 | 미국 | 1947년 9월 19일 |
4 | 네덜란드 | 1947년 12월 22일 |
5 | 인도 | 1948년 1월 4일 |
6 | 러시아 | 1948년 2월 18일 |
7 | 프랑스. | 1948년 2월 28일 |
8 | 태국. | 1948년 8월 24일 |
9 | 스리랑카 | 1949년 6월 7일 |
10 | 인도네시아 | 1949년 12월 27일 |
11 | 중국 | 1950년 6월 8일 |
12 | 이탈리아 | 1950년 11월 24일 |
13 | 세르비아 | 1950년 12월 29일 |
14 | 오스트리아 | 1953년 7월 9일 |
15 | 이스라엘 | 1953년 7월 13일 |
16 | 호주. | 1953년 8월 1일 |
17 | 이집트 | 1953년 8월 8일 |
18 | 벨기에 | 1953 |
19 | 핀란드 | 1954년 7월 22일 |
20 | 독일. | 1954년 8월 3일 |
21 | 일본. | 1954년 12월 1일 |
22 | 덴마크 | 1955년 4월 22일 |
23 | 라오스 | 1955년 7월 12일 |
24 | 캄보디아 | 1955년 7월 12일 |
25 | 폴란드 | 1955년 11월 11일 |
26 | 체코 공화국 | 1956년 2월 3일 |
27 | 헝가리 | 1956년 3월 5일 |
28 | 루마니아 | 1956년 3월 15일 |
29 | 불가리아 | 1956년 5월 16일 |
30 | 노르웨이 | 1956년 5월 18일 |
31 | 이라크 | 1956년 7월 23일 |
32 | 필리핀 | 1956년 7월 30일 |
33 | 몽골 | 1956년 9월 28일 |
34 | 아프가니스탄 | 1956년 11월 8일 |
35 | 스웨덴 | 1956 |
36 | 스위스 | 1957 |
37 | 말레이시아 | 1958년 3월 1일 |
38 | 그리스 | 1958년 3월 20일 |
39 | 캐나다 | 1958년 8월 9일 |
40 | 터키 | 1958년 9월 2일 |
41 | 뉴질랜드 | 1958년 11월 15일 |
42 | 네팔 | 1960년 3월 3일 |
43 | 싱가포르 | 1966년 8월 12일 |
44 | 스페인 | 1967년 3월 11일 |
45 | 이란 | 1968년 8월 8일 |
46 | 알제리 | 1968년 11월 15일 |
47 | 몰디브 | 1970년 1월 15일 |
48 | 나이지리아 | 1970년 1월 24일 |
49 | 방글라데시 | 1972년 3월 21일 |
50 | 시리아 | 1972년 6월 15일 |
51 | 아르헨티나 | 1975년 2월 28일 |
52 | 대한민국. | 1975년 5월 19일 |
53 | 북한 | 1975년 5월 19일[5] |
54 | 베트남 | 1975년 5월 28일 |
55 | 멕시코 | 1976년 10월 1일 |
56 | 모리타니 | 1976년 10월 5일 |
57 | 쿠바 | 1976년 10월 12일 |
58 | 포르투갈 | 1976년 11월 14일 |
59 | 알바니아 | 1976년 12월 15일 |
60 | 코스타리카 | 1977년 3월 8일 |
61 | 모로코 | 1978년 7월 31일 |
62 | 모리셔스 | 1978년 12월 30일 |
63 | 칠리 | 1982년 4월 22일 |
64 | 파나마 | 1982년 7월 15일 |
65 | 브라질 | 1982년 9월 1일 |
66 | 키프로스 | 1985년 7월 15일 |
67 | 바누아투 | 1987년 1월 28일 |
68 | 콜롬비아 | 1988년 11월 28일 |
69 | 페루 | 1989년 8월 28일 |
70 | 베네수엘라 | 1990년 11월 20일 |
71 | 파푸아뉴기니 | 1991년 7월 24일 |
72 | 슬로바키아 | 1993년 1월 1일[6] |
73 | 브루나이 | 1993년 9월 21일 |
74 | 가나 | 1995년 1월 13일 |
7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5년 4월 20일 |
76 | 케냐 | 1997년 9월 26일 |
77 | 쿠웨이트 | 1998년 12월 16일 |
78 | 우크라이나 | 1999년 1월 19일 |
79 | 아제르바이잔 | 1999년 8월 3일 |
80 | 조지아 주 | 1999년 8월 16일 |
81 | 투르크메니스탄 | 1999년 8월 26일 |
82 | 크로아티아 | 1999년 9월 3일 |
83 | 벨라루스 | 1999년 9월 22일 |
84 | 카자흐스탄 | 1999년 9월 23일 |
85 | 타지키스탄 | 1999년 9월 29일 |
86 | 자메이카 | 1999년 12월 6일 |
87 | 키르기스스탄 | 2000년 11월 9일 |
88 | 우즈베키스탄 | 2001년 2월 8일 |
89 | 우루과이 | 2001년 2월 22일 |
90 | 북마케도니아 | 2003년 7월 9일 |
91 | 아일랜드 | 2004년 2월 10일 |
92 | 수단 | 2004년 5월 20일 |
93 | 사우디아라비아 | 2004년 8월 25일 |
94 | 카타르 | 2005년 9월 26일 |
95 | 티모르-레스테 | 2006년 9월 26일 |
96 | 몬테네그로 | 2006년 11월 27일 |
97 | 슬로베니아 | 2006년 12월 18일 |
98 | 안도라 | 2009년 2월 11일 |
99 | 짐바브웨 | 2009년 8월 27일 |
100 | 바레인 | 2009년 11월 10일 |
101 | 피지 | 2010년 5월 10일 |
102 | 오만 | 2010년 12월 14일 |
103 | 감비아 | 2011년 1월 13일 |
104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11년 8월 25일 |
105 | 말라위 | 2012년 1월 30일 |
106 | 부탄 | 2012년 2월 1일 |
107 | 룩셈부르크 | 2012년 7월 31일 |
108 | 라트비아 | 2012년 9월 26일 |
109 | 에스토니아 | 2012년 9월 26일 |
110 | 아이슬란드 | 2012년 12월 19일 |
111 | 아르메니아 | 2013년 1월 31일 |
112 | 앙골라 | 2013년 9월 19일 |
113 | 리투아니아 | 2013년 10월 8일 |
114 | 에티오피아 | 2015년 12월 28일 |
115 | 몰타 | 2017년 4월 5일 |
116 | 에콰도르 | 2017년 4월 6일 |
117 | 마셜 제도 | 2017년 4월 21일 |
118 | 라이베리아 | 2017년 5월 5일 |
— | 교황청 | 2017년 5월 5일 |
119 | 기니 | 2017년 6월 6일 |
120 | 세이셸 | 2017년 7월 12일 |
121 | 베냉 | 2019년 7월 2일 |
122 | 포장이요 | 2019년 7월 31일 |
123 | 니카라과 | 2020년 8월 6일 |
124 | 아랍에미리트 | 2020년 11월 9일 |
유럽과 미국
미국은 1988년 군사진압과 1990년 인민의회 선거 결과에 대한 군사정권의 거부로 미얀마에 광범위한 제재를 가했다.마찬가지로 유럽연합(EU)은 미얀마에 무기 수출 금지, 무역 선호 중단, 인도적 [7]지원을 제외한 모든 지원 중단 등 금수 조치를 취했다.
군사정부에 대한 미국과 유럽 정부의 제재는 버마 민주화 운동의 서방 지지자들에 의한 보이콧과 다른 형태의 기업들에 대한 직접적인 압력과 함께 대부분의 미국과 많은 유럽 기업들의 미얀마 철수를 초래했다.그러나 일부 서방 기업들은 제재의 [8]허점으로 인해 여전히 남아 있다.아시아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미얀마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특히 천연자원 채취에 대한 새로운 투자를 시작할 용의가 있다.
프랑스 석유회사 토탈에이는 유럽연합(EU)의 미얀마 제재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에서 태국으로 가는 야다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가동할 수 있게 됐다.토탈은 현재 프랑스와 벨기에 법원에서 명명된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기 위해 버만 민노예의 묵인 및 사용에 대한 소송의 대상이다.전문가들은[who?] 가스관을 따라 일어나는 인권 유린 문제는 토탈에이와 타트마도에 의한 원조와 이행과 함께 미국의 파트너인 쉐브론사의[citation needed] 직접적인 책임이라고 말한다.쉐브론이 이 회사를 인수하기 전, 유노칼은 유사한 인권 소송을 수백만 달러에 합의했습니다.[9]미국 주도의 제재가 민간인이나 군부 [10][11]통치자들에게 어느 정도 악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활발한 논쟁이 남아 있다.
아르메니아
양국은 2013년 1월 31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벨라루스
벨라루스와 미얀마는 1999년 [12]9월 22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2011년 12월에는 벨라루스 총리 미하일 미아스니코비치가 [12]미얀마를 공식 방문했다.
2021년 벨로루시는 미얀마 군부의 폭력 중단, 체포된 시위대 석방, [13]민주주의 회복을 촉구하는 유엔 총회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진 유일한 국가였다.벨라루스의 미얀마 군사정권에 대한 지지는 미얀마 [13]군과의 오랜 무기거래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됐다.
덴마크
미얀마는 영국 [14]주재 대사관을 통해 덴마크에, 덴마크는 [15]태국 주재 대사관을 통해 미얀마에 대표된다.외교 관계는 [16]1955년에 수립되었다.양국 관계는 [16]우호적이지만 경제적으로는 덴마크가 유럽연합(EU)[17]에서 미얀마와 '최악의' 무역을 하고 있다.덴마크는 또한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라디오 방송국인 [18]버마의 민주적 목소리를 지원하고 있다.
미얀마 지원
미얀마에 대한 개발 원조는 덴마크 국제개발기구의 동남아시아에서의 대처의 최우선 사항이다.9,300만 DKK가 교육 [19]및 의료 프로젝트에 제공되었습니다.
덴마크 개발 원조는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덴마크는 [20]미얀마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이클론 나르기스에 가장 먼저 대응한 나라 중 하나이다.3가지 질병 기금은 2006년에 설립되었고 [21]덴마크는 2009년에 가입했다.3가지 질병 기금은 미얀마가 HIV와 에이즈를 퇴치하는 것을 돕고 7300만 [22]달러를 지원했습니다.
버마 영사 사건
1996년 미얀마 주재 덴마크 영사 제임스 리앤더 니콜스는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이 판결은 두 대의 팩시밀리 기계와 전화 교환대를 불법적으로 소지한 것에 대한 것이다.두 달 후, 그는 감옥에서 죽었다.덴마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버마 당국은 단독 [23]부검을 거부했다.곧이어 유럽연합은 캐나다와 함께 유엔이 민주화 [24][25]과정에 모일 것을 요구했다.
당일 근무
2010년 11월 3일, 덴마크와 DanChurchAid의 140개의 다른 체육관에서 온 학생들이 매년 노동의 날에 참가했습니다.학생들이 번 돈은 [26]미얀마 젊은이들의 교육을 개선하는 데 쓰인다.
헝가리
2019년 6월 아웅산 수치 여사는 헝가리를 방문해 빅토르 오르반 총리를 만났다."두 정상은 양국과 각 지역(동남아와 유럽)의 현재 가장 큰 과제 중 하나가 이민이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라고 회담 후 발표한 성명서를 읽었습니다.또 두 지역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슬람 인구와의 공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27][28]
아일랜드
아일랜드 정부는 2004년 2월 10일 미얀마와 비거주자로 외교관계를 수립했다.아일랜드 정부는 야당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 [29]여사의 독단적인 구금에 대해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버마 행동 아일랜드는 아일랜드 [30][31]공화국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민주화 단체이다.
아일랜드는 미얀마의 민주주의와 인권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8년 이후 미얀마에 대한 유엔 조사위원회와 국제 수준의 감시를 지지했다.이는 2010년 [32]9월 공문이 유출된 이후 공공연히 알려졌다.
프랑스.
프랑스 동인도 회사가 동남아시아로 영향력을 확장하려고 시도했을 때 프랑코-미얀마 관계는 18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프랑스의 개입은 1729년 [33]시리암 시에 조선소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그러나 1740년 버마 통치에 대항한 몬족의 반란은 프랑스인들을 [34]1742년에 떠나도록 강요했다.그들은 1751년 몬족이 버마족에 맞서 프랑스의 지원을 요청했을 때 시암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프랑스 특사인 시르 드 브루노는 상황을 평가하고 버마족에 대한 방어를 돕기 위해 파견되었다.프랑스 군함은 몬족의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허사였다.1756년 알라웅파야 휘하의 버마족이 몬족을 정복했다.많은 프랑스인들이 슈발리에 밀라드 휘하의 정예 포병 부대로서 버마 군에 포로로 편입되었다.1769년 신부신왕과 프랑스 동인도회사 [35]사이에 무역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인 접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격동되어 버마에서 영국의 압도적인 영향력을 허용했다.사실상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얀마와의 프랑스와의 접촉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대신 19세기 후반부터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설립과 중국과의 갈등에 집중하여 청불전쟁을 일으켰다.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8년 프랑스와 버마의 대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되었고, 1948년 1월 4일 버마 연방으로 독립하여 초대 대통령으로 Sao Shwe Taik를, 초대 [36]총리로 U Nu를 임명하였다.
세르비아
미국
미국과 미얀마 사이의 정치적 관계는 1988년 군사 쿠데타와 민주화 운동가들에 대한 군부의 탄압이 폭발한 이후 큰 문제에 직면하기 시작했다.2007년 9월 시위대를 포함한 이후의 탄압은 관계를 더욱 긴장시켰다.그러나 민주화와 경제 자유화의 조짐이 보이자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 등은 2011년 [39]미얀마와의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관계개선에 따라 2012년 미국 당국은 1990년 [40]이후 처음으로 미얀마와의 대사급 관계 재개를 계획했다.
역사적 관계와 외교
매사추세츠주는 미국의 한 주로서 1996년 버마에 대해 독자적으로 제재를 가하려 했지만, 그 개념은 미국 헌법에 위배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이후 미국 연방정부는 여러 입법 및 정책 기구에 따라 버마에 대해 광범위한 제재를 가했다.2003년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서명한 버마 자유민주주의법(BFDA)은 미얀마로부터의 모든 수입 금지, 미얀마로의 금융 서비스 수출 금지, 특정 버마 금융 기관의 자산 동결, 추가 비자 동결 등을 부과했다.버마 관리들에 대한 제재그 후 미국 입법자들은 거의 매년 BFDA를 갱신했으며, 가장 최근은 2010년 [41]7월이었다.
2007년 9월 27일 이후 미국 재무부는 행정명령 13310에 의해 승인된 버마 정부 고위관료 25명의 자산을 동결했다.2007년 10월 19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미국 정부에 의해 인권침해 및 공공부패행위의 당사자로 비난받고 있는 개인에 대해 자산동결을 허가하는 새로운 행정명령(E.O. 13448)을 내렸다.일하이드 군사 정권
또한 1997년 5월부터 미국 정부는 미국 국민 및 기타 단체의 신규 투자를 금지하였다.기업환경 악화와 인권단체, 소비자, 주주들의 비난이 거세지면서 제재에 앞서 많은 미국 기업들이 미얀마 시장에서 철수했다.미국은 또한 미얀마의 자금세탁을 없애기 위한 조치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미얀마에 대한 대응조치를 취했다.
특히 종교적 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미국은 미얀마를 국제종교자유법에 따라 특정 관심 국가로 지정했다.미얀마는 강제 노동을 이용한 인신매매 보고서에 제3급 국가로 지정되어 있어 추가 제재를 받고 있다.미국과 버마의 정치적 관계는 1988년 군사 쿠데타와 민주화 시위 폭력 진압 이후 악화되었다.2007년 9월 평화 시위대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을 포함한 그 이후의 탄압은 관계를 더욱 긴장시켰다.
비록 다시 1월 13일 2012,[42]에 것처럼 데릭 미첼을 임명함 업그레이드한 미국 대사의 자연 대사관 88년의 야권 단체나 시위대와의 실패는 1990년 의회 선거의 결과를 이행하기 위한에 대한 정부의 가장 큰 감염 사태가 후에 미얀마의 표현의 수위를 낮추었다.베이스사절단장[43][44]
최근의 움직임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011년 11월부터 12월까지 미얀마를 방문했다.1955년 이후 처음으로 국무장관을 방문한 힐러리는 수도 네피도에서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을 만났고 이후 양곤에서 민주화 운동가 아웅산 수치 여사를 만났다.미국은 미얀마에 대한 원조 금지법 축소를 발표하면서 대사 [39]교환 가능성을 제기했다.
2012년 1월 13일, 미국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획기적인 버마의 정치범 [42]사면 후 미국이 미얀마와 대사를 교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2년 5월 17일 목요일, 백악관 프레스 오피스는 미국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미얀마 [45][46]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될 데릭 미첼을 미국 상원에 지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6월 하순 미국 상원의 승인을 받은 후 22년 만에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 데릭 미첼은 2012년 7월 11일 수도 [43][44]네피토에 있는 대통령 관저에서 테인 세인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하며 공식 취임했다.
2012년 7월 미국은 공식적으로 [47]미얀마에 대한 제재를 완화했다.힐러리 로드햄 클린턴 국무장관은 2012년 봄 미국에 대한 소규모 투자를 허용하는 "목표된 제재 완화" 계획을 발표했지만, 기업들은 제재가 공식적으로 [47]중단될 때까지 나아갈 수 없었다.2012년 7월 오바마 대통령은 미 국무부에 미얀마 투자 특별 허가와 미얀마 [43]금융 서비스 제공 특별 허가 등 2개의 특별 허가증을 발급하라고 명령했다.2012년 5월에 투자제한을 해제하는 계획이 발표되었지만, 그 변경은 강력한 버마 군부, 개인 및 관련 기업들과 미국의 경제적 관계를 막기 위한 메커니즘의 작성과 함께 버마에서 사업을 하는 미국 기업들에 대해 '상세 보고 요건'이라고 명명된 것을 기다렸다.uman의 [48]인권 침해오바마 대통령은 또 인권침해자에 대한 기존 제재를 미얀마의 정치구조개편 [48]과정을 위협하는 자까지 확대하는 행정명령도 내렸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미얀마의 평화를 위협하는 모든 개인에게 "제재 차단"을 가할 수 있는 새로운 힘을 만들어냈다.또한 국가에 5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한 기업은 국무부에 연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국무부는 미얀마 국영 [47]기업을 포함한 정부 기관에 근로자의 권리, 토지 취득 및 미화 1만 달러 이상의 지급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인권단체는 이 정책을 비판했지만 미국 기업과 국민들은 국영 미얀마 석유가스 기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모든 투자자는 60일 [43][47][49]이내에 국무부에 통보해야 한다.휴먼라이츠워치(HRW)는 공식 성명에서 "미얀마 정부의 새로운 정책은 논란이 되고 있는 석유 부문의 사업 활동을 보고 요건에 따라 허용하는 것으로는 새로운 투자가 남용을 부추기고 [43]개혁을 저해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이의를 제기했다.HRW의 사업 및 인권 담당 이사인 아르빈드 가네산은 "미얀마 국영 석유회사와의 거래를 허용함으로써 미국은 정부의 책임을 촉진하는 미얀마의 아웅산 수치 여사와 다른 나라들에 대한 업계의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43]
2013년 5월 테인 세인 전 미얀마 대통령은 47년 만에 미국 백악관을 방문했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노 전 장성을 치하하며 미얀마와 미국 정치운동가 간 긴장 완화를 이유로 미얀마 방문을 반대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이를 거부했다.테인 세인은 미얀마가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했다.테인 세인 대통령 이전에 마지막으로 백악관을 방문한 미얀마 지도자는 1966년 9월 네윈이었다.두 정상은 정치범 석방, 정치개혁과 법치주의 제도화, 미얀마 인종분쟁 종식을 위한 테인 세인의 의도에 대해 논의했다.양국 정부는 2013년 [50]5월 21일 양국간 무역 및 투자 틀 협정에 서명하기로 합의했다.
미얀마에서의 미국의 활동
2007년 9월 10일 버마 정부는 CIA가 군사정부와 [51]협상하기를 원하는 카렌 국민연합의 반군 카렌 지휘관을 암살했다고 비난했다.경합에 관한 배경은, 을 참조해 주세요.
2011년 가디언지는 미얀마와 관련된 WikiLeaks 케이블 정보를 게재했다.이 전보에 따르면 미국은 미얀마 시민사회단체 중 일부에 자금을 지원해 논란이 되고 있는 이라와디 [52]강에 있는 중국 마이손 댐을 정부가 폐쇄하도록 강요했다.
독일 슈피겔(Der Spiegel)이 2010년 발간한 문서를 인용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양곤 주재 미국 대사관은 전화와 통신망을 감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감시 시설이 있는 곳이다.이 시설은 중앙정보국(CIA)과 국가안보국(NSA)이 특수수집서비스라는 [53]그룹을 통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재외공관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관은 양곤에 있으며, 미국 주재 버마 외교 대표는 워싱턴 D.C.에 있습니다.
양곤 주재[54] 미국 대사관의 주요 관계자
- 토머스 L. 바지다 대사
- 임무 차장 데보라 C.린
- 더글러스 소넥 정무총장
- Adrienne Nutzman 공보담당관
- 앤드류 웹스터-메인 영사관장
- 관리책임자 루터 린드버그
- 윌리엄 디키 국방참사관
- 정보 책임자 Bob Lynn
러시아
러시아 연방과의 양국 관계는 버마가 가장 강력하게 누리고 있는 것 중 하나이다.러시아는 독립 당시 미얀마와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며 소련이 붕괴된 뒤에도 계속됐다.중국과 러시아는 미얀마를 [55][56]응징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오늘날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여전히 미얀마에 대한 제재에 반대하고 대화 정책을 지지하고 있습니다.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국제사회의 압력과 비난으로부터 미얀마를 보호하거나 약화시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일원으로 남아 있다.
러시아는 양곤에 대사관을, 미얀마는 모스크바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핵센터 거래
2007년 러시아와 미얀마는 미얀마의 핵 프로그램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보도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와 미얀마는 '20% 농축 우라늄-235를 가동하는 10MW급 경수로, 활성화 분석 실험실, 의료 동위원소 생산 실험실, 실리콘 도핑 시스템, 핵폐기물 처리 시설 및 매장 시설로 구성될 것'[57]이라는 핵연구소를 건설해야 한다.
재외공관
- (영어, 버마어, 러시아어로) 양곤 주재 러시아 대사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미얀마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이며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의 일부입니다.미얀마는 2006년 이전 민주주의 [58]상황에 대한 다른 회원국들의 우려로 아세안 순환 의장국 자리를 포기하기로 합의했다.
ASEAN은 권위주의 군사정권의 민주주의 회복 거부에 관한 국제 포럼에서 미얀마에 대한 방어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007년 4월, 말레이시아 외무성의 아마드 샤베리 치크 의회 서기는 말레이시아와 다른 아세안 회원국들이 미얀마가 국제 회의에서 논의될 경우 미얀마를 방어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그는 외교부의 위원회 단계에서 토론을 마치면서 "현재 미얀마는 어떤 국제 포럼에서든 폭격을 당했다면 스스로를 방어해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말레이시아와 아세안이 버마 군사정권과 함께 취해야 할 다음 행동방침에 대한 야당 지도자 림킷 시앙의 질문에 답변했다.그는 말레이시아가 미얀마에 변화를 가져오고 미얀마 상황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59]알리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최근 ASEAN은 버마에 대해 특히 현재 석방된 아웅산 [60]수치 여사의 구금에 관해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양곤에 대사관이 있고 미얀마는 [61]가동에 대사관이 있다.그 관계는 1993년 [61]9월 21일부터 확립되었다.
말레이시아
양국 관계는 1957년 3월 1일 수립됐으며 1959년 6월 쿠알라룸푸르에 첫 미얀마 공사관이 설치돼 대사관급으로 [62]격상됐다.
태국.
미얀마와 태국의 관계는 주로 경제 문제와 무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국경선을 둘러싼 태국과의 갈등이 [citation needed]산발적이다.최근 아비싯 베짜지바 총리는 태국이 경제제재를 통해서가 아니라 정치변화를 장려하는 대화가 우선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그는 또한 사이클론 나르기스 [63]여파로 피해를 입은 사원들을 재건하는 것을 돕겠다는 의도를 밝혔다.그러나 태국이 그녀의 [64]석방을 요구하는 등 억류된 야당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 여사에 대한 긴장감이 감돌았다.그녀는 [65]2010년에 석방되었다.탁신 친나왓 정권에서 관계는 갈등과 [66]대립으로 특징지어져 왔다.미얀마의 반체제 인사인 아웅산 수치 여사의 투옥으로 인해 국경 분쟁이 더욱 두드러지고 태국은 혼란스러워지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방콕에 공관이 있고 태국은 양곤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필리핀
필리핀은 1956년 미얀마와 국교를 맺고 미얀마라는 정치적 이름을 인정했다.2012년 미얀마는 아세안의 필리핀 무역 상대국 중 3위부터 최하위까지를 차지했다.캄보디아와 라오스보다 성적이 좋을 뿐이었다.필리핀과 미얀마의 2012년 거래액은 4707만 달러에 불과했다.필리핀은 버마 시민들에게 30일간 무비자 출입을 허용하고 있다.한편 미얀마는 2013년 12월 5일부터 2014년 1월 4일까지 필리핀인에 대한 비자 면제에 서명했다.이 협정에 따라 필리핀인들은 최대 14일간 [67]무비자로 미얀마에 체류할 수 있다.
캄보디아
버마는 1954년 8월 16일 캄보디아의 새로운 주권국가를 승인했다.1955년 1월 10일 버마와 캄보디아는 1970년 3월 노로돔 시아누크 퇴위 이후 론 놀 정부와 외교관계를 유지하기로 합의했다.외교적인 [68]인정은 1975년 4월 론 놀의 크메르 공화국이 전복되면서 민주 캄푸치아로 넘어갔다.
인도네시아
버마는 1949년 12월 27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군도의 주권 국가로 인정했습니다.1951년 3월 31일 랑군에서는 5년간의 우호조약이 체결되었다.수카르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69]1950년 인도와 파키스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는 길에 랑군을 처음 방문했다.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1966년에 버마 연합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그러나 1984년 5월에야 [70]양곤에 대사관이 문을 열었다.
중국
중국은 1980년대 후반까지 미얀마와 관계가 좋지 않았다.1967년에서 1970년 사이, 버마는 중국 공산당의 [71]지지로 인해 중국과 관계를 끊었다.덩샤오핑은 1978년 양곤을 방문, [71]버마 공산당의 오랜 폭동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그러나 1950년대 초 버마는 중국과 냉랭한 관계를 누렸다.버마의 Ba U와 U Nu는 중국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위해 로비를 벌였지만 티베트 [72]침공을 비난했다.중국과 버마는 영국의 버마 합병 이전부터 많은 국경 분쟁을 겪어왔다.마지막 국경 분쟁은 1956년 인민해방군이 버마 북부를 침공했지만 [73]격퇴당했다.국경 [74]협정은 1960년에 이루어졌다.1960년대 후반 중국의 흉작에 책임이 있다는 네윈의 선전, 마오쩌둥 주석의 저서 속 인용문을 인용한 마오쩌둥(毛澤東)을 지지하는 중국인 유학생이 늘어나면서 [75]1967년 6월 반중 폭동이 일어났다.동시에, 많은 중국계 미얀마인들이 중국의 문화 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마오 [76]배지를 달기 시작했다.상점과 집들이 샅샅이 뒤지고 불에 탔다.중국 정부는 버마 정부를 강하게 비난하고 설전을 벌였지만 다른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반중 폭동은 1970년대 초반까지 계속되었다.그러나 1986년 이후 중국은 CPB에[77]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군사정권에 대부분의 무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버마 시장과 안다만 해의 코코 제도에 있는 소문난 해군 기지에 대한 접근을 늘리는 대가로 말이다.중국은 그레이트코코 섬에 인도 해군과 ISRO & DRDO 미사일 및 우주발사 활동을 감시하는 정보수집소를 설치할 예정이다.중국의 무기의 유입으로 미얀마의 형세는 중국의 공범에 간접적으로 의존해 온 민족 폭동에 맞서 역전되었다.그 결과 미얀마 군사정권은 현재 높은 수준의 [citation needed]권력을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미얀마는 베이징에, 쿤밍과 홍콩에 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중국공관은 양곤에, 영사관은 만달레이에 [78]있다.
2015년 이후 중국은 미얀마에서 평화 프로세스,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개발, 일대일로구상(BRI)[79] 추진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미얀마와의 관계 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2019년 7월 미얀마를 포함한 50개국 유엔 대사가 신장 지역에서 위구르족과 다른 이슬람 소수 [80][81]집단에 대한 중국의 처우를 옹호하는 공동 서한에 서명했다.
인도
인도 포털 |
미얀마와 인도 간의 관계는 1993년 이후 마약 밀매, 민주주의 탄압, 미얀마 군사정권 통치와 관련된 의견 차이를 극복하고 상당히 개선되었다.미얀마는 인도 북동부 미조람, 마니푸르, 나가랜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중화인민공화국의 인접성은 인도-미얀마 관계에 전략적 중요성을 부여한다.인도-미얀마 국경은 1,600킬로미터 [82]이상 뻗어 있다.인도는 미얀마와 대체로 우호적이지만 난민의 유입과 아웅산 수치 여사의 체포를 우려하고 있다.
인도-미얀마 국경을 따라 발생한 안전한 피난처와 무기 밀매뿐만 아니라 미얀마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인도는 최근 몇 년 동안 [83][84]버마 연합과의 관계를 재정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인도 북동부의 고립된 지방과 중국, 미얀마와의 무역을 개시하고 버마 항구에 접근할 수 있는 만달레이를 연결하는 도로를 포함한 많은 경제적 협정이 수립되었다.그러나 미얀마의 [85]민주화 운동에 대한 인도의 지속적인 지지로 인해 인도와 미얀마의 관계는 과거 경색되어 왔다.
전직 인도 국방부 장관이자 미얀마 비평가인 조지 페르난데스는 코코 섬은 자와할랄 네루 전 인도 총리가 미얀마에 기증하기 전까지 인도의 일부였다고 B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코코 섬은 인도 니코바르 [86]제도에서 18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미얀마는 뉴델리에, 인도는 미얀마의 옛 수도 양곤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PRC와 마찬가지로 인도 공화국은 만달레이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경제 관계
인도는 2000년 약 2억2000만달러어치의 상품을 사들인 버마 수출의 최대 시장이다.인도의 미얀마 수출은 7536만달러였다.[82]인도는 태국, 중국, 싱가포르에 이어 미얀마의 4대 교역 상대국이자 태국 다음으로 큰 수출 시장으로 [87]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하고 있다.인도는 또한 미얀마 수입의 7번째 중요한 원천이다.인도와 미얀마 정부는 2006년까지 1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했으며 양국 간 무역은 [87]6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인도 정부는 미얀마와의 무역 관계를 강화하고 가스관을 [87][88]건설하기 위해 항공, 육상, 해상 항로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인도의 민간 섹터의 관여는 저조하고 느린 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양국은 농업, 통신, 정보기술, 철강, 석유, 천연가스, 탄화수소, 식품 [87][88]가공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1994년 양국간 국경무역협정은 마니푸르, 미조람, 나가란드의 3개 [87]지정 국경지점에서 국경무역이 이뤄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2001년 2월 13일 인도와 미얀마는 인도-미얀마 우방도로라고 불리는 160km의 주요 고속도로를 개설했다.이는 주로 인도 육군의 국경도로 기구가 건설한 것으로 북동부 인도와 남아시아 [82]전체를 연결하는 전략적이고 상업적인 수송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인도와 미얀마는 인도, 미얀마, 태국을 잇는 왕복 4차선, 3200km의 삼각 고속도로에 합의했다.2018년 중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노선은 인도의 북동부 주들에서 미얀마까지 1,600km 이상의 도로가 건설되거나 개선될 것이다.구와하티와 만달레이를 연결하는 1단계 구간은 2016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이것은 결국 캄보디아와 베트남으로 확대될 것이다.이것은 벵골 만의 콜카타에서 남중국해의 [89]호치민까지 새로운 경제 수역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거머리 작전
리치 작전은 1998년 인도-미얀마 국경에서 무장작전에 붙여진 이름이다.인도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우호적인 정부를 세우려고 노력해왔다.이를 위해 인도의 대외정보기관인 R&AW는 버마 반군 단체와 민주화 연합, 특히 카친 독립군(KIA)[90]을 양성했다.인도는 KIA가 인도 영토를 이용해 옥과 보석을 제한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했고 무기까지 공급했다.
그러나 인도 정부와 버마 군사정권 사이에 본호미가 늘어나면서 기아차는 인도의 북동부 반군 집단을 위한 훈련과 무기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R&AW는 인도 육군과 준군사 부대의 도움을 받아 리치 작전을 개시해 버마 반군의 지도자들을 암살했다.[91]
방글라데시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사이의 역사적 관계에는 벵골 왕국과 제국, 버마 왕국, 특히 아라칸 왕국 간의 수세기 동안의 무역, 문화 교류 및 이주가 포함됩니다.가장 눈에 띄는 것은 벵갈을 통해 종종 전해진 버마의 인도 불교 문화에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재 미얀마에서 발견된 인도(벵갈리 포함) 문화와 문명이 각인되었다.두 나라는 또한 대영제국 기간 동안 식민지 무역의 유산을 공유한다.미얀마의 벵골 공동체는 양곤과 라카인에 존재한다.방글라데시에서는 버마계 조상의 많은 인구가 치타공과 Rakhines, Bohmong, 그리고 버마-Bengalis를 포함한 남동쪽 언덕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1971년 방글라데시 해방 전쟁 이후 버마는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한 첫 번째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방글라데시 남부에서 27만 명의 버마 무슬림 난민(로힝야족)이 존재함에 따라 양국 관계에 짜증이 나기 일쑤다만 양국 관계는 대체로 우호적이다.벵골만에서 40년간 지속된 해상 경계 분쟁은 2012년 [92]3월 유엔 법원에서 양국이 해결했다.
방글라데시는 치타공-만달레이-쿤밍 고속도로 [93]제안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 및 아세안과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미얀마를 경유하는 통행권을 모색하고 있다.양국 정부는 또 방글라데시에 대한 버마 가스 수출 가능성과 라카인주에 [94]공동 수력발전소를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방글라데시의 정치계급과 시민사회는 미얀마의 민주화 투쟁을 지지하는 목소리를 종종 냈다.2006년 셰이크 하시나와 카말 호사인 등 방글라데시 정치인과 지식인 500명이 [95]아웅산 수치 여사를 지지하고 미얀마의 모든 정치범 석방을 촉구했다.2008년 선거에서 승리한 후, 셰이크 하시나는 수치 여사와 버마 [96]정치범들의 구금 중단을 요구하며 버마의 민주화 투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되풀이했다.버마의 민주당의 소리 라디오 방송국은 다카와 치타공에 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국경의 긴장과 1978년 불교 버마에서 27만 명의 로힝야 이슬람교도들이 강제 이주했음에도 불구하고 방글라데시와의 관계는 때때로 다소 긴장되기는 했지만 대체로 우호적이었다.
버마 당국에 [97]의해 학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로힝야족 난민의 상당수는 방글라데시에 남아 미얀마 [98]강제 송환 위협을 받고 있다.방글라데시 [99]남부에는 약 28,000명의 문서화된 난민들이 수용소에 남아 있다.
200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SEAN) 정상회의에서 방글라데시와 미얀마는 해양영토 영유권 분쟁의 조속한 해결을 약속했다.[100]그러나 2008년 말 미얀마는 석유와 천연가스 [101]탐사를 위해 벵골만의 분쟁 해역에 선박을 보냈다.방글라데시는 이에 대응하여 3척의 군함을 이 지역에 파견하고 미얀마 군정에 자국 [102][103]선박을 철수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추구했다.위기 동안 미얀마는 방글라데시와의 국경에 수천 명의 병력을 배치했다.그러나 방글라데시 파병 이후 일주일 만에 선박들은 철수했고 위기는 [104]종식됐다.
미얀마는 다카에 대사관이 있고 방글라데시는 양곤에 대사관과 시트웨에 영사 사무소가 있다.방글라데시는 또한 Nay Py Taw에 외교 사절단 건설을 시작한 첫 번째 국가 중 하나이다.
스리랑카
역사
상좌불교는 초기부터 스리랑카와 버마의 연결고리였다.라마나(버마 왕국의 옛 이름)와 순례자들의 빈번한 교류와 성경 지식이 있었다.촐라 정복의 파괴적 효과 이후 신할라 상가의 소생은 버마 왕이 비자야바후 1세의 요청으로 보낸 버마 상류에서 비쿠에게 많은 것을 소유했다.
이 섹션의 사실적 정확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2013년 1월 (이 및 ) |
11세기에 이르러 이 초기 종교시대는 외교관계로 성숙했다.촐라족에 맞서 암울한 투쟁을 벌이던 비자야바후 1세 (1055년–1110년)는 버마의 아나와르타 왕으로부터 경제적 원조를 받았다.연대기에 따르면 버마와의 동맹은 촐라족이 추방된 후에도 계속된 것으로 보이며 비자야바후 1세가 스리랑카에서 상하를 재건하는 데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정치적 유대관계와 불교에 대한 공통된 약속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부르메스 건축이 스리랑카의 폴론나루와 종교 건물에 끼친 영향도 뚜렷하다.폴론나루와의 여러 층 또는 층에 특이한 피라미드와 같은 형태를 가진 시설인 Satmahalprasada가 가장 좋은 예이다.
1865년 라마나 니카야의 설립은 또 다른 큰 연결고리이다.라마나 니카야는 가난과 겸손을 더 강조한다.이 니카야는 더 순수한 형태의 불교로 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했다.
쌍방의 방문
미얀마 방문 스리랑카 관리들
·본인의 공식 방문.1976년 1월 총리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방문·A.C.S. 하미드 외무상 방문(1987년)·하미드 방문·하미 총리 방문.Lakshman Kadirgamar 외무대신(1999년) • W.J.M. Loku Bandara 부처대신(2003년) • Hon.로쿠 반다라 국회의장(2005년)•마힌다 라자팍세 총리(2004년)•혼 총리 방문.Roku Bandara, 스피커 (2005) • Hon의 방문.총리(2006) •총리 방문.제1차 합동위원회 외무대신(2007)
스리랑카 방문 버마 관리들
·H.E. Gen U Ne Win 미얀마 대통령 국빈방문(1966년)•H.E. U. Win 아웅 미얀마 외무장관(1999년)•H.E. Kyaw Myint 보건대신(2005년)•Ltit 총리대행 방문테인세인(2007)·미얀마 외무대신 방문(ECOSOC 참가)(2009)
기타 아시아 국가
북한
미얀마와 북한은 대체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얀마는 평양에[citation needed] 대사관이 있고 북한은 [105]양곤에 대사관이 있다.
역사
1948년 두 나라 모두 독립을 이룬 이후, 버마와 북한은 불안정한 [106]관계를 유지해왔다.버마는 한국 [107]전쟁 중에는 유엔군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표명했지만 1953년 휴전협정 체결 이후 남북한과 좋은 관계를 맺었다.1961년에 두 주와의 영사 관계가 확립되었고 1975년에 [108]완전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1960년대와 1970년대에 네윈 장군의 정부는 북한과 남한의 인정, 외교적 지원, 무역에 대한 경쟁적인 요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였다.그러나 1970년대 후반 네윈과 버마 사회계획당이 김일성, [109][a]조선노동당과 형제관계를 맺으면서 북한과의 관계는 남한과의 관계보다 약간 더 돈독해졌다.
1983년 암살 시도
1983년 북한이 버마를 국빈 방문 중이던 전두환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3명의 공작원을 양곤에 보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과의 관계는 극적으로 무너졌다.마지막 순간에 예고 없이 일정이 변경되어 천씨는 순교자 묘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탄 공격에서 살아남았으나 17명의 한국인과 4명의 각료들을 포함한 4명의 버마 공무원들이 사망했다.46명이 [110]부상을 입었다.
2000년쯤에는 적어도 한 개의 양자협정이 있었지만, 2003년 경에는 양국 관계가 중대한 전환점에 도달한 것처럼 보였다.그해 7월 [111]양곤 몽키포인트 해군기지에는 북한 기술자 1520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018년 2월 1일 발표된 유엔 보고서는 북한이 미얀마 [112]군대로 탄도미사일을 이전한 것을 예로 들었다.
몰디브
2017년 9월 몰디브 외무부는 라카인 주의 [113]로힌야족에 대한 정부의 처우에 따라 미얀마와의 모든 무역 관계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대만
미얀마는 공식적으로 중국(대만)이 아닌 중국을 인정하지만 양국 간에는 많은 교류가 있다.많은 대만인들이 미얀마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타이페이로 [114]가는 직항편이 있습니다.외교 관계가 없는 경우, 미얀마는 타이베이의 미얀마 무역 사무소가, 대만은 양곤의 타이베이 경제 문화 사무소가 대표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과 미얀마는 서로의 수도에 대사관을 두고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파키스탄 국제항공은 과거 양곤까지 운항한 적이 있으며 버마 정부를 대신해 하지 전세기를 운항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양곤에 외교공관을 두고 미얀마는 이슬라마바드에 외교공관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
한국과 버마는 대체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버마는 서울에 대사관이 있고 한국은 [115]양곤에 대사관이 있다.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2021년 2월 미얀마 쿠데타 이후 미얀마와의 고위급 양자관계를 중단하고 서방 정부와 함께 새 군부 주도의 정부를 거부하고 민간 주도의 통치 회복을 요구해 왔다.게다가 원조 계획들은 타트마도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미얀마 군 [116][117]지도자들에 대한 여행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외교 대표 연대표
2016년 1월 연합연대와 개발당 임기 말까지 미얀마는 36명의 대사, 3명의 총영사, 뉴욕 주재 유엔 상임이사관을 두었다.그 나라는 114개의 독립 [118]국가들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었다.
국제 연합
1961년 당시 유엔 주재 버마 상임이사이자 전 총리 비서였던 우 탄트는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비웨스터너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국제기구를 이끌었으며 10년간 [119]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직했습니다.그가 사무총장으로 있을 때 UN에서 일했던 버마인들 중에는 젊은 아웅산 수치 여사도 있었다.
유엔 총회는 2005년까지 매년 미얀마 사태에 대한 세부 결의안을 [120][121][122][123]합의로 채택했다.그러나 2006년 분열된 유엔 총회는 미얀마 정부에 조직적인 인권 [124]침해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07년 1월 러시아와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125] 미얀마 정부에 인권을 존중하고 민주적 전환을 시작하라고 촉구하기 전에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도 이웃국가들이 제기한 평화와 안보에 대한 우려가 없기 때문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를 대표할 더 적절한 기구가 있을 때 이 문제는 안보리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아이러니컬하게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 결의안을) 채택한다면...인권이사회가 이 [126]문제를 계속 떠안고 있는 동안 인권이사회는 미얀마의 상황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미국은 난민, 마약, HIV-AIDS 및 기타 질병이 미얀마에서 유출되는 것이 국제 평화와 [128]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러시아와 중국의[127] 표심에 반대하는 의제를 강요했다.
폭동이 시작되고 인권 상황이 악화되자 이듬해 9월 사무총장은 정부와 만나기 위해 특사 이브라힘 [129]감바리를 이 지역에 파견했다.대부분의 관련 당사자들을 본 후, 그는 뉴욕으로 돌아와 안보리에 그의 [130]방문에 대해 브리핑했다.이 회의에서 대사는 "그 나라는 정말로 힘든 도전을 경험했다"고 말했다.하지만 우리는 안정을 되찾을 수 있었다.상황은 이제 정상으로 돌아왔다.현재 전국에서는 새 헌법의 기본 원칙을 정한 전당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을 환영하고 최근의 도발적인 [131]시위에 대한 거부감을 보여주기 위해 법의 테두리 안에서 평화적인 집회를 열고 있다.
10월 11일에 안전 보장 회의와가 성명서를 발표했고 자세한 내용은 안전 보장 이사회 11월에 브리핑 동안, 감바리가 일정은 정부에 의해 어떤는 행동 중에 대해 설정된 사실을 시인했다 그"사무 총장의 좋은 사무실 임무를 위해와 흔들리지 않는 강한 지지", 이브라힘 Gambari[132]에 의해 특히 그 일을 재확인했다 만났다. 그거협상 중이었습니다.)[133]
이 기간 동안 세계식량계획은 만달레이 부서에서 [134]기근에 시달리는 북쪽 지역으로의 수송을 계속 조직해 왔다.
2008년 12월 유엔 총회는 미얀마의 인권 기록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표결했다.이 결의안은 80개국의 지지를 받았고, 반대 25명,[135] 기권 45명이 찬성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 ^ Wong, Edward (17 August 2018). "U.S. Imposes Sanctions on Myanmar Military over Rohingya Atrocities". The New York Times.
- ^ "Canada imposes targeted sanctions in response to human rights violations in Myanmar". 16 February 2018.
- ^ "Diplomatic relations". Retrieved 13 May 2022.
- ^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yanmar and ..." United Nations Digital Library. Retrieved 13 May 2022.
- ^ Inoguchi, Takashi (2021). The SAGE Handbook of Asian Foreign Policy. SAGE.
- ^ "Štáty podľa svetadielov" (in Slovak). Retrieved 18 March 2022.
- ^ "The EU's relations with Burma / Myanmar". European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06. Retrieved 13 July 2006.
- ^ 목록: 버마의 경제 생명선.포린 폴리시2007년 10월
- ^ Horsley, William (20 October 2004). "Dilemma of dealing with Burma". BBC News. Retrieved 2 November 2004.
- ^ Hiatt, Fred (23 June 2003). "How Best to Rid the World of Monsters".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24 May 2006.
- ^ "Reuters Belgian group seeks Total boycott over Myanmar". Ibiblio. Reuters. 10 May 1999. Retrieved 24 June 2006.
- ^ a b 정치 협력
- ^ a b 벨로루시, 미얀마 군사관계 10년 만에 유엔 결의안 반대 투표
- ^ "Embassy of Myanmar in the United Kingd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November 2010. Retrieved 7 February 2011.
- ^ "Burmese embassy in Bangkok, Thailand". Mofa.gov.mm. 19 August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3.
- ^ a b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972. Retrieved 24 December 2010.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Burma and Denmark, while friendly, have been limited to formal exchanges of greetings and condolences on appropriate occasions ...
- ^ 버마와 덴마크와의 경제관계 2013년 5월 10일 웨이백 머신 온라인 버마/미얀마 라이브러리 아카이브
- ^ "Danish paper calls for more support for Burmese radio station in Norway". NewsLibrary.com / Politiken. 28 Septem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1. Retrieved 29 December 2010.
The military junta in Burma is showing no signs of yielding to the ever stronger popular demands for democratisation and dialogue...
- ^ "Activities in Burma". Foreign Affairs of Denma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DANIDA in Burma". Foreign Affairs of Denma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Three Diseases Fund". The Diseases Fund 3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Three Diseases Fund (3DF)". Foreign Affairs of Denma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Anais Tamen (2002–2003). "The European Union's Sanctions Related to Human Rights: The Case of Myanmar" (PDF). p. 98. Retrieved 8 December 2010.
- ^ "James Leander Nichol's Death Imprisoned For Owning an Illegal Fax Machine in Burma". CFOB Canadian Friends of Bur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Response of the Union of Myanmar to the United Nations". CFOB Canadian Friends of Bur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21.000 gymnasieelever arbejder onsdag for bedre uddannelse i Burma" (in Danish). U-landsnyt.dk. 1 Nov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1. Retrieved 23 January 2011.
- ^ "Aung San Suu Kyi finds common ground with Orbán over Islam". TheGuardian.com. 6 June 2019.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9. Retrieved 7 June 2019.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 Ireland establishes diplomatic relations with Myanmar (Burma)". Dfa.ie.
- ^ "Burma Action Ireland". Burma Action Ire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1. Retrieved 4 April 2011.
- ^ "Free Burma – Indymedia Ireland". Indymedia.ie.
- ^ "Ireland weighs in on UN inquiry into Burma abuses". Mizzima.com. 25 Sept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1.
- ^ 남부(2003년), 페이지 79
- ^ 량(1990), 14페이지
- ^ 부옌(1974), 페이지 460
- ^ "La France en Birmanie". Ambafrance-mm.org. Retrieved 16 January 2018.
- ^ "Myanmar". Mfa.gov.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anuary 2018. Retrieved 16 January 2018.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6. Retrieved 30 December 2016.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a b "Clinton Says U.S. Will Relax Some Curbs on Aid to Myanmar". The New York Times. 1 December 2011.
- ^ Barta, Patrick (5 April 2012). "U.S. Forges Deeper Myanmar Ties". The Wall Street Journal.
- ^ "Burmese Freedom and Democracy Act passed both Houses of Congress". Democracyforburma.wordpress.com. 23 July 2010.
- ^ a b 영국방송공사(BBC) – 미국, 버마와의 대사 교환, <https://www.bbc.co.uk/news/world-asia-16554415>.2012년 1월 13일 취득.
- ^ a b c d e f "Derek Mitchell, 1st US ambassador to Myanmar in 22 years, presents credentials to start work". Times Colonist. Associated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3. Retrieved 12 July 2012.
- ^ a b Vandenbrink, Rachel (11 July 2012). "US to Invest in Burma's Oil". Radio Free Asia. Retrieved 12 July 2012.
- ^ "Statement by the President on Burma". whitehouse.gov. 17 May 2012 – via National Archives.
- ^ "Presidential Nomination Sent to the Senate". whitehouse.gov. 17 May 2012 – via National Archives.
- ^ a b c d Lowrey, Annie (11 July 2012). "U.S. Sanctions on Myanmar Formally Eased".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2 July 2012.
- ^ a b DeYoung, Karen (12 July 2012). "Ban on U.S. investment in Burma is lifted".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12 July 2012.
- ^ McDonald, Marc (12 July 2012). "Rights Groups Assail U.S. Decision on Myanma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4 July 2012.
- ^ "Obama Vows US Support As Myanmar Leader Visits". NPR. Associated Press. 20 Ma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13. Retrieved 21 May 2013.
- ^ "Burma Accuses CIA of Involvement in KNU Assassination". Narinjara.com. 9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11.
- ^ "WikiLeaks cables: Americans funded groups that stalled Burma dam project". The Guardian. 30 September 2011. Retrieved 1 November 2013.
- ^ Tim McLaughlin and Nyan Lynn Aung (31 October 2013). "US embassy in Yangon a secret listening post: Snowden". The Myanmar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November 2013. Retrieved 31 October 2013.
- ^ "Key Officers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Yangon, Myanmar". Burma.usembassy.gov. 23 Nov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15.
- ^ 버마에 대한 중국의 딜레마(2007년 9월 25일).BBC. 2008년 5월 30일 회수.
- ^ 러시아, 중국은 버마를 비판하는 거부권 결의(2007년 1월 13일).워싱턴 포스트지.2008년 5월 30일 취득.
- ^ 러시아와 미얀마의 핵 협상.BBC 2007년 5월 15일
- ^ Wayback Machine에 2012년 2월 4일 보관된 조류 독감보다 더 치명적인 (또는 미얀마 정권이 민주주의 로드맵을 구현해야 하는 이유)Aquilino Q 상원의원의 연설.2005년 12월 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프린스호텔에서 열린 미얀마 의회 간 코커스 굿 거버넌스 회의에서 피멘텔 주니어
- ^ "Asean Will Not Defend Myanmar at International Fora – Ahmad Shabery". Bernama. 19 April 2007.
- ^ 아시아 지도자들은 버마의 재판을 비난합니다.BBC 뉴스 온라인 2009년 5월 19일
- ^ a b "Brunei-Burma Relatio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Brune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4. Retrieved 4 February 2014.
- ^ "Bilateral Relations between Myanmar and Malaysia". Embassy of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Kuala Lumpur, Malaysia. 5 August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13. Retrieved 21 November 2013.
- ^ Abhisit는 2009년 1월 12일, Bangkok Post의 버마의 변화를 요구한다.
- ^ 태국-버마 관계 "전례 없는 긴장"DVB. 2009년 6월 12일
- ^ Ba Kaung (13 November 2010). "Suu Kyi Freed at Last". The Irrawadd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November 2010. Retrieved 14 November 2010.
- ^ "The relationship between Thailand and Burma". Seachul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11. Retrieved 4 April 2011.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4. Retrieved 1 January 2014.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Chi-shad, Liang (1990). Burma's Foreign Relations: Neutralism in Theory and Practice. United States of America: Praeger Publishers. pp. 122–124. ISBN 0-275-93455-1.
- ^ Chi-shad, Liang (1990). Burma's Foreign Relations: Neutralism in Theory and Practice. United States of America: Praeger Publishers. pp. 105–108. ISBN 0-275-93455-1.
- ^ Chi-shad, Liang (1990). Burma's Foreign Relations: Neutralism in Theory and Practice. United States of America: Praeger Publishers. pp. 111–114. ISBN 0-275-93455-1.
- ^ a b 싱(2003)
- ^ 빙엄(1966), 9페이지
- ^ 실버스타인(1980), 페이지 209
- ^ 라쿠르(1974), 67페이지
- ^ Seekins (2006), 페이지 141
- ^ 린트너(1990), 페이지 23
- ^ 필라리, 수실 K미얀마의 보이지 않는 나라의 민족성과 분쟁 관리.남아시아 테러 포털분쟁관리연구소
- ^ "Political Relations".
- ^ Stokke, Christian; Vakulchuk, Roman and Indra Overland (2018) 미얀마: 정치경제분석.노르웨이 국제문제연구소(NUPI).노르웨이 외무부가 의뢰한 보고서.
- ^ "Which Countries Are For or Against China's Xinjiang Policies?". The Diplomat. 15 July 2019.
- ^ "The Pro-Xinjiang Contingent". Wired. 28 July 2019.
- ^ a b c "Myanmar shows India the road to Southeast Asia". Asia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February 2012.
{{cite web}}
: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 ^ 제이건, 래리인도의 랑군으로 가는 길.BBC 뉴스 온라인2001년 2월 14일
- ^ "인도, 버마, 반란, 랑군에서의 무기 밀수 논의"Press Trust of India 2005년 10월 11일
- ^ 바타차리야, 아누쉬리'인도-미얀마 관계'평화분쟁연구소(IPCS) 2007년 9월 18일
- ^ 난다(2003년), 596페이지
- ^ a b c d e "Global Politician – India-Myanmar Trade Relations". Bilateral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February 2012. Retrieved 12 January 2013.
- ^ a b Bhaumik, Subir (26 September 2007). "South Asia Explaining India's silence over Burma". BBC News.
- ^ "Triangular Highway connecting India, Burma, Thailand". The Telegraph.
- ^ Larry Jagan, BBC Online, 2000년 7월 4일
- ^ Subir Bhaumik (2005년 6월).총기, 마약, 반란군 India-seminar.com.2007년 10월 26일 취득.
- ^ "Bangladesh and Myanmar resolve longstanding maritime dispute". East Asia Forum.
- ^ "Ties with Myanmar can grow to new heights". The Daily Star. 26 June 2012.
- ^ "Bangladeshi PM in push for Burma gas Democratic Voice of Burma". Dvb.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12. Retrieved 1 February 2019.
- ^ "Aun San Suu Kyi". Secularvoiceofbangladesh.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2.
- ^ [1][데드링크]
- ^ 무엇이 로힝야 강을 바다로 몰고 가는가?BBC 뉴스 온나인.2009년 2월 5일
- ^ 방글라데시 난민에 대한 우려.BBC 뉴스 온라인 2009년 6월 19일
- ^ 방글라데시: Rohingya 난민 캠프는 Wayback Machine에서 2011년 4월 29일에 개선되었습니다.국제 연합 난민 고등 위원회통합 지역 정보 네트워크(IRIN). 2008년 11월 7일
- ^ 방글라데시, 버마는 2013년 6월 19일 웨이백 머신에서 해양 국경 분쟁을 해결하겠다고 서약했다.IRNA
- ^ 방글라데시와 버마는 석유 분쟁 중이다.BBC 뉴스 온라인2008년 11월 3일
- ^ 방글라데시, 국경 분쟁에 해군 함정 3척 파견 2012년 4월 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나린자라뉴스 2008년 11월 4일
- ^ 방글라데시-버마(미얀마) 해상 경계 분쟁이 고조되고 있다.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지2008년 11월 4일
- ^ 버마와 방글라데시는 2013년 5월 30일 웨이백 머신에서 관계를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미지마 뉴스 2008년 5월 25일
- ^ Wertz, Daniel; Oh, JJ; Kim, Insung (August 2016). Issue Brief: DPRK Diplomatic Relations (PDF).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p.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December 2016. Retrieved 19 January 2017.
- ^ 2004년 셀트, 페이지 1
- ^ 2004년 12월, 페이지 2
- ^ Selth 2004, 페이지 4
- ^ 2004년 셀트, 5페이지
- ^ 랑군 순교자 묘소 폭탄 공격: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와 버마 정부의 조치에 관한 보고서
- ^ '북한인들은 버마로 돌아간다', 극동경제리뷰, 2003년 7월 10일, 페이지 8.
- ^ AFP 통신사(2018년 2월 3일).북한은 시리아와 미얀마를 무장시키고 있다.유엔 보고서"알자지라 웹사이트 2018년 2월 3일 취득.
- ^ "Maldives ceases trade with Myanmar concerning current Bengali issues in Rakhine". The Jakarta Post. 5 September 2017.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Maldives released a statement on 3 Sept. saying that all trade ties between Myanmar and Maldives has been cut out as long as Myanmar government takes actions for the deeds committed towards Bengalis.
- ^ 대만과 버마는 2013년 5월 30일 웨이백 머신에서 무역협정에 서명한다.미지마 2009년 6월 15일
- ^ "Asia-Pacific: Myanma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15. Retrieved 9 February 2021.
- ^ Mahuta, Nanaia (9 February 2021). "New Zealand takes measures against Myanmar following military coup". Beehive.govt.nz. New Zealand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21. Retrieved 9 February 2021.
- ^ Young, Audrey (9 February 2021). "Foreign Minister Nanaia Mahuta speaks at Myanmar democracy rally". The New Zealand H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21. Retrieved 9 February 2021.
- ^ 에그레토, 레너드, 2020년"외교 정책과 국제 참여: 전략적 현실, 국내 우선 순위" 미얀마, 심슨, 아담, 니콜라스 패럴리, 에디션: 정치, 경제, 사회, Abingdon: Routledge, 페이지 93, https://doi.org/10.4324/9780429024443-8.
- ^ Aung Zaw. "Can Another Asian Fill U Thant's Shoes?". The Irrawaddy Sept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12. Retrieved 12 September 2006.
- ^ 유엔 총회 54회 상세 보고서 83. A/54/PV.83 페이지 30.대통령 1999년 12월 17일 10시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총회 55회 상세 보고서 81. A/55/PV.81 페이지22.2000년 12월 4일 15:00 대통령.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총회 56회 상세 보고서 92. A/56/PV.92 페이지 7.24 2001년 12월 24일 11:00.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총회 60회 상세 보고서 69. A/60/PV.69(19페이지).2005년 12월 23일 10:00 대통령.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총회 61회 상세 보고서 84. A/61/PV.84 페이지14. 2006년 12월 22일 10:00.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문서 14. S/2007/14 2007년 1월 12일2007년 9월 25일 취득.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Verbotim 보고서 5619. S/PV/5619 페이지 3. 2007년 1월 12일 16:00 남아프리카공화국.2007년 9월 25일 취득.
- ^ "UN Security Council to include Burma in its agenda". BBC News. 18 Sept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February 2007. Retrieved 17 November 2006.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Verbotim 보고서 5526. S/PV/5526 페이지 3. 2006년 9월 15일 13:35.2007년 9월 25일 취득.
- ^ "Ban Ki-moon dispatches Myanmar envoy to region as situation worsens". United Nations. 26 September 2007.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Verbotim 보고서 5753. S/PV/5753 페이지 3. 사무총장 감바리 특사 2007년 10월 5일 10:00.2007년 10월 9일 취득.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Verbotim 보고서 5753. S/PV/5753 페이지 17.Mr. Swe Mymanian 2007년 10월 5일 10:00.2007년 10월 9일 취득.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보고서 말 그대로 5757. S/PV/5757 2007년 10월 11일2007년 10월 15일 취득.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Verbotim 보고서 5777. S/PV/5777 페이지 2.감바리 씨 2007년 11월 13일.2007년 11월 15일 취득.
- ^ "Myanmar: UN to resume delivering food in Mandalay District". United Nations. 30 September 2007.
- ^ 유엔 총회는 웨이백 머신에서 2009년 6월 29일에 보관된 미얀마를 비난한다.타이베이 타임스2008년 12월 26일
참고 문헌
- 부얀, 수리야 쿠마르(1974년).앵글로-아삼 관계, 1771–1826: 영어나 아삼의 원본 출처에 기초한 1771–1826년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사.변호사 서점
- 빙엄, 6월 (1966년)우 탄트; 평화를 찾아라.골랑츠.
- Byman, Daniel L. 및 Roger Clift.(1999) 중국의 무기 판매 동기 및 시사(RAND, 1999) 온라인 Wayback Machine에서 2021년 8월 22일 아카이브.
- 킵겐, 네긴파오(2014).미얀마 민주화 운동: 문제와 도전.Ruby Press & Co.ISBN 978-93-82395-62-1
- 라쿠르, 월터 (1974년)정치 사전.프리 프레스
- 량치샤드(1990).버마의 외교관계: 이론과 실제에서의 중립주의.프래거.ISBN 978-0-275-93455-2
- 린트너, 베르틸(1990).버마 공산당(CPB)의 흥망성쇠.SEAP 출판물ISBN 978-0-87727-123-9
- 나다, 프라케시(2003).아시아의 재발견: 인도의 룩 이스트 정책의 진화.랜서 퍼블리셔 및 디스트리뷰터ISBN 978-81-7062-297-0
- 나라야난, 라비프라사드중국과 미얀마:'형제'와 '사촌'을 번갈아 가며.China Report 46.3 (2010): 253-265 온라인.
- Seekins, Donald M. (2006)버마 역사 사전(Myanmar).허수아비 프레스ISBN 978-0-8108-5476-5
- Selth, Andrew (2004). Burma's North Korean Gambit: A Challenge to Regional Security? (PDF). Canberra: Strategic and Defence Studies Centr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BN 0-7315-5441-8.
- 싱 (2003년)방글라데시의 백과사전.Anmol 출판물 PVT. LTD.ISBN 978-81-261-1390-3
- 실버스타인, 요제프(1980).버마 정치: 국민 통합의 딜레마.럿거스 대학 출판부ISBN 978-0-8135-0900-6
- 남쪽이야, 애슐리(2003).몬 내셔널리즘과 버마의 내전: 골든 셰드레이크.루트리지ISBN 978-0-7007-1609-8
- 스완스트롬, 니클라스중-미얀마 관계: 보안 및 그 이상(Institute for Security and Development Policy, 2012) 온라인
외부 링크
- 미얀마 외무부
- 버마/미얀마로의 전략 재편성, Bernt Berger의 의견, 2008년 5월, 유럽연합 안보 연구소
- 버마의 역사-미국의 관계
- 탁신, 태국-미얀마 관계 정상화
- (러시아어) 러시아 외무부의 미얀마-러시아 관계 문서
- "Burma". 17 November 2002. Retrieved 16 Januar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