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트 레코드

Minit Records
미니트 레코드

미닛 레코드는 미국의 독립 음반사로, 원래 뉴올리언스에 본사를 두고 1959년 조 바나삭에 의해 설립되었다.[1]어니 K.도, 아론 네빌, 이르마 토마스, 그리고 베니 스펠맨은 이 레이블의 초기 예술가였다.[2]이후 아티스트로는 바비 워맥, 아이크 & 티나 터너가 있었다.

역사

앨런 뚜생트는 레이블의 초기 성공에 책임이 있었으며, 그는 여러 곡에서 피아노를 쓰고, 제작하고, 편곡하고, 연주했다.[1]이 레이블의 첫 히트작은 1960년 제시 힐의 "오우 푸 파 두 - 파트 2"를 제작한 뚜생이다.[3]임페리얼 레코드와 배급 계약을 맺은 후, 이 레이블은 가장 큰 히트곡인 어니 K-Doe의 "마더인 로"가 1961년 빌보드 100R&B 싱글 차트에서 정상에 올랐다.[4]

1963년 앨런 뚜생트가 육군에 징집되었을 때, 히트곡은 말라붙어 임페리얼에 팔렸다.[2]바나삭은 자신이 보관하고 있던 인스턴트 레코드도 소유하고 있었다.미닛은 1963년 제국 기록물 인수의 일환으로 리버티 레코드에 인수되었다.1968년, 자유는 Transamerica Corporation에 의해 인수되었고 United Artists Records와 결합되었다.[5]2년 후 임페리얼과 미닛은 폐쇄되어 리버티로 이송되었다.1971년, 리버티와 그 나머지 라벨(벨 레코드에 카탈로그가 판매된 소울 시티 제외)은 유나이티드 아티스트로 흡수되었다.[6]1979년에 EMI는 United Artists를 구입했다.미니트 카탈로그는 현재 UMG가 소유하고 있으며 이전 소유자 EMI의 이해관계를 이어받고 있다.

레이블 변이

  • 1961-1963: (카탈로그 #s MR-601-626) "C/O 임페리얼 레코드, 할리우드, 캘리포니아"를 나타내는 검은색 인쇄물과 고지 사항이 있는 오렌지.이후 이 기간 일부 기록의 인쇄는 두 번째 라벨에 표시된다."[2]
  • 1961-1966 (1996년 #s 626-666):클럭 내부 문자가 있는 상단 판독 "MINIT RECORESS" 중앙에 멀티 컬러 로고가 있는 검은색 라벨. 라벨 중간에는 마젠타 바가 게시 정보와 트랙 시간(왼쪽), 카탈로그 번호 및 성능 유형(오른쪽)을 포함하고 있다.기타 모든 텍스트에 대한 은색 인쇄물(아래에 "Improfic Records Inc. HULIDE AND PRODUCTED and PRODUCTED by Imperial Records Inc. HULIDE 28, California, U.S.A.)"[7]이라고 쓰여 있는 고지 사항 포함).
  • 1964-1968: (신규 시리즈, 카탈로그 #s 32000-32076) 로고 내부에 "MINIT"가 있고 MINIT 아래에 "A PROPUCT OF Liberty Records"가 있는 왼쪽의 실버 프린트, 멀티 컬러 로고가 부착된 검은색 라벨.라벨 하단의 고지서에는 "자유 기록의 분류"라고 적혀 있다.[2]
  • 1969-1970: (카탈로그 #s 32077-32088) 위에서 언급한 검은색 라벨과 동일하지만 로고 내부의 "MINIT"에 따라 "PRODUCT" 거부권이 제거된 경우.라벨 하단의 고지 사항에는 이제 "자유/UA, INC"[2]라고 적혀 있다.

선택된 음반 목록

앨범

카탈로그 번호 해제

날짜를 잡다

미국 미국

R&B

제목 아티스트
LP-24005 1966 25 터닝 포인트 지미 홀리데이
LP-40007 1967 Like It 'Tis 애런 네빌
LP-24012 1968 플리핀 - 매우 재미있는 플립 윌슨 플립 윌슨
LP-24014 1969년 1월 플라이 미 투 더 문 바비 워맥
LP-24017 1969년 5월 스팅어 맨 지미 맥크래클린
LP-24018 1969년 6월 142 19 직접 아이크 & 티나 터너
LP 24023 1969 블루 올 더 웨이 티나 브리트
LP 24024 1969년 12월 블루스 맨 리틀 주니어파커
LP-24027 1970년 4월 내 처방전 바비 워맥

싱글스

카탈로그 번호 해제

날짜를 잡다

미국 미국

R&B

싱글(A측, B측) 아티스트
607[3] 1960년 2월 28 3 "오우푸빠두 - 1부"

b/w "Oh Poo Pah - 2부"

제시 힐
611[3] 1960년 6월 91 "Whip It On Me"

b/w '너의 사랑이 필요해"

제시 힐
623[4] 1961년 1월 1 1 "시어머니"

b/w "원하는 금액, $10,000.00 보상"

어니 K-Doe
627[8] 1961년 5월 53 21 "테타타타"

b/w "진짜 사나이"

어니 K-Doe
32002[9] 1966년 5월 98 21 "Baby, I Love You

b/w "You Won't Get Away"

지미 홀리데이
32016[9] 1967년 1월 36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필요함

b/w "Give Me Your Love"

지미 홀리데이
32027[10] 1968년 2월 33 "이게 뭐야"

b/w "할 일(사랑이 사라졌을 때)"

바비 워맥
32048[10] 1968년 7월 52 16 "Fly Me to the Moon"

b/w "Take Me"

바비 워맥
32055[10] 1968년 11월 43 20 "캘리포니아 드림린"

b/w "Baby, You Oughta Think It Over"

바비 워맥
32059[10] 1969년 3월 48 "샌프란시스코에 내 마음을 떠났다"

b/w "사랑해, 시간은 지금이야"

바비 워맥
32060[11] 1969년 3월 98 46 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거야(내 남자가 옳게일)

b/w " 얽매이는 넥타이가 너무 많군"

아이크 & 티나 터너
32071[10] 1969년 7월 43 "비가 올 거야"

b/w "고마워"

바비 워맥
32981[10] 1969년 10월 94 13 "How I Miss You Baby"

b/w "미수 및 유죄판결"

바비 워맥
32087[11] 1970년 1월 57 21 "Come Together"

b/w "혼키통크 여성"

아이크 & 티나 터너
32093[10] 1970년 3월 90 23 "More Than I Can Stand"

b/w "아칸소 주립 교도소"

바비 워맥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Sixties Music (First ed.). Virgin Books. pp. 308/9. ISBN 0-7535-0149-X.
  2. ^ a b c d e "Minit Records". Bsnpub.com. Retrieved 2009-04-15.
  3. ^ a b c "Jessie Hill Chart History". Billboard.
  4. ^ a b "Hot 100, Hot R&B Sides" (PDF). Billboard: 18, 35. May 22, 1969.
  5. ^ Tiegel, Eliot (April 6, 1968). "Transamerica Buys Liberty for $24 Mil" (PDF). Billboard: 1.
  6. ^ "UA Corp Absorbs Lines; UA Records Sole Disk Co" (PDF). Billboard: 3. January 23, 1971.
  7. ^ "The Five Knights - Let Me In". 45cat.com. Retrieved 13 June 2021.
  8. ^ "Ernie K-Doe Chart History". Billboard.
  9. ^ a b "Jimmy Holiday Chart History". Billboard.[데드링크]
  10. ^ a b c d e f g "Bobby Womack Chart History". Billboard.
  11. ^ a b "Ike & Tina Turner Chary History". Billboard.[데드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