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르 수보티치

Mitar Subotić
미타르 수보티치
Subotić in 1985
1985년 수보티치
배경 정보
로도 알려져 있다.렉스 일루시비이, 수바
태어난(1961-06-23)1961년 6월 23일
노비 사드, PR 세르비아, FPR 유고슬라비아
죽은1999년 11월 2일(1999-11-02) (38세)
브라질 상파울루 상파울루
장르실험용 록, 주변 음악, 최소 음악, 전자 음악, 라틴 록, 보사노바
직업프로듀서, 뮤지션
계기키보드, 피아노, 신디사이저
년 활동1982 – 1999
레이블PGP RTB, "M" Productskcija Radio Novog Sada, Ziriguiboom, SSR 레코드, 6도 레코드
관련 행위엔젤스 숨결, 베벨 길베르토, 에카타리나 벨리카, 하우스토르, 라 스트라다, 옥토바르 1864년

Mitar Subotić "Suba" (Serbian Cyrillic: Митар Суботић Суба; June 23, 1961 – November 2, 1999), also known as Rex Ilusivii (Latin for The King of Illusions), was a Serbian-born musician and composer who was set to become one of Brazil's most prominent producers when he died in November 1999.[1]

수보티치는 베오그라드에서 전자음악 연구를 계속하기 전에 세르비아 보즈보디나노비 사드 대학에서 고향에서 대학 학위를 취득했다. 는 1980년대 에카타리나 벨리카, 하우스토르, 마리나 페라지치유고슬라비아 신파극의 다수의 유명 음반들을 혼합, 제작했기 때문에 전 유고슬라비아에서 전자음악의 선구자였다. 1986년 전자음악과 유고슬라비아 민속 자장가를 융합한 '인 더 먼카게'는 브라질의 아프로브라질 리듬 연구에 3개월의 장학금이 포함된 국제문화진흥기금(UNESCO)을 받았다. 나라와 그 음악에 빠져 1990년대에 상파울루로 이민을 갔고, 거기서 그의 알찬 연출이 시작되고 끝이 났다. 그 기간 동안 밀라노 믈라데노비치의 마지막 프로젝트 엔젤스 입김에 참여했고, 그의 유명한 앨범 상파울루 고백록을 녹음했다.

1999년 11월 2일, 그의 스튜디오에서 불이 났을 때, 그는 새로 발견한 디바 베벨 길베르토의 앨범 후기를 작업하고 있었다. 연기에 휩싸인 그는 그녀와 함께 새로 녹음된 자료를 구하려다 사망했다. 수바는 앨범 상파울루 고백록이 발매된 지 불과 며칠 지나지 않아, 브라질 외 지역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라질 앨범인 베벨 길베르토의 호평 받는 탄토 템포가 완성되기 직전에 세상을 떠났다.

전기

초기(1961-1982)

미타르 수보티치 "수바"는 1961년 6월 23일 노비 사드에서 태어나 음악 초등학교에 다녔으며, 유고슬라비아해외에서 아코디언 스쿨 오케스트라와 함께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괄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었다.[2] 그는 1982년 해체된 XX 벡(20세기)과 96%의 짧은 라이브 밴드에서 키보드 연주자로 록 뮤지션으로 활동을 시작했고,[2] 이후 자신의 솔로 활동으로 눈을 돌렸다.[3] 그는 노비 사드 음악 학원에서 작곡과 오케스트레이션을 공부했는데, 그 동안 그는 전자음악에 관심을 보였다.[2] 그가 베오그라드에 임시 거주 중인 영국 색소폰 연주자 폴 피뇽이 베오그라드 대학에서 마련한 전자음악 강좌에 참석한 이유였다.[3] 당시 그는 프랑스 주변음악 작곡가 에릭 사티와 영국의 키보드 연주자 겸 프로듀서 브라이언 에노의 강력한 영향 아래 전화 소리, 버드 트위터, 아마존 유역 토착 음악 등 다른 소리를 실험하며 주변 음악 작곡을 시작했다.[2]

유고슬라비아의 경력 (1983-1989)

His first recordings Subotić released in an original way: the tracks signed under the pseudonym Rex Ilusivii he delivered personally to the Radio Novi Sad reception desk addressed to Dragan Gojković "Goja", the host of the Yu pop scena (Yu Pop Scene) and Novi Vidici (New Horizons) cult radio shows, who subsequently broadcast the recordings without 저자의 진짜 정체성을 아는 것.[2] 수보티치는 고즈코비치에게 1년 동안 매주 새로운 작곡을 보낸 후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기로 결심했고, 그 후 노비 사드, 베오그라드, 자그레브, 류블랴나, 사라예보, 수보티카에서의 공연과 함께 자신의 작품을 라이브로 발표하였다.[3] 1983년 노비 새드 개념 예술 리나 버스와 함께 수보티치는 파리베니스에서 공연을 했고 만화책 작가 조란 잔제토프,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코스타 부누셰바크와 함께 매진된 베오그라드 SKC에서 첫 유고슬라비아 록 공연을 기획했다.[4] 당시 잔제토프는 만화책 캐릭터에 의해 필명인 렉스 일루시비이(Rex Ilusivi)를 사용할 것을 권하고, 어떤 생각을 주었으며, 몇 개의 작문 이름을 지어주었기 때문에 그의 핵심 협력자 중 한 명이었다.[4]

그 Subotić의 프로젝트 Promene(변화)의 구성 그 시기에 1983년 1985년 사이에 기록된 부분이 된, 타이틀을 뮤지컬에 Subotić 이미 잘 알려 진 음악가들과 진정한 라디오의 히트 곡을 수:[3]조란 Janjetov"Janja",에 협력했다 Subotić, 맡은 바 임무의 시험을 따로 설명이 필요하지 않고 있다. 에서 the track "Jeti" ("Yetti"), Jakarta vocalist Igor Popović, in the songs "Ptice" ("The Birds") and "Arabija" ("Arabia") featuring Tomo in der Mühlen on guitar, Ekatarina Velika frontman Milan Mladenović, in the cover of the James Brown song "Sex Machine", Denis i Denis singer Marina Perazić, in the song "Plava jutra" ("Blue Mornings"), and Dorian Gr프런트맨 마시모 사비치, 작곡 "페이스맨스".[2] 세르비아 정통 음악의 분명한 영향 아래 녹음된 "Zla kob" ("Doom")이라는 작곡은 1983년에 발매된 PGP RTB의 다양한 아티스트 컴파일 "환풍기 202권 1호"에 포함된 조란 모들리였다.[2] 2년 후, 인공호흡기 202 제3권 편찬에 「아라비자」라는 곡이 등장했다.[3]

유고슬라비아 주요 음반사들에 의해 거절당한 수보티치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환멸》은 라디오 노비 사드 쇼 랜데부무지콤(A Randevu Sa Muzikom, A Rendezvous with Music) 3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500장의 제한적인 누름으로 발매되었다.[4] 녹음 세션에는 밀라노 믈라데노비치, 우로시 셰치로프, 마시모 사비치, 엘렉트리치니 오르가잠 베이시스트 조란 라도미로비치 슈바바바, 피아니스트 브란카 팔리치가 출연했다.[3] 앨범 B-side는 25분 분량의 작곡 "Tanx Mr. Rorschach - Ambijenti na Teme Erika Satia"(Tanx Mr. Rorschach - Erik Satie 테마 위의 Rorschach - members)"를 수록했다.[3] 앨범 뒷표지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음악가 미타르 수보티치 - 특히 사티가 가장 원하는 방식으로 작곡한 작품 - 사티에 대한 중요한 자료, 특히 작품을 작곡한 렉스 일루시비이(Rex Ilusiviii)의 작품들을 볼 수 있어 매우 기쁘다 - Hrundi Bakshi에 대한 헌사와 에릭 사티 재단 대표의 리뷰를 담았다. 누구나 각자의 길과 성격을 발견하다 렉스 일루시비이의 음악은 정확히 이 공식, 이 절차를 제시한다."[5]

Simultaneously with the album recording and release, Subotić had worked on music for television, theatre plays and choreodramas: for Haris Pašović's "Jelka kod Ivanovih" ("Fir Tree at Ivan's") and "Mara SAD" ("Mara USA"), Nada Kokotović's "Nojeva barka" ("Noah's Ark"), "U potrazi za izgubljenim vremenom" ("A Quest for Lost Time"), "Plavobradi" ("Bluebeard)와 "Medeja" ("Medea"), 그리고 Sookie John "Shma" ("Shma").[3] He had also worked as a producer and sound engineer for other Yugoslav acts: in 1985 he produced the Haustor album Bolero, the Heroina and La Strada eponymous debut albums, Oktobar 1864 1988 album Igra bojama (Color Play) and the Ekatarina Velika 1989 album Samo par godina za nas (Only a Few Years For Us).[6] 오보제니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수의 노비 사드 밴드는 수보티치를 사운드 엔지니어로 녹음했으며,[4] 에카타리나 벨리카와 카를로위 바리의 라이브 출연을 위해 사운드 엔지니어로도 활동한 바 있다.[4] 1997년 Subotich가 사운드 엔지니어로 참여한 SMP Novi Sad에서의 Ekatarina Velika 1988 콘서트 녹음은 라이브 '88로 발매되었다.[7]

세르비아 민속 자장가를 모티브로 초기 작품부터 보여주었던 전기음향 음악에 대한 관심은 그를 파리로 데려가 1985년 연극음악을 작곡하고 IRCAM 학원에서 전자음향음악 분야에 대한 지식을 넓혔다.[6] 파리에 머무는 동안, 고란 베즈보다와 함께, 는 The Dreambird라는 앨범을 녹음하기 시작했는데, 이 앨범은 세르비아 전통 자장가들과 전자 음악 편곡과 결합하여 마다가스카르에서 만든 새-트위터 녹음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가명 렉스 일루시비이가 마지막으로 등장하였다.[4] 1986년과 1992년 사이에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브라질의 주요 광장에 녹음을 방송함으로써 음반은 독창적인 방법으로 홍보되었다.[4] 문케이지에서 '드림버드'로 받은 유네스코 전통문화 진흥상 때문에 1990년 3월 15일 상파울루에서 장학금을 받고 영주권을 결정했다.[8] 녹음된 소재의 일부는 브라질 레이블 COMEP Music에 의해 1994년에 The Dreambird로 발매되었다.[6]

브라질에서의 경력 (1990-1999)

상파울루 수보티치의 거주자가 된 직후 라디오, 텔레비전, 패션쇼, 연극의 음악을 작곡하고 녹음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브라질 전통음악전자음악 편곡의 결합으로 찬사를 받고 뛰어난 프로듀서가 되었다.[9] He had also started collaborating with notable Brazilian musicians and bands of the time: Katia B, Cibelle, Taciana, Bebel Gilberto (the daughter of the famous Brazilian singer João Gilberto), Arnaldo Antunes, Marina Lima, Marisa Monte, João Donato, João Parayba, and Mestre Ambrósio.[9] During the second part of the 1990s he was credited on a large number of Brazilian albums as an arranger and a producer: on the 1995 albums Kizumba by João Parayba, Janela dos Sonhos by Taciana, the 1996 96 Sessions by Hermeto Pascoal, Andre Geraisatte and J.P, Benzina by Edgard Scandurra, Silêncio by Arnaldo Antunes, Ale Muniz 1997 album Idem, an1998년 음반 《피에로브라질》(마리나 리마), 《푸아나 카사 카브랄》(메스트르 암브로시오), 《에드슨 코데이로》(Clubbbing))[6] 등이 수록되었다. 그는 또한 전 컴패션 데드의 드러머 미키 하트, 그리고 미국 밴드 전쟁과 함께 일했었다.[6]

1994년 봄 밀라노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브라질 음악가 타악기 연주자 주앙 파라이바, 기타리스트 파비오 골페티, 보컬리스트 마리자, 마달레나 등이 출연해 컬래버레이션 프로젝트 '엔젤스 숨'의 자료 녹음을 시작했다.[6] 여유로운 조건에서 3개월 동안 녹음된 엔젤스 입김은 쟁쟁한 트랙 'Crv'("벌레"를 위한 세르비아어), '아사시노'("살인자"를 위한 포르투갈어 'Praia do ventoeterno'("영원한 바람의 해변"을 위한 포르투갈어"와 유사하다)를 선보였다. 이것은 믈라데노비치가 세르비아로 돌아오면서 한 마지막 프로젝트였는데, 1994년 11월 5일 베오그라드에서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세르비아 평론가 페타르 루코비치(Petar Lukovich)는 이 앨범에 대한 비판적인 리뷰에서 "Angel's Dreak은 부드럽고 쉬운 음반이 아니며, 주의와 참여가 요구되며, 듣는 사람이 자신과 일치하는 만큼 듣는 사람과 일치하는 앨범이다"라고 말했다. 세르비아 록은 밀라노 믈라데노비치의 탈퇴로 그런 앨범은 한 번도 없었으며, 유감스럽게도 결코..."[9]

1999년 11월, 수보티치는 트라마 뮤직의 브라질 상파울루 고백 앨범, 크레이머드 디스크의 지리귀붐 레이블유럽, 소니 레코드의 일본, 아일랜드 레코드별 미국 앨범을 발매했다.[6] 이 앨범에는 보컬 시벨, 카티아 B, 타키아나, 재즈 기타리스트 안드레 게라시아티, 타악기 연주자 조앙 파라이바, 메스트레 암브로시오 멤버들의 게스트 출연이 있었다.[6] 앨범의 소재 중 일부는 필 애셔가 리믹스했고 리믹스는 12" 비닐 EP 보르카 고스타로 발매되었다.[11] 상파울루 고백은 전세계적으로 긍정적인 비평을 받았다.[6] 평론가 존 발리에가 5명의 스타 중 4명 반을 앨범에 준 올뮤직에서의 앨범 리뷰.[12] 그러나, 1999년 11월 2일, 상파울루 고백 앨범 프로모션의 날 저녁에, 화재에 휘말려 있던 자신의 스튜디오의 녹음 파일을 구출하기 위한 시도로, 수보티치는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레거시

2000년 수보티치가 사망한 후, 브라질에서 그를 기리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수바 연구소가 설립되었다.[13] 2008년부터 노비 사드 엑시트 페스티벌 세계 음악무대가 수바 스테이지로 명명되었다.[14] 2012년 1월, 노비 사드 리만 공원은 이 음악가를 기리기 위해 미타르 수보티치 장소를 얻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5]

마리나 페라지치와 함께 녹음한 곡 '플라바 주트라'는 아나 소프레노비치(Ana Sofrenoviche)가 커버했고 이 녹음은 1994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언플러그드 컴파일 베즈스트루제(Unplugged)에 등장했다.[16] 2002년에는 시벨, 트리오 모코토 멤버 주앙 파라히바, 마리나 리마, 필 아셔, 쥬리맨 등 브라질과 영국의 음악가들이 수바 헌정 앨범 트리부토를 녹음했다.[17] 2005년에는 수보티치의 생애를 바탕으로 한 렉스 일루시비체외 / 수바유스 발레가 안무가 알렉산드라 케틱에 의해 작사되었고 연극의 사운드트랙이 동명의 앨범에 발표되었다.[18] 2012년 주앙 파라히바가 이끄는 수보티치가 브라질에서 활동한 음악가들로 구성된 슈퍼그룹인 수바 커넥션 밴드가 엑시트 페스티벌 수바 무대에서 공연을 펼쳤다.[19]

1988년, 수보티치의 노래 "Zla kob"이 수록된 다양한 아티스트 컴파일인 인공호흡기 202 제1권은 책 YU 100: najbolji albumi jugoslovenske i pop muzike(YU 100: 유고슬라비아 팝과 록 음악의 베스트 앨범)에서 100위권의 유고슬라비아 대중음악 음반 목록 중 100위에 올랐다.[20] 2006년, 세르비아 라디오 B92의 청취자들에 의해 조사된 B92 100대 국내 노래 목록에서 "Plava Jutra"("Blue Morning")라는 곡은 66위였다.[21] 1위에는 에카타리나 벨리카의 곡 '사모 파 고디나 자 nas'가, 2위는 하우스토르 곡 '셰진'이, 11위는 '에나'가, 39위는 라 스트라다 곡 '오케이안'이 모두 수보티치가 프로듀싱한 앨범에 수록됐다.[21] 상파울루 고백은 2008년 뮤지컬 참고서 1001 앨범에 수록되어 로버트 디머리가 편집하여 2005년에 출판한 것으로 라이바흐 외에 유고슬라비아 연극으로는 유일하게 리스트에 포함되었다.[22] 이 명단에는 수보티치가 죽기 전 제작한 베벨 길베르토 앨범 탄토 템포도 수록됐다.[22] 탄토 템포는 브라질 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라질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23]

그 노래"Nabor na postelji(용기)"("악보에 주름과(용기)")의 앨범의 가사,!, 그리고"Crv", 엔젤의 숨에서 양쪽 밀란 Mladenović에 의해서 쓰여진 페타르 Janjatović의 책 Pesme bratstva,detinjstva 및에서 다뤄졌어;potomstva:Antologija 반입 YU rok poezije 1967년-2007년 형제단의 유아 및(노래 Disillusioned.;Offspring: Ex YU Rock Poetry 1967 - 2007).[24]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헌정 음반

  • 트리부토(2002)

기타 출연

참조

  • NS 록코페디자, 노보사드스카의 1963-2003년, 미자토비치 보고미르, 출판사: 스위치, 2005
  • EX YU ROCK 엥시클로페디자 1960-2006, 얀자토비치 페타르; ISBN978-86-905317-1-4

메모들

  1. ^ 올뮤직 전기
  2. ^ a b c d e f g Mijatović, Bogomir (2005). NS rockopedija, novosadska rock scena 1963-2003 (in Serbian). Switch. p. 238.
  3. ^ a b c d e f g h Janjatović, Petar (2006).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06 (in Serbian). p. 189. ISBN 978-86-905317-1-4.
  4. ^ a b c d e f g Mijatović, Bogomir (2005). NS rockopedija, novosadska rock scena 1963-2003 (in Serbian). Switch. p. 240.
  5. ^ "Images for Rex Ilusivii - Disillusioned!". Discogs.com. Retrieved 2012-03-03.
  6. ^ a b c d e f g h i j Janjatović, Petar (2006).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06 (in Serbian). p. 190. ISBN 978-86-905317-1-4.
  7. ^ "EKV* - Live '88 (CD, Album)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12-03-03.
  8. ^ Neder, Alvaro. "Suba". AllMusic. Retrieved 2012-03-03.
  9. ^ a b c Mijatović, Bogomir (2005). NS rockopedija, novosadska rock scena 1963-2003 (in Serbian). Switch. p. 240.
  10. ^ Janjatović, Petar (2006).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06 (in Serbian). p. 78. ISBN 978-86-905317-1-4.
  11. ^ "Suba - Você Gosta (Vinyl)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12-03-18.
  12. ^ Vallier, John (2000-02-01). "São Paulo Confessions - Suba". AllMusic. Retrieved 2012-03-18.
  13. ^ ":: Instituto Suba". institutosuba.org.br.
  14. ^ "Suba Stage". exitmusic.tv. 2011-04-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3-05. Retrieved 2012-03-03.
  15. ^ "Nešticki dobio ulicu, a Suba plato u Novom Sadu - RADIO-TELEVIZIJA VOJVODINE". Rtv.rs. Retrieved 2012-03-03.
  16. ^ "Various - Bez Struje (CD)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12-03-03.
  17. ^ "Suba: Tributo". Musicabrasileira.org. 1999-11-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3-27. Retrieved 2012-03-03.
  18. ^ "Rex Ilusivii - In Vitro / Suba Within Us (CD, Album)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12-03-03.
  19. ^ "Suba stejdž na Exitu". EXIT Adventure: EXIT Festival, Srbija, 9 - 12. jul 2015. / SEA DANCE Festival, Crna Gora, 15 - 18. jul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14.
  20. ^ Antonić, Duško; Štrbac, Danilo (1998). YU 100: najbolji albumi jugoslovenske rok i pop muzike. Belgrade: YU Rock Press.
  21. ^ a b B92 국내 노래 100위권
  22. ^ a b "Rocklist.net...Steve Parker...1001 Albums". Rocklistmusic.co.uk. Retrieved 2012-03-03.
  23. ^ "Heart music - Music". www.theage.com.au. 2004-11-19. Retrieved 2012-03-18.
  24. ^ Janjatović, Petar (2008). Pesme bratstva, detinjstva & potomstva: Antologija ex YU rok poezije 1967 - 2007. Belgrade: Vega media.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