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멜코니안

Monte Melkonian
몬테멜코니안
1993년 1월 마르투니에서 벌어진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멜코니안
태어난(1957-11-25)1957년11월25일
비살리아, 캘리포니아, 미국
죽은1993년 6월 12일 (1993-06-12) (35세)
아제르바이잔 아그담메르질리
파묻힌
얼리전스 아살라
나고르노카라바흐
서비스/지점 나고르노카라바흐 방위군
근속연수1979–1993
순위중령
보유중인 명령어마르투니 분견대
전투/전쟁이란 혁명
레바논 내전
1982년 레바논 전쟁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시상식아르메니아의 영웅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배우자세다 멜코니안
관계마르카르 멜코니아 (형)
타작투쟁할 권리 (1993년 유작 선정)

몬테 멜코니안(Monte Melkonian, 1957년 11월 25일 ~ 1993년 6월 12일)[a]은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혁명가이자[1] 좌익 민족주의 무장가입니다.그는 1990년대 초에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과 싸웠던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군 사령관이었습니다.[2]

멜코니안은 1979년 혁명이 시작되는 1978년 미국을 떠나 이란에 도착해 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습니다.샤의 군주제가 붕괴된 후, 그는 내전이 한창일 때 레바논으로 여행을 떠났고 베이루트 교외 부르즈 하무드에서 아르메니아 민병대 조직에서 일했습니다.그는 1981년 파리 터키 영사관 습격 사건의 기획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3]그는 나중에 체포되어 프랑스에 있는 감옥으로 보내졌습니다.1989년에 그는 풀려났고 다음 해에 아르메니아로 여행하기 위한 비자를 취득했습니다.

멜코니안은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4,000명으로 추정되는 병사들을 지휘하기 전까지 어느 나라 군대에서도 복무 기록이 없었습니다.[4]그는 ASALA와 함께 레바논에서 싸웠던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부터 대부분 자신의 군대 경험을 쌓았습니다.Melkonian은 레바논 내전에서 다양한 파벌들에 맞서 싸웠고 1982년 전쟁에서 IDF에 맞서 싸웠습니다.

몬테멜코니안은 그의 경력 동안 여러 가명을 사용했으며 나고르노카라바흐에 있는 그의 휘하 부대에 아보(아르메니아어: ա ւօ)로 알려졌습니다.그의 말년은 나고르노카라바흐 국방군과 싸우면서 보냈습니다.[6]몬테는 전투의 여파로 동료 5명과 함께 메르질리 마을을 조사하던 중 아제르바이잔 군인들에게 살해당했습니다.[7]그는 예레반의 예라블루르 묘지에 묻혔고 1996년에 아르메니아의 국가 영웅으로 선포되었습니다.[8]

젊은 시절

청춘

멜코니안은 1957년 11월 25일 캘리포니아 비살리아의 비살리아 시립 병원에서 찰스(1918-2006)[9]와 자벨 멜코니안(1920-2012)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10]그는 자영업을 하는 내각관료와 초등학교 교사 사이에서 태어난 네 명의 자녀 중 셋째였습니다.[11]모든 기록에 의하면, 멜코니안은 보이 스카우트에 가입하고 리틀 리그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한 미국인 어린이로 묘사되었습니다.[12]그는 클라리넷도 연주했습니다.[13]멜코니아의 부모는 자녀들과 아르메니아 유산에 대해 거의 이야기하지 않았으며, 종종 조상들의 땅을 "옛 나라"라고 언급했습니다.그의 배경에 대한 그의 관심은 1969년 그의 가족이 1년 동안 유럽으로 여행을 떠났을 때인 열한 살 때 비로소 촉발되었습니다.

스페인에서 스페인어 수업을 듣는 동안, 그의 선생님은 그에게 어디 출신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캘리포니아"라는 멜코니아어의 대답에 불만을 품은 선생님은 "조상이 어디서 왔느냐"는 질문으로 되물었습니다.그의 형 Markar Melkonian은 "그녀의 우리에 대한 이미지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이미지와 전혀 다릅니다.그녀는 우리를 우리가 항상 그렇게 생각했던 미국인으로 보지 않았습니다."이 순간부터 앞으로 며칠, 몇 달 동안 마르카르는 "몬테는 [그들의 스승인 세뇨리타] 블랑카의 질문에 대해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당신은 어디에서 왔습니까?"[14]라고 계속합니다.

그 해 봄, 가족은 또한 터키 전역을 여행하여 멜코니아의 외할아버지와 할머니가 계신 메르지폰 마을을 방문했습니다.그 당시 메르지폰의 인구는 23,475명이었지만 1915년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때 전멸했던 한때 17,000명에 달했던 아르메니아인 인구는 거의 전무했습니다.그들은 그 마을에 살고 있던 세 명의 아르메니아인 가족을 발견했지만, 멜코니안은 1915년에 그 가족의 가장이 그 마을의 모든 아르메니아인들의 신원을 대량 학살 기간 동안 터키 당국에 알려주는 대가로 그의 가족의 안전을 교환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되었습니다.[15]몬테는 나중에 아내에게 "그 방문 이후 그는 예전과 같지 않았다"고 털어놨습니다.그는 잃어버린 장소를 보았습니다."[12]

교육

캘리포니아로 돌아오자마자 몬테는 그의 교육으로 돌아왔습니다.고등학교 때, 그는 모든 기준을 초과했고 새로운 학문적 도전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그의 교장선생님에 의해 제안된 것처럼, 고등학교를 일찍 졸업하는 대신, 몬테는 그의 아버지 덕분에 대안을 찾았습니다: 동아시아에서의 유학 프로그램.15살에 Monte는 그의 젊은 인생의 새로운 장, 즉 무술과 일본어를 공부하기 위해 일본으로 여행했습니다.[16]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했고, 이것은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들을 여행하는 데 자금을 대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이것은 그에게 몇 가지 새로운 문화, 새로운 철학, 새로운 언어, 그리고 몇몇의 경우, 군인으로서 그의 말년의 삶에서 매우 가치 있게 될 새로운 기술인 베트남[16] 여행과 같은 것들을 소개했습니다.[17]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입학하여 고대 아시아 역사고고학을 전공했습니다.1978년 그는 대학 도서관 중 하나에서 아르메니아 문화 유물 전시회를 여는 것을 도왔습니다.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을 다룬 전시 부분은 샌프란시스코 주재 터키 총영사의 요청으로 대학 당국에 의해 삭제됐습니다.철거된 디스플레이는 결국 교내 시위운동을 거쳐 다시 설치됐습니다.몬테는 결국 3년도 안되어 그의 학부과정을 마쳤습니다.졸업하자마자, 그는 옥스포드 대학의 고고학 대학원 과정에 입학 허가를 받았습니다.그러나 몬테는 이 기회를 포기하고 대신 아르메니아 대의를 위해 평생 투쟁을 시작하기로 선택했습니다.[17]

집출발

이란의 교육

1978년 봄 U.C. 버클리를 졸업한 후, 몬테는 이란으로 여행을 가서 영어를 가르쳤고 샤 타도 운동에 참여했습니다.그는 테헤란에 있는 자신의 학교에서 교사들의 파업을 조직하는 것을 도왔고, 샤의 군대가 시위대에게 발포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부상을 입었을 때 잘레 광장 근처에 있었습니다.나중에 그는 이란 쿠르드족 빨치산들이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쿠르디스탄으로 가는 길을 찾았습니다.수년 후 레바논 남부에서 그는 가끔 이란 쿠르디스탄에서 받은 쿠르드 페쉬메르가의 유니폼을 입었습니다.

레바논 내전

1978년 가을, 몬테는 우파 팔랑주 세력에 대항하는 아르메니아 분대의 방어에 참여하기 위해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로 향했습니다.몬테는 동 베이루트에 사는 동안 사회민주당 훈타키안당레바논 공산당의 당원들과 지하에서 일했습니다.비록 그는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ARF)에 충성을 맹세한 적은 없지만, 부르즈 함무드 주변에서 ARF "집단 지도자"의 지휘 하에 있던 진지를 방어하는 아르메니아 민병대의 일원이었습니다.몬테는 부르즈 함무드, 서부 베이루트, 안텔리아스, 동부 베이루트 및 기타 지역의 민병대 기지에서 거의 2년 동안 상임 멤버로 활동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팔랑주 군대에 대항하는 여러 거리 전투에 참여했습니다.그는 또한 "좌파와 아랍" 레바논 민족 운동을 대표하여 팔랑주의자들이 장악한 영토의 전선 뒤에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이때까지, 그는 성인이 될 때까지 배우지 못한 언어인 아르메니아어를 말하고 있었습니다. (아르메니아어는 몬테가 유창하게 말하기 위해 배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일본어 다음으로 4번째 혹은 5번째 언어였습니다.게다가 그는 아랍어, 이탈리아어, 터키어는 물론 페르시아어쿠르드어도 구사했습니다.[citation needed]

아살라

1980년 봄, 몬테는 아르메니아 해방을 위한 아르메니아 비밀군(ASALA)에 헌액되어 비밀리에 웨스트 베이루트로 이주했습니다.그 후 3년 동안 그는 ASALA의 전투원이자 그룹의 저널인 하야스탄에 기고했습니다.이 기간 동안 몇몇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들은 아르메니아 동지들에게 광범위한 군사 훈련을 제공했습니다.1980년 7월 31일 아테네에서, 멜코니아인은 그리스 주재 터키 대사관의 행정관인 갈립 오즈멘을 암살하였는데, 이는 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 키프로스 북부 점령, 터키 쿠르드인 학살 등을 자행한 정권을 대표하는 정당한 목표라고 멜코니아인은 생각했습니다.외즈멘은 사망 후 터키 정보국(MIT) 스파이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멜코니안은 어두운 색의 창문 유리에 가려진 앞좌석과 뒷좌석 승객들을 다른 외교관으로 보고 총을 쏘기도 했습니다.탑승자들은 부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은 오즈멘의 아내 세빌과 16살 아들 칸, 그리고 14살 딸 네슬리한으로 나중에 부상으로 사망으로 밝혀졌습니다.보도에 따르면 멜코니안은 다른 승객들이 누구인지를 알게 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나중에 더 명확한 시야를 가졌더라면 승객들을 살려주었을 것이라고 썼습니다.[18]

몬테는 로마아테네 등지에서 무장 작전을 펼쳤고, 1981년 9월 24일 아살라 무장대원 4명이 파리 주재 터키 대사관을 점거해 며칠간 억류했던 '반 작전'을 기획하고 특공대 훈련을 도왔습니다.1981년 11월, 프랑스 경찰은 "디미트리 게오르기우"라는 이름이 적힌 키프로스 여권을 소지한 젊은 용의자를 체포하여 구금했습니다.그의 석방을 목표로 파리에서 여러 개의 폭탄이 폭발한 후, "조르지우"는 레바논으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정체를 몬테 멜코니안으로 드러냈습니다.[citation needed]

1983년 7월 중순, ASALA는 폭력적으로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하고프 하기피안이라는 이름을 가진 독재적인 지도자에 반대했고, 다른 하나는 그를 지지했습니다.수년에 걸쳐 균열의 선이 깊어지고 있었지만, 레바논의 한 군 캠프에서 하고피안의 최측근 두 명이 총격을 당한 것이 결국 공개적인 균열로 이어졌습니다.이 충동적인 행동은 몬테와 밀접한 관계가 없는 한 사람에 의해 자행되었습니다.하지만 이 행동의 결과로 하기피안은 몬테의 가장 소중한 두 동료인 갈렌 아나니안과 아람 바르타니안을 직접 고문하고 처형함으로써 복수를 했습니다.

구속수감

이 분열의 여파로 몬테는 처음에는 레바논에서, 나중에는 프랑스에서 2년 이상을 지하에서 보냈습니다.아르메니아 무장단체와 은행 강도 레본 미나시안의 재판에서 변호를 위해 비밀리에 증언한 그는 1985년 11월 파리에서 위조지폐 소지와 불법 권총 소지 혐의로 체포돼 징역 6년을 선고받았습니다.

Monte는 FresnesPoissy 감옥에서 3년 이상을 보냈습니다.그는 1989년 초 석방되어 프랑스에서 남예멘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그의 여자친구인 세다와 재회했습니다.그들은 동유럽 여러 나라의 지하에서 상대적으로 가난한 생활을 하며 1년 반을 보냈습니다. 동구권 정권이 잇따라 붕괴되면서 말이죠.

아르메니아

1990년 10월 6일, 몬테는 당시 여전히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도착했습니다.아르메니아에서 처음 8개월 동안, 멜코니안은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일했고, 1995년 사후에 출판된 우라르티아 동굴 무덤에 대한 고고학 연구 모노그래프를 준비했습니다.[19]

수년이 지난 후 아르메니아 땅에서 자신을 발견한 그는 편지에 동포들 사이에서 많은 혼란을 발견했다고 썼습니다.아르메니아는 수십 년간 곪아온 경제적, 정치적, 환경적인 문제들에 매번 직면했습니다.소련 해체에 혈안이 된 새로운 정치 세력들이 아르메니아를 위기를 악화시키고 더 많은 문제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고 믿었던 방향으로 끌고 가고 있었습니다.그는 "국가적인 실수가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었다"[20]고 믿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몬테는 좋든 나쁘든 간에 소련은 미래가 없고 앞으로 몇 년은 아르메니아 국민들에게 위험한 시기가 될 것이라는 것을 빠르게 알게 되었습니다.그리고 나서 그는 나고르노카라바흐에 에너지를 집중했습니다.나고르노-카라바흐 방위군 게시판은 그의 말을 인용해 "[카라바흐]를 잃으면 우리 민족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긴다"[21]고 전했습니다.그는 만약 아제리 군대가 카라바흐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을 추방하는데 성공한다면, 그들은 장주르와 아르메니아의 다른 지역으로 진격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citation needed]

나고르노카라바흐

예라블루르 군 묘지에 있는 몬테 멜코얀의 무덤

1991년 9월 12일(또는 14일) 몬테는 샤후미안 지역(카라바흐 북쪽)으로 이동하여 1991년 가을 3개월간 전투를 벌였습니다.그 곳에서 그는 에르케이와 마나시드와 부즐룩 마을을 함락시키는 일에 참여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92년 2월 4일, 멜코니안은 지역 사령관으로서 마르투니에 도착했습니다.그가 도착했을 때 변화는 즉시 느껴졌습니다: 아제르바이잔 군대가 후퇴하고 마르투니의 거주 지역을 GRAD 미사일로 포격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짐에 따라 민간인들은 더 안전하고 평화로워지기 시작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93년 4월, 멜코니안은 아제르바이잔 전투원들과 싸우고 아르메니아와 전 NKAO 사이에 위치한 아제르바이잔칼바자르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계획하고 이끈 주요 군사 전략가 중 한 명이었습니다.아르메니아군은 나흘간의 격전 끝에 이 지역을 점령해 적군보다 훨씬 적은 사망자를 냈습니다.[6]

죽음과 유산

예레반의 빅토리 파크에 있는 멜코니안의 흉상입니다.

몬테는 1993년[22] 6월 12일 아그담 전투 중에 버려진 마을 메르질리에서 전사했습니다.몬테의 형이자 전기의 저자인 Markar Melkonian에 따르면, Monte는 길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는 몇몇 아제르바이잔 군인들과 발생한 예기치 않은 교전 중 적의 포화에 의해 저녁의 저물어가는 시간에 사망했습니다.[7]

몬테는 1993년 6월 19일 예레반 외곽에 있는 예라블루르 군사 묘지에 완전한 군장으로 안장되었으며, 그곳에서 그의 관은 도심에 있는 수르브 조라바르 교회에서 가져왔습니다.[23]그의 장례식에는 레본 테르페트로시안 아르메니아 대통령, 바즈겐 마누키안 국방장관 대행,[12][25][26] 제라드 리바리디안 외교부 차관, 정부 관계자, 국회의원 등 [24]5만~10만여 명(일부 보도에 따르면 25만 명)이 참석했습니다.[23]

마르투니의 카라바흐 마을은 그를 기리기 위해 몬테아베르드(또는 몬테아페르트; 아르메니아어: մ ոնթեաբերդ; 문자 그대로 "몬테 요새")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1993년 예레반에 몬테멜코니아 사관학교가 설립되었습니다.[31]

2021년에 샤후미야니 트르치나파브리카 마을은 몬테아반(Monteavan)으로 개칭되었습니다.[32]

2021년 11월, 바르데니스에서 멜코니아의 동상이 공개되었습니다.[33]

공개이미지

몬테는 아르메니아와 카라바흐에서 그가 죽었을 때 전설이 되었습니다.[26]그의 국제사회주의와 아르메니아 민족주의 관점 때문에, 한 작가는 그를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의 군 사령관 안드라니크와 마르크스주의 혁명가 체 게바라의 혼종으로 묘사했습니다.[34]토마스 은 그를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의 "가장 유명한 아르메니아 사령관"인 "프로 전사이자 극단적인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35]라고 묘사했습니다.[2]Raymond Bonner는 1993년에 Monte가 카리스마와 규율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그가 "카라바흐 전쟁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는 지휘관이 된" 이유라고 썼습니다.[25] 역사학자 Razmik Panossian은 Monte가 "카리스마가 있고 매우 유능한 지휘관"이었다고 썼습니다.[36]

견해와 신념

정치적 견해

멜코니안은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이자 혁명 사회주의자였습니다.[37][34]그는 일생동안 마르크스주의에 동조했습니다.–레닌주의는 ASALA의 이념이기도 했습니다.[38][39]1994년, Vorbach는 자신의 글이 "그를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 다양성의 헌신적인 사회주의자로 폭로한다"고 썼습니다.[40]그의 형에 따르면 그는 "항상 공산주의자였던 것은 아니지만, 전 공산주의자였던 적은 없었습니다."멜코니안은 소련이 "스스로 개혁하고 민주화하며 개인의 자유를 증진할 것"을 희망했고, 소련 시대가 끝날 때까지 소련 아르메니아의 희망을 버리지 않았습니다.[20]필립 마스든은 그의 경력이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에서 민족주의로의 급진적 이데올로기의 심각한 변화를 보여준다"고 썼습니다.마즈든은 1980년대에 그의 이념이 점점 더 커지는 민족주의와 충돌하게 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예를 들어 아르메니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끔찍한 오류가 될 것이라고 믿으면서 이전보다 더 큰 어려움으로 아르메니아 문제를 좌파 정통주의의 맥락에 밀어 넣었습니다."[41]1980년대에 그는 터키의 옛 아르메니아 인구 밀집 지역을 소련이 장악하고 소련과 아르메니아의 통일을 지지했습니다.[12]하지만 그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서부 아르메니아'에서 살 권리를 얻는 것은 터키의 혁명 투쟁에 참여하는 것이며,[42] 혁명 터키나 쿠르드 국가 내에서 아르메니아인의 자결권을 고려하는 것입니다.[43]1980년대 프랑스 감옥에 있을 때, 그는 터키 동부에 쿠르드 반군, 좌파 터키인, 아르메니아 혁명가들을 통합하는 게릴라군 창설을 요구했습니다.[12]Vorbach는 터키에 대한 그의 견해를 요약했습니다.[44]

그는 터키의 '차우빈주의' 지도부를 전복하고 아르메니아인들이 오늘날 터키를 포함한 역사적인 고향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는 혁명적인 사회주의 정부(터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소련 아르메니아)를 수립하는 것에 동기를 부여받은 혁명적인 인물이었습니다.

포이시 감옥에 있는 동안 몬테는 그의 계획된 "아르헨티나 애국 해방 운동"을 위한 정치적 성명서 초안을 작성했는데, 여기서 그는 7가지 핵심 원칙을 개괄하고 있습니다: 1) 혁명적 국제주의, 2) 민주주의와 자기 결정권, 3) 사회주의, 4) 페미니즘, 5) 환경주의, 6) 반제국주의, 7) 평화와 군축.[45]

1990년대 초, 그는 카라바흐를 "신성한 대의"로 여겼습니다.[35]그는 "만약 우리가 카라바흐를 잃는다면, 우리는 우리 민족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길 것입니다"[46]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몬테는 국제주의자이기도 했습니다.[34]"신세계 질서의 제국주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그는 팔레스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앙 아메리카 등의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습니다.[20]그는 또한 반자본주의적인 관점에서 환경주의를 지지했습니다.[47]한 저자에 따르면 그의 경제관은 베이루트에 근거지를 둔 아르메니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알렉산더 예니콤쉬안의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12]

몬테의 여동생인 마일 멜코니안은 데이비드 리프가 1997년 포린 어페어즈에 기고한 글에서 멜코니안은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다슈낙스)의 견해와 전혀 관련이 없으며 지지자도 아니라고 밝혔습니다.[48]

일상생활에서 자기비하적인 행동

몬테는 담배를 피우지 않고 술을 마시는 등 모범적인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25][49]몬테는 혁명적인 사회주의자들이 "실질적인 자기 수양 생활"을 하고 흡연이나 음주와 같은 "자기 파괴적인 습관"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람의 자기 수양을 심각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의존성은 선봉대의 일원이 되는 것, 특히 게릴라나 페다이가 되는 것을 억제합니다."[49]그가 토스트에 참여했을 때, 그는 요구르트 한 잔을 올렸다고 합니다.[50]몬테는 그의 병사들이 술을 마시는 것을 금지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35]그는 또한 마르투니 와인에 대해 디젤과 탄약 형태로 현물세를 징수하는 정책을 수립했습니다.[51]몬테는 카라바흐의 대마초 경작지도 불태웠습니다.[5][49]

개인생활

Monte Melkonian은 1991년 8월에 아르메니아의 Geghard 수도원에서 오랜 여자친구 Seda Kebranian과 결혼했습니다.그들은 1970년대 후반 레바논에서 만났습니다.1993년 인터뷰에서 몬테는 그들이 가정을 꾸릴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아르메니아인들의 투쟁이 끝나면 정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52]

2013년 현재 활동가이자 강사인 Seda는 알래스카 앵커리지 대학의 건축학 교수인 남편 Joel Condon과 함께 알래스카 앵커리지에 거주하고 있습니다.[53][54]

시상식

출처:[8][55]

나라 날짜.
나고르노카라바흐 전투십자훈장 1급 1993년11월23일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의 영웅 1996년9월20일
나고르노카라바흐 아차흐의 영웅 1999년9월21일

참고문헌

메모들

인용문

  1. ^ Vorbach 1994.
  2. ^ a b de Waal 2013, 페이지 341.
  3. ^ Dugan, Laura; Huang, Julie Y.; LaFree, Gary; McCauley, Clark (2008). "Sudden desistance from terrorism: The Armenian Secret Army for the Liberation of Armenia and the Justice Commandos of the Armenian Genocide" (PDF). Dynamics of Asymmetric Conflict. 1 (3): 237. doi:10.1080/17467580902838227. S2CID 547995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4. Retrieved 2015-09-23.
  4. ^ Melkonian 2005, p. x.
  5. ^ a b Melkonian, Markar (2007). My brother's road : an American's fateful journey to Armenia. Seda Gpranyan-Melkʻonyan. London: I.B. Tauris. pp. x, 181, 279. ISBN 978-1-84511-530-2. OCLC 123114551.
  6. ^ a b 크루아상, 마이클 P. (1998)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 원인과 시사점런던: 프래거.ISBN 0-275-96241-5.
  7. ^ a b Melkonian 2005, 페이지 264.
  8. ^ a b "National Hero of Armenia". The Office to the President of Arme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4. Retrieved 2015-09-11.
  9. ^ Steinberg, Jim (20 September 2006). "Armenian Hero's Father Dies At 88". The Fresno Bee.
  10. ^ "Commander Monte Melkonian's mother dies at 92". PanARMENIAN.Net. 10 December 2012.
  11. ^ Melkonian 2005, p. 4.
  12. ^ a b c d e f p. Arax, Mark (9 October 1993). "The Riddle of Monte Melkonian". Los Angeles Times. 1, 2, 3, 4
  13. ^ Melkonian, Monte (1993). The Right to Struggle: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Sardarabad Collective. pp. xi.
  14. ^ Melkonian 2005, p. 10-12.
  15. ^ Melkonian 2005, pp. 12-18.
  16. ^ a b Zurcher 2009, p. 176.
  17. ^ a b Melkonian 2005, 페이지 344.
  18. ^ Melkonian 2005, 페이지 84-85.
  19. ^ "հ այաստանի հնագիտական հուշարձաններ, հ. 16 [아르메니아 고고학 기념물, vol. 16], 예레반,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 고고학 및 민족지학 연구소, 1995"
  20. ^ a b c Melkonian, Markar (25 November 2011). "Which "Avo" was Monte?". Hetq.
  21. ^ "Monte Melkonian on Artsakh".
  22. ^ de Waal 2003, p. 208.
  23. ^ a b c "Commander Mourned". Armenian International Magazine. 4 (5). June 1993. ISSN 1050-3471.
  24. ^ a b 크리코리안 2007, 페이지 242.
  25. ^ a b c Bonner, Raymond (4 August 1993). "Foreigners Fight Again in the Embattled Caucasus". The New York Times.
  26. ^ a b Human Rights Watch (1994). Seven Years of Conflict in Nagorno-Karabakh. pp. 113–4. ISBN 978-1-56432-142-8. The most famous of them, Monte Melkonian of Vesalia, California, became a legend in Karabakh and Armenia by the time he was killed in fighting in June 1993; an estimated 50,000 people including the Armenian President, Ter-Petrosyan attended his funeral in Yerevan.
  27. ^ Krikorian, Robert; Masih, Joseph (1999). Armenia: At the Crossroads. Routledge. p. 44. ISBN 978-9057023453.
  28. ^ Zürcher, Christoph (2007). The Post-Soviet Wars: Rebellion, Ethnic Conflict, and Nationhood in the Caucasus. NYU Press. p. 177. ISBN 9780814797099.
  29. ^ "Հերոսի հիշատակը հարգելով. ուխտագնացություն դեպի Եռաբլուր". Hetq (in Armenian). 13 June 2011. Մոնթեաբերդ-Մարտունու
  30. ^ "Այսօր Մոնթե Մելքոնյանի մահվան 20-ամյա տարելիցն է". Yerkir (in Armenian). 12 June 2013. Երախտապարտ Արցախում նրա անունով են կոչել Մարտունու շրջկենտրոնը` վերանվանելով Մոնթեաբերդ
  31. ^ "Մոնթե Մելքոնյանի անվան վարժարանը նշել է հիմնադրման 21-ամյակը". 1tv.am (in Armenian). Public Television of Armenia. 15 November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15. Retrieved 25 September 2015.
  32. ^ Balasanyan, Grisha (5 December 2021). "Մոնթեավանի համայնքապետարանի աշխատակիցը հանձնաժողովի անդամներին ցուցումներ էր տալիս". Hetq (in Armen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21. Retrieved 9 December 2021. Արմավիրի մարզի Մոնթեավանի (մինչև խոշորացումը՝ Շահումյանի թռչնաֆաբրիկա)...
  33. ^ "Վարդենիսում Մոնթեի հուշարձան և համանուն պուրակ է բացվել" (in Armenian). PanARMENIAN.Net. 26 November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21. Retrieved 28 November 2021.
  34. ^ a b c Afeyan, Bedros (4 April 2005). "Review of two books about Monte Melkonian". Armenian News Network / Groo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35. ^ a b c de Waal 2013, 페이지 220.
  36. ^ Panossian, Razmik (1998). "Between ambivalence and intrusion: Politics and identity in Armenia-diaspora relations". Diaspora: A Journal of Transnational Studies. 7 (2): 149–196. doi:10.1353/dsp.1998.0011. S2CID 144037630.
  37. ^ de Waal, Thomas (9 February 2011). "More War in the Caucasus". The National Interest. ...Californian-born Armenian nationalist commander Monte Melkonian...
  38. ^ Hasratian (2007). The fighter for the idea. Sona. p. 7. ISBN 9789994158232. ...throughout his lifetime Monte Melkonian sincerely sympathized with the theory of Marxism-Leninism.
  39. ^ Gore, Patrick Wilson (2008). 'Tis Some Poor Fellow's Skull: Post-Soviet Warfare in the Southern Caucasus. iUniverse. p. 19. ISBN 978-0595486793. ASALA was Marxist-Leninist and one of its leaders, the Armenian-American Monte Melkonian...
  40. ^ Vorbach 1994, 페이지 178.
  41. ^ Marsden, Philip (12 March 2005). "Road to revolution: PhD? I'd rather be a terrorist". The Times. London.
  42. ^ Melkonian, Monte; Melkonian, Markar (1993). The right to struggle :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2nd ed.). San Francisco, Calif.: Sardarabad Collective. ISBN 0-9641569-1-1. OCLC 29999164.
  43. ^ Leupold, David (2020). Embattled Dreamlands. The Politics of Contesting Armenian, Kurdish and Turkish Memory. New York. p. 47.{{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44. ^ Vorbach 1994, 178-179쪽
  45. ^ Melkonian, Monte (1993). The right to struggle :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Markar Melkonian (2nd ed.). San Francisco, Calif. (P.O. Box 422286, San Francisco 94142-2286): Sardarabad Collective. pp. 154–157. ISBN 0-9641569-1-1. OCLC 29999164.{{cite book}}: CS1 메인 : 위치 (링크)
  46. ^ 크리코리안 2007, 페이지 241.
  47. ^ Simonyan, Anahit (15 November 2013). "Հայաստանն օտար ներդրողների համար դարձել է համեղ պատառ". Asparez (in Armenian).
  48. ^ Melkonian, Maile (November–December 1997). "The Facts of the Case". Foreign Affairs. 76 (6): 184. doi:10.2307/20048351. JSTOR 20048351.
  49. ^ a b c Melkonian, Monte (1993). The right to struggle :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Markar Melkonian (2nd ed.). San Francisco, Calif. (P.O. Box 422286, San Francisco 94142-2286): Sardarabad Collective. pp. xvi. ISBN 0-9641569-1-1. OCLC 29999164.{{cite book}}: CS1 메인 : 위치 (링크)
  50. ^ Melkonian, Monte (1993). The Right to Struggle: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San Francisco: Sardarabad Collective. pp. xvi.
  51. ^ Melkonian, Monte (1993). Melkonian, Markar (ed.). The Right to Struggle: Selected Writings by Monte Melkonian on the Armenian National Question (2nd ed.). Sardarabad Collective. p. xvi.
  52. ^ Loiko, Sergei; McWilliam, Ian (15 June 1993). "Fresno-Born Karabakh Commander Dies on Battlefield". Los Angeles Times.
  53. ^ "Liberty by Joel Condon". Bobby Sands Trust. 4 December 2011.
  54. ^ "Remembering Monte Melkonian". CivilNet. 20 June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9.
  55. ^ "Մոնթե Մելքոնյան [Monte Melkonian]". mil.am (in Armenian). Defense Ministry of Armenia. 6 July 2015.

서지학

  • de Waal, Thomas (2003).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 de Waal, Thomas (2013).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2nd (revised and updated) ed.). NYU Press.
  • Melkonian, Markar (2005). My Brother's Road, An American's Fateful Journey to Armenia. New York: I.B. Tauris.
  • Melkonian, Monte (1990).투쟁할 권리: 아르메니아 민족문제에 관한 선정된 몬테멜코니아의 글샌프란시스코: 사다라바드 콜렉티브
  • Krikorian, Michael (2007). ""Excuse me, how do I get to the front?" The Brothers Monte and Markar Melkonian (Los Angeles)". In von Voss, Huberta (ed.). Portraits of Hope: Armenians in the Contemporary World. Berghahn Books. pp. 237–242. ISBN 978-1-84545-257-5.
  • Vorbach, Joseph E. (1994). "Monte Melkonian: Armenian revolutionary leader". Terrorism and Political Violence. 6 (2): 178–195. doi:10.1080/09546559408427253.
  • Zurcher, Christopher (2009). The Post-Soviet Wars: Rebellion, Ethnic Conflict, and Nationhood in the Caucasus. NYU Press. ISBN 978-0-81479-724-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