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아페후 산
Mount Ruapehu루아페후 산 | |
---|---|
최고점 | |
승진 | 2,797 m (9,440 피트)[1] |
튀다 | 2,797 m (9,440 피트) |
격리 | 340.67 km (211.68 mi) |
등록하기 | 울트라 뉴질랜드 #19 |
좌표 | 39°17ºS 175°34°E/39.283°S 175.567°E좌표: 39°17ºS 175°34ºE / 39.283°S 175.567°E / |
명명 | |
영어 번역 | 소음의 구덩이나[2] 폭발의 구덩이 |
이름 언어 | 마오리 |
지리 | |
뉴질랜드 북섬 | |
지질학 | |
록의 시대 | 최대 20만[1] 년 |
산형 | 스트라토볼카노 |
화산호/벨트 | 타우포 화산대 |
마지막 분화 | 2007년 9월 25일 |
등산 | |
첫 번째 상승 | 1879년 G. 비텀과 J.P. 맥스웰 |
가장 쉬운 경로 | 하이킹 |
루아페후 산(/ruruːɪɪpeːhuː/; 마오리: [ˈʉaɛpʉh)])은 뉴질랜드 타우포 화산 지대와 북섬 화산 고원의 남단에 있는 활성층화산이다.통가리로 국립공원 내 오하쿠네에서 북동쪽으로 23km, 타우포 호수 남쪽 해안에서 남서쪽으로 23km 떨어져 있다.북섬의 주요 스키장과 빙하만이 슬로프에 있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활화산인 루아페후는 북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으로 세 개의 주요 봉우리가 있다.Tahurangi (2,797 m), Te Heuheu (2,755 m), Paretaitonga (2,751 m).깊고 활동적인 크레이터는 정상 사이에 있으며 크레이터 호수(Maori:Te Wai Ah-Moe).루아페후라는 이름은 마오리어로 [3]"소음의 구덩이" 또는 "폭발 구덩이"를 의미합니다.
지리
루아페후는 뉴질랜드 북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오하쿠네에서 북동쪽으로 23km, 통가리로 국립공원 내 타우포 호수 남쪽 해안에서 남서쪽으로 23km 떨어져 있다.루아페후 화산은 국립공원에서 가장 크고 남쪽에 있는 화산으로 추정 부피는 110km이다3.[4]이 화산은 라하르 퇴적물, 화산재 낙하, 산사태 [5]잔해로 만들어진 화산 물질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의 평야로 둘러싸여 있다.
루아페후에는 3개의 접근 경로가 있으며, 각 접근 경로는 슬로프에 있는 3개의 스키필드 중 하나로 연결됩니다.48번 국도는 산기슭의 화카파 마을로 통하고, 거기서 북서쪽 경사면의 화카파 스키필드 기슭의 이와카우 마을로 통한다.오하쿠네에서 남서쪽 경사면 투로아 스키필드로 이어지는 접근도로와 동쪽 [6][7]경사면에서는 4륜구동 트랙이 사막도로(1번 국도)에서 투키노 스키필드로 이어진다.
크레이터 호수(Te Wai A-moe)라고 불리는 루아페후의 활동적인 크레이터는 정상 고원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따뜻하고 산성 호수로 가득 차 있습니다.호수의 출구는 황개후 계곡의 꼭대기에 있으며, 황개후 강이 흐른다.황개후 강은 루아페후 화산 폭발로 파괴적인 라하르로 악명 높다.역사적으로 볼 때, 분출로 인해 유출구 전체에 테프라 댐이 여러 차례 건설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45년과 1996년에 건설되었다.이 댐들은 1953년과 2007년에 각각 붕괴되었고, 매번 크레이터 호수의 폭발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파괴적인 라하르가 강 아래로 내려왔다.1953년 라하르는 151명이 사망한 탕기와이 참사의 원인이었다.더 큰 라하르는 1862년과 [8][9]1895년에 발생했다.
루아페후에는 총 18개의 빙하가 인정되었으며,[10] 그 중 6개가 명명되었다.두 개의 빙하가 활성 분화구에서 발견됩니다. 하나는 파레테아통가 봉우리 아래의 분화구 북쪽에 있고 다른 하나는 남쪽에 있으며, 이것들은 뉴질랜드의 유일한 분화구 [11]빙하입니다.루아페후 빙하의 대부분은 황개후 빙하, 정상 고원, 망가토에토에누이 [10]빙하 세 개에만 포함되어 있습니다.Summit Plato 빙하는 진정한 의미의 빙하가 아니라 멸종된 화산 분화구를 채우는 빙원이며,[11] 얼음의 두께는 130m 이상에 이른다.황개후 빙하는 황개후 강을 먹여 살리고, 망가토에토에누이는 루아페후 동쪽 [11][12]경사면에서 일련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와이카토 강의 주요 수원 중 하나입니다.산의 서쪽에는 화카파강과 망가누이오테아오강과 같은 많은 하천들이 황가누이강을 [13]수원으로 한다.
루아페후의 빙하는 뉴질랜드의 영구 얼음 형성을 위한 북쪽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1955년 이후 실시된 빙하에 대한 조사는 1953년 크레이터 호수의 폭발로 호수 [11][14]수위가 낮아진 후 두꺼워지고 늘어난 북쪽 크레이터 빙하를 제외하고 빙하가 모두 얇아지고 후퇴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기후.
루아페후는 높은 경사면의 극지방의 툰드라 기후(Köppen: ET)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기온은 고도와 [15][16]구름에 따라 여름에는 -4-15°C, 겨울에는 -7-7°C이다.낮은 경사면에서 루아페후는 아극성 해양성 기후(쾨펜: Cfc)[15]입니다.
이 지역의 일반적인 풍향은 서풍 또는 북서풍이며,[16] 산에서 33노트(61km/h 이상의 풍속)의 강풍 조건이 일반적이다.비 그림자 효과로 인해 루아페후 서쪽의 강우량이 동쪽의 강우량보다 많다.와카파 마을에는 연평균 2200mm의 비가 내리는 반면 루아페후 동쪽의 랑기포 사막에는 [17]연간 1500mm가 조금 넘는 비가 내린다.눈은 평균 [17]해발 1,500미터까지 내려요.
이와카우 마을(와카파 스키필드 기점), 고도 1,626m | |||||||||||||
---|---|---|---|---|---|---|---|---|---|---|---|---|---|
달 | 1월 | 2월 | 마루 | 에이프릴 | 그럴지도 모른다 | 준 | 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평균 최고 °C(°F) | 16.6 (61.9) | 16.5 (61.7) | 14.8 (58.6) | 11.7 (53.1) | 8.7 (47.7) | 6.0 (42.8) | 5.1 (41.2) | 5.8 (42.4) | 8.0 (46.4) | 9.8 (49.6) | 12.2 (54.0) | 14.4 (57.9) | 10.8 (51.4) |
일평균 °C(°F) | 11.9 (53.4) | 12.0 (53.6) | 10.4 (50.7) | 7.7 (45.9) | 5.2 (41.4) | 2.9 (37.2) | 1.9 (35.4) | 2.2 (36.0) | 4.0 (39.2) | 5.5 (41.9) | 7.6 (45.7) | 10.0 (50.0) | 6.8 (44.2) |
평균 최저 °C(°F) | 8.1 (46.6) | 8.3 (46.9) | 6.9 (44.4) | 4.7 (40.5) | 2.8 (37.0) | 0.7 (33.3) | −0.4 (31.3) | −0.3 (31.5) | 1.1 (34.0) | 2.5 (36.5) | 4.0 (39.2) | 6.6 (43.9) | 3.8 (38.8) |
평균 강우량 mm(인치) | 154 (6.1) | 129 (5.1) | 120 (4.7) | 141 (5.6) | 162 (6.4) | 164 (6.5) | 173 (6.8) | 182 (7.2) | 191 (7.5) | 211 (8.3) | 191 (7.5) | 190 (7.5) | 2,008 (79.2) |
평균 비오는 날(1.0mm 이하) | 12 | 10 | 10 | 11 | 12 | 12 | 13 | 14 | 14 | 15 | 13 | 14 | 150 |
평균 상대습도(%) | 77 | 79 | 80 | 86 | 89 | 92 | 89 | 88 | 87 | 85 | 81 | 82 | 85 |
출처 : Climate-data[18].org |
악천후 사고
기상조건은 하루 동안 변동될 수 있으며, 등산객들은 기본적인 생존장비를 [19]갖추고 있어야 한다.1990년 [20]겨울 생존 훈련을 받던 중 일주일간의 폭풍에 휘말린 5명의 NZ 육군 병사와 1명의 RNZN 해군 등급을 포함한 혹독한 날씨로 인해 여러 명이 목숨을 잃었다.같은 폭풍으로 일본 산악인 경력도 갑자기 날씨가 다가오자 갇혔지만 며칠 [21]뒤 구조될 때까지 눈 굴을 만들고 대피했다.
과거 극한의 날씨로 인해 관광객들은 산에 갇힌 적이 있다.2003년 폭설로 도로가 [22]너무 위험해져 와카파 스키장을 찾은 350여 명의 방문객과 70여 명의 직원이 탑오 더 브루스(스키장 기슭에 있는 스키장)에서 하룻밤을 묵어야 했다.2008년 극한의 날씨로 약 2000명의 방문객들이 와카파파 스키필드에서 대피했고, 자동차들은 5인 1조로 산을 내려왔다.약 100대의 차가 밤새 [23][24]스키필드에 남겨졌다.
지질학
루아페후는 타우포 화산지대의 남단에 위치한 안데스산 복합 성층화산으로 통가리로 [4]화산센터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루아페후 화산활동은 북섬 동쪽의 히쿠랑기 해구에 있는 호주판 아래의 태평양판이 가라앉으면서 일어난다.루아페후는 일생 동안 여러 개의 분화구에서 분출해 왔지만, 현재는 오직 한 개의 분화구만이 활동 중이다. 이 분화구는 크레이터 호수라고 불리는 뜨겁고 산성수로 채워진 정상 고원의 남쪽 끝에 있는 깊은 분화구이다.
루아페후는 중생대 그레이와케의 지하에 모래, 실트, 조개층,[25]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왕가누이 분지의 얇은 퇴적층으로 덮여 있습니다.루아페후가 언제 처음 분화를 시작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단지 최소 25만 년에서 최대 34만 [26]년 전에 분화가 시작되었을 뿐이다.루아페후는 비교적 강한 분출 활동의 4단계로 건설되었고 그 후 비교적 조용한 시기가 이어졌다.이 네 단계의 활동은 각각 테헤렌가 층(Te Herenga Formation, 25만~18만 년 전에 제거됨), 와치아노아 층(16만~11만5000년 전에 제거됨), 망가우헤로 층(Mangawero Formation, 55,000~15,000년 전에 제거됨), 와카파 층(Whakapapapa Formation, 15,000년 전에 제거됨)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암석층을 남겼다.각각의 암석층은 용암류와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암석층의 연구는 루아페후 화산 활동이 시간이 [4][26]지남에 따라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밝혀냈다.테헤렌가 활동 단계에서 마그마는 분출 중에 지각에서 빠르게 솟아올랐다.하지만, 16만 년 전에, 마그마 제방과 실의 복잡한 네트워크가 화산 밑의 지각에 형성되었고, 그 이후 용암이 폭발하기 전에 [25]다른 마그마 챔버 사이에 광범위하게 혼합된 징후를 보였다.
현대에는 화산 활동이 크레이터 호수에 집중되어 있다.호수 아래에는 노스 벤트와 센트럴 [27]벤트라고 불리는 두 개의 활성 환기구들이 있다.활동은 6-12개월에 걸쳐 호수의 주기적인 가열과 냉방을 특징으로 한다.각 가열 주기는 분화구 아래에서 지진 활동이 증가하고 화산 가스의 방출이 증가하며, 이는 분화구 호수 아래의 통풍구가 가스 [28][29]유출에 개방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증거는 루아페후가 25만 년의 역사를 통해 이와 같은 개방 통풍 시스템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이것은 압력의 축적을 방지하고 [26][28]루아페후에서 상대적으로 작고 빈번한 분출을 일으킨다(평균 20~30년마다).
크레이터 호수는 1945년과 1995-1996년의 분출과 같은 대규모 분출에 의해 비워지지만, 분출이 가라앉은 후에는 눈이 녹고 [29]증기가 배출되면서 다시 채워집니다.역사적으로, 호수의 출구를 가로질러 테프라 댐이 쌓이면서 호수가 황개후 계곡으로 흘러드는 것을 막았다.댐은 몇 년 후에 붕괴되어 계곡 하류에 큰 라하르가 생긴다.1945년 폭발에 의해 만들어진 테프라 댐은 1953년 12월 24일 붕괴되어 황개후 강 하류로 라하르를 흘려보내고 탕이와이 참사를 일으켰다.급행열차가 탕이와이 철교를 건너기 직전에 라하르가 휩쓸어 151명이 목숨을 잃었다.또 다른 댐은 1995-1996년의 폭발로 퇴적되었는데, 이 폭발은 2007년 3월 18일에 붕괴되었다.이 산의 붕괴를 감지하고 관련 당국에 알리기 위해 2000년 동 루아페후 라하르 경보 및 경고 시스템(ERLAWS)이 설치됐다.ERLAWS 시스템은 2007년 라하르를 탐지했으며,[30] 라하르가 가라앉을 때까지 도로는 폐쇄되고 철도 교통은 중단되었다.
초기 분출사
통가리로 국립공원에서 가장 먼저 알려진 화산 활동은 약 93만3천 ± 46,000년 전 루아페후 [31]북서쪽 하우훙가타히에서 일어났다.그 후, 황가누이 근처 루아페후에서 남서쪽으로 10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안데스산 쇄설암은 34만년 전 [26]루아페후 지역에 화산활동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러나 루아페후에서 가장 오래된 바위들은 약 25만 [26]년 전의 것이다.이 기간 동안의 분출은 현재의 상부 피너클 [4]능선 근처에 위치했을 중앙 분화구 주변에 가파른 화산 원뿔을 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원추형 건물 폭발은 약 18만 년 전에 멈췄고, 원추형은 빙하 작용에 의해 침식되기 시작했다.이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암석층은 총칭하여 테헤렌가 층으로 불리며, 오늘날에는 루아페후 [4][26]북서쪽 경사면에 있는 피너클 능선, 테헤렌가 능선, 와카파누이 계곡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약 16만 년 전, 원추형 분출이 다시 시작되었는데, 이번에는 원래의 테헤렌가 [4]분출구의 남동쪽인 현재의 미트르 봉(링가토) 북서쪽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분화구에서 시작되었다.분출은 약 115,000년 전까지 계속되었고, 이 기간 동안 용암이 분출된 것은 와치아노아 층으로 알려져 있다.이 지형은 또한 빙하 활동에 의해 심하게 침식되어 현재는 루아페후의 [4][25]남동쪽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이 지형은 용암류와 [32]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 5만 5천 년 전에 시작된 세 번째 원추형 분화가 시작되어 망가웨로 층이 형성되었습니다.이 층은 두 단계로 나뉘어 침식된 와치아노아 층으로 분출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55,000-45,000년 전이고 두 번째 단계는 30,000-15,000년 [26]전이다.이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정상 크레이터가 활동했으며, 모두 타후랑기와 북부 정상 고원 사이에 놓여 있었다.루아페후 북서쪽의 스콜리아 콘인 푸케오나케와 오하쿠네 근처의 고립된 분화구에서도 기생충 분출이 일어났다.망가웨로 층은 현대의 루아페후 대부분에서 볼 수 있으며, 투로아 [4][32]스키필드뿐만 아니라 산의 높은 봉우리 대부분을 형성합니다.
홀로세 활동
마지막 빙하기 이후 루아페후에서 분출된 용암류를 와카파층이라고 한다.이러한 흐름은 모두 15,000년에서 2,000년 전 사이에 루아페후 정상의 많은 다른 분화구들과 산의 [4][25]북쪽과 남쪽 측면에 있는 분화구에서 분출되었다.
약 1만 년 전, 루아페후 화산뿐만 아니라 루아페후 화산과 통가리로 화산 사이의 타마호에서도 일련의 대규모 분화가 일어났다.이 격렬한 분화의 시기는 파호카 망가메이트 사건이라고 불리며 200년에서 400년 [33]사이에 지속된 것으로 생각된다.루아페후에서는 북쪽 경사면에 있는 옆구리의 분화구인 새들콘과 남쪽 경사면에 있는 다른 분화구에서 용암이 분출되었다.이 남쪽 분화구는 세 번 폭발했고, 이 분화구에서 용암류는 남쪽으로 [4][25]약 14km를 이동했다.
약 9,400년 전 북서쪽 경사면에서의 섹터 붕괴가 현재 와카파 스키필드를 구성하는 원형 극장을 형성하고 북서쪽 고리 평원에 광범위한 눈사태 퇴적물을 남겼다는 증거가 있다.[25]그 이후로 폭발은 강도와 [34]부피가 훨씬 더 낮아졌다.따라서 150km3(36cu mi) 원뿔과 150km3(36cu mi) 고리 평원의 대부분은 10,000년 이상 [31]오래되었다.1만 년에서 2천 5백 년 전 사이의 폭발로 용암류가 생성되었고, 모두 와카파파 원형경기장으로 흘러들어와 현대의 스키필드의 [25]경사면을 만들었다.
지난 2000년 동안 루아페후에서의 활동은 주로 [26]정상의 분화구 호수를 통해 집중되어 왔다.분출 활동은 일반적으로 수십 년에 한 번씩 발생하고 각각 [26][25]몇 달씩 지속되는 비교적 작지만 폭발적인 수증기 분출로 이루어져 왔다.기록된 역사에서, 이러한 폭발은 1895년, 1945년, 1995년-1996년에 [3]약 50년 간격으로 일어났다.1969년, 1975년, 그리고 [29][35]2007년에 눈에 띄는 소규모 분화가 일어나면서, 소규모 분화는 평균 몇 년에 한 번꼴로 일어난다.다양한 규모의 600건 이상의 폭발 사건이 1830년 [36]이래로 기록되었다.
1945년 폭발과 1953년 라하르
루아페후는 몇 주간의 화산 진동을 겪은 후 1945년 3월에 폭발 단계에 접어들었다.화산 폭발의 첫 징후는 3월 8일에 보고되었으며, 동쪽 [37]경사면에서 화산재가 떨어졌다.3월 19일 크레이터 호수에서 용암 돔이 관측되었으나 다음 주에 걸친 일련의 폭발로 파괴되었다.두 번째 더 큰 용암 돔이 5월에 나타났는데, 이 돔은 이후 몇 달 동안 계속 성장했고 [37]7월까지 크레이터 호수에서 물이 비었습니다.
분출은 8월부터 11월까지 증가했다.8월 21일 이른 시간에 호크스 만과 타라루아 지역에서 특히 강력한 폭발음이 들렸다.이 폭발음은 사람들을 잠에서 깨우고 경보를 [37]울릴 만큼 컸다.분출은 12월에 감소하기 시작해 1월에 끝났다.
화산 폭발은 북섬의 대부분에 화산재를 흩어지게 했고, 멀리 파머스턴 노스, 황가누이, 호크스 베이까지 화산 폭발 기둥이 보였다.화산재는 몇몇 북섬 지역 사회에 혼란을 야기했고, 주택에 진입했으며, 눈과 목에 염증을 일으켰고, 자동차의 도장을 손상시켰다.오하쿠네에서는 농작물 피해가 보고되었고, 타우마루누이의 수도 공급이 [37][38]중단되었다.
12월 말 분화가 가라앉은 후, 크레이터 호수는 천천히 다시 채워지기 시작했고,[37] 1월 중순에는 이미 "끓는 호수"가 크레이터 바닥을 채웠다.호수의 정상 출구에 테프라 댐이 형성되어 1953년 12월 24일 급행열차가 지나가기 직전 황개후강을 가로지르는 탕이와이 철교가 붕괴되면서 151명의 목숨을 앗아간 라하르가 붕괴되었다.
1969년과 1975년 분화
루아페후는 1966년에서 1982년 사이에 크레이터 호수에서 여러 번의 작은 폭발이 일어났고 1969년과 1975년에 두 번의 큰 폭발이 일어나 정상 지역에 걸쳐 암석을 분출하고 상당한 라하르를 [36]생성했다.
1969년의 분화는 6월 22일 이른 시간에 일어났다.이는 분화구에서 북서쪽으로 1km 떨어진 곳의 암석을 폭발시키고 여러 계곡으로 라하르를 내려보낸 중간 정도의 수증기 분출이었다.와카파 스키필드는 진흙으로 뒤덮여 있었다.이것은 1945년 [39]이후 가장 큰 화산 폭발이었다.
1975년 4월 24일 오전 3시 59분에 대형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 분화구에서 북서쪽으로 1.6km 떨어진 곳의 바위를 바람에 맞닿게 하고 화산재를 남동쪽으로 100km 이상 퇴적시켰다.분화 전 9분간의 지진 활동이 있었지만, 분화구의 팽창은 2주 전에 측정되었다.크레이터 호수에 있는 물의 거의 절반이 공중으로 분출되었고, 그 후 몇 개의 강 계곡에서 라하르를 생성하면서 정상까지 비가 내렸다.화카파강과 망가누이오테아오강을 따라 내려온 라하르는 황가누이강에 들어가 독살되었고,[35][40] 이는 하류의 많은 수중 생물에 영향을 미쳤다.또한 라하르로 인해 와카파파 스키장의 스키 시설과 여러 개의 다리, 수력발전 터널 입구가 손상되었지만 인명 피해는 [35][41]발생하지 않았다.
3일 후인 4월 27일 아침, 루아페후가 다시 폭발했다.오전 7시 10분부터 10시 18분 사이에 연속된 다섯 번의 분출이 일어나 정상 고원을 가로질러 진흙, 바위, 화산재가 북쪽으로 밀려오고 500m [35]높이의 화산기둥이 생성되었다.
1975년 분출로 크레이터 호수는 55-60m에서 90m 이상으로 [35]깊어졌다.
1995~1996년 화산 폭발
1994년 11월부터 1995년 9월 사이에 루아페후 서쪽에서 지진이 발생하면서 화산 활동이 다시 활발해졌다.1995년 1월 표면 온도가 51.4°C에 달하면서 크레이터 호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기 직전에 지진 활동이 폭발했다. 이는 30년 만에 기록된 최고 온도 중 하나이며 평상시 최고 [42][43]온도보다 약 10°C 높은 온도이다.4월 26일 소규모 분화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분화구 벽에 파도가 몰아쳤고 일부 감시 장비가 손상되었다.6월 29일 두 번째 폭발로 장비가 파괴되었고 라하르가 생성되었다.화학 분석은 마그마가 호수 아래에서 [36][42]물과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95년 9월 18일 오전 8시 5분에 첫 번째 중요한 폭발이 일어나 정상 지역에 테프라를 내리고 라하르를 산 아래로 내려보냈다.9월 23일, 분화구에서 1.5km 떨어진 곳에서 더 큰 폭발이 일어나 3개의 계곡에서 라하르가 분출했고,[43] 12km 높이의 분출기둥이 생성되었다.수증기 분출은 한 달 내내 그리고 10월 내내 일어났으며, 일부 분출은 한 번에 몇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화산재는 바람 아래 250km까지 떨어졌다.10월 11일의 폭발적 폭발은 크레이터 호수를 [36][44]물로 비웠다.
그 후, 1996년 6월 15일 지진 활동이 다시 기록될 때까지 활동이 중단되었다.그 후 6월 17일과 18일에 폭발이 일어나 부분적으로 채워진 크레이터 호수를 다시 비웠다.스트롬볼리안 화산 폭발은 6월 27일, 그리고 7월과 8월 내내 일어났고, 10킬로미터가 넘는 화산기둥을 생성했고, [36][44]분화구에서 1.4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암석을 분출했다.
이러한 분출은 7백만 톤 이상의 화산재를 발생시켰고, 이것은 물 공급을 오염시키고, 농작물을 파괴하고,[45] 가축들의 죽음을 초래했다.통가리로 강의 화산재는 또한 랑기포 [46]발전소의 흡기 터빈을 손상시켰고 화산재 구름으로 인해 오클랜드와 [47]웰링턴까지 공항이 폐쇄되었다.화산 폭발로 인해 산의 세 개의 스키장이 폐쇄되었고, 이로 인해 이 지역은 약 1억 달러의 [47]수익 손실을 입었다.
1996년 화산 폭발 이후 1953년처럼 분화구 호수가 화산재 댐을 터트렸을 때 다시 치명적인 라하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됐다.2000년에는 동루아페후 라하르 경보 및 경고 시스템(ERLAWS)이 백두산에 설치돼 붕괴를 감지하고 관련 당국에 알렸다.호수는 점차 눈이 녹아서 2005년 1월까지 단단한 바위 테두리 수준에 도달했다.라하르는 2007년 3월 18일 마침내 발생했다(아래 참조).
2006년 및 2007년 액티비티
루아페후는 2006년 10월 4일 오후 10시 24분에 폭발했다.이 작은 화산 폭발은 규모 2.9의 화산 지진으로 특징지어졌으며 4-5미터(16피트) 높이의 파도가 분화구 벽에 부딪쳤다.화산재는 대기 중으로 분출되지 않았으며, 화산 폭발은 전적으로 [48]물속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3월 18일 오전 11시 22분, 크레이터 호수를 막고 있던 테프라 댐이 붕괴되어 라하르가 산 아래로 흘러내렸다.약 190만~380만 입방미터의 진흙, 바위, 물이 황개후 [30]강을 따라 흘러내렸다.ERLOWS가 활성화되어 오전 11시 25분에 호출기에 경보를 전송하고 도로를 폐쇄하고 열차를 멈추기 위해 경고등과 방어벽을 자동으로 작동시켰다.큰 피해는 없었고 부상자도 없었다.탕이와이 기념관의 화장실 블록이 파괴됐지만 라하르의 [30]위협으로 기념관은 이미 폐쇄된 상태였다.한 가족은 라하르가 그들의 집으로 가는 [49]길을 휩쓸고 간 후 약 24시간 동안 갇혀 있었다.
2007년 9월 25일 오후 8시 16분 루아페후 지하에서 화산 진동이 감지되었고, 이어 오후 8시 26분 폭발성 서트세이아 화산 [29]폭발이 일어났다.폭발 단계는 1분도 채 되지 않아 화산재, 진흙, 바위를 북쪽으로 날려 크레이터 [29][50]호수에서 약 2km 떨어진 곳까지 도달했다.분화구에서 약 600m 떨어진 고산 오두막인 돔 대피소에서 두 명의 등산객이 [29]폭발에 휘말렸다.등산객들은 오두막 바닥이 무너지기 전에 거의 익사할 뻔했고 물은 지하 지진계 금고로 흘러 들어갔다.그들 중 한 명인 22세의 초등학교 교사는 물이 잠기면서 다리가 바위에 걸려 찌그러졌다.그를 풀어주지 못한 그의 동료가 도움을 [29][51]청하기 위해 산을 내려간 후 구조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 화산 폭발은 황개후 계곡과 와카파파 [52]스키필드를 따라 라하르를 시작했다.ERLAWS는 황개후 [30][53]계곡에서 라하르를 탐지했다.와카파파 스키필드의 제설공은 [29]라하르에 갇히는 것을 가까스로 피했다.
현재 활동 및 미래 위험
루아페후에서는 2007년 화산 폭발 이후 단 한 번의 분출 사건만이 기록되었다. 2009년 7월 13일 크레이터 호수 아래의 작은 화산 지진으로 호수 수위가 15cm 상승하고 황개후 계곡 [36][54]상류에 눈 슬러리 라하르가 발생한 작은 사건이다.이후 Crater Lake는 2011년, 2016년,[54][55][56] 2019년에 고온 현상이 지속되었지만 난방과 가스 배출의 주기적인 순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루아페후 화산 폭발은 파호카 망가메이트 사건처럼 더 큰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26]배제할 수 없지만, 20~30년마다 소규모 분화가 자주 일어나고 더 큰 사건이 일어나면서 지난 2,000년 동안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10,000년 전까지의 활동 경향은 약 7.5km3(1.8cumi)가 10,000년 [31]마다 분출되었다.2007년의 폭발과 같은 작은 폭발은, 특히 열수성 폭발이라면, 경고 없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그러나 역사적으로 1995-96년의 폭발과 같은 대규모 폭발은 [36][31]활동이 강화된 기간 내에만 발생했다.
최근 루아페후 화산 위험은 라하르에서 발생한다.와카파파 스키필드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주요 라하르 길이 있으며, 최근에는 1969년, 1975년, 1995년,[29][9] 2007년에 라하르가 스키장을 누볐다.스키장에는 분화경보시스템이 가동돼 또 다른 [57]분화가 발생할 경우 스키어들에게 경고한다.라하르는 주변 하천 계곡, 특히 국도, 북섬 간선 철도, 송전선이 [9]교차하는 황개후 강에도 중대한 위험을 나타낸다.크고 파괴적인 라하르는 1862년, 1895년, 1953년, 1975년,[9][8] 그리고 2007년에 황개후 강에서 관측되었다.
GNS 사이언스는 지진계, GPS 스테이션, 마이크 및 웹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루아페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크레이터 호수에 있는 물의 화학적 분석은 공기 중 가스 [58]측정과 함께 정기적으로 수행됩니다.라이브 데이터는 GeoNet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스키장
루아페후에는 북쪽에는 화카파파, 남쪽 슬로프에는 투로아 등 2개의 상업용 스키장이 있다.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두 개의 스키장이며, 와카파파는 더 크다.클럽 투키노필드는 산의 동쪽에 있어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계절은 보통 6월부터 10월까지지만 눈과 날씨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두 스키장 모두 자동차와 의자 리프트로 이용할 수 있으며, 초보자부터 고급 스키장까지 있습니다.와카파파에는 토프오더브루스(브루스 로드 꼭대기에 있는 주차장)와 와카파 입구, 그리고 산의 다른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한적인 숙박과 다과가 있는 5개의 의자 리프트가 있습니다.트램퍼와 등산객을 위한 알파인 오두막이 제공됩니다.이것들은 주로 개인 클럽이 소유하고 있다.
대중문화에서
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영화 3부작에 나오는 가상의 모르도르와 마운틴 둠의 몇몇 장면들이 루아페후 [59]산의 경사면에서 촬영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Ruapehu".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12 November 2016.
- ^ "Volcano Fact Sheet: Ruapehu Volcano" (PDF). GNS Science. Retrieved 31 December 2013.
- ^ a b "Ruapehu". GNS Science. Retrieved 24 July 2020.
- ^ a b c d e f g h i j Hackett, W. R. (1985). Geology and Petrology of Ruapehu Volcano and Related Vents (Ph.D.).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 ^ "Ruapehu / New Zealand Volcanoes / Volcanoes / Science Topics / Learning / Home - GNS Science". www.gns.cri.nz. Retrieved 3 February 2021.
- ^ "How to get to Tukino - Tukino Skifield - Mt Ruapehu, NZ". Tukino Skifield.
- ^ "Getting there". www.doc.govt.nz. Retrieved 5 February 2021.
- ^ a b Purves, A. M. (1990). Landscape Ecology of the Rangipo Desert (Ph.D.). Massey University.
- ^ a b c d Keys, Harry J.R. (2007). "Lahars of Ruapehu Volcano, New Zealand: risk mitigation". Annals of Glaciology. 45: 155–162. doi:10.3189/172756407782282390.
- ^ a b Chinn, T. J. (2001). "Distribution of the Glacial Water Resources of New Zealand". Journal of Hydrology (New Zealand). 40 (2): 139–187. Retrieved 2 February 2021.
- ^ a b c d Keys, H. (1988). "1988 Survery of the Glaciers on Mt Ruapehu, Tongariro National Park - A Baseline for Detecting Threats of Climate Change" (PDF).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and Research Internal Report 24 (unpublished). Retrieved 2 February 2021.
- ^ Miles, Sue (1984). The River : the story of the Waikato. Auckland, N.Z.: Heinemann. ISBN 978-0-86863-418-0.
- ^ Land Information New Zealand (2020). NZ Topo50 (Topographic map). 1:50,000. Land Information New Zealand.
- ^ Odell, N. E. (1955). "Mount Ruapehu, New Zealand: Observations on its Crater Lake and Glaciers". Journal of Glaciology. 2 (18): 601–605. doi:10.3189/002214355793702181.
- ^ a b Beck, Hylke E.; Zimmermann, Niklaus E.; McVicar, Tim R.; Vergopolan, Noemi; Berg, Alexis; Wood, Eric F. (18 December 2018). "Present and futur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maps at 1-km resolution". Scientific Data. 5 (1): 180214. doi:10.1038/sdata.2018.214.
- ^ a b Thompson, C. S. (1984). "The weather and climate of the Tongariro region". New Zealand Meteorological Service Miscellaneous Publication 115(14).
- ^ a b "Tongariro weather". www.doc.govt.nz.
- ^ "Climate-data.org – Climate Data for Cities Worldwide". openstreetmap.org. Retrieved 15 March 2021.
- ^ "Round the Mountain Track". www.doc.govt.nz. Retrieved 15 March 2021.
- ^ "Special Honours List 1999". New Zealand Government. 23 October 1999. Retrieved 11 February 2009.
- ^ "Japanese survives five days in blizzard". United Press International. 16 August 1990. Retrieved 14 May 2019.
- ^ Charman, Paul (6 June 2014). "Outdoors: Preparing the snow".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11 November 2016.
- ^ "Northland cops it as storm sweeps island". Fairfax New Zealand. 26 Jul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08.
- ^ "July 2008 North Island Weather Bomb ( 2008-07-26 )". hwe.niwa.co.nz. Retrieved 15 March 2021.
- ^ a b c d e f g h Price, R. C.; Gamble, J. A.; Smith, I. E. M.; Maas, R.; Waight, T.; Stewart, R. B.; Woodhead, J. (October 2012). "The Anatomy of an Andesite Volcano: a Time–Stratigraphic Study of Andesite Petrogenesis and Crustal Evolution at Ruapehu Volcano, New Zealand". Journal of Petrology. 53 (10): 2139–2189. Bibcode:2012JPet...53.2139P. doi:10.1093/petrology/egs050.
- ^ a b c d e f g h i j k Gamble, John A.; Price, Richard C.; Smith, Ian E.M.; McIntosh, William C.; Dunbar, Nelia W. (February 2003). "40Ar/39Ar geochronology of magmatic activity, magma flux and hazards at Ruapehu volcano,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20 (3–4): 271–287. Bibcode:2003JVGR..120..271G. doi:10.1016/S0377-0273(02)00407-9.
- ^ "GeoNet Volcanic Alert Bulletin RUA – 2020/08". www.geonet.org.nz. Retrieved 14 November 2020.
- ^ a b Werner, C.; Christenson, B.W.; Hagerty, M.; Britten, K. (June 2006). "Variability of volcanic gas emissions during a crater lake heating cycle at Ruapehu Volcano,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54 (3–4): 291–302. Bibcode:2006JVGR..154..291W. doi:10.1016/j.jvolgeores.2006.03.017.
- ^ a b c d e f g h i Kilgour, G.; V. Manville; Pasqua, F. Della; A. Graettinger; Hodgson, K.A.; Jolly, G.E. (March 2010). "The 25 September 2007 eruption of Mount Ruapehu, New Zealand: Directed ballistics, surtseyan jets, and ice-slurry lahar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1 (1–2): 1–14. Bibcode:2010JVGR..191....1K. doi:10.1016/j.jvolgeores.2009.10.015.
- ^ a b c d Keys, H.; Green, P. (August 2008). "Ruapehu Lahar New Zealand 18 March 2007: Lessons for Hazard Assessment and Risk Mitigation 1995-2007". Journal of Disaster Research. 3 (4): 284–296. doi:10.20965/jdr.2008.p0284.
- ^ a b c d Leonard, Graham S.; Cole, Rosie P.; Christenson, Bruce W.; Conway, Chris E.; Cronin, Shane J.; Gamble, John A.; Hurst, Tony; Kennedy, Ben M.; Miller, Craig A.; Procter, Jonathan N.; Pure, Leo R.; Townsend, Dougal B.; White, James D. L.; Wilson, Colin J. N. (2 May 2021). "Ruapehu and Tongariro stratovolcanoes: a re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64 (2–3): 389–420. doi:10.1080/00288306.2021.1909080.
- ^ a b Waight, T. E.; Price, R. C.; Stewart, R. B.; Smith, I. E. M.; Gamble, J. (December 1999). "Strati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Turoa area, with implications for andesite petrogenesis at Mt Ruapehu,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42 (4): 513–532. doi:10.1080/00288306.1999.9514858.
- ^ Nairn, Ian A; Kobayashi, Tetsuo; Nakagawa, Mitsuhiro (November 1998). "The ∼10 ka multiple vent pyroclastic eruption sequence at Tongariro Volcanic Centr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86 (1–4): 19–44. doi:10.1016/S0377-0273(98)00085-7.
- ^ Pardo, Natalia; Cronin, Shane J.; Palmer, Alan S.; Németh, Karoly (27 October 2011). "Reconstructing the largest explosive eruptions of Mt. Ruapehu, New Zealand: lithostratigraphic tools to understand subplinian–plinian eruptions at andesitic volcanoes". Bulletin of Volcanology. 74: 617–640. doi:10.1007/s00445-011-0555-z.
- ^ a b c d e Nairn, I. A.; Wood, C. P.; Hewson, C. A. Y. (March 1979). "Phreatic eruptions of Ruapehu: April 1975".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22 (2): 155–170. doi:10.1080/00288306.1979.10424215.
- ^ a b c d e f g Scott, B. J. (2013). A revised catalogue of Ruapehu volcano eruptive activity: 1830-2012. GNS Science report (2013/45).
- ^ a b c d e Johnston, D. M. (1997). A Chronology of the 1945 eruption of Ruapehu volcano, New Zealand. Institute of Geological and Nuclear Sciences science report (97/2).
- ^ "Ruapehu 1861 - 1945". Te Ara En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29 July 2020.
- ^ Healy, J.; Lloyd, E. F.; Rishworth, D. E. H.; Wood, C. P.; Glover, R. B.; Dibble, R. R. (1978). "The eruption of Ruapehu New Zealand on 22 June 1969". DSIR Bulletin. 224: 79.
- ^ Paterson, B. R.; Page, C. E.; Cudby, E. J. (1976). "The effects of lahars from the 1975 April Mt. Ruapehu eruption and the threat of future eruptions on Tongariro power development". New Zealand Geological Survey, Engineering Geology Section.
- ^ Montgomery, R.; Keys, H. (1993). Volcanic hazard management in Tongariro National Park. Department of Conservation. ISBN 0-478-01523-2.
- ^ a b Hurst, A.W; McGinty, P.J (May 1999). "Earthquake swarms to the west of Mt Ruapehu preceding its 1995 eruption".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90 (1–2): 19–28. Bibcode:1999JVGR...90...19H. doi:10.1016/S0377-0273(99)00019-0.
- ^ a b "Changes made since Ruapehu's eruptions / Media Releases and News / News and Events / Home - GNS Science". www.gns.cri.nz. Retrieved 14 November 2020.
- ^ a b Nakagawa, M.; Wada, K.; Thordarson, T.; Wood, C. P.; Gamble, J. A. (11 July 1999). "Petrologic investigations of the 1995 and 1996 eruptions of Ruapehu volcano, New Zealand: formation of discrete and small magma pockets and their intermittent discharge". Bulletin of Volcanology. 61 (1–2): 15–31. Bibcode:1999BVol...61...15N. doi:10.1007/s004450050259. S2CID 128710842.
- ^ "Remembering Ruapehu - ten years on".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14 November 2020.
- ^ "Mount Ruapehu erupts". www.waikatoregion.govt.nz. Retrieved 14 November 2020.
- ^ a b Taonga,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Te Manatu. "Ruapehu since 1945". teara.govt.nz. Retrieved 16 November 2020.
- ^ Mordret, A.; Jolly, A.D.; Duputel, Z.; Fournier, N. (March 2010). "Monitoring of phreatic eruptions using Interferometry on Retrieved Cross-Correlation Function from Ambient Seismic Noise: Results from Mt. Ruapehu,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1 (1–2): 46–59. Bibcode:2010JVGR..191...46M. doi:10.1016/j.jvolgeores.2010.01.010.
- ^ "Photos: Lahar could have been much worse". The New Zealand Herald. NZPA. 18 March 2007. Retrieved 26 October 2011.
- ^ Jolly, A.D.; Sherburn, S.; Jousset, P.; Kilgour, G. (March 2010). "Eruption source processes derived from seismic and acoustic observations of the 25 September 2007 Ruapehu eruption—North Island,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1 (1–2): 33–45. Bibcode:2010JVGR..191...33J. doi:10.1016/j.jvolgeores.2010.01.009.
- ^ Mussen, D. "Mt Ruapehu eruption survivor William Pike inspires a generation of Kiwi 'Pike-lets'". Stuff.co.nz. Retrieved 1 August 2020.
- ^ "GeoNet Volcanic Alert Bulletin RUA-2007/03". www.geonet.org.nz. Retrieved 1 August 2020.
- ^ "GeoNet Volcanic Alert Bulletin RUA-2007/02". www.geonet.org.nz. Retrieved 3 August 2020.
- ^ a b Wunderman, R. (2011). "Report on Ruapehu (New Zealand)". Bulletin of the Global Volcanism Network. 36 (7). doi:10.5479/si.GVP.BGVN201107-241100.
- ^ "Scientists monitoring Ruapehu as crater lake heats up". The New Zealand Herald. 10 April 2019. Retrieved 27 August 2020.
- ^ Agnes Mazot (10 April 2019). "Te Wai ā-moe, Mt Ruapehu: Increases in lake temperature and seismic activity". Retrieved 10 April 2019.
- ^ "Volcanic risk in Tongariro National Park". www.doc.govt.nz.
- ^ "Monitoring volcanic unrest / Ruapehu / New Zealand Volcanoes / Volcanoes / Science Topics / Learning / Home - GNS Science". www.gns.cri.nz. Retrieved 4 August 2020.
- ^ 시블리, 브라이언영화 3부작 반지의 제왕 호튼 미플린 (2002년).
외부 링크
- "Ruapehu".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18 December 2008.
- 1996년 루아페후 분화 이미지와 미시건 공과대학 정보
- 루아페후 화산 폭발 위험 - GNS 사이언스
- Volcano 카메라 - Ruapehu 산 - GeoNet의 매시간 사진
- 2012년 환경보호부 경고
- Ruapehu Expolation 자원 블로그는 1995년 이후 계속되며 새로운 액티비티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GeoNet 뉴질랜드 경보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