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
Murmansk Initiative
| ||
---|---|---|
전 CPSU 총서기 분비물(1985-90) 대통령직 (1990-91년) 대외정책 사후처방
| ||
광폭 외교 정책 제안들은 북극 지방에 관한 사무 총장이 소련 공산당의-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연설에서 만들어진 O의 무르만스크 구상(/mərmænsk ɪˈnɪʃətɪvz/, 러시아:Мурманские инициати́вы, 러시아 발음:[/Мурманские/ ɪnʲɪt͡sᵻɐtʲˈivᵻ][해명 필요한])는 일련-Ctober 1,1987년 Murm에.그의 외교 정책의 상표로 여겨지는 소련, ansk.[1]
이 계획은 북극의 경제, 환경, 안보 문제를 하나로 묶었다.[2] 고르바초프의 목표는 북극권을 군사극장이 되는 것에서 북극 열강들 사이의 국제 평화지대로 탈바꿈시키는 것이었다. 이 시책은 핵무기의 군축과 북극을 중심으로 한 동서 대화 수립을 위한 초청으로 출범했다.[3]
무르만스크 연설의 목표는 이전 연설에서 고르바초프의 야망을 유사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의 연설(1986년 7월)과 이후 베오그라드에서 있었던 연설(1988년 3월)은 지중해 지역의 안보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4]
무르만스크 구상(Murmansk Initiative)은 소비에트 연방(USSR)의 북극 정책의 주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졌으며, 고르바초프의 북유럽에서의 "새로운 정치적 사고"의 적용을 대표하였다.[2]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새롭게 구성된 러시아 정부의 북극권 외교정책을 지도하는 데 일조했다.
역사
1930년대 말 이전에 북극은 기후와 접근의 어려움 때문에 특별한 전략적 관심 지역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하지만, 해양과 항공 기술의 발전이 접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북극 북부는 2차 세계 대전의 또 다른 전선이 될 것이다. 소련의 핀란드 침공과 독일군의 노르웨이와 덴마크 침공으로 이 지역은 유례없는 군국화를 이루었고, 독일군의 소련 침공 이후 무르만스크는 연합군이 소련을 보급하는 중요한 길목인 영국으로부터 연합군 보급선을 제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항공력의 향상과 미국과 소련 사이의 고조되는 긴장감은 북극의 군국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전통적으로 두 강대국 사이의 장벽이었던 것이 그들 사이의 가장 짧은 경로가 되었고, 소련 항공기의 북미 침공에 대한 두려움이 1950년대 후반 북미 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원거리 조기경보선 시스템의 창설을 촉진시켰다. 이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대한 긴장이 고조되면 북극성은 나토(NATO) 잠수함 작전지역이 될 것이다.[5]
소련에게 북극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았다. 다르다넬에 나토가 주둔하면서 흑해에서 그들의 함대의 능력을 제한했기 때문에 무르만스크와 콜라 만은 소련의 잠수함 함대의 다량의 본거지가 될 것이다.[6] 코라 반도를 따라 소련의 군사 시설 수집은 서방 분석가들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집중된 공군, 해군, 미사일 기지 체계로 간주될 것이다. 이들 부지는 우주발사장과 핵실험장, 석유, 천연가스, 우라늄을 추출하고 가공하는 장소, 소련 영공으로 들어오는 서구의 침입을 탐지하는 방대한 조기경보 레이더망 등 북러시아의 주요 군사 및 산업현장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과 나토의 핵군비 경쟁에 대한 이러한 대응은 콜라 반도와 주변 해역으로 이어져서 무르만스크 연설에 의해 군축 이니셔티브가 제기될 때까지 이런 식으로 남게 될 것이다.[7]
고르바초프 연설의 첫 지점인 무핵 북극의 발상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1958년 당시 소련의 니콜라이 불가닌 수상에 의해 공식적인 소련의 제안이 이루어졌고, 이후 수십 년 동안 특히 북유럽 국가들의 특정 정부와 단체에서 유사한 생각이 유행했다. 고르바초프는 이들 국가들이 그의 '새로운 정치적 사고'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고르바초프가 무르만스크 연설에서 보다 평화로운 냉전 정치의 분수령이라고 분명히 언급할 1986년 레이캬비크 정상회담 직후에 나온 것이다.[8][9]
개요
1987년 10월 1일,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무르만스크 시에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10]라고 불릴 외교 정책의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연설을 했다. 연설에서 고르바초프는 북극에 관한 핵 군축과 더 많은 외교에 대한 희망을 논의했다.[9] 그는 소비에트 연방의 군사 산업 콤플렉스가 이러한 평화적 논의의 장애물이었다고 밝히고, 3대륙(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만남의 장소로서 북극의 중요성과 현재 진행 중인 안보 우려에 대해 언급했다.[11] 그의 연설은 북극 지역의 모든 사람들을 초청하여 핵자유구역 설정과 [12]해군활동 제한에 관한 논의를 하고 자원 추출, 과학탐구, 토착민 문제, 환경보호, 북방 선박항로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한 평화적 협력을 장려했다.[12][13] 그 연설은 북극의 냉전 종식의 시작이라고 불렸었다.[14]
제안된 북극의 핵무기 없는 지역
무르만스크 연설 당시 세계는 이미 남아메리카와 남극에서 핵무기 없는 지역을 달성했다.[15] 그러나 어느 지역도 북극만큼 전략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고르바초프는 이 지역에 대한 '보증인' 역할을 하겠다고 제의했다; 그는 이 지역에 있는 다른 나라들에 대해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위협하지 않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16] 핵 없는 지역에 대한 주제는 주로 북유럽 국가들과 논의될 계획이었다.[17] 노르웨이와 스웨덴 모두 이전에 그러한 제안에 관심을 표명한 적이 있었고 소련은 장거리 미사일과 단거리 미사일을 해체하는 것이 그들의 반대를 누그러뜨리기를 바라고 있었다.[1] 그러나 이 생각은 전반적으로 서양에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비핵화 제안이 소련이 전략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시도라는 주장을 내놓았는데, 이는 소련이 강력히 반박하는 내용이다.[15] 미국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소련과 이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인 북유럽 국가는 없었다.[15]
이 지역에서 핵 없는 지역에 대한 제안이 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실, 그것은 1963년 당시 핀란드 대통령 우르호 케코넨에 의해 훨씬 더 일찍 제안되었고, 그는 노르딕 핵 없는 지역을 추진했다.[18]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나토와 바르샤바 조약 사이의 해군 제한에 관한 관련 협의를 시작하고 싶었다. 그는 레닌그라드에서 회의를 열어 상호 합의된 국제 해협과 북극의 집중적인 항로에서의 해군 활동 금지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19] 이러한 논의의 목적은 유럽 북극에서의 해군 훈련의 규모와 빈도를 제한하고 상호 합의된 구역에서의 해군 활동을 전면 금지하는 것이었지만 고르바초프는 이 구역의 정확한 위치를 명시하지 않았다.[20][21]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미 해군의 전진해상 전략과 북극에 잠수함 주둔을 늘린 것에 대한 대응으로, 전면전의 경우 미국이 북극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했을 가능성이 있다.[22] 1985년 이후 예산 제약 때문에 대규모 소련 훈련이 없었기 때문에 이 제안은 주로 나토 동맹국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이 제안은 서방 국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이러한 해군 제한은 소련에 일방적인 우위를 주었을 것이라고 믿었다.[23]
자원개발
고르바초프는 자원 개발에 대한 협력이 소비에트 연방의 경제 부흥에 중요하다고 보았다.[24] 이것은 서양의 기술과 자본을 얻기 위한 더 큰 프로젝트의 일부였다.[1] 고르바초프는 바렌츠 해에서 캐나다, 노르웨이 등과 공동 에너지 프로젝트를 수립할 것을 제안했다.[25] 노르웨이인들은 해상 시추 계획을 영토 분쟁 때문에 거부했다.[24]
고르바초프는 코라 반도의 광물 추출 측면에서도 서방 기업과 협력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이는 소비에트 외교정책의 큰 전환이었지만 당장 합작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24]
과학탐구
1980년대 후반 이전에는, 북극의 과학적 탐험에 관한 소련과 서구권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었다. 소련 출신의 과학자들은 서구 영토에서 과학적인 모임에 포함되지 않았고, 어떤 협력도 불신감에 시달렸다.[26] 이를 바꾸기 위해 고르바초프는 무르만스크 연설에서 북극권 과학연구의 조율을 목적으로 무르만스크에서 열리는 국제회의를 제안했다.[27]
토착 민족
소련 토착민과 서양 토착민의 관계는 이 시기에 미묘한 문제였다. 소련에는 거의 20만 명이 거주하는 26개의 원주민 집단이 있었으며, 북극의 산업화와 군국화는 오염이 증가하여 그들의 생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채광과 광석 처리와 같은 자원 추출은 원주민들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를 교란시켰다.[28] 1980년대 이전에는 소련과 서구권의 협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소련의 원주민 집단들이 국제적인 맥락에서 이 문제를 조명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는 소련 이누이트의 1989년 국제 순환기 회의 참석을 장려하여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29]
환경 보호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 이전에 소련은 환경 파괴를 무시하거나 고립주의 정책을 추구한다는 평판을 받았다. 그들은 국제 환경 협력을 추구하거나 장려하는 관행에 있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능 감시를 포함한 북극의 취약한 환경 보호를 위한 공동 계획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국제 환경 협력을 증대하자는 고르바초프의 제안은 구소련의 기존 정책 결정에서 출발했다.[21]
북해로
국제관계 정상화에 의존하는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쇄빙선들의 도움으로 외국 선박의 통행을 위한 북해항로를 개설하겠다고 약속했다.[27] 동북항로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소련에 의해 중요한 전략 및 군사 지역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서북유럽과 동북아시아 간 최단 항해거리로서 무역과 경제안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도 충분했다.[30] 상업적 교통보다 군사적 초점을 선호하는 냉전 시대의 주장은 새로운 소련의 안보영역을 고려할 때 점점 더 무관해졌고, 이는 북해항로의 개설 추진에 기여했다.[31]
리셉션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는 전세계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냉전 기간 동안 잃어버린 유럽 북부의 외교협상에 대한 신뢰 회복으로 이어졌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협력의 장을 마련했다.[32]
국내적으로는 고르바초프의 연설 이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CPU)가 1988년 '무르만스크 주(州)의 1988~1990~2005년 경제사회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한 대책에 관한 결의안 338호를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국제 시스터시티를 통한 새로운 접촉의 승인, 그리고 더 현지에서 무르만스크를 세계무대에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시와 그 주변 오블라스트가 북한의 캡에 있는 다른 북유럽 카운티들과 관련된 논의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결의안 338호 자체가 재정난과 구소련의 국가경제 해체 등으로 완전히 이행되지 못했다.[33]
결과
1987년 고르바초프의 연설은 북극의 협력과 안정 증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개혁의 시작을 촉발시켰다. 군사 분야에서는 큰 폭의 감소는 없었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긴장이 감소하고 심지어 특정 벤처 분야에서는 협력까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무장화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의 여파로 북극에서 제한적인 비무장화가 발생했다. 구소련의 비무장화 제안 중 상당수는 서방 관측통들에 의해 무시해도 될 정도로 무시될 정도로 여겨졌다.[21] 고르바초프의 비무장화 제안에는 비핵화, 해군 무기 제한, 신뢰구축 방안 등 크게 세 가지 부분이 있었다. 이 비핵화 계획은 구소련의 의도에 대한 서구의 의심과 미국과 구소련 모두 이 지역에서 핵잠수함을 철수시키기를 꺼려 했기 때문에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20] 비슷한 방식으로, 서방 국가들은 해군 무기 협정이 구소련에 너무 유리해서 실질적인 고려를 할 가치가 있다고 여겼다. 신뢰구축 조치 역시 북유럽 국가들이 이미 이 같은 조치를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있다는 이유로 대부분 거부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르바초프가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에 귀속시킨 일부 긍정적 비무장화 성과로는 INF 조약 체결, 유럽 북부와 인접한 지역에서의 INF 제거, 발트해에서의 해상 기반 핵 미사일 제거, EU 양국에 주둔하고 있는 지상군 감축 등이 있었다.소련과 바르샤바 조약의 20만 개 국가들에서의 로판 부분.[18]
국제 관계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에 따라 북극과 관련된 국가들 간의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노르웨이와 핀란드와 같은 서구 국가들은 고르바초프의 제안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했다.[21] 실제로 1991년 6월 5일 노르웨이와 구소련은 북극에서 다재다능하고 상호 유익한 협력관계를 발전시키는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기로 합의하는 공동협약을 체결하였다.[34] 고르바초프가 제시한 비보안 제안은 비교적 열성적으로 받아들여졌고 특히 경제개발과 관련해 북극 개발에 대한 협력이 증가했다.
소련 붕괴 후 새로 구성된 러시아 정부는 발트해 국가 평의회(1992년), 바렌츠 유로-아프리카 평의회(1993년), 이후 북극 평의회(1996년)를 공동 설립했다. 모든 정부간 기구는 각 지역의 현안에 대한 다자간 협력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러시아의 이러한 기구 참여는 앞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 연설에서 밝힌 외교정책 발전 과정의 연속성을 추적했다.
경제적 결과
북해 해운항로는 1991년 7월 1일 소련이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의 결과로 부분적으로 외국 선박에 개설하였다.[35] 다양한 북극 국가들간의 협력 증대로 인해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에 따라 석유와 천연 가스 같은 천연자원의 추출이 증가했다.[24] 특히 구소련은 구소련과 노르웨이가 추출할 수 있는 '특구'를 바렌츠해에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당초 이 제안이 노르웨이에 의해 거부된 반면, 구소련은 이 분야의 외국 기업과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24]
토착 민족
고르바초프의 보다 긴밀한 '문화적 유대'의 필요성에 대한 발언은 다양한 북방 원주민 집단들 간의 보다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졌다. 1980년대 후반까지, 원주민들은 구소련 내에서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문제들을 논의할 의향이 거의 없었다.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를 통해 원주민 단체들은 1989년 그린랜드에서 열린 이누이트 순환폴라 회의와 같은 회의에 참여할 수 있었다. 소비에트 원주민 집단의 참여는 상징적으로 중요했지만, 실질적으로 그들의 상황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거의 진전이 없었다.[29]
과학적 이니셔티브
무르만스크 이니셔티브는 북해와 북극 지역에 더 많은 과학 연구 임무를 장려했다. 고르바초프가 북극에서의 국제 협력을 위한 행동을 촉구한 것은 북극 과학 연구에 참여하는 국제 과학 단체들로 구성된 비영리 기구인 국제 북극 과학 위원회(IASC)에서 촉매제가 되었다. 1988년, 소련, 캐나다, 미국, 그리고 5개 북유럽 국가의 500명 이상의 대표들이 북극의 과학 연구의 조정에 관한 북극 국가 회의를 위해 레닌그라드에 모였다. 지구물리학, 생물학 등 민감하지 않은 연구분야에서 협력이 시작됐고, 점차 해양학, 자원개발 같은 분야까지 포함됐다.[36] 이것은 두 영역이 이러한 문제에 대해 협력하기 위해 합병한 첫 번째 사례였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들은 고르바초프가 북극을 탈탈원화하라는 요구의 성공을 입증했고, 당시 다른 지역에서 신흥 정치 협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Purver, Ronald (1988). "Arctic Security: The Murmansk Initiative and its Impact". Current Research on Peace and Violence. 11 (4): 147–158. JSTOR 40725103.
- ^ a b Janes, Robert W. (1990). "The Soviet Union and Northern Europe: New Thinking and Old Security Constraints".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12 (1): 167. doi:10.1177/0002716290512001015. ISSN 0002-7162.
- ^ Åtland, Kristian (2008). "Mikhail Gorbachev, the Murmansk Initiative, and the Desecuritization of Interstate Relations in the Arctic". Cooperation and Conflict. 43 (3): 290. doi:10.1177/0010836708092838. ISSN 0010-8367.
- ^ åland (2008), 페이지 293.
- ^ Nuttall, Mark (2005). Encyclopedia of the Arctic. New York: Routledge. pp. 1304–1306. ISBN 978-0-203-99785-7.
- ^ 너톨(2005년), 1306페이지.
- ^ 너톨(2005), 페이지 1301–1302.
- ^ Archer, Clive (1988). "Russia's Arctic Dimension". The World Today. 44 (3): 47 – via JSTOR.
- ^ a b Gorbachev, Mikhail (1987). "The Speech in Murmansk at the ceremonial meeting on the occasion of the presentation of the Order of Lenin and the Gold Star Medal to the city of Murmansk" (PDF). Novosti Press Agency: Moscow. p. 1.
- ^ Nuttall(2005), 페이지 152.
- ^ 고르바초프(1987), 페이지 2-3.
- ^ a b 고르바초프(1987), 페이지 4.
- ^ 고르바초프(1987년), 페이지 5-6.
- ^ åland (2008), 페이지 289.
- ^ a b c åland (2008), 페이지 297.
- ^ 퍼버(1988), 페이지 148.
- ^ åland (2008), 페이지 296.
- ^ a b Fokin, Yury E., and Smirnov, Anatoly I (2012). "Киркенесская Декларация 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в Баренцевом/Евроарктическом регионе: взгляд из России 20 лет спустя [Kirkenes Declaration on Cooperation in the Barents/Euro-Arctic Region: a view from Russia 20 years later]" (PDF). p. 8. Retrieved March 11, 2019.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포킨&스미르노프(2012), 페이지 9.
- ^ a b åland (2008), 페이지 298.
- ^ a b c d 퍼버(1988), 페이지 149.
- ^ 퍼버(1988), 페이지 154.
- ^ åland (2008), 페이지 298-299.
- ^ a b c d e åland (2008), 페이지 301.
- ^ åland (2008), 페이지 300.
- ^ åland (2008), 페이지 302.
- ^ a b Fokin & Smirnov(2012), 페이지 10.
- ^ åland (2008), 페이지 302-303.
- ^ a b åland (2008), 페이지 303.
- ^ åland (2008), 페이지 304.
- ^ åland (2008), 페이지 304-305.
- ^ Fokin & Smirnov(2012), 페이지 11.
- ^ Fokin & Smirnov(2012), 페이지 10-11.
- ^ 포킨 & 스미르노프(2012), 페이지 14.
- ^ åland (2008), 페이지 305.
- ^ åland (2008), 페이지 30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