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아쿠미나타
Musa acuminata무사아쿠미나타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플랜태 |
클래드: | 기관지동물 |
클래드: | 안기오스페름스 |
클래드: | 모노코츠 |
클래드: | 동족류 |
순서: | 징기베르목 |
패밀리: | 무사과 |
속: | 무사 |
섹션: | 무사 종파. 무사 |
종: | 아큐미나타 M |
이항식 이름 | |
무사아쿠미나타 | |
아종 | |
텍스트 보기 | |
현대 식용 바나나의 조상들의 독창적인 토종 제품군. M. Acuminata는 녹색으로, M. Balbisiana는 주황색으로 표시된다.[2] | |
동의어[3] | |
|
무사 아쿠미나타는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로 구성된 범위로 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바나나 종이다. 현대의 식용 디저트 바나나의 대부분은 이 종에서 나온 것이지만, 일부는 무사 발비시아나와의 잡종이다.[4] 인간이 처음 재배한 것은 약 기원전 8,000년경이며,[5][6] 이것은 가축화된 식물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citation needed]
설명
무사 아큐미나타는 나무가 아니라 상록수 다년생이다. 트렁크(가명)는 완전하거나 부분적으로 묻혀 있는 가마우지에서 나온 잎 껍질 층을 촘촘히 싸서 만든 것이다.[7]
꽃가루는 트렁크에서 수평 또는 비스듬히 자란다. 개개의 꽃은 흰색에서 노란색-흰색이며 음의 측지방성(즉, 위로 자라 땅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다.[7][8] 수꽃과 암꽃 모두 하나의 꽃으로 존재한다. 암꽃은 밑동 근처에 위치하며(그리고 과일로 발전한다), 수꽃은 가죽이 많은 봉우리 사이에 가장 윗부분 모양의 봉오리에 위치한다.[7]
다소 가느다란 열매는 열매로, 각각의 크기는 그 열매가 함유하는 씨앗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각각의 과일은 15개에서 62개의 씨앗을 가질 수 있다.[9] 각각의 과일 뭉치는 손가락이 주위에 있는 평균 161.76 ± 60.62개의 손가락을 가질 수 있다. 2.4 x 9cm(1 X 3+1⁄2 인치)[10]
야생 무사 아큐미나타의 씨앗은 지름이 5~6mm(3/16~1/4인치) 정도 된다.[7] 그것들은 비글로보스 혹은 각진 모양이고 매우 단단하다. 작은 배아는 마이크로파일의 끝에 위치한다.[9] 무사 아큐미나타의 각 씨앗은 보통 0.23cm3 (230mm3; 0.014 cu in)의 식용 전계 펄프 (팔렌치마, 먹는 바나나의 부분)에서 그 크기의 약 4배를 생산한다.[7][11] 야생무사 아큐미나타는 2n=2x=22개의 염색체를 가진 디플로이드(diploid)인 반면, 재배 품종(cultivar)은 대부분 삼플로이드(2n=3x=33)와 파르테노카르피크(parthenocarpic)로 종자가 없는 과일을 생산한다. 가장 친숙한 디저트 바나나 품종은 카벤디시 하위그룹에 속한다. 컬티버는 식물성 증식으로부터 오는 자연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이 원하는 식물을 이루었다.[12] "씨앗 없는" 식용 품종에서 펄프 대 씨앗의 비율은 극적으로 증가한다. 작거나 대부분 멸균된 씨앗은 현재 식용 펄프에서 23배의 크기로 둘러싸여 있다.[11] 씨앗 자체는 과일의 중심축을 따라 아주 작은 검은 점으로 줄어든다.[7]
분류학
무사아쿠미나타는 무사과의 무사(구 유무사) 부분에 속한다. 진기베랄레스(Zingiberales)의 무스과에 속한다.[3]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아래 절 참조).[13]
무사 아쿠미나타는 이탈리아의 식물학자 루이지 알로이시우스 콜라에 의해 책 《암기 델라 레알레 악카디아 델 스시엔제 디 토리노》(1820)에서 처음 묘사되었다.[14][15] 비록 다른 당국이 이 종과 다른 종으로 오인된 이 종과 그 잡종들의 다양한 이름을 발표하였지만(그것은 분명하게도 현재 무사 아큐미나타와 무사 발비시아나의 잡종이라고 알려진 린네우스의 무사사피엔툼), 콜라의 출판은 종들의 가장 오래된 이름이기 때문에 인의 규칙에서 다른 종들보다 우선시되는 것이다.식물명칭의 [16]테르내셔널 강령 콜라는 또한 그가 묘사한 표본이 재배된 바나나처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씨앗이 없는 폴리플로이드임에도 불구하고 무사 아쿠미나타와 무사 발비시아나 둘 다 야생 조상의 종이라는 것을 최초로 인정한 권위자였다.[15]
아종
무사아큐미나타는 변동성이 크고 수용되는 아종의 수는 당국마다 6개에서 9개까지 다양할 수 있다. 다음은 가장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아종이다.[13]
- 무사 아큐미나타 서브스푼 버마니카 시몬드
- = 무사 아큐미나타 서브스푼 버마니코이데스 데 랑헤
- 버마, 인도 남부, 스리랑카에서 발견된다.
- 무사 아쿠미나타 서브스프. 잘못을 저지르다 아르젠트
- = 무사(Musa)는 테오도로(Teodoro), 무사(Musa troglodatarum L. var. var. musa)는 테오도로로(Teodoro var. botoan)를 잘못 사용한다.
- 필리핀에서는 새깅매팅과 새깅총고(둘 다 '원숭이 바나나'[17]라는 뜻), 새깅나 리가오('야생 바나나') 그리고 애거테이(agutay)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에서 발견된다. 그것은 많은 현대 디저트 바나나(AA와 AAA 그룹)의 중요한 모계 조상이다. 그것은 푸른색-보랏빛 꽃망울과 매우 연한 녹색의 익지 않은 과일을 가진 매력적인 아종이다.
- 무사아큐미나타하위부말락증 (리들리) 시몬드
- = 무사 말라켄시스 리들리
- 반도의 말레이시아와 수마트라에서 발견된다. 그것은 라툰다 바나나의 친부모다.
- 무사 아큐미나타 서브스푼 마이크로카르파 (베카리) 시몬드
- = 무사 마이크로카르파 베카리
- 보르네오에서 발견된다. 품종 '비엔테 코홀'의 조상이다.
- 무사아쿠미나타시메아 시몬드
-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에서 발견된다.
- 무사 아큐미나타 서브스푼. 트렁카타 (리들리) 키우
- 무사 아쿠미나타 서브스푼 제브리나 (Van Houtte) R. E. Nasution
- 흔히 피 바나나로 알려져 있다. 자바에 네이티브. 그것은 주로 짙은 녹색의 잎에 검붉은 색의 조각을 위한 장식용 식물로 재배된다. 그것은 포도처럼 씨앗을 함유한 과일과 함께 매우 가느다란 가성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아프리카를 향해 태평양과 서쪽으로 동쪽으로 퍼져나간 최초의 바나나 중 하나로, 동아프리카 하이랜드 바나나(AA 그룹의 무티카/루쥬기라 하위그룹)의 친부모가 되었다. 하와이에서는 마이아 'oa'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과의 접촉 전에 이 섬에 소개된 유일한 씨앗 바나나로서 문화적, 민속적 의학적 의의가 있다.[13]
분배
무사 아쿠미나타는 말레시아의 생물지리학적 지역과 인도차이나 본토 대부분의 지역이 원산지다.[13]
무사 아쿠미나타는 물에 젖은 열대 기후를 선호하는데, 무사 발비시아나는 현대의 거의 모든 식용 바나나를 공급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교배한 종이다.[18] 이후 그 종들이 그 본국 이외의 지역으로 퍼지는 것은 순전히 인간의 개입의 결과라고 생각된다.[19] 초기 농부들은 M. Acuminata를 M. Balbisiana의 토착 범위에 도입하여 잡종화와 현대식 식용 클론의 개발을 초래했다.[20]
AAB 경운기는 필리핀 주변 어딘가에서 기원전 4년(기원전 2000년)에 걸쳐 퍼졌고 태평양 섬에서 마이아 마올리나 포풀로 그룹 바나나로 알려진 독특한 바나나 경운기를 낳았다. 비록 이것의 증거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들은 초기 폴리네시아 선원과 접촉한 Prestolumbian 시대 동안 남아메리카에도 소개되었을지도 모른다.[19]
웨스트워드 확산은 기원전 1000년부터 400년까지 무사 아큐미나타 × 무사 발비시아나 잡종 재배의 증거를 이미 가지고 있는 아프리카를 포함했다.[19] 그들은 아마도 인도네시아에서 마다가스카르로 처음 소개되었을 것이다.[20]
서아프리카에서 16세기 포르투갈인에 의해 카나리아 섬에 소개되었고, 1516년 히스파니올라(현대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에 소개되었다.[20]
생태학
야생 무사 아큐미나타는 씨앗에 의해 성적으로 전파되거나 흡혈귀에 의해 무성하게 전파된다. 식용 부분혈구균은 보통 식물의 흡충자에 의해 재배되거나 조직 배양에 의해 복제된다.[21] 종자는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연구에도 여전히 사용된다.[9]
무사 아쿠미나타는 개척자 종이다. 최근 산불이 발생한 지역처럼 새롭게 방해를 받는 지역을 빠르게 착취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특정 생태계에서 '키스톤 종'으로 여겨져, 일단 그들이 지역에 자리를 잡으면 더 큰 야생동물 다양성을 위한 길을 열어준다. 빠른 재생으로 야생동물의 먹이감으로 특히 중요하다.[10]
무사 아큐미나타는 꽃을 가지고 있는데, 그 꽃의 구조상 자가 분해하기가 어렵다. 꽃이 과일로 발전하는 데는 약 4개월이 걸리며, 기슭의 과실 군락이 끝의 군락보다 빨리 익는다.[10]
많은 종류의 야생동물들이 그 과일을 먹고 산다. 검소한 박쥐, 새, 다람쥐, 나무 말괄량이, 사향쥐, 쥐, 쥐, 원숭이, 유인원 등이 이에 속한다.[10] 이 동물들은 또한 종자 분산에 중요하다.[22]
성숙한 씨앗은 씨를 뿌린 지 2~3주가 지나면 쉽게 싹이 난다.[21] 자랑하지 않아도 몇 달에서 2년 정도 보관할 수 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클론 식물들이 씨앗에서 발아한 묘목들보다 훨씬 더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10]
가축화
1955년 노먼 시몬드와 켄 셰퍼드는 그들의 유전적 기원을 바탕으로 현대의 식용 바나나의 분류를 개정하였다. 이들의 분류는 두 조상의 품종(무사아쿠미나타와 무사발비시아나) 중 품종이 얼마나 많은 품종을 품종들이 전시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16] 순수 또는 대부분 무사 아큐미나타 게놈을 전시하는 바나나 품종은 대부분 디저트 바나나인 반면, 엠아큐미나·엠발비시아나의 하이브리드는 주로 바나나나 식물을 조리하고 있다.[23]
무사 아쿠미나타는 7000년 전 뉴기니와 월리스타에서 인간이 농업을 위해 길들여진 가장 초기 식물 중 하나이다.[24] M. 아쿠미나타는 원래 과일이 아닌 다른 부분에 대해 길들여졌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섬유, 건축자재 또는 식용 수컷 새싹을 위한 것.[25] 그들은 수천년이 걸릴지도 모르는 과정인 파르테노카피와 과일 속의 씨앗 불임으로 일찍 선발되었다. 이것은 처음에 최초의 '인간 판독 가능한' 바나나 디플로이드 클론(현대 AA 경작지)으로 이어졌다. 디플로이드 클론은 야생 종에 의해 수분될 때 여전히 생존 가능한 씨앗을 생산할 수 있다. 이것은 더 큰 열매를 위해 보존된 3중성 복제의 개발로 이어졌다.[2]
M. 아쿠미나타는 후에 인도차이나 본토에 소개되었는데, M. 아쿠미나타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덜 단단한 종인 무사 발비스아나이다. 둘 사이의 잡종화는 가뭄에 강한 식용 품종을 낳았다. 현대식 식용 바나나와 식물 재배 품종은 잡종과 다형성 순열에서 파생된다.[2]
장식적
M. Acuminata는 눈에 띄는 모양과 잎으로 장식용 식물로 재배된 여러 바나나 종 중 하나이다. 온대 지역에서는 10 °C(50 °F) 미만의 온도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겨울철에 보호가 필요하다. 컬티바 M. 아쿠미나타 'Dwarf Cavendish'(AA 그룹)가 왕립원예협회 정원공로상을 수상했다.[26][27]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무사 아큐미나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위키피아는 무사 아큐미나타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참조
- ^ Williams, E. (2017). "Musa acuminat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22486320A22486950. doi:10.2305/IUCN.UK.2017-3.RLTS.T22486320A22486950.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a b c Edmond de Langhe & Pierre de Maret (2004). "Tracking the banana: its significance in early agriculture". In Jon G. Hather (ed.). The Prehistory of Food: Appetites for Change. Routledge. p. 372. ISBN 978-0-203-20338-5.
- ^ a b "Musa acuminata Colla, 1820".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Retrieved June 5, 2011.
- ^ Carol Wong, Ruth Kiew, Jin Phang Loh, Leong Huat Gan, Ohn Set, Sing Kong Lee, Shawn Lum, Yik Yuen Gan이 AFP에 의해 입증된 말레이시아 야생 바나나 무사 아쿠미나타 콜라 유전적 다양성
- ^ Chandramita Bora. "History of Bananas". Buzz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4-15. Retrieved 2013-05-09.
- ^ http://www.clas.ufl.edu/users/krigbaum/6930/mbida_etal_jas_2000.pdf
- ^ a b c d e f N.W. Simmonds (1962). "Where our bananas come from". New Scientist. Reed Business Information. 16 (307): 36–39. ISSN 0262-4079. Retrieved 2011-06-11.
- ^ Markku Häkkinen & Edmond De Langhe (2001). "Musa acuminata in Northern Borneo" (PDF). 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Improvement of Banana and Plantain (INIBAP). Retrieved June 11, 2011.
{{cite journal}}
: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a b c d S. D. Doijode (2001). Seed storage of horticultural crops. Routledge. pp. 69–71. ISBN 978-1-56022-901-8.
- ^ a b c d e Dokrak Marod; Piya Pinyo; Prateep Duengkae & Tanaka Hiroshi (2010). "The Role of Wild Banana (Musa acuminata Colla) on Wildlife Diversity in Mixed Deciduous Forest, Kanchanaburi Province, Western Thailand" (PDF). Kasetsart Journal: Natural Science. Kasetart University. 44 (1): 35–43. Retrieved 2011-06-11.
- ^ a b Michael Pillay & Abdou Tenkouano (2011). Banana Breeding and Production. CRC Press. ISBN 978-1-4398-0017-1.
- ^ T., Lescot. "The genetic diversity of banana in figures". publications.cirad.fr (in French). Retrieved 2018-10-23.
- ^ a b c d Randy C. Ploetz; Angela Kay Kepler; Jeff Daniells & Scot C. Nelson (2007). "Banana and plantain — an overview with emphasis on the Pacific island cultivars" (PDF). Species Profiles for Pacific Island Agroforestry. Traditional Tree Initiative. Retrieved June 5, 2011.
- ^ "Musa paradisiaca". users.globalnet.co.uk.
- ^ a b Deborah A. Karamura (1999). Numerical taxonomic studies of the East African Highland bananas (Musa AAA-East Africa) in Uganda. Bioversity International. p. 18. ISBN 978-2-910810-31-3.
- ^ a b A.B. Molina & V.N. Roa (2000). Advancing Banana and Plantain R and D in Asia and the Pacific. 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Improvement of Banana and Plantain – Asia and Pacific Network (INIBAP-ASPNET) & the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IPGRI). p. 57. ISBN 978-971-91751-3-1.
- ^ "Progenitors of Edible Bananas". Guide to Growing Bananas. November 1,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7, 2011. Retrieved January 12, 2011.
- ^ Noël Kingsbury (2009). Hybrid: the history and science of plant breed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31–32. ISBN 978-0-226-43704-0.
- ^ a b c Jeffrey William Daniells & Suzanne L. Sharrock (2001). Musalogue, a catalogue of Musa germplasm: diversity in the genus Musa. Bioversity International. ISBN 978-2-910810-42-9.
- ^ a b c A. T. G. Elzebroek & Koop Wind (2001). Guide to cultivated plants. CABI. pp. 35–38. ISBN 978-1-84593-356-2.
- ^ a b Hean Chooi Ong (2008). Vegetables for Health and Healing. Utusan Publications. p. 38. ISBN 978-967-61-2102-8.
- ^ Zhanhui Tang; Lianxi Sheng; Xunfeng Ma; Min Cao; Stuart Parsons; Jie Ma & Shuyi Zhang (2007).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of seed dispersal of Musa acuminata by Cynopterus sphinx" (PDF). Acta Chiropterologica. Museum and Institute of Zoology, Polish Academy of Sciences. 9 (1): 229–235. doi:10.3161/1733-5329(2007)9[229:taspos]2.0.co;2. ISSN 1508-11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8-01-27. Retrieved 2011-06-06.
- ^ R.V. Valmayor (2000). "Cooking bananas – Classification,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South-East Asia". Infomusa. 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Improvement of Banana and Plantain. 9 (1): 28–30. ISSN 1023-0076. Retrieved 2011-06-05.
- ^ Purugganan, Michael D.; Fuller, Dorian Q. (2009). "The nature of selection during plant domestication". Nature. Nature Research. 457 (7231): 843–848. Bibcode:2009Natur.457..843P. doi:10.1038/nature07895. ISSN 0028-0836. PMID 19212403. S2CID 205216444.
- ^ Suzanne Sharrok & Emile Frison (1998). "Musa production around the world – trends, varieties and regional importance". Networking Banana and Plantain. 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Improvement of Banana and Plantain (INIBAP) & Bioversity International. pp. 42–47. Retrieved July 23, 2011.
- ^ "Musa acuminata 'Dwarf Cavendish' (AAA Group)". rhs.org.uk.
- ^ "AGM Plants – Ornamental" (PDF). Royal Horticultural Society. July 2017. p. 65. Retrieved 2018-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