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계
Music community음악 커뮤니티는 주어진 유형의 음악에 관련된 사람들의 그룹이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공동체는 비공식적이고 지지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그러한 집단이 전형적으로 마을이나 학교 내에서 발전했는데, 그 곳에서 구성원들이 신체적으로 만날 수 있다. 인터넷은 보다 분산된 음악 커뮤니티가 전문 웹사이트를 통해서나 더 넓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웹을 의사소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민족학 연구는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가 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 블로그, 예술가 또는 출판사 사이트,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사이트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반
음악가 겸 음악학자 미첼 O 수이야브하인은 음악 공동체를 "음악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그 사회적 맥락에 동의하는 관심 있는 참여자 그룹"으로 폭넓게 정의했다.[1] 음악 공동체는 음악을 연주하고 이야기하기 위해 자주 모이는 강한 유대감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지만, 공동체의식은 젊은이들을 그들의 문화유산과 전통에 연결하는 국가 교육제도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2]
음악 공동체의 개념은 민족학적으로 잘 발달되어 있다. 이 학문의 많은 부분은 음악적 자료를 자주 교환하고 소통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3]
1994년 텍사스 오스틴에서 록앤롤을 쓴 배리 샨크는 음악 공동체, 즉 문화 공간의 변화된 의미와 구성원 자격을 규정하기 위해 "하위 문화"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윌 스트로는 이 작품을 바탕으로 '하위 문화'라는 용어를 '씬'으로 대체했다.[4] 스트로우는 "scene"을 비교적 일시적인 것으로 보는 반면, 음악계는 더 안정적이다. 그는 1991년에 음악계가 "지리적으로 특정한 역사적 유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하는 하나 이상의 음악 관용구들을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다"[5]고 썼다. 스트로우의 성격 형성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이후 작가들은 음악 커뮤니티가 이동적이고 일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6]
음악 공동체는 전형적으로 매우 유연한 구조, 자발적인 회원,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을 가지고 있다.[7] 그들은 참가자들에게 창작자, 참가자 또는 관찰자를 포함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혜택 받지 못한 회원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룹은 다양성을 장려하고, 모든 구성원은 평생 학습에 전념한다.[7] 음악 공동체가 널리 퍼질 때, 레퍼토리나 스타일 같은 음악 제작의 측면은 진화하고 갈릴 수 있다.[8]
음악 커뮤니티의 유형
음악 커뮤니티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citation needed] 가나의 에우족들 사이의 여성 음악 공동체는 그들의 일부다처제 사회에서 경쟁으로 인해 갈라질 수 있는 여성들 간의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협력을 육성하는데 도움을 준다.[9] 미국으로의 아일랜드 이민자들은 일반적으로 미국인들로서 새로운 민족 정체성을 동화시키고 채택하는 데 열심이었으나, 소수민족이 그들의 전통문화를 고수하여 보스턴, 뉴욕, 시카고 등지에 아일랜드 전통 음악 공동체를 형성하였다.[10] 10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후에도 이 공동체는 지속되었다. 일차적인 이유는 단순히 오락적 가치 때문인 것 같다.[11] 교사들은 학생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음악 커뮤니티의 발전을 의도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12] 그러한 교사들은 그룹 수업에서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경쟁은 부적절하다는 생각에서 스즈키 방식을 바탕으로 할 수도 있다.[13] Mary Ann Froehlich에 따르면, "경쟁은 고립되고, 반면에 협력은 공동체를 만든다. ... 우리의 목표는 포용적인 음악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다."[14]
연구자들은 공유된 은유와 상징의 일상적 사용을 통해 음악 공동체 의식이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탐구하고,[15] 음악 공동체 발전을 통해 특정 사회 관행과 제도가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입증했다.[16]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
초기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 중 하나는 소규모 독립 음반 회사인 오보이 레코드에 의해 1996년에 설립되었다. 존 프린(John Prine)의 팬들이 조회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채팅 페이지 형태를 취했다. 이 웹사이트는 전문적인 Prine 음악 커뮤니티의 기반이 되었다.[17] 하지만 프린이 암 투병 중 공연을 중단했고, 새로운 음반이 나오지 않자 커뮤니티에는 교환할 정보가 부족해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18] 오보이는 결국 채팅 페이지를 닫았다.[19]
또 다른 초기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는 2000년에 설립된 반조항쟁이다. 2011년 현재 약 51,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온라인 학습 센터를 갖추고 있다.[20]
매월 2,80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하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인 imeme는 광고가 지원되는 무료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과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최초의 음악 커뮤니티였다. 마이스페이스와 같은 다른 사이트들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했다.[21]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22]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블루그래스, 올드타임 등 민요 장르가 등장했다. 에티엔 벵거의 사회 학습 이론의 틀을 이용한 사이버 윤리학은 이와 같은 사이트가 실천 공동체(CoP)로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3]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의 회원들은 그들이 만든 음악을 출판하고, 듣고, 평가할 수 있어 그들에게 강한 멤버십을 부여한다. 그것은 구성원들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음악적 정체성을 창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24] 2006년 《현대민족학 저널》에 기고한 J. P. 윌리엄스는 표면적으로는 음악을 만들고 공유하는 데 중점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의 원동력은 참여자들의 정체성 구축에 대한 관심이라고 주장했다.[25][26]
2013년 한 책은 핀란드에서 약 14만 명의 등록된 사용자들을 가진 믹세리 음악 포털이 사람들이 이 드문 인구밀집 국가에서 그들의 음악을 만들고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을 도와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웹 기반 커뮤니티는 2008년과 2009년 사회문화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민족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27] 믹세리의 구성원들은 그 지역사회에 독점적으로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세계 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해 있을 수도 있다.[24] 온라인 음악 커뮤니티의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면 해당 사이트의 이벤트가 종종 특정 아티스트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지만, 디지털 사회 커뮤니티 내에서 링크를 통한 전파 또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28] 스웨덴 인디음악 팬들의 음악 커뮤니티를 조사한 결과 이들은 한 사이트를 중심으로 모이는 것이 아니라 자체 팬 사이트인 마이스페이스, Last.fm, 유튜브 등을 포함한 사이트 네트워크와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온라인 토론 포럼은 가상 음악 커뮤니티의 기능 중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30] 그러나, Mary McCarthy에 따르면, 음악 커뮤니티는 자극받지 않은 청취자나 음악가들을 가르쳐야 하며, 온라인 그룹은 이 역할을 채울 수 없다.[30] 실재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만이 초보 음악가가 그들의 발전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접촉과 토론, 공유와 지원의 깊이를 제공할 수 있다.[31]
뱀파이어는 음악산업 종사자들이 마음을 같이하는 뮤지션과 프로페셔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발굴, 연결, 구축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앱이다. 이용자 수가 100만 명을 넘는 이 회사는 현재 뮤지션들을 위한 1위 네트워크 플랫폼이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스미스 2001, 페이지 122.
- ^ 스미스 2001 페이지 122-123.
- ^ 넷틀 2005, 페이지 52.
- ^ Wolf 2007, 페이지 19.
- ^ 웃음 2006, 페이지 100.
- ^ 덴진 2010, 페이지 75.
- ^ a b 콜웰 & 리처드슨 2002, 731페이지.
- ^ 브리너 1995, 페이지 75.
- ^ Burns 2009, 페이지 23.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Burns2009 (도움말)
- ^ 니콜슨 2007년 3페이지
- ^ 2007년 니콜슨 페이지 268.
- ^ 프롤리히 2004, 페이지 4.
- ^ 프롤리히 2004, 페이지 6.
- ^ 프롤리히 2004, 페이지 7.
- ^ Hebert, David G. (2012). "Metaphors of a Japanese Band Community". Wind Bands and Cultural Identity in Japanese Schools. Landscapes: The Arts, Aesthetics, and Education. 9. pp. 217–226. doi:10.1007/978-94-007-2178-4_14. ISBN 978-94-007-2177-7.
- ^ 케니, A. 2016. Community of Musical Practice(뮤지컬 연습 공동체) 런던: 루트리지.
- ^ 2006년 키비 페이지 295.
- ^ 키비 2006, 페이지 299.
- ^ 키비 2006년 301페이지.
- ^ 월드론 2011, 페이지 32.
- ^ Burns 2009, 페이지 116.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Burns2009 (도움말)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음악 커뮤니티.
- ^ 2009년 월드론 페이지 97.
- ^ a b 2013년 베블렌 외, 페이지 51.
- ^ 리칸디 2010, 페이지 199, 205.
- ^ Williams, J. Patrick (2006). "Authentic Identities". Journ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SAGE Publications. 35 (2): 173–200. doi:10.1177/0891241605285100. ISSN 0891-2416.
- ^ 2013년 베블렌 외, 페이지 50.
- ^ Tirado 외 2011.
- ^ Burns 2009, 페이지 143.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Burns2009 (도움말)
- ^ a b 스미스 2001, 페이지 123.
- ^ 스미스 2001, 페이지 124.
원천
- Brinner, Benjamin (1995-12-01). Knowing Music, Making Music: Javanese Gamelan and the Theory of Musical Competence and Intera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7509-9. Retrieved 2015-08-17.
- Burns, James M. (2009). Female Voices from an Ewe Dance-drumming Community in Ghana: Our Music Has Become a Divine Spirit. Ashgate Publishing, Ltd. ISBN 978-0-7546-6495-6. Retrieved 2015-08-17.
- Burns, Kelli S. (2009). Celeb 2.0: How Social Media Foster Our Fascination with Popular Culture. ABC-CLIO. ISBN 978-0-313-35688-9. Retrieved 2015-08-17.
- Colwell, Richard; Richardson, Carol (2002-04-18).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ISBN 978-0-19-513884-9. Retrieved 2015-08-17.
- "Creative Commons Music Communities". Creative Commons Music. Retrieved 2015-08-17.
- Denzin, Norman K. (2010-10-11). Studies in Symbolic Interac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ISBN 978-0-85724-361-4. Retrieved 2015-08-17.
- Froehlich, Mary Ann (2004). 101 Ideas for Piano Group Class: Building an Inclusive Music Community for Students of All Ages and Abilities. Alfred Music. ISBN 978-1-4574-3885-1. Retrieved 2015-08-17.
- Kibby, Marjorie D. (2006). "HOME ON THE PAGE A virtual place of music community". The Popular Music Studies Reader. Psychology Press. ISBN 978-0-415-30710-9. Retrieved 2015-08-17.
- Laughey, Daniel (2006-01-04). Music and Youth Culture.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2638-0. Retrieved 2015-08-17.
- Nettl, Bruno (2005-11-10). The Study of Ethnomusicology: Thirty-one Issues and Concept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978-0-252-09199-5. Retrieved 2015-08-17.
- Nicholsen, Micheal D. (2007). "Auld Sod" and the New Turf: Entertainment, Nationalism, and Identity in the Irish Traditional Music Community of Chicago, 1868—1999. ISBN 978-0-549-40050-9. Retrieved 2015-08-17.
- Rikandi, Inga (2010). Mapping the Common Grou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Finnish Music Education. Helsinki: BTJ Finland Oy. ISBN 978-951-692-788-9. Retrieved 2015-08-17.
- Smith, Sally K. Sommers (Summer 2001). "Traditional Music: Ceol Traidisiúnta: Irish Traditional Music in a Modern World". New Hibernia Review / Iris Éireannach Nua. University of St. Thomas (Center for Irish Studies). 5 (2): 111–125. doi:10.1353/nhr.2001.0036. JSTOR 20557723.
- Tirado, Juan M.; Higuero, Daniel; Isaila, Florin; Carretero, Jesús (2011). "Analyzing the impact of events in an online music community". SNS '11 Proceedings of the 4th Workshop on Social Network Systems. New York: ACM: 1–6. doi:10.1145/1989656.1989662. ISBN 978-1-4503-0728-4. S2CID 15114461. Retrieved 2015-08-17.
- Veblen, Kari K.; Elliott, David J.; Messenger, Stephen J.; Silverman, Marissa (2013). Community Music Today.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60709-319-0. Retrieved 2015-08-17.
- Waldron, Janice (2009-12-01). "Exploring a virtual music community of practice: Informal music learn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Music, Technology & Education. Intellect. 2 (23): 97–112. doi:10.1386/jmte.2.2-3.97_1.
- Waldron, Janice (December 2011). "Locating Narratives in Postmodern Spaces: A Cyber Ethnographic Field Study of Informal Music Learning in Online Community". Action, Criticism, and Theory for Music Education. 10 (2). Retrieved 2015-08-17.
- Wolf, Mary Montgomery (2007). "Introduction". "We Accept You, One of Us?": Punk Rock, Community, and Individualism in an Uncertain Era, 1974—1985. p. 19. doi:10.17615/e26e-6m88. Retrieved 201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