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박테리움종기

Mycobacterium abscessus
미코박테리움종기
Mycobacterium tuberculosis MEB (1).jpg
환자로부터 격리된 미코박테리움 종기 GD01 균주
과학적 분류 edit
도메인: 박테리아
망울: 악티노박테리아
순서: 코리네박테리아목
패밀리: 미코박테리아과
속: 미코박테리움속
종:
M. 종기
이항식 이름
미코박테리움종기
(무어·프리히스 1953)쿠스노키·에자키 1992년

미코박테리움 종기 콤플렉스(MABSC)는 토양과 수질 오염물질인 다약에 내성이 있는 비투과성 미코박테리아(NTM) 종으로 급성장한 집단이다. 비록 M. 종기 복합체가 만성 감염과 피부 및 연조직 감염(SSTI)을 가장 흔하게 유발하지만, 이 복합체는 또한 대부분 억제된 면역체계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거의 모든 인간의 장기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1] 질병을 일으키는 NTM 종 중에서 M. 종기 복합체에 의한 감염은 항균제 내성 때문에 치료가 더 어렵다.[2]

페트리 접시에 녹말 기반 매질로 자란 종기: 군락은 옅은 노란 줄무늬로 나타난다.

설명

마이코박테리움 종기 세포는 그램 양성, 비운동성, 산성 패스트 로드 길이 약 1.0–2.5 µm 너비 0.5 µm이다. 그들은 부드럽고 거칠어 보이는 뢰웬슈타인-옌센 매체에 식민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흰색 또는 회색, 비사진 색소생성이 있다.

생리학

M. 종기는 7일 후 28, 37°C에서 성장하지만 43°C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그것은 28°C에서 37°C까지 MacConkey agar에서 자랄 수 있다. 식염수 매체(5% NaCl)와 500mg/l 히드록시아민(오가와 에그 매체), 0.2% 피크레이트(사우톤 아가르 매체)에 대한 내성을 나타낸다. 이 종의 변종은 항생제 p-아미노살리실산염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M. 종기 또한 아릴설파타아제를 생산하지만 질산 환원효소와 트윈 80 하이드롤라아제는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철 섭취 테스트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과당, 포도당, 옥살레이트 또는 구연산물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이한 특징

질산염줄이고 철분을 섭취하지 않음으로써 M. 종기, M. 체로네와 M. 종기류와 M. 페레그리눔과 구별할 수 있다. Löwenstein-Jensen 매체에서 5% NaCl에 대한 내성, Sauton agar에서 0.2% picrate에 대한 내성, 유일한 탄소원으로서 구연산 비사용은 M. 종기류와 M. 천체를 구별하는 특성이다. M. 종기 및 M.첼로나에 세케바르 I는 16S rRNA의 54-510 영역에서 동일한 시퀀스를 공유하지만, 두 종 모두 hsp65, ITS 또는 rpoB 유전자 시퀀스로 구별할 수 있다.

유전학

MT. 종기 부위의 게놈 염기서열 초안이 2012년에 완성되었다.[3] 그 이후 이 아종의 많은 변종들이 그들의 게놈 서열을 갖추게 되어 아종 경계를 명확히 하게 되었다. 1992년에 M. 종기는 처음으로 구별되는 종으로 인식되었다. 2006년, 이 그룹은 세 가지 아종인 M. a. 종기, M. a. 볼레티, M. massiliense로 분리되었다. 2011년, 후자의 두 종은 단일 아종으로 잠시 합병되었지만, 이후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세 가지 아종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그룹을 형성한 게놈 시퀀스 데이터의 가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시 분리되었다.[4]

이러한 뚜렷한 집단은 또한 중요한 생물학적 차이에 대응한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점에는 항생제에 대한 다른 민감성이 포함된다. M. 종기하위, 종기하위, 볼레티에는 맥콜라이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교란시키는 공통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반면, M. a. massiliense는 비기능성 복제본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항생제에 더 취약하고 더 쉽게 치료할 수 있다.[4]

병생성

M. 종기는 폐 질환, 피부 감염, 중추 신경계 감염, 균혈증, 눈 감염 그리고 다른 덜 흔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4]

만성폐질환은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확장증, 이전 결핵과 같은 기저 폐질환을 가진 취약한 숙주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폐 감염의 임상 증상은 범위와 강도는 다르지만 흔히 만성 기침, 흔히 고농도 가래와 함께 나타난다. 혈액분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전신 증상은 만성질환의 질환, 피로, 체중감소를 포함한다.[5] M. 종기 폐 감염의 진단에는 증상, 방사선 이상, 미생물 배양 등이 필요하다.

M. 종기는 면역 결핍 환자, 최근 수술, 문신, 침술 등을 받은 환자, 또는 온천이나 스파에 노출된 후에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4] 중이염(오티즘 매체)과 연관될 수 있다.[6]

M. 종기 감염의 발생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4][7] M. 종기 발병은 전세계 병원과 임상 환경에서 보고되었다.[8] 주요 임상적 우려의 발생은 폐 이식을 받거나 낭포성 섬유증으로 치료를 받는 등 취약 환자들 간의 전염(가장 가능성이 높은 간접 전염)을 수반하는 반면, 비록 감염은 되었지만 성형수술, 지방흡입, 메스요법, 세포치료의 IV 주입을 제공하는 클리닉에서도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se는 환자 간의 접촉보다 오염된 소독제, 식염수 및 기기에 더 많이 기인한다.[4]

관리

박테리오파지 요법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는 내성균을 죽이는 페이징의 능력을 뒷받침하는 연구도 2019년에 나왔다.[9] 연구소는 이러한 페이저를 수집, 격리, 그리고 런던의 환자로부터 격리되었던 저항성 종기들에 노출시킴으로써 발견하기 위해 함께 모였다.[9]

체외

머디라고 알려진 박테리오파지는 환자의 뚜렷한 M. 종기 변종(GD01)을 죽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된 반면, 조이J와 BP와 같은 페이지는 GD01을 감염시키는 능력이 감소했다.[9] 그러나 ZoeJ와 BPs의 페이지는 완전히 감염되어 GD01을 죽였다.[9]

체내

박테리오파지, 머디, 조이, 그리고 BPs의 칵테일은 체외에서 M. 종기를 효과적으로 죽였다.[9] 이것이 보여준 잠재력은 GD01 감염에 대한 환자 치료의 시작을 촉진시켰다.[9] 12시간마다, 그 환자는 박테리오파지 칵테일의 치료를 받았다.[9]

하루 동안의 치료는 혈류에서 높은 박테리오파지 수치를 보였다.[9] 이것은 그것들이 혈류로 방출되고 박테리아를 감염시키기 위해 복제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9] 유의미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9] 이 환자에게 맞는 페이지는 발견되었지만, 다른 변종은 다른 페이즈에 민감할 수 있다.[9]

유형 변형률

가장 흔히 ATCC19977로 불리는 M.종기형 변종은 1953년에 종기형 병변을 동반한 인간의 무릎 감염으로부터 격리되어 변종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10] 그러나 1992년 DNA 혼합 연구 결과 그 변종은 유전적으로 그 친척인 M. 천로네와 구별되는 것으로 확인되기 전까지는 구별되는 종으로 인식되지 않았다.[11] 이 열차의 게놈은 2009년에 출판되었다.[12]

ATCC 19977 = CCUG 20993 = CIP 104536 = DSM 44196 = JCM 13569 = NCTC 13031

어원

라틴어 ab-("어웨이") + 세데르("갈")에서 종기는 혹이 고름을 통해 몸을 떠난다는 개념으로 명명된다. M. 종기는 어릴 때 무릎을 다쳤고 48년 후 전염병에 걸린 62세 환자의 글루테알 종기로부터 처음 격리되었다. 고(故) 미생물학자 겸 분류학자 클로드 볼레트의 이름을 딴 M. 볼레티야 종은 2006년 기술됐다.

참고 항목

참조

이 문서는 인용한 바와 같이 CDC의 공용 도메인 텍스트를 통합한다.

  1. ^ Song, Joon Young; Sohn, Jang Wook; Jeong, Hye Won; Cheong, Hee Jin; Kim, Woo Joo; Kim, Min Ja (2006-01-13). "An outbreak of post-acupuncture cutaneous infection due to Mycobacterium abscessus". BMC Infectious Diseases. 6: 6. doi:10.1186/1471-2334-6-6. ISSN 1471-2334. PMC 1361796. PMID 16412228.
  2. ^ Lee; et al. (2015). "Mycobacterium abscesses complex infections in humans". Emerg Infect Dis. 21 (9): 1638–1646. doi:10.3201/2109.141634. PMC 4550155. PMID 26295364.
  3. ^ Choi, G.-E.; Cho, Y.-J.; Koh, W.-J.; Chun, J.; Cho, S.-N.; Shin, S. J. (24 April 2012). "Draft Genome Sequence of Mycobacterium abscessus subsp. bolletii BDT". Journal of Bacteriology. 194 (10): 2756–2757. doi:10.1128/JB.00354-12. PMC 3347169. PMID 22535937.
  4. ^ a b c d e f Lee, Meng-Rui; Sheng, Wang-Huei; Hung, Chien-Ching; Yu, Chong-Jen; Lee, Li-Na; Hsueh, Po-Ren (September 2015). "Mycobacterium abscessus Complex Infections in Human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1 (9): 1638–46. doi:10.3201/2109.141634. PMC 4550155. PMID 26295364.
  5. ^ Johnson; Odell (2014).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infections". J Thorac Dis. 6 (3): 210–220. doi:10.3978/j.issn.2072-1439.2013.12.24. PMC 3949190. PMID 24624285.
  6. ^ Linmans JJ, Stokroos RJ, Linssen CF (September 2008). "Mycobacterium abscessus, an uncommon cause of chronic otitis medi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34 (9): 1004–6. doi:10.1001/archotol.134.9.1004. PMID 18794448.[영구적 데드링크]
  7. ^ Marras, Theodore K.; Mendelson, David; Marchand-Austin, Alex; May, Kevin; Jamieson, Frances B. (November 2013). "Pulmonary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Disease, Ontario, Canada, 1998–2010".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9 (11): 1889–1891. doi:10.3201/eid1911.130737. PMC 3837646. PMID 24210012.
  8. ^ Bryant, Josephine M.; Grogono, Dorothy M.; Rodriguez-Rincon, Daniela; Everall, Isobel; Brown, Karen P.; Moreno, Pablo; Verma, Deepshikha; Hill, Emily; Drijkoningen, Judith; Gilligan, Peter; Esther, Charles R.; Noone, Peadar G.; Giddings, Olivia; Bell, Scott C.; Thomson, Rachel; Wainwright, Claire E.; Coulter, Chris; Pandey, Sushil; Wood, Michelle E.; Stockwell, Rebecca E.; Ramsay, Kay A.; Sherrard, Laura J.; Kidd, Timothy J.; Jabbour, Nassib; Johnson, Graham R.; Knibbs, Luke D.; Morawska, Lidia; Sly, Peter D.; Jones, Andrew; Bilton, Diana; Laurenson, Ian; Ruddy, Michael; Bourke, Stephen; Bowler, Ian C. J. W.; Chapman, Stephen J.; Clayton, Andrew; Cullen, Mairi; Dempsey, Owen; Denton, Miles; Desai, Maya; Drew, Richard J.; Edenborough, Frank; Evans, Jason; Folb, Jonathan; Daniels, Thomas; Humphrey, Helen; Isalska, Barbara; Jensen-Fangel, Søren; Jönsson, Bodil; Jones, Andrew M.; Katzenstein, Terese L.; Lillebaek, Troels; MacGregor, Gordon; Mayell, Sarah; Millar, Michael; Modha, Deborah; Nash, Edward F.; O’Brien, Christopher; O’Brien, Deirdre; Ohri, Chandra; Pao, Caroline S.; Peckham, Daniel; Perrin, Felicity; Perry, Audrey; Pressler, Tania; Prtak, Laura; Qvist, Tavs; Robb, Ali; Rodgers, Helen; Schaffer, Kirsten; Shafi, Nadia; van Ingen, Jakko; Walshaw, Martin; Watson, Danie; West, Noreen; Whitehouse, Joanna; Haworth, Charles S.; Harris, Simon R.; Ordway, Diane; Parkhill, Julian; Floto, R. Andres (10 November 2016). "Emergence and spread of a human-transmissible multidrug-resistant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Science. 354 (6313): 751–757. Bibcode:2016Sci...354..751B. doi:10.1126/science.aaf8156. PMC 5142603. PMID 27846606.
  9. ^ a b c d e f g h i j k "Engineered phages treat drug-resistant infectio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2019-05-20. Retrieved 2019-11-06.
  10. ^ Moore, Morris; Frerichs, John B. (February 1953). "An Unusual Acid-Fast Infection of the Knee with Subcutaneous, Abscess-Like Lesions of the Gluteal Region".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 (2): 133–169. doi:10.1038/jid.1953.18. PMID 13035193.
  11. ^ Kusunoki, S.; Ezaki, T.; et al. (1992). "Proposal of Mycobacterium peregrinum sp. nov., nom. rev., and elevation of Mycobacterium chelonae subsp. abscessus (Kubica et al.) to species status: Mycobacterium abscessus comb. nov". Int. J. Syst. Bacteriol. 42 (2): 240–245. doi:10.1099/00207713-42-2-240. PMID 1581184.
  12. ^ Ripoll, Fabienne; Pasek, Sophie; Schenowitz, Chantal; Dossat, Carole; Barbe, Valérie; Rottman, Martin; Macheras, Edouard; Heym, Beate; Herrmann, Jean-Louis; Daffé, Mamadou; Brosch, Roland; Risler, Jean-Loup; Gaillard, Jean-Louis; Ahmed, Niyaz (19 June 2009). "Non Mycobacterial Virulence Genes in the Genome of the Emerging Pathogen Mycobacterium abscessus". PLOS ONE. 4 (6): e5660. Bibcode:2009PLoSO...4.5660R. doi:10.1371/journal.pone.0005660. PMC 2694998. PMID 1954352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