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책)

Mythologies (book)
신화학
Mythologies (French first edition).jpg
초판 표지
작가롤랑 바르트
원제목신화학
번역기아네트 래버스
나라프랑스.
언어프랑스어
과목들기호학
구조주의
출판사레레트레스누벨레스
발행일자
1957
영어로 출판됨
1972

신화롤랜드 바테스가 1957년에 쓴 책이다.현대 신화를 창조하기 위한 현대의 사회적 가치 시스템의 경향을 조사하면서 레 레레트레스 누벨에서 취입한 수필집이다.바르트는 또, 징후가 신화의 수준으로 격상되는 2차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페르디난드사우수레의 수화 분석 시스템을 갱신하면서 신화 생성 과정의 기호학을 살펴본다.

신화학

신화는 두 가지로 나뉜다.신화와 신화 오늘, 선택된 현대 신화에 대한 에세이의 모음집과 그 개념에 대한 두 번째 더 나아가 일반적인 분석으로 구성된 첫 번째 섹션이다.신화의 첫 번째 부분은 현대 신화로서의 지위와 그들에게 부여된 부가적인 의미를 위해 선택된 현대 문화 현상의 선택을 설명한다.각각의 짧은 장은 아인슈타인의 뇌에서 비누 가루와 세제에 이르는 그러한 신화를 분석한다.그것들은 원래 잡지 Les Letres Nouvelles의 2개월짜리 에세이 시리즈로 쓰여졌다.

대표적인 예에서 바르트는 적포도주를 중심으로 쌓아온 이미지와 프랑스 국민 음료로 채택된 방법, 사회적 평등자로 보이는 방법, 프롤레타리아트의 음료를 묘사하고 있는데, 부분적으로는 (성공에서처럼) 피와 같은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며 적포도주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러나 대신 생명을 주고 상쾌하게 보는 것—'추운 날씨에는 따뜻해지는 모든 신화, 그리고 여름의 절정기에는 그늘의 모든 이미지와 모든 것이 시원하고 반짝이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1]

또 다른 장에서 바트는 프로레슬링의 신화를 탐구한다.그는 권투의 스포츠와 달리 연극 스턴트 싸움의 목적은 누가 이길지, 혹은 '우수의 시범'[2]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기본 개념인 '패배, 패배, 정의'를 연기하는 무대에서의 광경이라고 묘사하고 있다.[3]팬터마임 속 캐릭터처럼 레슬링 선수 행세를 하는 배우들은 인간 나약함에 대한 엄청나게 과장된 고정관념을 그린다: 반역자, 자만자, '에페미니즘 테디보이'이다.관객들은 이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지켜보고 사회의 정의 이데올로기를 연극적으로 표현한 레슬링의 규칙을 스스로 어긴 것에 대해 처벌을 받기를 기대한다.[citation needed]

영어의 신화 번역 에세이

오늘날 신화

책의 후반부에서 바트는 연설의 한 종류로서의 신화, 정치의 날개 위에 있는 신화 등의 사상을 분석하여 "오늘, 신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바르트가 분석하는 파리 매치 매거진의 앞표지

첫 번째 절부터 바테스는 자신의 선택과 분석을 정당화하고 설명한다.그는 페르디난드 사우수레에 의해 개발된 기호학의 개념을 요구하는데, 그는 어떤 물체(의미화된)와 그 언어적 표현(예: 단어, 기미자) 사이의 연결과 그 두 가지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기술했다.[4]이 구조로 작업하면서 바트는 신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언어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무언가가 첨가되어 있는 추가 신호로서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그래서 단어(또는 다른 언어 단위)와 함께 의미(포용된 내용)와 소리가 합쳐져 신호를 만든다.신화를 만들려면 기호 자체를 기호로 쓰고, 새로운 의미를 더하는데, 이것이 기호로 되어 있다.그러나 바르트에 따르면 이것은 임의로 첨가되는 것이 아니다.[5]우리가 반드시 그것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대 신화는 이유가 있어서 창조된다.적포도주의 예에서처럼 지배계급과 그 매체의 현 이념을 고수하는 사회의 사상을 영속시키는 신화가 형성된다.[6]

바르트는 1955년 7월 파리 매치 326호에서 나온 앞표지의 예를 들어 프랑스 유니폼을 입은 젊은 흑인 군인이 경례를 하는 것을 보여주면서 이 이론을 증명한다.[7]기표자: 경례를 하는 군인은 우리에게 그 청년의 삶에 대한 더 이상의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그러나 이 잡지는 젊은이보다 더 많은 것을 상징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이 사진은 프랑스와 프랑스 시민들에 대한 메시지를 우리에게 준다.그림은 '프랑스는 위대한 제국이며, 그녀의 모든 아들들이 아무런 색깔 차별 없이 그녀의 깃발 아래서 충실하게 섬기고 있다' 등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8] 기표자와 기표자의 결합은 제국주의적 헌신, 성공 등의 신화를 영속시킨다; 그림에 대한 '기호'의 속성이다.

나는 지금 이발소에 있는데, 파리 성냥 복사본이 나에게 제공된다.표지에는 프랑스 제복을 입은 젊은 흑인 한 명이 눈을 치켜뜨고 경례를 하고 있는데, 아마도 삼색 접이 부분에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이 모든 것이 그림의 의미다.그러나 순진하든 아니든 간에, 나는 프랑스가 위대한 제국이고, 그녀의 모든 아들들이 어떤 색깔의 차별도 없이, 국기 아래서 충실하게 복무하고, 소위 압제자들을 섬기는 데 있어 이 흑인이 보여준 열성보다 식민주의의 비난자들에 더 나은 해답은 없다는 것을 아주 잘 알고 있다...[9]

신화와 권력

신화의 개념을 탐구하면서 바트는 언어와 힘의 관계를 파악하려고 한다.그는 신화가 특정한 세계관을 자연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가정한다.[10]

바르트에 따르면 신화는 인간의 역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신화는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없다.신화에는 항상 어떤 의사소통적인 의도가 있다.사람들에 의해 창조된 신화는 쉽게 바뀌거나 파괴될 수 있다.또한, 신화는 그것이 존재하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문맥을 바꿈으로써 신화의 효과를 바꿀 수 있다.동시에 신화 자체가 이념의 창조에 참여한다.바르트에 따르면 신화는 이데올로기를 창조할 때 진실을 보여주거나 숨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벗어나려고 한다.신화의 주요 기능은 개념, 즉 믿음을 귀화시키는 것이다.신화는 간판을 정화하고 그 안에 신화를 창조하고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의 의도와 관련이 있는 새로운 의미로 채워진다.새로운 신호에는 신화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모순이 없다.신화는 이러한 모순을 가질 만큼 충분히 깊지 않다;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인에 내재된 의미가 있다고 믿게 함으로써 세상을 단순화시킨다.신화 "인간의 행동의 복잡성을 없앤다. 그것은 본질적인 단순함을 준다."[11]

왜 사람들은 신화를 믿는가?신화의 힘은 인상적인 성격에 있다.그것은 청중을 놀라게 하려고 한다.이 인상은 신화를 반증할 수 있는 어떤 이성적인 설명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그래서 신화는 그 의도를 숨기기 때문이 아니라, 신화의 의도가 귀화되었기 때문이다.신화의 사용을 통해, 사람들은 "제국, 바스크 사물에 대한 취향, 정부"[12]를 귀화시킬 수 있다.

신화와 권력에 대해 말하면서 바트는 신화는 탈정치화된 연설이라고 단언한다.그는 '이름의 바깥쪽'이라는 뜻으로 '이름의 바깥쪽'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바트의 요지는 사회의 지배적인 집단이나 사상이 너무나 명백하거나 상식이 되어 스스로 이름을 지어 주의를 끌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그들은 그저 다른 모든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정상'일 뿐이다."[13]예를 들어, 그는 "[부르주아 계급은] 그 지위를 진정한 전직 지명수술을 받게 한다: 부르주아 계급은 이름을 짓고 싶지 않은 사회적 계급으로 정의된다"고 말한다.[14]신화는 인간이 창조한 개념과 신념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없앤다.대신에, 신화는 그들을 자연스럽고 순수한 것으로 제시한다.바르트는 칼 마르크스에 의지하여 가장 자연적인 물체조차도 정치의 어떤 면모를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다.신화의 정치적 측면이 얼마나 강한가에 따라 바르트는 강건하고 약한 신화(des mythes forts et des mytes faids)를 정의한다.[15]강한 신화의 탈정치화는, 강한 신화가 명백히 정치적이기 때문에, 갑자기 일어난다.약한 신화들은 이미 그들의 정치적 성격을 잃어버린 신화들이다.하지만 이 캐릭터는 "작은 것"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16]

바트가 제안한 반증 모델.

바트는 또한 부르주아 신화에서 수사적인 인물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 접종.정부는 한 기관이 초래한 피해를 인정하고 있다.한 기관에 집중하다 보니 신화는 제도의 모순을 감춘다.접종은 '주악을 감추기 위해 계급에 묶인 기관의 우발적 악을 인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인정된 악의 소량 접종'은 '일반화된 전복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17][18]
  • 역사의 궁핍.신화 뒤에 서 있는 역사는 없어진다.사람들은 그 신화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궁금해하지 않는다; 그들은 단지 그것을 믿는다.[19]
  • 신원 확인.부르주아 계급의 이데올로기는 동일성을 추구하며 그 제도에 맞지 않는 모든 개념을 부정한다.부르주아 계급은 자신들과 다른 주체를 무시하거나, 아니면 이 주체를 부르주아 계급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20]
  • 태아학.부르주아계의 신화는 같은 개념을 통해 개념을 정의한다(바르테스는 연극의 예를 제공한다, "드라마는 드라마다")[21]
  • 노리즘(le no-norism (le ninisme)두 개념은 서로 정의되며, 두 개념 모두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22]
  • 품질의 수량화.신화는 현실을 질적으로가 아니라 숫자로 측정한다.이런 식으로 신화는 현실을 단순화시킨다.[23]
  • 사실의 진술.신화는 현실을 설명하지 않는다.신화는 속담처럼 설명 없이 세상의 어떤 그림을 주장한다.[24]

바트가 제안한 반증 모델은 징후를 그들이 분명히 표현하는 사회적 신화나 이데올로기와 연결시키려 한다.[25]

신화 및 문화 연구

바르트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관념, 서술, 가정들이 그 과정에서 "자연화"되는 경향, 즉 특정 문화 내에서 주어진 것과 같이 의심할 여지 없이 받아들여지는 경향을 말한다.바르트는 여러 가지 발현에서 부르주아에 의해 신화가 어떻게, 왜 구축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신화를 완성한다.그는 패션 시스템을 포함한 후기 작품들에서 이 주제로 돌아간다.

신화(1957)와 맥루한 마샬의 <기계 신부>(1951)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는데, 이 중에는 대중적 대중문화의 전시물(광고나 신문이나 잡지 기사 등)도 잇따라 비판적으로 분석되고 있다.[26][27]

참조

  1. ^ 바르트, 신화, 페이지 60
  2.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5
  3.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9
  4. ^ Carol Sanders (2 December 2004). The Cambridge Companion to Sauss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62–. ISBN 978-0-521-80486-8.
  5. ^ Laurie Schneider Adams (9 March 2018). The Methodologies of Art: An Introduction. Taylor & Francis. pp. 172–. ISBN 978-0-429-97407-6.
  6. ^ Associate Professor of Psychology Brady Wagoner; Brady Wagoner (4 December 2009). Symbolic Transformation: The Mind in Movement Through Culture and Society. Routledge. pp. 98–. ISBN 978-1-135-15090-7.
  7. ^ Jessica Evans; Stuart Hall (6 July 1999). Visual Culture: The Reader. SAGE Publications. pp. 55–. ISBN 978-0-7619-6248-9.
  8.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16
  9. ^ Mireille Rosello (2010). The Reparative in Narratives: Works of Mourning in Progress. Liverpool University Press. pp. 61–. ISBN 978-1-84631-220-5.
  10.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11. ^ Barthes. Mythologies. p. 143.
  12. ^ Barthes. Mythologies. p. 131.
  13. ^ 맥키, 앨런(2003년)." 어떻게 나는 그럴듯한 해석을 알고 있나요?".Textual 분석:초보자용 가이드입니다.런던 캘리포니아 사우전드 오크스:세이지 출판사. 페이지의 주 106이다. 아이 에스비엔 9780761949930.참고 항목:와슨, 리차드(1980년 빠지다)."신화와 클래스의 ex-nomination의 타임 머신에".미네소타 검토.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5:112–122.
  14. ^ Lakoff, Robin Tolmach (2000). "The neutrality of the status quo". The language wa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53. ISBN 9780520928077.Barthes, Roland (1972). Mythologies. London: Cape. p. 138. OCLC 222874772.
  15. ^ Barthes, Roland (1957). Mythologies. Paris: Éditions du Seuil. pp. 218.
  16. ^ Barthes. Mythologies. p. 144.
  17. ^ 신화, 페이지 150.
  18. ^ Chela Sandoval (2000). Methodology of the Oppress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37–. ISBN 978-0-8166-2736-3.
  19. ^ 신화, 페이지 151.
  20.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51
  21. ^ Barthes. Mythologies. p. 152.
  22.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53
  23.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53
  24. ^ 바르트, 신화, 페이지 153
  25.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26. ^ 게리 제노스코(2002) 맥루한과 바우드리야드: 임포시온의 달인, 페이지 24
  27. ^ 커티스, J. M. (1972)마샬 맥루한과 프랑스 구조주의. 경계 2,134-146.

참고 문헌 목록

  • 바르트, 롤랜드, 신화.파리, 판본 뒤 수일, 1957.
  • 아네트 래버스가 번역한 롤랜드 바르트.신화.1972년 런던, 팔라딘.ISBN 0-374-52150-6확장판(현재는 이전에 번역되지 않았던 'astology'를 포함하고 있음), 닐 배드밍턴의 새로운 소개와 함께, 빈티지(영국)가 2009년에 출판했다.ISBN 978-09-952975-0
  • 바르트, 롤랜드, 리차드 하워드 옮김에펠탑과 다른 신화들.1979년 뉴욕, 힐, 왕.ISBN 0-520-20982-6
  • 웰치, 릴리안"검토:롤랜드 바트의 신화:아네트 래버스."미학과 예술 비평 저널.제31권, 제4권. (1973년 여름).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