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발람프로필라이트

Nabalamprophyllite
나발람프로필라이트
일반
카테고리소로실리케이트
공식
(기존 단위)
바(나,바){Na3Ti[Ti2O2Si4O14](OH,F)2}
IMA 기호Nlmp[1]
크리스털 시스템단음이의
크리스털 클래스프리즘(2/m)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2/m
단위세포a = 19.805, b = 7.123
c = 5.426 [å]; β = 96.45; Z = 2; V = 753.4 å3
식별
갈색에서 밝은 노란색 결정체까지
수정습관프리즘적, 편평한, 무작위 골재
클라바주완벽(001)
모스 눈금 경도3
루스터글래시
스트릭흰색
발데인성투명에서 반투명까지
광학 특성양수 양성
굴절률nα=1.750, nγ=1.799
플레이오크로이즘연약하고 녹갈색
2V 각도40.5°
참조[2][3]

나발람프로필라이트Ba(Na,Ba)의 일반 공식을 가지고 있다.{Na3Ti[Ti2O2Si4O14](OH,F)2}.[3]그 성분(나트륨, 나트륨, 바륨, Ba)과 다른 램프프로필라이트 그룹 광물과의 관계에 대해 이름이 붙여졌다.램프로필라이트는 보통 침입성 화성암에서 발견되는 희귀한 티 함유 규산염 광물이다.[4]

나발람프로필라이트는 단핵체로 결정적으로 길이가 같지 않은 세 개의 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두 축 사이의 각도가 90°이며, 한 축은 90° 미만이다.우주군 P2/m에 속한다.[3]광물에는 정형합성 폴리타입(나발람프로필라이트-2O)도 있다.[5]이 광물은 우주군 Pnmn에 속한다.나발암프로필라이트는 광학적 성질에 있어 광물을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빛의 속도가 달라지는 비등방성이다.계산된 경감률은 1.86 - 1.87이다.[2]평면 편광의 색은 녹색 갈색으로 약하게 플로크루틱하다.

이 광물은 러시아에서만 발견되었는데, 보통 페그마이트라고 불리는 거친 결의 화성암과 연관되어 있다.지역 유형으로는 콜라 반도에 있는 이나글리 알칼리성-초라바시프, 야쿠티아, 코브도르 알칼리성-초라바시프 등이 있다.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291–320.
  2. ^ a b 웹미네랄 데이터
  3. ^ a b c 필로넨, P.C., Grown, E.S., Ercit, T.S., Roberts, A.C., Jambor, J.L. (2005) 새로운 광물명.아메리카 광물학자, 90, 1227-1233
  4. ^ 클라인, C, 듀트로, B. (2007) 광물과학 매뉴얼 제23호.존 와일리 퍼블리셔스, 페이지 497.
  5. ^ Sokolova, E, Hawthorne, FC(2008) 구조 위상에서 화학 구성으로.IV. 티타늄 규산염:러시아 코라 반도 로보제로 마시프에서 온 나발람프로필라이트의 Orthorhombic Polytype.캐나다 광물학자 46, 1323-1331.
  • N.V. Chukanov, M.M. Moiseev, I.V. Pekov, K.A. Lazebnik, R.K. Rastsvetaeva, N.V. Zayakina, G. Ferraris, G. Ivaldi (2004) Nabalamprophyllite Ba(Na,Ba){NaTi3[TiOSiO22414](OH,F)2는 러시아 이나글리와 코브도르 알칼리성-초라바시프(Kovdor-알칼리성질산염)의 램프프로필라이트 그룹의 새로운 층 티타노실산염이다.자피스키 베로스.광물Obshch, 133(1), 59–72(러시아어, 영어 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