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레우 공세
Narew Offensive나레우 공세 | |||||||
---|---|---|---|---|---|---|---|
제1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일부 | |||||||
![]() Bug-Narew 공격 그리고 러시아의 철수 | |||||||
| |||||||
교전국 | |||||||
![]() | ![]() | ||||||
지휘관 및 리더 | |||||||
![]() ![]() ![]() ![]() | ![]() ![]() | ||||||
관련 유닛 | |||||||
![]() ![]() | ![]() ![]() | ||||||
힘 | |||||||
335,696명[1] | 583,756명[2][3] | ||||||
사상자 및 손실 | |||||||
60,482명[4][5] | 133,069명[6][7] 4만 5천 명의 죄수를 포함해서 |
독일의 나레프 공세는 제2차 프르자스니슈 전투에서 승리한 후 이어졌다.독일 제국군은 완강한 전투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러시아군을 후퇴시켰지만 결정적인 패배를 안겨주지는 못했다.
배경
전투
제2차 프르자스니슈 전투에서 승리한 후 독일군의 다음 단계의 공격은 로잔에서 풀투스크로 이어지는 나레프 강의 항로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각 요새에 1개 군단이 배치되었고, 제17군단은 이 지점들 사이의 강을 건너야 했다.로잔과 풀투스크의 견고한 요새는 전쟁 전에 건설된 별도의 요새를 하나의 방어 시스템에 포함시켜 이동 중에 뚫을 수 없었다.막스 폰 갈비츠는 최소 30.5cm의 포로 로잔에 대항하는 13군단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풀투스크에 대항하는 42cm 박격포 2발을 11군단에 보냈다.
7월 19일, 독일군은 공세를 준비하고 있었다.동시에 중포의 지연으로 인해 모든 군단이 동시에 공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준비를 서두를 것을 요구했다.동시에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에 대한 보다 엄격한 봉쇄가 요구되었다.왼쪽 측면에서 독일 제8군은 로조가 강 하구의 나레프 강 우안에 도달하여 강을 건너거나 오스트로웬카로 진격할 수 있었다.나레프 강 너머에서 제1군이 철수하면서 바르샤바에서 가까운 제2군이 철수했다.시베리아 제12소총사단과 제68보병사단은 제5군단으로부터 오스트로위스카와 비아위스토크로 보내졌고, 서남전선 제8군단 소속 제58보병사단은 추가로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 [8]수비대에 배치되었다.
7월 20일 밤, 알렉산더 리트비노프는 막스 폰 갈비츠의 군대 그룹이 소규모 군대를 추격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아침 10시부터 공격을 개시하도록 명령했다: 즈베츠(Dzbddz)와 그노(Gnojno)에 있는 제1 기병 군단은 로잔 요새에 있는 독일군단의 후방에 배치되었다.마쿠프에 있는 제4군단, 기병과 합동 작전을 위해 흐르자노우에 있는 제21군단.이때 독일군은 이미 러시아의 참호에서 400-800보 떨어져 있었다.러시아 공세의 시작은 독일 제13군단이 로안의 요새를 공격한 것과 동시에 독일군이 132고지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제1기병대와 제4군단, 제21군단 등에서는 하루 종일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다.아침에 러시아군은 성공적으로 나레프 강을 건너 독일군의 장벽과 방랑지를 밀어냈지만, 한낮부터 독일군은 주력군을 전투에 투입하고 러시아군을 나레프 강 뒤로 밀어냈다.그노즈노 마을은 네 번이나 주인이 바뀌었고 버려졌다.21시 15분, 미하일 알렉세예프 북서전선 참모총장이 공세를 중단하자 러시아군은 원래 위치로 돌아와 마리에프 뒤에 있는 지점(리트비노프의 명령에 따라)에 방랑과 순찰을 유지하였다.밤이 되자 독일군은 제33보병사단의 제2여단을 파울리나로 밀어냈다.간신히 반격으로 돌파구를 막았다.죄수의 거짓 증언을 근거로 A. 리트비노프는 독일군이 제25예비군단 전체를 전투에 투입했다고 믿고 풀투스크 인근 [9]나레프강을 건너려는 독일군의 새로운 시도를 준비하고 있었다.
7월 21일, M. von Galwitz의 군대 그룹에 공격 그룹이 모여 Otto von Plusskow 보병 장군의 지휘 하에 Pultusk를 공격했다.38사단을 17군단으로 이관하여 제1근위군단과 제50예비군단, 제85토지방위군단, 제86, 제88보병사단과 피필여단을 [10]받았다.
7월 23일 밤, 독일군 포병이 러시아군 진지에 집중 사격을 가했다.새벽에 독일 보병은 공세를 취했다.제11군단의 두 그룹은 풀투스크를 우회하여 많은 곳에서 제4군단의 진지를 돌파했다.17군단은 나레프 강을 건넜고, 1기병단은 독일군의 공격을 막을 수 없었다.정오, A. 리트비노프는 제1 시베리아 군단에 "결정적이고 빠른" 적 측면을 타격하라고 명령했고, 제4군단과 제1소총여단을 거느린 기병대는 나레프 후방의 독일군을 밀어내고 상황을 회복하라고 명령했다.그러나 18시가 되자 러시아군은 완전히 당황해 곳곳에서 돌파했고, 제1투르케스탄 군단과 제4군단 사이에 8km의 간격이 벌어졌고, 제1군 사령관은 전방 본부에 노보르게예프스크 [11]요새의 배후에서 병력을 철수시킬 수 있는 허가를 요청했다.
19시 30분경, 독일군의 돌파구는 제11 시베리아 소총 사단 A의 도입으로 폐쇄되었다.리트비노프는 27군단이 도착한 후 반격에 나서기를 희망했지만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포병에서의 독일군의 우위는 높은 손실을 가져왔다.22시에 리트비노프는 1군에게 나레우 강을 가로질러 후퇴하고 모든 다리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제1군은 7월 24일 오후 7시까지 방해를 받지 않고 새로운 방어선을 점령했다.독일군은 로잔과 풀투스크에 입성했다.그러나 리트비노프는 "탄두도 충분하지 않고 라인 자체가 요새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른쪽 측면은 수비에 불편하다"며 버티기를 희망하지 않았다.그는 M에게 물었다.알렉세예프는 21군단을 [12]보강하기 위해 78사단을 그에게 이관할 예정이다.
7월 24일, 한스 하르트비히 폰 베셀러 보병부대는 구스타프 폰 디크후트-하라흐 중장의 일부로서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 요새에 대항하기 위해 M. 폰 갈비츠 육군부대에서 분리되었다.풀투스크 서쪽의 모든 군단의 경작지.갈비츠의 새로운 임무는 벅 강 하류에 접근하는 것이었다.낮 동안 독일군은 러시아 제1군의 진지에 접근했다.만약 21군단이 공격을 격퇴할 수 있다면, 27군단과 4군단이 뒤따르는 1기병단은 후퇴했다.시베리아 제1군단이 반격을 위해 파견되었지만,[13] 독일군의 공세는 성공적으로 계속되었다.
M. 알렉세예프는 1군과 전선의 다른 부문에서의 전투 과정을 고려하여 7월 24일 12, 1, 2, 4군의 총 철수와 13, 3군의 계속적인 저지 행동에 대한 지시를 군에 보냈다.- 켐 - 블라디미르 볼린스키, 코벨로 병력 철수 가능성 있음동시에, 제2군은 바르샤바 외곽 요새의 전열을 유지한 채 비스툴라 강의 오른쪽 둑으로 이동하기로 되어 있었고, 제1군과 제4군은 측면으로부터 "충분한 에너지, 뛰어난 견고함, 완고함"을 보여주며 지원하기로 되어 있었다.그래서 독일군이 부그 [14]강 중류까지 돌파할 위험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제1군의 행동은 바르샤바 교두보에 묶여 있었다.
A. 리트비노프는 7월 26일 아침 공세를 개시하고 독일군을 나레프 강을 건너도록 명령했다.리트비노프도 A에게 물었다.추린은 제12군의 적극적인 행동을 돕기 위해 군단 지휘관들에게 "적들이 우리의 공격에 대항할 첫 번째 저항은 매우 완고하고, 더 능숙하고, 더 빠르고, 더 결단력 있고, 더 끈질기게 해야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15]
7월 26일 아침, 전선을 따라 공세에 나선 1군단은 독일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공격은 집중 포격, 기관총, 소형 무기 사격으로 격퇴되었고, 정착촌은 여러 [16]차례 주인이 바뀌었다.리트비노프는 7월 27일 공세를 계속하기를 희망했고 20.40에 상응하는 명령을 내렸다. "독일의 저항은 아직 꺾이지 않았지만, 우리의 완고하고 끈질긴 노력으로 [17]깨질 수 있다."
하지만 27일 밤 독일군은 다시 시베리아 4군단의 진지를 돌파해 1군 오른쪽 측면을 점령했다.리트비노프는 제21군단을 철수시키고, 제6기병사단이 점령할 사빈과의 틈새를 제1기병단에서 1시 30분에 긴급 소집했다.아침이 되자, 전선은 78 보병사단의 3개 연대로 강화되었고,[18] 공세를 전개할 전력은 남아 있지 않았다.
7월 27일 저녁까지, 제1군의 좌익은 노보지에프스크 외곽 요새에서 아다모오와 다브루프카까지 독일군의 진지를 공격하는데 실패했다.자정, A. 리트비노프는 다시 공세를 계속하라고 명령했다.제12군단에서는 좌익이 독일 제1군단의 압력으로 계속 후퇴했다.시베리아 4군단은 68사단 연대로 증원됐지만 독일군은 37사단 병력으로 5군단의 진지를 돌파했다.12군 사령관 A.추린은 노보그로데크로의 돌파구가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기 때문에 예비군 지원을 요청하였다.M. von Galwitz도 프랑스에서 도착한 제54보병사단을 오스트로웬카로 보냈다.그러나 그는 특히 1군단이 이미 3,000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고, 러시아 포병이 부대를 파괴한 후 탄약 공급이 [19]거의 중단되었기 때문에, 사단을 즉흥적인 방법으로 나레프 강을 건너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7월 28일부터 29일까지 러시아 제1군과 제12군은 나레프 강을 건너온 독일군을 밀어내려고 했지만, 곳곳에서 완강한 반대에 부딪혔다.상호 공격은 당의 병력을 고갈시키고 약간의 진격(4군단에서 400보 전진)으로 이어졌다.러시아군이 무익한 공격으로 그들의 군대를 소진시켰다는 것을 고려하여, E. 루덴도르프는 M. von Galwitz에게 다음과 같은 임무를 부여했다: 우파를 취하고 오스트로와 마우킨으로 진격하되 동시에 요새를 습격하지 말고, 제8군의 부대와 함께 작전을 수행하도록 했다.7월 30일 갈비츠는 요하네스 폰 에벤(2, 37, 54, 83 보병사단) 보병부대에 시베리아 제4군단을 격파하고 13군단 샤빈을 점령해 스트루미니아니를 공격하고 나머지 부대는 [20]수세에 들어가라고 지시했다.
7월 28일 저녁, 서북전선 참모총장 M.알렉세예프는 21군단(33사단, 44사단, 78사단)을 전투 구역과 함께 12군단으로 이관시키고 59사단 소속 연대로 파견했다. 1군단에서는 7월 30일 저녁부터 4군단(30사단과 40사단)이 예비역으로 철수했다.제12군에서는 N. 시버스 참모총장이 독일의 돌파구를 [21]격퇴하기 위해 각 군단에 소규모 예비 부대를 창설하라고 명령했다.
7월 30일, 1군 전선에서 더 이상의 심각한 전투는 없었다.M. von Galwitz의 군대 그룹의 모든 노력은 러시아 12군을 향한 것이었다.제4근위대와 제54보병사단은 이날 오후 제4시베리아군단 위치를 돌파해 저녁 무렵 고워록과 샤빈을 점령했다.A. 추린은 제68보병사단과 제6기병사단을 돌파구로 보냈지만, 독일군의 진격을 일시적으로 막는데 그쳤다.
7월 31일 폰 갈비츠는 5일째 카미온카 인근 나레프 강 건너 교두보를 봉쇄하고 37사단 6개 대대를 봉쇄한 사실을 알게 된 뒤 중포를 보내 1군단과 13군단의 공격을 재개했다.공세는 러시아 59 보병 사단의 공격을 받았고, 111 고지를 위한 전투는 저녁까지 계속되었다.시베리아 4군단과 21군단은 후퇴했지만 포위를 면했다.브르제노에서 오스트로웬카까지 새로운 진지가 점령되었다.독일 83 보병사단만이 전투에서 84명의 장교와 3,100명의 병사를 잃었다.러시아 측의 손실도 컸다.작전 개시 이후 지금까지 161명의 장교와 4만4926명의 병사가 생포됐으며 총 14문, 기관총 133문, 박격포 6문이 분실됐다.[22]
M. von Galwitz는 제50예비사단을 우익으로 철수시키고, 제85토지방위사단을 육군집단 X. von Beseler로 전환하여 북동쪽에서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 요새를 봉쇄하고, 제1군단과 제13군단을 오스트로우카주 로잔 동쪽 국경지대로 보냈다.8월 1일부터 2일까지의 전투에서 독일군은 그라보우 마을과 보라베 마을 인근 고지를 큰 손실을 입고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시베리아 제4군단, 제5군단, 제21군단의 반격을 끊임없이 격퇴했다.독일 제8군은 쿠프니노와 세르왓키에서 제12군단의 제1군단을 후퇴시켰다.8월 3일, 큰 손실 때문에, 1군단과 4 시베리아 군단은 [23]철수했다.
결과
레퍼런스
- ^ Sanitaetsbericht uever Das Deutscheer (Deutsche Feld-und Besatzungheer) 저는 1914/18년 Weltkriege입니다.Bd. III. 페이지 45
- ^ сс 、 ни 、 рс 、 рс 、 ррвввпп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ы.1915, 2022, 페이지 531
- ^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의 매장량도 포함해서
- ^ 2022년, 532년
- ^ 제2차 프자즈니즈 전투에서의 사상자도 포함해서요
- ^ 2022년, 532년
- ^ 제2차 프자즈니즈 전투에서의 사상자도 포함해서요
- ^ 1914-1918, 4, 77페이지
- ^ 갈비츠 M. 폰Meine fuelertaetigkeit im Weltkriege 1914/1916, 1929, 페이지 293-294
- ^ 갈비츠 M. 폰Meine fuelertaetigkeit im Weltkriege 1914/1916, 페이지 301-302
- ^ 갈비츠 M. 폰Meine fuelertaetigkeit im Weltkriege 1914/1916, 페이지 298
- ^ 2022년, 페이지 527
- ^ 갈비츠 M. 폰, 페이지 303-304
- ^ 1914-1918, 제4권 79쪽
- ^ 2022년, 페이지 528
- ^ 갈비츠 M. 폰, 페이지 307
- ^ 2022년, 페이지 530
- ^ 2022년, 페이지 530
- ^ 갈비츠 M. 폰, 페이지 308-309
- ^ 갈비츠 M. 폰, 310페이지
- ^ 2022, 페이지 532
- ^ 갈비츠 M. 폰, 312쪽
- ^ 갈비츠 M. 폰, 3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