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즘

Nashism

나시즘(러시아어: иамм)과 나시스트(Nashist)는 "наа" ([우리들]이라는 말, 즉 집단의 말에서 파생된 소련[1] 후기 정치 신조어다. 이 단어는 '외부'(la cosa nostra, "우리 것"과 비견되는)에 대한 '우리들'의 영장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세계관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양한 러시아 언론인, 정치인, 정치학자들이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단어에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나시스트(nashist)와 나시즘(nashism)이라는 말도 제목에 우리(ours)라는 단어가 들어간 러시아 정치운동인 나시(청년운동)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실로비키(체키주의자)가 러시아의 민족주의/차우비니즘을 권력기반으로 조장하고,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이 실로비키 권력에 자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두 가지가 상당 부분 겹치지만, 나시즘은 러시아 민족주의가 아니다. 그러나 내시즘의 핵심은 동포들이 배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족주의라기보다는 조직범죄에 가깝고, 외국인들도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나 연대를 바탕으로 포함시켰다.

네보로프의 "나시"

이 단어는 러시아 TV 프로그램 600초의 앵커인 알렉산더 네보로프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2] 1991년 1월, 네브조로프는 우리의 (나시)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와 TV 보도를 제작했는데, 당시 1월 사건 당시 소련군은 네브조로프가 소련의 행동에 현저하게 동조했던 리투아니아의 선언된 독립을 분쇄하려고 시도했다.[3] 프리랜서 기자 쥘 에반스는 소련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알렉산더 네보로프 기자는 TV에 출연해 칼라스니코프를 들고 리투아니아에서 시위대 앞에 섰다. 네보로프는 리처드 바그너(독일인)의 음악에 맞춰 새로운 아이디어-나시(Nashi)의 탄생을 선언했다. "나시는 거대한, 거대한, 다원적인, 그리고 공통의 언어, 피, 모국에 의해 관계된 사람들의 모임이다."[4]

1991년 11월 네보로프는 인민해방운동 '나시(Nashi)'를 창설했는데, 이를 '현 러시아 행정부와 구 소련 연방공화국의 반민족 정치에 대한 연합전면'이라고 정의했다. 그 배지에는 구소련의 윤곽이 들어 있었고, 그 안에는 "우리의"라는 글자가 들어 있었다.[5] 그 운동의 저명한 참가자들 중에는 빅토르 알크시스가 있었다. 네보로프의 「나시」는 단명했다. '나시' 운동의 지지자들을 지칭하여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나시스트'라는 단어는 즉시 '파시스트'라는 단어와 함께 운율을 발동시켰는데, 이는 소련의 불멸성을 지지하는 운동의 제국적 입장에 대한 힌트로서,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군사력 사용의 정당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청년운동 "나시"

벨라루스 인근 스몰렌스크에 있는 '나샤 육군' 청년군.

말장난 '나시즘/파시즘'은 '나시'의 정적들이 자주 쓰는 말이다. 특히 탈린 청동군주변 사건과 관련하여 '나시'의 반에스토니아식 발현 이후 자유자재로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반나시 슬로건은 "나시즘은 지나가지 않을 것이다!"("나시즘은 지나가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지나가지 않을 것이다"[6]라는 슬로건을 각색한 것이다.

협동주의

안드레이 일라리오노프는 러시아의 신흥 협동주의를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나시즘'("우리들-ism")이라는 단어로 정의하고 있는 체키즘의 현 화신인 실로비크 권력 구조의 손아귀에 있는 권력으로 묘사하고 있다. 처음에 코메르산트에서 인쇄되었다가 서양에서 여러 번 다시 인쇄한 기사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7]

"우르섬"은 국가 또는 민족적 경계를 모른다. 외국의 전 총리[(게르하르트 슈뢰더)]는 이 법인의 일원이 되어 "유럽의 우리 사람"이 된다. 한편 수십억 달러를 국고에 들여온 회사를 만든 러시아 사업가 [미카일 호도르코프스키]가 알고 보니 '또 다른 사람'으로 밝혀져 시베리아 깊숙한 곳으로 유배되고 있다.

참조

  1. ^ 미하일 엡스타인 "신어 유형:An Attempt of Classification, reported that the conference "Русская академическая неография (к 40-летию научного направления)", С.-Петербург, Институт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23-25 октября 2006 "
  2. ^ 미하일 겔러, "로스iiskie zametki, 1991-1996", 1998년 모스크바, ISBN5-87902-027-4(러시아어)
  3. ^ ISCIP - 관점
  4. ^ "전국사상을 위한 사냥"
  5. ^ "www.rau.su/observer/N21_93/21_06.HTM - Сервис регистрации доменов и хостинга *.RU-TLD.RU".
  6. ^ "Пикет у штаба молодежного движения 'Идущие вместе'", Radio Freedom, April 21, 2005 (in Russian)
  7. ^ 안드레이 일라리오노프, 2006년 1월 25일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국가가 사업을 의미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