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니멀리즘
Neo-minimalism신미니멀리즘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의 비정형 예술 운동이다. 그것은 네오-지오메트리 혹은 네오-지오 예술이라고 불려왔다. 그 밖의 용어는 다음과 같다. 네오-개념주의, 네오-퓨쳐리즘, 네오-옵, 네오-팝, 뉴 추상화, 팝토메트리, 포스트-어브스트리즘, 스마트 아트.[1]
오리진스
1960년대 모더니즘 운동의 산물로서, 보다 현실적인 접근을 위해 호화로운 디자인을 거부한 바우하우스 스타일의 예술에 영향을 받았다.[2]
예술
신 미니멀리즘(및 관련 용어)으로 묘사되어 온 「포스트모던 아트」의 측면에는 일반적인 「이전의 미술 형식에 대한 재평가」가 수반된다.[3]
이 용어와 관련이 있거나 이 용어를 사용하는 쇼에 포함된 현대 예술가들은 피터 핼리, 필립 태프, 로렌초 벨렌게르, 애슐리 비커튼, 데이비드 버디, 폴 쿤, 도도U, 이브 리더, 피터 슈이프, 크리스토퍼 윌러드, 팀 주크 등이 있다. 리처드 세라의 강철 조각상은 "오스트레 신 미니멀리즘...."[4]
디자인과 음악
회화, 조각, 그리고 다른 "뮤지엄 아트"를 넘어, 이 용어는 건축, 디자인, 그리고 음악에 적용되었다.[5] 건축에서 실제로 신미니멀리즘은 '새로운 정통...'[6]의 한 부분으로 확인되었다."핀란드 작가 주아니 팔라스마아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바카날 이후, 신미니멀리즘, 신아세티즘, 신부정욕, 숭고한 빈곤의 시대가 다시 왔다"[7]고 말했다.
참고 항목
외부 링크
참조
- ^ 존 앨버트 워커(John Albert Walker, Lographary of Art, Art,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Design From 1945년 이후, 제3판, New York, G. K. Hall, 1992; 페이지 443).
- ^ 27 잊지 못할 미니멀 로고 디자인 - Looka
- ^ 프레드 S. 클라이너와 크리스틴 J. 마미야, 가드너의 시대를 통한 예술: Western Perspective, 12번째 판, Thomson / Wadsworth, 2005; Vol. 2, 페이지 844.
- ^ 케이시 넬슨 블레이크, "The Fower of Culture: Critical Essays in American History, Richard Wightman Fox and T. Jackson Lears, eds.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1993; 페이지 259 n. 17.
- ^ 캐던스: The American Review of Jazz and Blues, Vol. 14 (1988), 페이지 65.
- ^ 브룩 호지, 에드, 건축이 아니라 그것이 존재한다는 증거, 프린스턴, NJ,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1999; 페이지 121.
- ^ Juhani Pallasma, 핀란드 건축 박물관 미니어처 건축, 1991;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