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스토르 레이네스

Nestor Leynes
네스토르 레이네스
태어난
네스토르 가르시아 레이네스

(1922-02-26)1922년 2월 26일
죽은2016년 3월 18일(2016-03-18) (94세)
국적필리핀 사람
교육필리핀의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페인팅
주목할 만한 작품
아래 내용 참조.
움직임리얼리즘

네스토르 가르시아 레인스 시니어(Sr, 1922년 2월 26일 ~ 2016년 3월 18일)는 필리핀의 현실주의 화가였다.레이네스는 필리핀의 '마술 리얼리스트'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그는 마닐라의 산타크루즈에서 태어났다.[1]

전기

비나탕 X(1947)는 네스토르 레이네스가 삽화를 그렸다.

레이네스는 1922년 2월 26일 마닐라 산타크루즈에서 태어났다.그의 부모는 의사인 리카르도 레인즈와 등록된 간호사 엔리케타 가르시아였다.그에게는 세 명의 형제와 한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레이네스의 부모는 몇 점의 그림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는 필리핀의 거장 화가 파비안 쿠에토 데 라 로사의 그림도 포함되어 있었다.아마도 그의 환경에 영향을 받은 레인즈는 이미 어려서부터 예술가가 되고 싶은 욕구를 표현했다.그의 부모는 그를 위해 고난의 삶을 두려워하며 이 야망을 꺾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이네스는 이미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미술 수업을 받고 있었다.아렐라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필리핀 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하였다.그의 학문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필리핀 침공으로 4년째에 부족하게 되었다.[1]진주만 폭격 이틀 후, 그는 어린 시절의 이웃이자 연인인 아말리아 알칸타라와 결혼했다.[2]

이미 결혼한 레이네스는 전쟁이 끝난 후 학교로 돌아오지 않았고 따라서 졸업하지 못했다.그는 라몬 로세스 출판사의 삽화가로 일하게 되었다.그는 리웨이필리핀 만화 같은 잡지의 삽화를 만들었다.[3][4]그는 필리핀 광고 자문단의 스태프 아티스트로 고용되었다.후에 그는 J. 로메로와 어소시에이트 광고청의 미술부 부사장이 되었다.[2]레인즈는 1980년 58세의 나이로 은퇴한 후 전임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2]그는 지난 2016년 3월 9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5]

판당고 로(1966년)는 레이네스의 프리 리얼리즘 작품이다.
레이네스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인 엄마와 아이를 보여주는 듀얀('Cradle')이다.
마그이나사바니그

레인즈는 필리핀 대학 시절 교수들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그들 중에는 필리핀 국가 예술가페르난도 아모르솔로와 그의 동생 파블로 아모르솔로가 있었다.[2]

1976년 레이네스는 이 시기 필리핀에서 인기를 끌었던 리얼리스트 미국인 화가 앤드루 와이엣의 작품을 발견했다.게르 비테르보 주니어, 조셀리토 바르셀로나, 에마뉘엘 라도, 제이미 로크와 같은 몇몇 다른 예술가들과 함께 그들은 와이엣의 스타일을 따라 "마술 리얼리즘"으로 알려진 그룹을 형성했다.[6][7][1]

레이네스의 첫 공헌은 1977년 작품 비가스(Fitong Gatang으로도 알려져 있는 'Rice')그것은 세부적인 것에 대한 관심으로 널리 호평을 받았다.전 영부인 이멜다 마르코스는 이 작품에 감명을 받아 당시 영빈이었던 데이비드 록펠러를 보기 위해 전집을 말라카냥 궁전으로 가지고 왔다.마르코스는 여러 점의 그림을 샀고 록펠러는 두 점을 샀다.비가스는 1986년 인민 권력 혁명 당시 궁에서 약탈당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1]

레이네스는 와이엣의 야한 색채 사용에서 벗어났다.다른 필리핀 현실주의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특히 빛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아모르솔로의 영향력을 유지했다.[2]미국의 현실주의가 진부함에 초점을 맞춘 반면, 레이네스를 비롯한 필리핀 현실주의자들은 로맨틱한 장면을 고통스럽게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1]

현재 필리핀의 매직 리얼리즘은 약간 다르다.그것은 국부적인 효과가 있다.앤드류 와이츠는 미국 메인주에 살았고 그곳은 매우 추운 곳이다... 분위기는 회색과 갈색으로 변했다.내 예술이 내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에 나는 내 예술에 대한 그런 태도를 가지고 살 수 없었다.나는 필리핀에 살고 있고 아모르솔로를 좋아한다. 나는 내가 보는 것, 내가 보는 주변 분위기를 투영한다.

Nestor Garcia Leynes, Visions and voices (1980)[8]

레이네스의 피사체는 전형적으로 필리핀 시골 생활의 장면으로 쌀(비가스 니 로르나 같은)[9]을 체로 치는 여성부터 수확 장면까지 다양하다.그는 가장 좋아하는 과목인 엄마와 아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사순절 기간 동안 그의 파나타의 일부인 굿 프라이데이마다 정기적으로 그리스도의 그림을 그린다.[2]

그의 작품들은 2010년에 다른 방코 센트랄 ng 필리피나스(BSP) 컬렉션 그림들과 함께 전시되었다. Sulyap, Yugto, Dalipay: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매일의 메멘토스.[10][11][12]그의 작품을 대표하지는 않지만, 캔버스 작품 A농민장(1948)에 실린 그의 기름이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선택한 작품

  • 성심(1940년)
  • 농민 장례(1948)
  • 올드 발라라 (1950년)
  • 비가스 (1977년)
  • 판당고사일로우 (1966년)
  • 팔리고사바티아 (1968년)
  • 회전목마(1960년)
  • 진 (1976년)
  • 시넬라스 (1974년)
  • 마이스 (2021년)
  • 캐러밴(1980년)
  • 달람파시건 (1986)
  • 긴퉁부틸 (1995년)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Lito B. Zulueta (February 18, 2002). "Nestor G. Leynes, vanguard realist, holds retrospective". Philippine Daily Inquir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0, 2012. Retrieved July 16, 2011.
  2. ^ a b c d e f g Jennifer Leynes. "Biography of Nestor Leynes". The Art and Work of Nestor G. Leynes. Retrieved July 16, 2011.
  3. ^ Gerry Alanguilan. "Fascinating Coincidence". Komikero Dot 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11. Retrieved July 16, 2011.
  4. ^ Jesus Esguerra & Nestor Leynes (December 27, 2947). "Binatang X". Philippine Komiks (15). Retrieved July 16, 2011. {{cite journal}}:날짜 값 확인: date=(도움말)
  5. ^ 죽음에 대한 언급
  6. ^ "The Man: Joselito Espeso Barcelona". Joselito E. Barcelona. Retrieved July 16, 2011.
  7. ^ "Lito Barcelona". Heritage Art Center. Retrieved July 16, 2011.
  8. ^ Rodolfo Paras-Perez, Vicente S. Manansala (1980). Visions and voices : R. Paras-Perez with Manansala. Museum of Philippine Art.
  9. ^ "Bigas ni Lorna". Manila Metropolitan Museum of 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7, 2012. Retrieved July 16, 2011.
  10. ^ Florian Theuer (May 5, 2010). "Culture Collage". The Daily Trib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 2011. Retrieved July 16, 2011.
  11. ^ "Sulyap, Yugto, Dalipay: Mementos of Philippine Everyday". ClickTheCity.com. Retrieved July 16, 2011.
  12. ^ "'Sulyap: Yugto: Dalipay:' at Met Museum". The Philippine Star. May 3, 2010. Retrieved July 16, 20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