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렛 라슨
Nicolette Larson니코렛 라슨 | |
---|---|
![]() 1985년 라슨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미국 몬태나 주 헬레나 | 1952년 7월 17일
죽은 | 1997년 12월 16일(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45세)
장르 | |
직업 | 가수. |
기기 | 보컬, 기타 |
액티브 년수 | 1973–1997 |
라벨 | 워너 브라더스, MCA, CGD, 소니 원더 |
니코렛 라슨(Nicolete Larson, 1952년 7월 17일 ~ 1997년 12월 16일)은 미국의 가수이다.그녀는 아마도 1970년대 후반 닐 영과 함께 작업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1978년 영의 히트곡 "로타 러브"는 핫 어덜트 컨템포러리 트랙 차트에서[1] 1위를, 팝 싱글 차트에서 [2]8위를 기록했다.그 뒤를 이어 성인 컨템포러리 히트곡 4개가 더 나왔는데, 그 중 2개는 마이너 팝 히트곡이기도 했다.
1985년까지 그녀는 컨트리 음악으로 초점을 옮겨 미국 컨트리 싱글 [3]차트에 6번 올랐다.그녀의 유일한 40위권 내 히트곡은 스티브 워리너와의 듀엣곡인 "That's How You Know When Love's Right"였다.그녀는 1997년 뇌부종과 간부전으로 사망했다.
초기 생활과 경력
니코렛 라슨은 [4][5]몬태나 주 헬레나에서 태어났다.그녀의 아버지가 미 재무부에 취직했기 때문에 가족의 잦은 이주가 필요했다.그녀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에 3학기 동안 다녔으며 웨이트리스와 사무직에서 일하다가 어린 시절 라디오에서 노래를 따라 부른 이후 꿈꿔왔던 음악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Larson은 결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레코드 가게에서 일했습니다; Golden Gate Country Bluegrass Festival의 지원 직원으로써의 자원봉사 활동은 그녀의 목소리에 대한 야망을 격려했습니다.그녀는 Bay Area 쇼케이스에서 공연하기 시작했고,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의 한 클럽에서 에릭 앤더슨의 프로 데뷔 무대를 가졌다.1975년, 라슨은 코디의 프로듀서를 맡고 있던 호이트 엑스턴의 오디션을 보았다.이로 인해 라슨은 1975년 "다이아몬드와 러스트" 투어에서 조안 바에즈를 위해 오프닝 공연을 하던 호이트 엑스턴과 바나나 밴드와 함께 공연을 하게 되었다.그녀는 커맨더 코디의 1975년 앨범인 '테일즈 프롬 더 오존'으로 첫 녹음 공로를 인정받았고 1977년과 1978년에는 커맨더 코디 앨범의 배경 보컬을 맡기도 했다.1976년에는 호이트 엑스턴과 가이 클라크가, 1977년에는 메리 케이 플레이스, 로드니 크로웰, 빌리 조 셰이버, 제시 콜린 영, 제시 윈체스터, 게리 스튜어트가 가수로 활동했다.
Larson과 Guthrie Thomas는 둘 다 Hoyt Axton과 함께 일했고 A&M Records의 사우스바운드 앨범에서 그들의 첫 번째 프로 녹음 세션을 함께 녹음했다.음반업계의 신인으로서, 그들은 앨범의 뒷표지에 "Street Singers"로 이름을 올렸는데,[6] 이는 음반에 출연했던 고액 연봉과 존경 받는 가수들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앨범 Luxury Liner(1977년)는 Larson을 "Hello Stranger"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주었고, Larson은 Larson과 친구가 된 Harris의 동료이자 친구 Linda Ronstadt를 만나게 되었습니다.1977년 라슨은 론스타트의 말리부 집에 있을 때 이웃 닐 영이 론스타트에게 전화를 걸어 여성 보컬 반주자를 추천해 줄 수 있는지 물었다.론스타트는 라슨을 추천했다; 그녀는 그날 영에게 라슨을 언급한 세 번째 사람이었다.영은 라슨을 만나러 왔고, 그는 "닐은 그가 방금 작곡한 모든 곡들, 그 중 20곡 정도를 샅샅이 뒤졌다.우리는 그와 함께 하모니를 불렀고 그는 재즈에 [7]열광했다.
그 다음 주 론스타트와 라슨은 영의 라 혼다 목장에서 영의 아메리칸 스타즈 앤 바 앨범의 보컬을 자르고, 두 여성은 이 앨범에 Bullets로 광고되었고, 1977년 11월 영은 그의 Comes a Time 앨범에서 노래하기 위해 내슈빌로 라슨을 초대했다.이는 Larson이 Young의 [citation needed]홈 레이블인 Reprise의 계열사인 Warner Brothers와 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라슨은 1978년까지 가수 경력을 이어가 마샤 볼, 로드니 크로웰, 에미루 해리스(Quarter Moon in a Tent Town), 노턴 버팔로의 음반으로 명성을 쌓았다.그녀는 또한 두비 브라더스의 Minute by Minute에 보컬을 맡았습니다.그 앨범의 프로듀서인 테드 템플맨은 라슨의 데뷔 앨범인 니코렛을 [8]제작했다.
1978–1983
라슨은 커맨더 코디와 함께 일하면서 워너 브라더스 C&W 사업부로 계약하게 되었다. 기록.그러나 1978년 9월 29일 발매된 그녀의 데뷔 앨범 니코렛은 록, C&W, R&B가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었다.
올해 앨범 발매가 너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라슨은 롤링 스톤에 의해 1978년 여성 보컬상을 받았는데, 그 누구도 앨범에서 그렇게 재미있게 연주할 수 없다고 썼다.니코렛은 닐 영의 히트곡인 "로타 러브"의 도움으로 빌보드 앨범 차트 15위에 올랐다.Larson의 "Lotta Love"는 Easy Listening/Adult Contemporary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1979년 2월, 같은 주 Comes a Time: "Four Strong Winds"라는 싱글곡에서 Larson과 함께 Hot 100에 데뷔하여 "61"을 연주했다.1979년에 발매된 닐 영의 라이브 앨범 'Rust Never Sleeps'에 [citation needed]수록되었다.)
워너 브라더스는 또한 1978년 12월 20일 라슨이 선셋 대로 나이트클럽에서 개최한 콘서트로 구성된 록시 앨범에서 한정판(5,000장)을 발행했다.1979년 9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녹음된 노 누크스 앨범에도 두비 브라더스의 지원을 받아 로타 러브에 출연하였다.[citation needed]
라슨은 그녀의 데뷔로 인한 상업적 성공을 공고히 할 수 없을 것이다: 니코렛의 두 번째 싱글 "Rumba Girl"[9]은 48위로 라슨의 주요 히트곡이 되는 것을 막 놓쳤다.1979년 11월에 발매된 그녀의 두 번째 앨범인 "In the Nick of Time"은 라슨의 목소리를 매력적으로 보여주지 못했다.롤링스톤의 돈 쉬웨이는 이렇게 썼다.
특히 닐 영이나 스티브 굿맨과 같은 사람들을 응원할 때 라슨의 거친 말투는 매력적이지만, 솔로로서 그녀의 제한된 보컬 자원은 "중대한 부담"이다.어, 'Nick of Time'에서 가장 멋진 노래는 마이클 맥도널드의 노래야'Let Me Go, Love'...맥도날드의 매혹적인 보컬은...라슨에게 너무 무색해서 주연 자리를 나눠갖기 보다는 보조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다른 곳에서는 테드 템플맨의 전형적인 사치스러운 작품에 비해 라슨은 왜소하다.[8]
앨범의 리드 싱글로 발매된 "Let Me Go Love"는 1980년 2월에 35위에 올랐다.그 해 라슨은 크리스토퍼 크로스의 "Say You'll Be Mine"과 더트 밴드의 "Make a Little Magic"에 게스트 출연하여 방송 전파를 탔다.라슨은 데뷔 후 'Nick of Time'이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기에 충분한 인기를 누렸다.그녀가 큰 히트를 치지 못했기 때문에, 비록 두 앨범 모두 라슨이 강한 보컬 형태로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라슨의 1981년과 1982년 앨범인 Radioland와 All Draded Up and No Place to Go는 성공하지 못했다.라슨은 "I Only Want to Be With You" (53)를 리메이크하면서 성인용 동시 라디오 방송을 받았다. 이 곡은 아마도 All Daired Up and No Place to Go에서 가장 효과적이지 않은 곡일 것이다.이 앨범은 앤드류 [citation needed]골드에 의해 제작되었다.
라슨은 톰 존스턴, 린다 론스타트(매드 러브), 그레이엄 내쉬, 존 스튜어트, 앨버트 해먼드, 리타 쿨리지의 발표로 가수 경력을 쌓았다.라슨은 다시 원스텝 클로저 앨범에서 두비 브라더스를 후원했다. 그녀는 히트곡 "Real Love"에서 들을 수 있다.라슨이 존 맥피, 패트릭 시몬스와 공동 작곡한 곡 "Can't Let It Get Away"는 1981년 일본에서 두비 브라더스를 위한 싱글 앨범이었다.이 노래는 [citation needed]두비 브라더스의 Farewell Tour 앨범 (1983년)에도 수록되었다.
라슨은 반 헤일런의 앨범 "Women and Children First"(1980년)의 트랙 "Can't Get Away From You"에서 데이비드 로스의 [citation needed]바람과 반대로 기타를 연주한 에디 반 헤일런에게 감사하기 위해 "Could This Be Magic"에서 하모니 보컬을 기고 있다.
라슨의 부르트 바차라크/카를레 바이엘 세이거 노래 "Fool Me Again" 녹음은 영화에서는 들을 수 없었지만 1981년 영화 아더의 베스트셀러 사운드트랙 앨범에 실렸다.라슨은 또한 "Summer Hearts"[10]라는 곡과 함께 내셔널 램푼스 바캉스(1983)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되었다.
1983–1997
라슨은 C&W 뮤지컬 펌프 보이즈 앤 디넷의 순회 공연에 출연하여 MCA 내쉬빌이 1983년에 그녀와 계약할 정도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내슈빌 음악계는 Larson의 C&W 크로스오버에 열광하여 1984년 Academy of Country Music은 그녀가 MCA 내슈빌에서 발매되기 전에 그녀를 최우수 신인 여성 보컬리스트로 선정하였다.라슨의 MCA 데뷔...Say When은 1985년까지 발매되지 않았다(그 시점까지 컨트리 팝은 더 이상 유행하지 않았고 신전통주의자들이 컨트리 장면을 장악했다).라슨의 C&W 커리어는 그녀의 6개의 MCA 싱글 앨범 중 단 한 개만이 중요한 히트를 치면서 반증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1986년 4월 앨범 발매된 "사랑의 때를 아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스티브 워리너와의 듀엣곡이다.기록은 C&W 9위에 올랐다.에모리 고디 주니어와 토니 브라운이 프로듀싱한 라슨의 MCA 앨범은 그다지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그녀의 마지막 메인스트림 앨범 발매는 이탈리아 CGD 레이블에서 만든 1988년 녹음이고 카를로 스트레티와 에르네스토 타베렐리가 프로듀싱했다.이 앨범은 미국 이외의 레이블에서 나온 그녀의 유일한 앨범이었다.1990년 라르손은 산레모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그라지아 디 미켈레와 듀엣으로 "나와 나의 아버지"[citation needed]를 불렀다.
1992년 라슨은 Neil Young과 전문적으로 재결합하여 Harvest Moon 앨범에서 노래를 불렀다.1993년에 그녀는 영의 언플러그드(Unplugged)에 출연했다.그녀는 또한 "리틀 드러머 보이"와 "그린슬리브스"에서 보컬 반주를 제공했는데, 이 곡들 중 두 곡은 영이 세븐게이츠에 기여한 곡이다: 벤 키스와 친구들의 크리스마스 앨범이다.[citation needed]라슨의 마지막 앨범은 1994년 [citation needed]소니 원더에서 발매된 어린이용 음악으로 구성된 자작곡 Sleep, Baby, Sleep이었다.
라슨은 또한 "One Bright Star"로 시즌 앨범 테네시 크리스마스 (1987년), "Child"와 "One Bright Star"로 "Christmas is a Time for Giving"으로 어쿠스틱 크리스마스 (1988년),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로 시즌 앨범에도 기여했다.1988년 라슨은 영화 "They Call Me Renegade"와 "I'd Die for This Dance"의 사운드트랙에 각각 참여하였고, 라슨은 제프 [citation needed]벡과 함께 스크린에서 라이브로 공연하였다.
1978년 녹음된 'Live at the Roxy'는 라슨이 사망한 지 9년 만인 2006년에 처음으로 완전 개봉되었다.그것은 [citation needed]코뿔소에 의해 개봉되었다.또한 2006년, 라이노 엔터테인먼트는 앨범 "A Trivent to Nicolet Larson: Lotta Love Concert"를 발매했다.1998년 2월 20일과 21일 캘리포니아 산타모니카에서 UCLA 아동병원에 혜택을 주기 위해 두 번의 "로타 러브" 콘서트가 열렸다.[1]
사생활
1970년대 에미루 해리스와의 초기 작업을 통해 라슨은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인 행크 드비토를 만났다.라슨과 드비토는 나중에 결혼했고 이혼했다.그녀는 또한 Comes a Time 세션에서 닐 영과 사귀었다.1980년대 초, 라슨은 앤드류 골드와 약혼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골드가 프로듀싱한 1982년 앨범 All Draded Up and No Place to Go가 완성되자마자 끝이 났다.1980년대 후반, 그녀는 "이상한 알"[11] 얀코비치와 잠깐 데이트를 했다.1990년 라슨은 드러머 러스 쿤켈과 결혼했고 1997년 사망할 때까지 두 사람은 결혼생활을 유지했다.이 부부의 딸 엘시 메이 라슨-쿤켈은 [12]1990년에 태어났다.
죽음.
라슨은 1997년 12월 16일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간부전으로 인한 [13]뇌부종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그녀의 친구 아스트리드 영에 따르면, 닐 영의 이복 여동생인 라슨은 우울증 증세를 보였고 그녀의 치명적인 발작은 "발륨과 타이레놀 [14]PM을 만성적으로 복용한 것과 결코 관련이 없었다"[15]고 한다.1998년 2월 라슨을 기리는 자선 콘서트가 두 번 열렸다.2007년 12월 서거 10주기와 이듬해 추모 [citation needed]콘서트가 열렸다.
음반 목록
앨범
연도 | 앨범 | 차트 위치 | 인증 | |||
---|---|---|---|---|---|---|
미국 [2] | 미국 국가 [16] | AUS [17] | 할 수 있다 | |||
1978 | 니코렛토 | 15 | — | 6 | 1 | |
1979 | 때마침 | 47 | — | 35 | 71 | |
1979 | Roxy에서의 라이브 (프로모만) | — | — | — | — | |
1981 | 라디오랜드 | 62 | — | 68 | — | |
1982 | 옷을 차려입고 갈 곳이 없다 | 75 | — | 95 | — | |
1985 | ...됐으면 그만 이라고 하세요. | — | 48 | — | — | |
1986 | 로즈 오브 마이 하트 | — | 40 | — | — | |
1988 | 섀도즈 오브 러브 | — | — | — | — | |
1994 | Sleep, Baby, Sleep: 조용한 시간을 위한 조용한 노래 | — | — | — | — | |
1995 | 그래야 사랑이 옳다는 걸 알 수 있어 (카세트) | — | — | — | — | |
1999 | 니콜레트 라슨의 최고 | — | — | — | — | |
2006 | 니콜레트 라슨에게 바치는 로타 러브 콘서트 | — | — | — | — | |
2006 | 록시 라이브 (1979년 녹음) | — | — | — | — |
싱글
연도 | 제목 | 피크 위치 | 앨범 | |||||||
---|---|---|---|---|---|---|---|---|---|---|
미국 [2] | US AC [1] | 미국 국가 [3] | AUS [17] | 할 수 있다 | CAN AC | CAN 국가 | NZ [19] | |||
1978 | '로타 러브' | 8 | 1 | — | 11 | 4 | 1 | — | 22 | 니코렛토 |
1979 | '룸바걸' | 47 | 38 | — | — | 15 | 4 | — | — | |
"조금만 줘" | 104 | 19 | — | — | — | — | — | — | ||
"Let Me Go, Love"A | 35 | 9 | — | — | 85 | 32 | — | — | 때마침 | |
1980 | 댄신 존스 | — | — | — | — | — | — | — | — | |
백 인 마이 암스 | — | — | — | — | — | — | — | — | ||
1981 | "오이이이" | 110 | — | — | — | — | — | — | — | 라디오랜드 |
'찾아올 때' | — | — | — | — | — | — | — | — | ||
'라디오랜드' | — | — | — | — | — | — | — | — | ||
'또 속아줘' | 105 | — | — | — | — | — | — | — | 아서 (사운드 트랙) | |
1982 | '너와 함께 있고 싶어' | 53 | 15 | — | — | — | 8 | — | — | 멋을 부려 갈 곳이 없다 |
1985 | '오직 사랑만이 사랑을 바로 잡는다' | — | — | 42 | — | — | — | 33 | — | ...됐으면 그만 이라고 하세요. |
'조금 외로워질 때' | — | — | 46 | — | — | — | 41 | — | ||
"교량 건설" | — | — | 72 | — | — | — | — | — | ||
1986 | "Let Me Be First" | — | — | 63 | — | — | — | — | — | 로즈 오브 마이 하트 |
"사랑이 옳을 때 그렇게 알아" (Steve Wariner와 함께) | — | — | 9 | — | — | — | 9 | — | ||
"그건 사랑에 관한 거야 (내가 알고 싶었던 것보다' | — | — | 49 | — | — | — | — | — | ||
1988 | 'Let Me Be One' | — | — | — | — | — | — | — | — | 섀도즈 오브 러브 |
A 블랙 싱글 차트 96위에 올랐다.
레퍼런스
- ^ a b "Billboard > Artists / Nicolette Larson > Chart History > Adult Contemporary". Billboard. Retrieved August 10, 2017. N.B. 이 페이지는 "Let Me Go, Love"의 어덜트 컨템포러리 차트 정점을 놓쳤다.
- ^ a b c US Billboard 피크(다른 곳에서 지정된 경우 제외):
- 핫 100 피크: N.B.이 페이지에는 "Let Me Go, Love"의 핫 100 피크가 빠져 있습니다.
- 빌보드 200, "Let Me Go, Love"와 "Bubbling Under"의 핫 100 피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 ^ a b "Billboard > Artists / Nicolette Larson > Chart History > Hot Country Songs". Billboard. Retrieved August 10, 2017. N.B. 이 페이지는 "사랑이 옳을 때 그걸 아는 방법"의 피크를 놓쳤어요.
- ^ Perrone, Pierre (December 27, 1997). "Obituary: Nicolette Larson". Independent. Retrieved September 5, 2011.
- ^ Erlewine, Stephen Thomas. "Biography: Nicolette Larson".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6, 2011.
- ^ "Nicolette Larson (vocal credits)". Discogs. Retrieved 2016-01-14.
- ^ Crowe, Cameron (November 14, 1978). "Nicolette Larson's Time Has Come". Rolling Stone. No. 280. ISSN 0035-791X.
- ^ a b Cramer, Christina (December 18, 1997). "Music World Says Goodbye To Nicolette Larson". Rolling Stone. Retrieved August 9, 2011.
- ^ "럼바 걸"은 제시 윈체스터가 쓴 곡으로, 그는 그의 Nothing But a Breeze 앨범에 "럼바 맨"이라고 소개했다.라슨은 "Nothing But a Breeze"에서 세션 가수로 활동했지만 "Rumba Man"에서 노래를 부르지 않았고, 윈체스터의 라이브 공연에서 처음 노래를 들었다.
- ^ National Lampoon's Vacation - Original Soundtrack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retrieved 2022-01-02
- ^ Yankovic, Weird Al. "Ask Al "Weird Al" Yankovic". "Weird Al" Yankovic. Retrieved September 7, 2016.
- ^ Perrone, Pierre (December 27, 1997). "Obituary: Nicolette Larson". The Independent. Retrieved January 14, 2016.
- ^ Oliver, Myrna (December 18, 1997). "Nicolette Larson; Award-Winning Singer". Los Angeles Times.
- ^ 영, 아스트리드젊은 시절, 불면증 프레스, 2007; ISBN 978-1-897178-45-4
- ^ Perreault, Frank (April 2, 2001). "FindAGrave Nicollette Larson". FindAGrave.
- ^ "Nicolette Larson> Chart History> Top Country Albums". Billboard. Retrieved August 10, 2017.
- ^ a b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173. ISBN 0-646-11917-6.
- ^ a b c "Nicolette First Gold for Larsson" (PDF). Cash Box. March 10, 1979. p. 16. Retrieved December 1, 2021 – via World Radio History.
- ^ "charts.nz > Nicolette Larson in New Zealand Charts". Hung Medien. Retrieved August 1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