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무사노프

Nikola Mushanov
니콜라 무사노프
Никола Мушанов
N.mushanov.jpg
23일 불가리아의 총리
재직중
1931년 10월 12일 – 1934년 5월 19일
모나크보리스 3세
선행자알렉산다르 말리노프
성공자키몬 게오르기예프
개인내역
태어난1872년 4월 12일
드랴노보, 오스만 제국
죽은1951년 5월 10일(1951-05-10) (79세)
불가리아 소피아

Nikola Stoykov Mushanov (Bulgarian: Никола Стойков Мушанов) (12 April 1872 in Dryanovo – 10 May 1951) was a Bulgarian liberal politician who served as Prime Minister and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그는 나중에 2차 세계대전 동안 그 나라에서 반유대주의 성장에 대한 격렬한 반대운동으로 유명해졌다.

수상

무사노프는 정치계에 입문하기 전에 법학을 공부하고 일했다.[1] 그는 1902년에 처음으로 사브라니에 선출되었다.[2]

무샤노프는 여러 정부에서 장관직을 거친 후 알렉산다르 말리노프의 건강 악화로 물러난 결정에 따라 1931년 10월 12일 정권을 잡았다.[3] 그의 가장 큰 정책적 성공은 1932년 그가 불가리아가 지불하도록 강요받았던 전쟁 배상금을 간신히 종식시켰을 때 이루어졌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책 목표는 터키와의 화해를 위해 케말 아타튀르크와 협력한다는 것이 그의 정책 목표인 반면, 경제는 여전히 빈곤 상태에 있었다.[citation needed] 그의 동시대 대부분의 무사노프 역시 내마케도니아 혁명기구를 다루는 문제에 직면했고, 개인적으로 그들의 목적에 어느 정도 공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룹의 활동에 반대하는 전임자들의 관행을 따랐다.[5] 이와 함께, 정부는 내부적인 정치적 어려움으로 얼룩졌는데, 특히 집권당인 민주연합은 총리 재임 중에 분열되고 정부는 다른 선에서 개혁되어야 했다.[6] 그 결과 1934년 5월 19일 군사 쿠데타로 군국주의적인 즈베노 운동에 의해 전복되었다.[7]

전쟁중

2차 세계 대전 동안 무샤노프는 유대인들의 유대인 대학살에 반대하는 지지자로 알려지게 되었다.[8] 그러나 무사노프는 저항세력이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고 느끼면서 저항세력에 합류할 기회를 거부했고 대신 공식 반대세력의 몇 안 되는 멤버 중 한 명으로 소브라니에 잔류하는 것을 선택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샤노프는 국내 공산주의자들을 싫어함에도 불구하고 전쟁 내내 소련 출신의 외교관들과 정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했다.[2]

무샤노프는 의원직을 유지한 채 불가리아에 반유대법 공포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데 적극적이었다.[10] 그 결과 무사노프는 연합군과 함께 강한 명성을 누렸고 1944년 불가리아와 서방 열강간의 협상 중에 불가리아 항복 수용 조건 중 하나는 무사노프가 내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11] 는 1944년 9월 콘스탄틴 무라비예프의 단명 정부에서 '포트폴리오 없는 장관'을 지냈지만 조국전선 쿠데타로 퇴임했다.[12] 무샤노프와 전선의 지도자들 사이의 간헐적인 접촉은 협상이 수포로 돌아갔지만 1942년에서 1943년 사이에 존재했고, 무샤노프는 차르에 대한 개인적인 충성심을 유지했고, 이쯤 되면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13]

만년

불가리아에서 공산주의가 성립된 뒤 이어진 보복에서 무사노프는 무라비예프 내각의 나머지 사람들과 함께 죽음을 면했지만 투옥되었다.[14] 무사노프는 비록 그의 노력이 헛되이 증명되기는 했지만, 새로운 불가리아 공산당 정부를 설득하여 이 나라의 민주주의를 다시 세우도록 시도했다.[citation needed]

참조

  1. ^ 프레더릭 B. 샤리, 불가리아의 역사, ABC-CLIO, 2011, 페이지 183
  2. ^ a b 마샬 리 밀러, 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75, 페이지 205
  3. ^ 샤리, 불가리아의 역사, 페이지 72
  4. ^ 마틴 밀러-이안니, 불가리아 역사 - 2010년, 페이지 33
  5. ^ 마리나 캣타루자, 스테판 디로프, 디터 랑게비슈, 영토수정주의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동맹: 목표, 기대, 실천, 2012, 페이지 166
  6. ^ S.G. 에반스, 불가리아, 런던, 로렌스와 위스타트의 짧은 역사, 1960년, 페이지 171
  7. ^ 스파스 라슈킨, 정당한 명분을 지닌 반란군: 20세기의 바람을 거스르는 정치적 여정, 펜소프트 출판사, 2001, 페이지 192
  8. ^ 비트리츠 로사네스 사모일로프, '지난 세계 대전불가리아 유대인 구제'(아카이브판)
  9. ^ 샤리, 불가리아의 역사, 페이지 102
  10. ^ 프레더릭 B. 샤리, 불가리아 유대인과 최종 해결책, 1940-1944, 피츠버그 대학 출판부, 1972, 페이지 40
  11. ^ 차리, 불가리아 유대인최종 해결책 174페이지
  12. ^ 채리, 불가리아 유대인과 최종 해결책, 페이지 218
  13. ^ 제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밀러, 페이지 161
  14. ^ 사브리나 P. 라멧, 동유럽: 1939년 이후 정치, 문화, 사회,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1998년, 페이지 228

외부 링크

정치국
선행자 불가리아의 총리
1931–193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