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노 머시(2005)

No Mercy (2005)
노 머시
WWE No mercy 2005.jpg
에디 게레로가 등장하는 홍보 포스터
프로모션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브랜드스맥다운!
날짜2005년 10월 9일
도시텍사스휴스턴
장소토요타 센터
출석7,000[1]
매입율219,000
유료 조회수
이전
용서받지 못한
다음
금기 화요일
노 머시 연대기
이전
2004
다음
2006

2005년 No Mercy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가 제작한 8번째머시 프로레슬링 유료방송(PPV) 행사였다.그것은 프로모션의 스맥다운! 브랜드 사업부의 레슬링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열렸다.이 행사는 2005년 10월 9일 텍사스휴스턴도요타 센터에서 열렸다.대회 카드에는 프로레슬링 9경기가 예정돼 있었다.

스맥다운! 브랜드의 독점적인 4개 대회 중 3개가 경합되었다. 하나는 패하고 나머지 두 개는 존속되었다. 종목세계 헤비급 챔피언 바티스타가 도전자 에디 게레로를 꺾고 우승컵을 지키는 표준 레슬링 경기였다.이번 경기는 게레로가 한 달 뒤 갑작스럽게 사망하기 전 마지막 유료 경기가 될 것이다.오튼스(랜디 "카우보이" 밥)와 언더테이커(The Endertaker)의 캐스켓 경기가 특징이었다.오르튼 부부는 언더테이커를 관 에 넣고 닫은 뒤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다.또 다른 1차 예선전은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JBL)와 제이비엘이 이긴 레이 미스테리오의 표준전이었다.

이날 행사는 뷰당 21만9000건의 유료매수를 받았는데 이는 전년도의 19만3000건의 매입보다 많은 수치다.이번 대회는 캐나다 온라인 익스플로러 프로레슬링 부문에서는 10점 만점에 5점 이상 높은 점수를 받은 경기가 하나도 없어 '불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이 행사가 DVD로 공개되자, 빌보드 레크리에이션 스포츠용 DVD 판매 차트에서 4위로 정점을 찍었다.그것은 4주 연속 차트에 머물렀다.

생산

배경

머시는 1999년 5월 월드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가 영국 독점 유료관람권(PPV)으로 처음 개최한 대회다.[2]그 후 같은 해 10월에 두 번째 노 머시가 열렸으나, 미국에서 노 머시를 매년 10월 PPV로 설립하여 홍보를 하였다.[3]2005년 행사는 No Mercy 연대기에 따른 8번째 행사로 10월 9일 텍사스주 휴스턴토요타 센터에서 열렸다.지난 2년 동안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레슬링 선수들을 특징으로 했다.[1]

줄거리

대회 카드에는 WWE의 각본 작가들이 미리 정한 성과로 기획한 프로레슬링 9경기가 등장했다.이러한 경기와 행사 전후에 벌어진 시나리오에 대한 축적은 각본 작가들에 의해 계획되었다.이번 행사에는 WWE의 스맥다운! 브랜드에 소속된 레슬링 선수들과 다른 인재들이 참가했으며, WWE는 직원들을 배치했다.[4]레슬링 선수들은 관객들의 즐거움을 위해 악당이나 팬이 좋아하는 속임수를 스크린에서 연기했다.

에디 게레로를 상대로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지킨 바티스타

머시(No Mercy)로 향하는 주요 경쟁 상대는 바티스타와 에디 게레로(Eddie Guerrero)가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놓고 벌이는 대결이었다.스맥다운!의 9월 16일 에피소드에서, 묘사한 매치메이커 겸 규칙 집행자인 스맥다운의 잡다한 화면상의 권위자 파머 캐넌은 게레로가 바티스타의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의 다음 도전자라고 발표했다.[5]최근 교활한 캐릭터를 그려왔던 게레로가 나와 이제는 조작이라기보다는 동정심에 가깝다고 주장했다.[5]그로부터 2주 후인 9월 30일, 스맥다운!의 9월 30회에서 게레로는 대본 이벤트의 일환으로 MNM 태그팀 멤버 조이 머큐리를 치려다 실수로 바티스타를 접이식 의자로 때렸다.[6]다음 주, 바티스타는 게레로가 지난 주에 바티스타를 때리는 장면을 보여주었다.그리고 나서 바티스타는 그들의 이야기 줄거리의 일부로서, 만약 그가 그의 악한 캐릭터로 돌아간다면 게레로를 해칠 것이라고 선언했다.[7]

언더테이커랜디 오튼 "카우보이" 오튼의 불화는 서머슬램에서 시작되었다.이 행사에서 랜디는 언더테이커와 대결했다.경기 도중 '카우보이' 밥(팬으로 분)이 링 안으로 들어와 경기를 방해했다.이에 따라 랜디는 언더테이커를 점프한 뒤 언더테이커의 머리를 어깨 위로 끌어내려 RKO로 불리는 동작으로 우승했다.[8]경기가 끝난 후 랜디는 선풍기의 라텍스 마스크를 벗겨내고 아버지 '카우보이' 밥이라고 밝혔다.[8]스맥다운!의 9월 16일 에피소드에서 언더세커는 랜디를 이겼다.경기 도중 '카우보이' 밥은 유하울 트럭을 몰고 링으로 내려간 뒤 을 내렸다.장의사가 랜디를 관 안에 넣으러 갔을 때, 그는 그것을 열었고 안에서 자신의 마네킹을 발견했다.[5]이런 방해에도 불구하고 장의사는 랜디가 묘비 쌓기 으로 때린 후 그를 꼬집었다.[5]그 다음 주에 드루이드들이 관을 홱 잡아당겨 꺼냈다.언더테이커가 타이탄트론에 나타나 오르튼이 안을 들여다보라고 촉구했다.오르톤 족은 관을 열고 안에서 마네킹을 발견했다.그리고 나서 장의사는 이것이 노 머시에서의 그들의 운명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9]

앞서 열린 스맥다운! 브랜드 페이퍼뷰 이벤트에서는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더 리전드 오브 둠(로드 워리어 애니멀하이덴라이치)이 MNM(조이 머큐리, 조니 니트로)을 꺾고 WWE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0]두 팀 모두 MNM 소속이었던 멜리나(멜리나 페레즈)와 크리스티 헤메의 줄거리에 휘말린 뒤 노 머시를 위해 The Legion of Doom and Hemme 대 MNM이 발표됐다.[6]

WWE US 챔피언십을 둘러싼 줄거리는 부커 T, 올랜도 조던, 크리스찬이 챔피언 크리스 베누이트와 타이틀 매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각각 설명하면서 시작됐다.[6]스크린에 등장하는 총지배인/권위자 Theodore Long's smackDown's's smackDown's's general manager/authority figure's continuit, Benoit이 타이틀을 위해 누구를 상대하고 싶은지요르단이 부커와 크리스티안도 참여한 트리플 위협 경기에서 승리한 후, 베누이트는 노 머시에서의 네 사람 사이의 페이탈 4웨이 경기에서 세 남자 모두를 상대하기로 결정했다.[6]

이벤트

행사의 생방송이 시작되기 전, 윌리엄 리갈과 폴 버칠은 선데이 나이트 히트 프리쇼에서 방송된 태그팀 경기에서 폴 런던과 브라이언 켄드릭을 물리쳤다.[11]

예선 경기

기타 화면상 인원[12]
역할: 이름:
영어 해설가 마이클 콜
타즈
스페인어 해설자 카를로스 카브레라
휴고 사비노비치
인터뷰어 스티브 로메로
링 아나운서 토니 치멜
심판 닉 패트릭
찰스 로빈슨
브라이언 헤브너
짐 코데라스

이 행사의 첫 경기는 6명으로 구성된 태그팀 경기에서 The Legion of Doom(동물하이덴라이치)과 크리스티 헴메(Christy Hemme)와 MNM(조이 머큐리, 조니 니트로, 멜리나)이었다.MNM이 지배하는 경기 후, Hemme는 멜리나를 그녀의 팀을 위해 이기기 위해 Doomsday Device를 실행한 후에 으로 고정시켰다.[4][12]

다음 경기에서는 WWE 유료방송 데뷔전을 치른 바비 래슐리사이먼 딘과 맞붙었다.래슐리는 도미네이터의 뒤를 이어 딘에게 핀을 꽂은 후 2분 만에 경기에서 승리했다.래슐리는 쇼가 진행되는 동안 딘에게 20개의 더블 치즈버거를 먹으라고 강요했다.[4][12]

세 번째 대회는 크리스 베누이트부커 T, 크리스티안, 올랜도 조던을 상대로 미국 챔피언십을 지킨 치명적인 4파전이었다.네 명의 남자 모두가 고르게 통제하는 경기가 끝난 후, 베누이트는 크리스찬에게 경기에서 이기고 타이틀을 유지하기 위해 날카로운 슈터 제출을 보류하도록 강요했다.[4][12]

다음 경기에서 케네디하드코어 홀리와 맞붙었다.케네디는 홀리의 팔에 다양한 항복 홀드를 적용하고 공격하면서 대부분의 경기를 지배했다.케네디는 홀리가 그린 베이 스팍을 맨 윗줄에서 떨어뜨린 후 그를 꼼짝 못하게 했다.[4][12]

다음 경기에서는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JBL)가 레이 미스테리오와 맞붙었다.각자가 여러 차례 우위를 점하면서 경기는 오락가락했다.JBL은 우승하기 위해 지옥에서 온 빨랫줄에 미스테리오를 꽂았다.[4][12]

주 이벤트 일치

카드의 여섯 번째 시합은 The Ortons (Randy and "Cowboy" Bob)와 The Underdicker의 Casket 경기였다.장의사가 경기에서 이기려면, 그는 랜디와 "카우보이" 밥 둘 다 링사이드에 있는 관에 넣고 닫아야 했고, 오튼 부부는 장의자를 관에 넣고 닫아야 했다.경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장의사는 "카우보이" 밥도 관에 넣었고 랜디도 관에 넣으려고 시도하고 있었다.랜디에게 마지막 승마를 한 후에 장의사는 관을 열러 갔다.하지만 그가 그랬던 것처럼 '카우보이' 밥은 눈에 소화기를 뿌렸다.그러자 랜디는 접는 의자로 장의사를 때리고 관에 넣었다.오르튼 부부는 시합에서 이기기 위해 관을 닫았다.[4][12]경기가 끝난 후 오르튼 부부는 대본 이벤트의 일환으로 장의사를 관에 가두고 도끼로 수없이 때렸다.그리고 나서 그들은 관에 휘발유를 붓고 불에 불을 붙였다(Royal Rumble 1998년과 마찬가지로).[4][12]

다음 경기에서는 WWE 크루저급 챔피언 넌지오가 주벤투드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주벤투드는 두 선수의 전후반 경기 후 농성 특종 슬램이 강물을 쌓은 후 낭지오를 핀으로 꽂아 경기에서 승리하고 크루저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4][12]

다음은 바티스타가 에디 게레로를 상대로 세계 헤비급챔피언십을 수비하는 모습을 본 대회였다.경기 막바지에 이르자 게레로는 세 개의 수직 복합체를 처형하고, 개구리 스플래시 공연을 시도했다.그러나 바티스타는 몸을 굴려 스쿼프버스터를 선보였다.바티스타는 이후 게레로를 핀으로 꽂아 경기에서 승리하고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유지했다.[4][12]경기가 끝난 후, 바티스타와 경기장의 관중들은 게레로에게 "생일 축하해"를 불렀다.[13]

리셉션

이날 행사는 뷰당 21만9000건의 유료매수를 받았는데 이는 전년도의 19만3000건의 매입보다 많은 수치다.[14]이번 프로모션의 매출은 1,880만 달러로 전년도 매출인 1,850만 달러보다 많았다.[14]캐나다 온라인 탐험가의 프로레슬링 섹션은 이 행사가 "실용적이지 않다"고 주장했고, 그것은 팬들을 "자비를 구걸"[4]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그들은 주요 이벤트뿐만 아니라 전체 이벤트를 10점 만점에 5점으로 평가했다.[4]10점 만점에 5점 이상의 등급을 받은 경기는 없었다.바비 래슐리와 사이먼 딘의 경기는 10점 만점에 3점으로 전체 최하위로 평가됐다.[4]

이 행사는 2005년 11월 8일 DVD로 발매되었다.[15][16]이 DVD는 2005년 12월 3일 빌보드의 레크리에이션 스포츠용 DVD 판매 차트에서 최고 4위에 올랐다.[17]9위였던 12월 24일까지 4주 연속 차트에 머물렀다.[18]

여파

바티스타와 에디 게레로의 경쟁은 2005년 11월 13일 게레로가 심장마비로 인해 뜻하지 않게 사망한 후 끝이 났다.[19]게레로가 영웅적인 성격으로 돌아가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을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불화는 계속될 계획이었다.[20]

장의사는 이벤트에서 관 안에서 불에 탄 후 서바이버 시리즈가 끝날 때까지 화면에 나타나지 않았다.[21]그의 탈락 경기에서 유일한 생존자가 된 후, 랜디 오튼은 그의 아버지 "카우보이" 밥 오튼과 스맥다운 브랜드의 레슬링 선수들과 함께 승리를 축하했다.축하하는 동안 드루이드들은 관을 꺼내 똑바로 세운 자세로 세웠다.[21]그리고 나서 번개가 관에 부딪쳐 불을 질렀다.장의사가 불타는 관에서 나와 스맥다운 씨름꾼들을 공격했다.[21]그러나 오르튼 일가는 공격을 면했다.이것은 아마겟돈에서 랜디와 언더테이커의 셀 경기에서 지옥을 만들었다.언더테이커는 랜디를 물리치고 1년 가까이 이어졌던 그들의 줄거리를 끝냈다.[22]

이 대회에서 WWE US 챔피언십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크리스 베누이트는 부커 T. 부커가 10월 21일자 스맥다운에서 베누이트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그들의 불화를 시작하게 되었다.[23]다음 달, 스맥다운! 11월 24일판에서는 두 남자의 어깨가 서로 끼여들면서 매트에 오른 후, 타이틀을 위한 베누이트와 부커의 경기가 무경쟁으로 끝났다.[24]테오도르 롱은 그 후 타이틀을 비우고, 두 사람이 "Best of Seven" 시리즈에서 맞붙을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 시리즈에서 승자는 상대편보다 4승을 먼저 거둔 사람이 될 것이다.[24]부커는 서바이버 시리즈 1차전에서 베누이트를 꺾었고,[21] 결국 1월 하우스쇼에서 발목이 정당한 부상으로 교체된 부커의 교체선수 랜디 오튼이 [25]7차전과 결승전에서 베누이트를 꺾은 뒤 빈 타이틀을 거머쥐었다.[26]부커는 미국 챔피언으로서 4번째 통치를 시작했다.[26]

결과.

아니요. 결과[4][12][27] 규정 타임즈[12]
1H Paul Burchill과 William RegalBrian Kendrick과 Paul London[11] 물리쳤다. 태그팀 매치 -
2 Christy HemmeThe Legion of Doom (Animal and Heidenreich)이 MNM(Joey Mercury, Johnny Nitro, Melina)을 물리쳤다. 태그팀 매치 6:28
3 바비 래슬리사이먼 딘을 물리쳤다. 싱글스 매치 1:55
4 크리스 베누이트(c)는 부커 T(샤르멜), 크리스티안, 올랜도 요르단을 굴복시켜 물리쳤다. WWE 미국 선수권대회 치명적인 4-Way 경기 10:22
5 케네디씨하드코어 홀리를 물리쳤다. 싱글스 매치 8:49
6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질리언 홀과 함께)가 레이 미스테리오를 물리쳤다. 싱글스 매치 13:24
7 랜디 오튼과 밥 오튼언더테이커를 물리쳤다. 핸디캡 관매치 19:16
8 후벤투드(시스코스와 슈퍼 크레이지 포함)는 낭지오(c)(비토)를 물리쳤다. WWE 크루저급 챔피언십 단식 경기 6:38
9 바티스타(c)가 에디 게레로를 꺾었다.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 단식 경기 18:40
  • (c) – 경기에 진출하는 챔피언을 말한다.
  • H – 경기가 일요일 더위에 유료방송 이전에 방송되었음을 표시함

참조

  1. ^ a b "No Mercy 2005". Pro Wrestling History. Retrieved January 28, 2010.
  2. ^ "WWF No Mercy".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January 26, 2021.
  3. ^ "No Mercy 1999: Venu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December 22, 2008.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Sokol, Chris (October 9, 2005). "Latest WWE PPV unmerciful". Slam! Sports. Canadian Online Explorer. Retrieved July 24, 2008.
  5. ^ a b c d Giebink, Dusty (September 16, 2005). "9/16 WWE SmackDown review". PW Torch. Retrieved July 24, 2008.
  6. ^ a b c d "Amigos...Partners...Champion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September 30, 2005. Retrieved July 24, 2008.
  7. ^ McNamara, Andy (October 7, 2005). "SmackDown: Amigos battle". Slam! Sports. Canadian Online Explorer. Retrieved July 24, 2008.
  8. ^ a b SummerSlam 2005 (DVD). Stamford, Connecticut: WWE Home Video. 2005. WWE56085.
  9. ^ Keller, Wade (September 23, 2005). "Keller's SmackDown! Report 9/23". PW Torch. Retrieved July 24, 2008.
  10. ^ The Great American Bash 2005 (DVD). Stamford, Connecticut: WWE Home Video. 2005. WWE56079.
  11. ^ a b Martin, Adam (October 9, 2005). "No Mercy PPV Results – 10/9/05 – Houston, TX (Batista vs. Guerrero)". WrestleView. Retrieved September 20, 2008.
  12. ^ a b c d e f g h i j k l No Mercy 2005 (DVD). Stamford, Connecticut: WWE Home Video. 2005. WWE56087.
  13. ^ Batista, Dave; Roberts, Jeremy (2007). Batista Unleashed. Simon & Schuster. p. 208. ISBN 978-1-4165-4410-4.
  14. ^ a b "WWE Reports Second Quarter Results" (PDF) (Press releas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November 1,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6, 2008. Retrieved August 7, 2008.
  15. ^ "WWE: No Mercy 2005". For Your Entertai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6, 2009. Retrieved August 7, 2008.
  16. ^ "WWE – No Mercy 2005 DVD". CD Universe. Retrieved August 7, 2008.
  17. ^ "WWE No Mercy 2005 DVD sales".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6, 2009. Retrieved August 7, 2008.
  18. ^ "WWE No Mercy 2005 DVD sales".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6, 2009. Retrieved August 7, 2007.
  19. ^ Martin, Adam (November 13, 2005). "Another update on the passing of Eddie Guerrero; heart failure possible". WrestleView. Retrieved September 6, 2008.
  20. ^ Batista, Dave; Roberts, Jeremy (2007). Batista Unleashed. Simon & Schuster. pp. 214–215. ISBN 978-1-4165-4410-4.
  21. ^ a b c d Survivor Series 2005 (DVD). Stamford, Connecticut: WWE Home Video. 2005. WWE56088.
  22. ^ Armageddon 2005 (DVD). Stamford, Connecticut: WWE Home Video. 2006. WWE94518.
  23. ^ McNamara, Andy (October 21, 2005). "SmackDown: Booking a US title change". Slam! Sports. Canadian Online Explorer. Retrieved July 24, 2008.
  24. ^ a b Roe, Mike (November 27, 2005). "11/25 WWE Friday Night Smackdown review: Smackdown Express". Pro Wrestling Torch. Retrieved July 24, 2008.
  25. ^ "SLAM! Sports – Wrestling – Booker T". Slam.canoe.ca. Retrieved August 13, 2012.
  26. ^ a b "Booker's fourth reign".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Internet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9, 2007. Retrieved July 24, 2008.
  27. ^ "No Mercy 2005 result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July 24, 200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