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토 로그라소
Vito LoGrasso비토 로그라소 | |
---|---|
![]() 로그라소, 일명 빅 비토, 2013년 3월 쇼에 등장 | |
생년월일 | 비토 조셉 로그라소 |
태어난 | [1] 브루클린, 뉴욕, 미국 | ( 1964년 6월 18일 (
배우자 | 노엘 할로우 (m.2014년) |
프로레슬링 경력 | |
링명 | 빅 비토[2] 산타클로스 스컬 본 크러쉬[2] 폰 크루스 비토 크루스[2] 비토 로그라소[2] 비토 |
청구 높이 | 6 피트 2 인치 (188 cm)[3] |
청구 중량 | 250파운드 (150kg)[3] |
청구처 | 리틀 이탈리아, 맨해튼,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 (뉴욕) 독일(Von Krus로서) |
트레이닝 대상자 | 조니 로즈[2] |
데뷔 | 1990년[2] |
은퇴한 | 2014년[4] |
비토 조지프 로그라소[5](Vito Lograsso, 1964년 6월 18일 ~ )는 미국의 배우이자 프로레슬러로, 빅 비토로서의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과 최근에는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에서의 업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과 딥 사우스 레슬링의 "개발 영역"인 비토에서 [2]일하고 있다.
프로레슬링 경력
독립 회선(1990-1998, 2001-2004)
로그라소는 1990년 독립 서킷에서 레슬링을 시작해 일본에 거점을 둔 NOW 레슬링 연맹으로부터 접근받았다.그리고 Vito는 Skull Von Krush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USWA와 WWC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로그라소는 NOW 주행 후 다른 기회에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우선 1998년 신년 자이언트 시리즈 로열전에서 미사와 미쓰하루에게 핀폴 탈락한 전일본 프로레슬링으로, 3관왕에서 스턴너를 치고 탈락했다.빅 비토로서 2003년 4월 리키 조슈의 격투 월드 오브 재팬 프로레슬링에서 씨름하는 동안, 「미스터 푸로레스」텐류 겐이치로와 2회 팀을 이뤘다.
세계 레슬링 연맹 (1991년 ~ 1993년)
그는 1991년에 미국으로 돌아와 WWF의 인핸스먼트 탤런트가 되었다.그는 WWF 먼데이 나이트 로우 초판에서 "악랄한 외국인" 속임수를 쓰는 독일 레슬링 선수 본 크루스 역으로 씨름했다.
멤피스 레슬링 (1994년)
1994년 비토는 USWA에서 리 워맥이 관리하는 스컬 본 크러쉬로 데뷔했다.그는 Brian Christopher, Spell Binder, Jeff Gaylord와 다투었다.1994년 3월 7일 멤피스 메모리 쇼.스컬 본 크러쉬 역의 비토는 멤피스에서 열린 USWA 쇼에서 대니 데이비스 & 켄 웨인과 6인조 태그매치를 벌여 제프 게일로드, 킹 코브라 & 스펠바인더 팀을 물리쳤다.그는 또한 나중에 제리 롤러를 공격했다.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 (1999년)
그 프로모션에서 많은 성공을 거둔 후, 비토는 조니 로즈 트레이닝 스쿨에서 익스트림 레슬러 태즈를 만났고, 그는 ECW에서 그를 시험해 볼 수 있었다.그가 ECW에서 시작했을 때, 그는 여전히 스컬 폰 크러쉬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다.그는 나중에 비토 "해골" 로그라소로 이름을 바꾸고 "다 발디스"의 스태블의 멤버가 되었다. 이 스토리에서 그는 실제 뉴욕 거리 갱의 분파라고 주장했고, 뉴 잭이 자신을 "갱스타"라고 부르는 것을 문제 삼으며 그와 [2]불화를 시작했다.비토는 빌리 알리모와 함께 지금은 없어진 LIWF에서 몇 개의 쇼를 했고 뉴욕 퀸스의 엘크스 로지에서 열린 관 경기에서 융커드 개 추모 쇼에 출연했다.
1999년 11월 19일 TNN ECW 레슬링에서 로그라소는 태그팀 매치에 걸려 넘어진 패자가 이미 WCW와 계약했기 때문에 회사를 떠나야 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 레슬링 (1999년 ~ 2001년)
1999년 비토는 ECW를 떠나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을 위해 마말루케스의 [6]조니 더 불과 팀을 이뤘다.토니 마리나라 감독 The Mamalukes는 WCW World Tag Team Championship을 두 번 우승했고 WCW Hardcore [2]Championship을 공동 수상했습니다.하지만 우승을 차지한 뒤 비토와 조니는 챔피언 1명을 차지하기 위해 맞붙어야 했다.[2]
WCW에서, 비토는 실제로 그가 자란 뉴욕의 Staten Island에서 광고되었다.
2000년 12월, Mamalukes는 재결합하여 2001년 3월까지 팀을 이루어 WCW가 WWF에 인수되었습니다.인수 후, 비토는 The Invasion의 일원이 되지도 않고, 제공된 대규모 티켓 구입을 하지도 않은 채 셔플에 빠진 레슬링 선수 중 한 명이었다.
토탈 논스톱 액션 레슬링 (2004)
비토는 또한 2004년 말 글렌 길버트티, 트리니티, 조니 스윙거와 함께 토탈 논스톱 액션 레슬링에서 "뉴욕 커넥션"[7]으로 잠깐 공연을 했다.그의 유일한 불화는 "아일랜드인" 팻 케니와의 싸움이었고,[8][9] 그들은 승리를 교환했다.
WWE로 돌아가다
풀블러드 이탈리아와 싱글 대회 (2005-2007)
2005년 초, 비토는 6월에 [10]WWE와 계약을 맺기 전에 Val Venis와 함께 다양한 다크매치에서 일했다.
2005년 8월 6일 Velocity 에피소드에서 Vito는 WWE에 데뷔하여 Nunzio가 폴 [11]런던에서 WWE Cruisherweight Championship을 우승하도록 도왔다.그 후 비토와 넌지오는 풀블러드 이탈리아인으로 재결성하여 다양한 [2]태그팀 경기에서 레슬링을 하게 된다.그레고리 헬름스와의 짧은 불화 끝에 2006년 3월 비토와 넌지오는 "대부"로 인정받고 싶다고 선언한 후 발길을 돌렸다.
5월부터는 올란도 조던과 폴 버칠과 같은 레슬링 선수들이 넌지오에게 접근해 다양한 형태의 여장을 [12][13]한 비토를 공공장소에서 봤다는 소문을 퍼뜨렸다.2006년 6월 2일, SMACKDOWN! 에피소드에서 난지오가 매트 하디에게 패한 후, 드레스를 입은 비토가 난지오를 무대 [14]뒤에서 도우러 나왔다.그 다음 주 스맥다운!에서 비토의 옷 선택에 대해 논쟁을 벌인 후, 두 사람은 서로 시합을 벌였고, 그곳에서 비토는 넌지오를 [15]이겼다.얼마 후 Nunzio는 ECW 브랜드에 합류하여 Vito를 SmackDown!에 남겨두고 [16]팀을 공식적으로 해체했다.
그가 여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비토는 그가 이성애자라고 계속해서 설명했고, 6월 23일 스맥다운에서 비토는 애슐리 마사로에게 데이트를 신청했고,[17] 그녀는 이에 동의했다.그리고 나서 비토는 경기를 하는 동안 뛰어다니며 드레스를 흔들거나 팬들과 교류하며 "더 재미있는" 것을 시작하였고, 다시 한번 그의 얼굴을 [18]돌리게 했다.이 기간 동안, 스맥다운! 컬러 해설가 존 [20]"브래드쇼" 레이필드와 함께 몬텔 본타비어스[19] 포터와 윌리엄 리갈은 드레스를 입은 남자와 씨름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문제를 말하기 시작했다.MVP와 리갈 둘 다 스맥다운을 위협했다!제너럴 매니저 테오도르 롱이 [21]비토와의 시합에서 벗어나기 위해 성희롱 소송을 제기했습니다.동시에, WWE는 비토의 드레스가 올라가고 엉덩이가 드러나는 모든 사건들을 "검열"하기 시작했다.이후 비토는 파트너 실베스터 터케이의 방해로 일라이저 버크에게 패배한 10월 20일 스맥다운! 에피소드까지 4개월 동안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11월 3일 스맥다운!에서 비토는 라일라와 팀을 이루어 미즈와 크리스탈을 상대로 패배했다.
2007년 5월 15일, 비토는 WWE와의 [22]계약에서 풀려났다.
딥 사우스 레슬링 (2007)
2007년 1월 25일, 비토는 딥 사우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서 전 챔피언 브래들리 제이와 라이언 오라일리를 3자전에서 [2]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타이틀 우승 후 비토는 킥복싱 스타일의 트렁크와 하치마키 머리띠, 신발 없이 씨름을 시작하면서 격투기 캐릭터로 교묘한 변화를 겪게 된다.비토는 나중에 그가 경기에서 이긴 유일한 이유는 그가 드레스를 [2]입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비토는 WWE 히트 23에 앞서 차보 게레로와 그레고리 헬름스와의 태그팀 경기에서 벌목꾼으로 등장했을 때 그의 새로운 술책을 잠시 쓰곤 했다.2월 22일, 비토는 [2]제이에게 타이틀을 다시 빼앗겼다.
독립 회로로의 복귀(2009-2015)

Vito는 2009년, 2010년, 2011년 ISPW, ACPW, ACW, PWX, DTW 및 Wressing for a Cause를 위해 미국에서 레슬링을 할 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몰타, 네팔 및 캐나다에서 공연을 계속했습니다.
그는 또한 아일랜드 위프 레슬링과 함께 유럽 투어에서 여러 번 씨름했다.
2011년 2월 24일 네팔 카트만두에서 열린 골든씨네 프로레슬링쇼에서 히말라야 타이거를 꺾고 네팔 [23]최초의 프로레슬링 챔피언이 됐다.2011년 3월 1일, 주네팔 미국 대사관은 Vito의 출석을 요청했습니다.주네팔 미국대사관 테리 J. 공보담당 참사관의 영접과 축하를 받았다.백인과 스태프.
2013년 3월 2일, 비토는 캐나다에서 Nunzio와 Pitbull Gary Wolfe and Balls와의 ECW 하드코어 로드 트립에 참가했습니다.그는 또한 카드상에서 스컬 본 크루쉬로 알 스노우를 상대했다.
2013년 8월 Vito는 플로리다 주 클리어워터에 레슬링 스쿨을 개설하고 웹사이트 BigVito.com을 개설했습니다.
2013년 9월 19일, 비토는 링 워리어스에 안정적인 더 슬램비노스의 리더로 출연했다.
2013년 9월 18일, 로그라소의 레슬링 학교는 드래곤 게이트 USA 레슬링과 팜 [24]시스템으로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2014년 중반, Vito는 링 [4]내 대회에서 은퇴했습니다.비토는 2015년 4월 슬램비노스의 감독으로 링 워리어스에 다시 등장했다.
연기 경력
로그라소는 공상과학 영화 [25]서바이버에서 보도로 단역을 맡았다.그는 클린트 하워드, 빌 모즐리, 리사 윌콕스, 애슐리 C와 함께 2014년 공포 스릴러 영화 "더 처치"에서 주연을 맡았다. 윌리엄스.[26]그는 액션 스릴러 영화 [27]'아페아'에서 스턴트 코디네이터로 일하는 리카르도 루이스 역으로 출연한다.
사생활
비토는 2014년 9월 27일 전직 레슬링 스타이자 모델인 노엘 할로우 로그라소와 결혼했다.그들은 이전에 미국에서 함께 일했는데, 그 곳에서 그녀는 그의 "빅 비토"[28]라는 이름을 희곡으로 "릴 노엘"이라고 광고되었다.
Lograsso는 2017년 7월에 RELM Network에서 Vince Russo의 "The Brand"와 팟캐스트를 시작했습니다.그는 2017년 8월에 아내 노엘과 루소와 함께 자신만의 팟캐스트 시리즈를 시작했다.
로그라소(전 WWE NXT 선수 애덤 머서와 함께)는 2015년 1월 WWE를 [29]상대로 뇌진탕 소송을 제기했다.그 소송은 4월에 기각되었다
챔피언십과 업적
- 아토믹 챔피언십 레슬링
- A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ACW 트리스테이트 챔피언십 (1회)
- 아메리칸 챔피언십 프로레슬링
- ACP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빅 타임 레슬링
- BT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딥 사우스 레슬링
- 세계 레슬링 평의회
- WWC World Tag Team Championship (1회) - 킬러와 함께
- 유럽 레슬링 프로모션
- 아이언맨 하드코어 녹아웃 토너먼트 (2002)
- 골든씨네 프로레슬링
- 네팔 프로레슬링 헤비급 챔피언십 (1회)
- 국제 레슬링 협회
- 미드웨스트 챔피언십 레슬링 얼라이언스
- MCWA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헬무트[30] 헤슬러와 함께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는 2000년에 그를 PWI 500에서 91위에 랭크시켰다.
- 프로레슬링 Xtreme
- PWX World Tag Team Championship (1회) - Francisco Ciatso와 함께
- 미국 익스트림 레슬링
- UXW 미국 챔피언십 (1회)[2]
-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레퍼런스
- ^ "Individual's Charge Report - LOGRASSO, VITO JOSEPH". Hillsborough County Sheriff's Office. 2008-09-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9-27. Retrieved 2008-09-2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Big Vito". Online World of Wrestling. Retrieved 2009-05-09.
- ^ a b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Encyclopedia. DK. p. 332. ISBN 978-0-7566-4190-0.
- ^ a b c "Davenport's Vito LoGrasso bridges the gap between wrestling and acting". OrlandoSentinel.com.
{{cite web}}
:first=
실종된last=
(도움말) - ^ "Vito Lograsso".
- ^ "The Mamalukes". Online World of Wrestling. Retrieved 2009-05-08.
- ^ "NWA: Total Nonstop Action PPV; July 14, 2004 - Nashville, Tennessee - Aired Live". Online World of Wrestling. 2004-07-14. Retrieved 2009-05-09.
- ^ "NWA: Total Nonstop Action PPV; July 21, 2004 - Nashville, Tennessee - Aired Live". Online World of Wrestling. 2004-07-21. Retrieved 2009-05-09.
- ^ "NWA: Total Nonstop Action PPV; August 4, 2004 - Nashville, Tennessee - Aired Live". Online World of Wrestling. 2004-08-04. Retrieved 2009-05-09.
- ^ "WWE SmackDown! Results - February 24, 2005". Online World of Wrestling. 2005-02-24. Retrieved 2009-05-09.
- ^ "WWE SmackDown! Results - August 4, 2005". Online World of Wrestling. 2005-08-04. Retrieved 2009-05-09.
- ^ "Tragic Homecoming". WWE. 2006-05-12. Retrieved 2007-12-23.
- ^ "Seeing red". WWE. 2006-05-19. Retrieved 2007-12-23.
- ^ "All hail the king". WWE. 2006-06-02. Retrieved 2007-12-23.
- ^ "Hell week continues". WWE. 2006-06-09. Retrieved 2007-12-23.
- ^ "An Extreme Debut". WWE. 2006-06-13. Retrieved 2007-12-23.
- ^ Dee, Louie (2006-06-23). "Family tradition". WWE. Retrieved 2008-01-27.
- ^ "Lashley reigns supreme". WWE. 2006-06-30. Retrieved 2007-12-23.
- ^ "Friday knightmare". WWE. 2006-06-30. Retrieved 2007-12-23.
- ^ "Signing Bonus". WWE. 2006-09-01. Retrieved 2007-12-23.
- ^ "All the King's men". WWE. 2006-09-08. Retrieved 2007-12-23.
- ^ "Vito released". WWE. 2007-05-15. Retrieved 2009-05-09.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25. Retrieved 2011-02-27.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PWInsiderXTRA.com". www.pwinsiderxtra.com.
- ^ IMDb의 Vito Lograsso
- ^ unclecreepy (17 February 2015). "Worship Horror at The Church with Bill Moseley". Dread Central.
- ^ "Former WWE Star Vito "Big Vito" Lograsso Wraps Up Filming Thriller Film "Apnea"". PR.com.
- ^ "Big Vito". Online World of Wrestling.
- ^ "Former Wrestlers File Concussion Lawsuit Against WWE". ABC News. 21 January 2015.
- ^ Royal Duncan & Gary Will (2000). Wrestling Title Histories (4th ed.). Archeus Communications. ISBN 0-969816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