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 센터
O2 Centre![]() | |
![]() | |
![]() | |
위치 | 255 Finchley Rd, 런던 NW3 6LU |
---|---|
좌표 | 51°32′53″N 0°10′54″w / 51.5480°N 0.1816°W좌표: 51°32′53″N 0°10′54″W / 51.5480°N 0.1816°W/ |
개업일 | 1998; | 전 (
주인님. | 토지증권 |
주차 | 자동차 518대 |
웹사이트 | o2centre |
O2 센터(O2 Centre)는 Finchley Road 튜브 스테이션 근처에 있는 런던 핀클리 로드에 있는 실내 쇼핑 및 엔터테인먼트 센터다. 그것은 햄프스테드, 웨스트햄프스테드, 스위스 코티지 사이에 위치해 있다. 그것은 또한 넓은 주차장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랜드섹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X 레져스가 소유했으며, 1998년에 문을 열었다.[1] 같은 이름, 원래 매우 비슷한 로고에도 불구하고 4년 뒤 출시된 O2 통신 브랜드와는 무관하다. O는2 다이옥시겐의 화학식이기 때문에 건물의 넓은 느낌을 가리키는 말로 이름이 선택되었다.
토지증권은 O2 센터를 인수한 이후 매물을 개선하기 위해 대대적인 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세인즈베리의 앵커 유닛이 레벨 0, 레벨 1의 버진 액티브(이전의 에스포르타)와 레벨 2의 VUE 영화관이 있는 이 센터는 소매, 엔터테인먼트, 레저의 독특한 조합으로, 센터의 18시간 이상 개장 시간에 반영된다.
역사
개발
![]() |
1998년 그 센터의 개관은 그 부지가 버려진 채 오랫동안 방치된 후에 이루어졌다. 1990년대 초 핀클리 도로를 따라 있는 건물들은 센터에 대비하여 철거되었지만, 계획 허가의 문제, 특히 교통에 대한 우려로 인해 공사가 여러 해 지연되었다. 다양한 종류의 주기적 요소와 관련하여 건물 외관을 위한 3가지 디자인 중에서 투표할 것을 요청하고 이름을 제안하는 등 지역 주민들과 많은 협의가 이루어졌다.
당초 계획에는 결국 에스포르타가 입주한 장소에 볼링장을 두고, 홈베이스가 입주한 창고형 건물에 세인즈버리가 입주해 있고, 워터스톤과 같은 비식품 유통업체들이 입주해 있는 저상층(지금의 세인즈버리스)이 입주해 있었다.
당초 건설 예산 1500만 파운드가 1997년 초 초과돼 추가 자본투자자를 찾을 때까지 건설이 일시 지연됐다.
제안 폐쇄
2020년 11월, 영국의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랜드섹의 손실 1년에 이어, 향후 4~5년 안에 40억 파운드 이상의 자산을 매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 2020년 12월, 랜드섹과 캠던 위원회는 한정된 소매량을 포함하여 철거되고 새로운 주택이 건설될 O2 센터를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
운송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남쪽으로 100야드 떨어진 핀클리 도로로 주빌리와 메트로폴리탄 노선이 운행한다.
런던 오버그라운드가 운행하는 핀클리 로드와 프로그널 역은 도보로 조금 떨어져 있고 웨스트 햄프스테드 역도 근접해 있다.
O2 센터 바로 밖에 정차하는 버스와 코치의 노선은 13, 113, 187, 268 등 여러 개 있다. 또한 가까운 곳에 C11, 31, 46, 139, 328, 603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지역 야간버스는 N113이다.
참조
- ^ "Home". Landsec. Retrieved 4 August 2021.
- ^ Kollewe, Julia (10 November 2020). "Land Securities writes almost £1bn off property portfolio". Guardian. Retrieved 19 November 2020.
- ^ http://camdennewjournal.com/article/the-o2-centre-faces-demol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