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진우
O Jin-u![]() |
오진우 | |
---|---|
![]() |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 |
재직중 1993–1995 | |
리더 | 김일성 김정일 |
선행자 | 김정일 |
성공자 | 조명록 |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 |
재직중 1972–1993 | |
리더 | 김일성 김정일 |
성공자 | 리용무 |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 위원 | |
재직중 1980–1995 | |
리더 | 김일성 김정일 |
인민무력부 장관 | |
재직중 1976년 5월 – 1995년 2월 25일 | |
리더 | 김일성 김정일 |
선행자 | 최현 |
성공자 | 최광 |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 |
재직중 1968년 12월 – 1979년 9월 | |
리더 | 김일성 |
선행자 | 최광 |
성공자 | 오극렬 |
재직중 1988년 2월 – 1995년 2월 | |
선행자 | 오극렬 |
성공자 | 최광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 |
재직중 1967–1968 | |
리더 | 김일성 김정일 |
재직중 1979–1995 | |
성공자 | 조명록 |
최고경비사령부 사령관 | |
재직중 1945–1946 | |
리더 | 김일성 |
개인내역 | |
태어난 | 함경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17년 3월 8일
죽은 | 1995년 2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 (77세)
아이들. |
|
병역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조선인민군 |
근속년수 | 1932-1995 |
순위 | ![]() |
명령 | |
전투/와이어 | |
오진우(1917년 3월 8일 ~ 1995년 2월 25일)는 북한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다. 1976년 5월부터 1995년 2월 사망할 때까지 군장관을 지냈다. 오씨는 김일성 주석과 아들 김정일에 이어 북한에서 세 번째로 권력자로 여겨져 김 위원장 일가와 혈연관계가 없는 최고 권력자로 만들었다. 김일성의 당파 부대와 함께 근무하다가 결국 북한군 대열을 뚫고 올랐다는 사실 외에는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오진우는 김일성과의 관계 덕분에 부와 명성을 누릴 수 있었고, 이는 김정일 시대에도 지속되었다. 625전쟁 때 두각을 나타냈으며 사망할 때까지 북한 지도자의 신임을 받는 고문으로 1945년 그의 수석 경호원이기도 했다.
전기
경상남도 북청의 가난한 농민 가정에서 태어난 오씨는 1933년 만주로 건너가 항일 활동에 참여했다. 당파 활동 중 김일성과 함께 1938년 동북항일군 장교로 복무했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 김일성의 항일유격대에 참가하여 주로 동만 지역과 동만 지역에서 활동하였으며, 항일 무장단체에 대한 일본군의 예속 활동이 격화되자 김일성과 함께 소련으로 피난하여 소련에 입대하였다. 부사관으로 복무할 육군. 이후 1945년 9월 19일 김일성의 88 국제여단 조선작전단 일원으로 김일성과 함께 원산항으로 귀환했다. 입국 당시 김일성은 여전히 '김성주'를 지나쳤다. 북한으로 돌아온 오진우는 최고사령부 호위총국장을 시작으로 평양경찰서장에 임명되었고, 이후 1946년 9월 중앙보안관학교의 군 부총장이 되었다. 1948년 2월에는 최근 창설된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여단장을 지냈다. 1949년에는 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다. 오진우는 북한군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북한군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625전쟁이 발발한 뒤 43사단(북한) 사령관이 됐다. 그는 제766 독립 보병 연대를 이끌고 부산 링 수비대를 공격했다. 전쟁이 끝난 뒤 3사단(북한) 지휘부장을 지냈으며, 1958년에는 국기훈장을 받았다. 그는 김일성과 친자식처럼 대하던 출생지, 김일성과는 인연이 깊었다. O는 군대의 대열을 뚫고 급부상했다. 회령 제3군관학교장, 사단장, 군단장, 군단장, 인민군 총참모장, 국가안전보위부 차관을 거쳐 1976년 인민무력부로 진급했다. 1958년 조선인민공군참모총장, 1962년 인민보안부 차관, 1963년 장군, 1967년 조선공군총정치국장, 1968년 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 이는 1954년 중앙위원, 1966년 정치위원, 1968년 사무국 위원, 1977년 상임위원으로 등극하는 등 조선노동당 최고지도부에 오른 것과 일치한다. 오진우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이 '조선인 도끼 살인사건'과 '랑군 폭격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둘 다 군에 의해 저질러진 사건이다. 그는 부상하는 동안 김일성의 군정청소를 크게 도왔다. 초기에는 김정일의 이복형에게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그는 최고위 보위부 역할을 하면서 김정일을 양육하는 데 도움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김정일의 이복형제에게 더 호의적이었다. 김평일에게 더 호의적이었던 것은 김평일보다 군사력이 많았기 때문. 군사경험이 없었기 때문인데, 항일 빨치산 출신 오진우 입장에서 보면 김정일은 정통 공산주의자처럼 보이지 않았다. 김일성의 절대적 신임을 받아 군대를 지휘하는 조선인민군 최고 권력자 오진우는 have.so의 만만치 않은 적수였다.김일우는 그를 제거하기보다는 아버지의 신임을 받던 오진우를 설득하기 시작했고, 결국 오진우를 친김정일로 전향시켰다. 이 같은 변화는 김평일이 후계자로 낙점된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다. 이후 오진우는 김정일을 후계자로 세우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김일성과 매우 친밀한 관계'가 된 그는 1974년 중앙위원회 주석실에서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제안'하고 군부[1] 오가 김정일의 대의명분을 옹호하는 데 도움을 준 최고위급 인사들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2]
1960년부터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으로 있던 O씨는 1972년 창설 직후 최고인민위원회 의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1976년에는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인민무력부장관이 임명되었다. 1985년 부총참모장, 1992년 총참모장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오 부위원장은 1993년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으로 임명된 뒤 초대 부위원장으로 교체됐다. 1990년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비상체제를 주도했다. 1994년에는 김정일 바로 아래인 김일성 장례위원회 2급 위원이기도 했다. 그는 또한 새 지도자와 함께 마지막으로 생존한 WPK 상임위원이었다.
그는 '조선인민군의 마샬'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마샬 계급에 오른 북한군 장교 3명 중 한 명이었다.
북한에서 납치된 신상옥 영화감독의 증언에 따르면 "오진우는 술에 취하면 일주일 안에 부산을 쓸어버리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대전에서 점심, 부산에서 저녁... "
2017년 1월, 세 아들 오일훈, 오일종, 오일수가 김정은에게 '사냥'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이유는 없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O와의 관계를 자신의 북한 통치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O씨가 북한에서 아직도 '혁명 순교자'라는 칭호를 받을 정도로 존경을 받았던 것을 고려하면, 이 사건은 존경받는 관료들의 친인척들이 잘 보살피는 경향이 있어 관측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3]
병과 죽음
북한 정권에서 승승장구하던 오진우는 폐암 악화로 이 시기에 공개석상 빈도가 크게 줄었다. 김정일의 특별 배려로 치료를 받기 위해 프랑스로 갔으나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결국 1995년 2월 평양에서 투병 중 사망했다. 김일성이 [4]1년 오씨는 사망 당시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던 김정일의 후계 구도에 대한 주요 지지자였기 때문에 이번 행사는 김 위원장의 발목을 잡는 것으로 비쳤다.[2] 오씨가 사망한 후 김정일은 7개월 이상 장관직을 공석으로 남겨두고 최광 신임 장관을 임명했다. 오진우는 전쟁 같은 모습으로 깊이 각인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북한 인민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오진우다.
240명의 장례위원이 O를 위해 임명되었다.[5]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6]
작동하다
- Kim Il; Choe Hyon; Pak Sung-chul; O Jin-u; et al. (1982). Twenty-year-long Anti-Japanese Revolution Under the Red Sunrays: September 1931 – February 1936. Vol. 2. Pyongyang: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OCLC 914716941.
- O Jin-u (1970). "Speech by Chief of General Staff Oh Jin Woo [Speeches at the Pyongyang mass rally 'in support of the Chinese people's struggle against U.S. imperialism and for the liberation of Taiwan' (June 27, 1970)]". People of Asia: Unite and Drive the U.S. Agressors Out of Asia!. Peking: Foreign Languages Press. pp. 95–114. OCLC 204899.
- — (1974). "Once All the People Are Armed, They Can Drive Back Any Enemy". Establishing the People's Revolutionary Government: A Genuine People's Power. Pyongyang: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OCLC 441622192.
- — (1975). "The Gun Report that Rumbled in North Manchuria". Victory at Laoheishan. Pyongyang: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pp. 13–22. OCLC 449795434.
- — (1977). "On an Expedition to North Manchuria". Taking a Machine Gun Himself. Pyongyang: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OCLC 6423895.
참조
- ^ 김정일. 쇼트 전기.
- ^ a b The Europa World Year. Vol. II: Kazakhstan - Zimbabwe (45th ed.). London: Europa Publications. 2004. p. 2462. ISBN 978-1-85743-255-8.
- ^ "Jong-un purges three sons of revered O Jin-u".
- ^ WuDunn, Sheryl (February 25, 1995). "Oh Jin-Woo, the Defense Minister of North Korea, is Dead at 77".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8-02-03.
- ^ Country Report: South Korea, North Korea (PDF). London: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997. p. 46. ISSN 1350-6900.
- ^ Gause, Ken E. (2006). North Korean Civil-Military Trends: Military-First Politics to a Point (PDF). Washington: Strategic Studies Institute. Figure 1. ISBN 1-58487-257-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February 2019.
원천
- Martin, Bradly K. (2004).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A History of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New York: Thomas Dunne. pp. 61–62. ISBN 0-312-32221-6.
외부 링크
- "O Jin U". Privat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Jap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8, 2005. Retrieved 200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