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딜론 레돈
Odilon Redon오딜론 레돈 | |
---|---|
![]() 사진, 1880년경 | |
태어난 | 베르트랑 레돈 1840년 4월 20일 보르도, 프랑스 |
죽은 | 1916년 7월 6일 ( 파리, 프랑스 | (76세)
교육 | 장레옹 제롬의 아틀리에 |
유명함 | 회화, 판화, 드로잉 |
움직임. | 후기인상주의, 상징주의 |
오딜론 레돈(Odilon Redon, 1840년 4월 20일 ~ 1916년 7월 6일)은 프랑스의 상징주의 화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전하기 전과 후에, 그의 경력 초기에, 레돈은 그의 느와르로 알려진 작품들인 숯과 석판화에 거의 독점적으로 일했습니다.그는 Joris-Karl Huysmans의 1884년 소설 "자연에 대한 저항"에서 그의 그림이 언급된 후 인정을 받았습니다.1890년대 동안, 레돈은 파스텔과 기름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그것은 1900년 이후 그의 이전 스타일의 느와르를 완전히 버리고 빠르게 그가 가장 좋아하는 매체가 되었습니다.그는 힌두교와 불교의 종교와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그의 작품에서 점점 더 많이 드러났습니다.
레돈은 오늘날 아마도 일본 미술에서 영감을 받아 추상화 쪽으로 기울어진 20세기 첫 10년 동안 만들어진 꿈 같은 그림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입니다.그의 작품은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로 여겨집니다.
젊은 시절
오딜론 레동은 아키텐의 보르도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레돈의 아버지는 1830년대 [1]루이지애나의 노예 매매로 재산을 벌었습니다.레돈은 뉴올리언스에서 임신했고 그 부부는 그의 어머니 마리 게랭이 프랑스 크리올 여성인 그의 형제 가스통을 [1]임신하는 동안 프랑스로 대서양 횡단 여행을 떠났습니다.어린 베르트랑 레돈은 어머니의 이름인 [2][3]오딜레로부터 "오딜론"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레돈은 어렸을 때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10살 때, 그는 학교에서 그림 상을 받았습니다.그는 15살에 정식으로 그림 공부를 시작했지만, 아버지의 고집으로 건축학으로 바꾸었습니다.비록 그가 1864년에 장레옹 제롬 밑에서 잠시 그림을 공부했지만,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에서 입학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것은 건축가로서의 직업에 대한 어떤 계획도 종식시켰습니다. (그의 남동생 가스통 레동은 유명한 건축가가 되었습니다.)
고향 보르도로 돌아온 그는 조각을 시작했고, 로돌프 브레딘은 그에게 에칭과 석판술을 가르쳤습니다.그의 예술 경력은 1870년 그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5]1871년 끝날 때까지 군대에 복무하도록[4] 징집되면서 중단되었습니다.
직업

전쟁이 끝나자 레돈은 파리로 건너가 숯과 석판 작업을 거의 독점적으로 재개했습니다.그는 그의 환상적인 작품들을 검은 색조로 구상했고, 그의 느와르라고 불렀습니다.1878년이 되어서야 그의 작품은 가디언 스피릿 오브 더 워터스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는 1879년에 Dans le Reve라는 제목의 석판화의 첫 번째 앨범을 출판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돈은 1884년 Joris-Karl Huysmans의 "자연에 [6][7]대항하여"라는 제목의 컬트 소설이 등장할 때까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이 이야기에는 레돈의 [8]그림을 모은 퇴폐적인 귀족이 등장했습니다.
1886년, 레돈은 그들의 마지막 [9][10]전시회에서 인상주의 화가들과 함께 그의 작품을 전시했습니다.같은 해 브뤼셀에서 열린 [11]Les XX 전시회에도 참가하기 시작했습니다.
1890년대에, 레돈은 파스텔과 석유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1900년 이후에 느와르를 만들지 않았습니다.1899년, 그는 뒤랑 [12][13]뤼엘에서 나비스와 함께 전시를 했습니다.
레돈은 힌두교와 불교의 종교와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부처의 모습은 그의 작품에서 점점 더 많이 드러났습니다.1899년 즈음의 부처의 죽음, 1906년의 부처, 1905년의 야곱과 천사, 1905년의 일본 무사가 그려진 꽃병과 같은 일본주의의 영향이 [14][15]그의 예술에 녹아 들었습니다.
로버트 드 도메시 남작(1867–1946)은 1899년 레돈에게 부르고뉴의 세르미젤 근처에 있는 도메시쉬르르르볼트 성당의 식당을 위한 17개의 장식 패널을 만들 것을 의뢰했습니다.레돈은 과거에 개인 거주지를 위한 거대한 장식 작품들을 만들었지만, 1900년에서 1901년 사이에 도메시 성당을 위한 그의 작품들은 그 당시까지의 가장 급진적인 작품들이었고 장식적인 그림에서 추상적인 그림으로의 전환을 나타냅니다.가로 상세 내역에는 특정 장소나 공간이 표시되지 않습니다.나무, 잎이 달린 잔가지, 끝없이 펼쳐진 지평선의 꽃봉오리 등 세세한 부분만 볼 수 있습니다.사용된 색상은 대부분 노란색, 회색, 갈색 그리고 밝은 파란색입니다.병풍에서 발견되는 일본 화풍의 영향인 ō,는 그가 선택한 색과 2.5미터 높이의 대부분의 판넬의 직사각형 비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 중 15개는 [17]1988년에 인수된 오르세 미술관에 있습니다.
도메시는 또한 레동에게 그의 아내와 딸 잔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의뢰했는데,[18][19] 그 두 작품은 캘리포니아의 오르세 미술관과 게티 미술관의 소장품들입니다.대부분의 그림들은 1960년대까지 [20]도메시 가문의 소장품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시상식
1903년 레돈은 레지옹 [23]도뇌르 훈장을 받았습니다.
1913년 앙드레 멜레리오(André Mellerio)에 의해 에칭과 석판화 목록이 출판되었을 때 그의 인기는 증가했습니다. 같은 해 뉴욕, 시카고, [24]보스턴에서 열린 획기적인 미국 현대 미술 국제 전시회(일명 아모리 쇼)에서 단일 작품으로는 최대 규모를 받았습니다.
개인생활
레돈은 40살에 일 부르봉 출신의 어린 크리올 카밀 팔테와 결혼했습니다.그들 사이에는 아들 아리 레돈(1889년 4월 30일 ~ 1972년 5월 13일, 파리)이 있었습니다.시각 예술가이자 어린 시절 아버지의 초상화의 대상이었던 아뢰의 파트너는 수잔 [25]레돈이었습니다.
죽음.
레동은 1916년 7월 6일 [26]파리에서 사망했습니다.
유산
그의 경력의 두 번째 부분에서 색상과 주제에 대한 그의 선택은 레돈이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27][28]선구자로 여겨지게 만들었습니다.초현실주의자 앙드레 메이슨(André Masson)에 따르면, 레동이 그의 꽃 파스텔에 밝은 색을 사용하는 것과 흔하지 않거나 상상의 종을 묘사하는 것을 선택한 것은 그의 작품을 "양식화된 자연주의에서 벗어난" 것으로 만들고, 따라서 "서정적 [29]색학의 끝없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1923년 멜레리오는 오딜론 레돈(Odilon Redon: Peintre Dessinateur et Gravur)[30]을 출판했습니다.Mellerio의 논문 아카이브는 시카고 [31]아트 인스티튜트에 있는 Ryerson & Burnham 도서관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현대전
2005년, 현대 미술관은 "Beyond The Visible"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시작했는데, 이 전시회는 이안 우드너 패밀리 컬렉션의 100개 이상의 그림, 드로잉, 판화 및 책을 보여주는 레돈의 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입니다.전시회는 2005년 10월 30일부터 2006년 [32]1월 23일까지 열렸습니다.
2007년 Schirn Kunsthalle Frankfurt는 200개 이상의 드로잉, 석판화,[33] 파스텔, 그림으로 레돈의 작품을 조사한 "꿈속의 것처럼" 전시회를 선보였습니다.
프랑스 파리의 그랑 팔레(Grand Palais)는 2011년 3월부터 6월까지 레동(Redon)의 거대한 예술 전시회를 선보였습니다.
스위스 바젤에 있는 Beyeler 재단은 2014년 [35]2월부터 5월까지 회고전을 보여주었습니다.
네덜란드 오테로에 있는 크롤러-뮐러 박물관은 La littérature et la musique라는 제목으로 레돈의 삶과 작품에서 문학과 음악이 했던 역할에 중점을 둔 전시회를 열었습니다.전시회는 2018년 [36]6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열렸습니다.
그의 작품에 대한 접수와 해석

레돈의 작품들은 작가 자신의 [37]상상력에서 나온 어둡고 환상적인 형상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예술가로서의 초기 몇 년 동안 "악몽과 꿈의 합성"으로 묘사되었습니다.그의 작품은 그의 내면의 감정과 정신에 대한 탐구를 보여줍니다.레돈은 "보이는 것의 논리를 보이지 [38]않는 것을 위해 봉사하는 것"을 원했습니다.레돈의 영감과 그의 작품 뒤에 숨겨진 힘의 명백한 원천은 그의 저널 A Soi-me (To Myself)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그는 자신의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39]
나는 운동으로서, 그리고 도구로서, 물체 앞에 그림을 그리는 것을 자주 했는데, 그 물체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 중 가장 작은 사고들까지 그려졌습니다. 그러나 그 날은 나를 슬프고 만족스럽지 못한 갈증으로 남겼습니다.다음 날 나는 다른 정보원, 즉 상상력의 정보원을 그 형태의 기억을 통해 실행하게 했고, 그리고 나서 나는 안심하고 안심했습니다.
레돈의 그림은 요리스 칼 호이스만스에 의해 신비롭고 환기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이 사진들은 서명이 들어있는 사진들이었습니다.오딜론 레돈.그들은 금날의 광택이 없는 배나무 틀 사이에 꿈에도 그리지 못한 이미지를 안고 있었습니다. 컵 위에 누워 있는 메로빙거 타입의 머리, 불교 사제와 공인 웅변가를 모두 연상시키는 수염을 기른 남자, 손가락으로 거대한 대포알을 만지고 있는 거미, 사람의 얼굴을 한 거미가 몸 중앙에 박혀 있습니다.그 다음에는 열기로 가득 찬 꿈의 공포를 더욱 깊이 파고드는 숯 스케치가 있었습니다.여기 거대한 죽음 위에서 우울한 눈꺼풀이 윙크를 했습니다. 저쪽에는 건조하고 건조한 풍경, 석회화된 평원, 요동치는 땅, 화산이 반항적인 구름으로 분출된 곳, 더럽고 탁한 하늘 아래에서; 때때로 그 주제들은 과학의 악몽 같은 꿈에서 나온 것처럼 보였고, 선사시대로 되돌아간 것입니다.바위 위에 괴상한 식물들이 피어났습니다. 불규칙한 블록과 빙하 진흙 사이에는 무거운 턱뼈, 튀어나온 눈썹, 움푹 패인 이마, 납작한 두개골 윗부분 등, 조상의 머리, 제4기의 머리, 아직도 초식일 때 사람의 머리, 말을 하지 못했을 때의 머리, 코를 떠올리는 사람들의 모습이 곳곳에 있었습니다.매머드, 콧구멍이 중격인 코뿔소, 그리고 거대한 곰의 일시적인 모습.이 그림들은 분류를 거역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림의 한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그것들은 병과 [40]섬망에서 태어난 매우 특별한 유형의 환상적인 그림을 만들었습니다.
미술사가 마이클 깁슨은 레돈이 자신의 작품, 심지어 색깔과 소재가 더 어두운 작품들도 [41]"어둠에 대한 빛의 승리"를 묘사하기를 원하기 시작했다고 말합니다.
레돈은 그의 작품을 모호하고 정의할 수 없다고 묘사했습니다.
나의 그림은 영감을 주고 정의를 내릴 수 없습니다.그것들은 음악처럼 [42]우리를 미지의 영역이라는 모호한 영역에 위치시킵니다.
레돈은 Guy Maddin의 1995년 단편 영화 Odilon Redon, 혹은 The Eye Like a Strange Balloon Mounts To [43]Infinity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갤러리
-
가디언 스피릿 오브 더 워터스, 1878 (시카고 미술관)
-
이상한 풍선 같은 눈, 무한대로 가다, 1882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시타, c. 1893, 파스텔 (시카고 미술관)
-
꽃구름, 1903 (시카고 미술관)
-
오필리아, 1900-1905 (다이안 우드너 컬렉션)
-
리플렉션, 1900-1905 (사적 수집)
-
부처님, c. 1904-1907 (Musée d'Orsay)
-
전시, 1905 (현대미술관)
-
아폴로의 전차, 1909년 (보르도 미술관)
-
꽃, 1909년
-
수중비전, c. 1910 (현대미술관)
-
The Cyclops, 1914 (Kröler-Müler Museum)
-
해지, 날짜 미포함(비공개수거)
참고문헌
- ^ a b Pfohl, Katie (28 October 2016). "Odilon Redon: How Louisiana ancestry influenced his Symbolist art". New Orleans Museum of Art. Retrieved 5 April 2020.
- ^ "Base Léonore". Ministère de la culture (in French). Retrieved 8 February 2023.
- ^ Seiferle, Rebecca. "Odilon Redon's Life and Legacy". The Art Story Contributors. Retrieved 23 August 2018.
- ^ "The Fitzwilliam Museum – Home Online Resources Online Exhibitions Redon About Odilon Redon Childhood and Early Career". www.fitzmuseum.cam.ac.uk. 5 November 2009. Retrieved 7 February 2017.
- ^ Sharyk, Hailee (1 January 2022). "Chapter 10 – Odilon Redon". Library Publishing for Open Textbooks. Retrieved 8 February 2023.
- ^ "Odilon Redon: Schwarze Phantasien zu Farbe und Mystik". Kunst, Künstler, Ausstellungen, Kunstgeschichte (in German). 8 February 2014. Retrieved 8 February 2023.
- ^ Redon, Odilon (21 January 2018). "Des Esseintes, Frontispiece for A Rebours by J.K. Huysmans".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Retrieved 8 February 2023.
- ^ Huysmans, Joris-Karl; Capsius, M. (2012). Gegen den Strich (in German). Altenmünster. ISBN 978-3-8496-1684-7. OCLC 863958649.
{{cite book}}
: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Odilon Redon (The J. Paul Getty Museum Collection)". The J. Paul Getty Museum Collection. Retrieved 8 February 2023.
- ^ Samu, Margaret (October 2004). "Impressionism: Art and Modernity". www.metmuseum.org. Retrieved 8 February 2023.
- ^ Anonymous (31 October 2018). "Melancholy". Cleveland Museum of Art. Retrieved 8 February 2023.
- ^ "Odilon Redon – Tiermalerei – Tiere in der Kunst". Catplus.de (in German). 6 November 2015. Retrieved 8 February 2023.
- ^ "ODILON REDON (1840–1916)". Christie's. 19 November 2022. Retrieved 8 February 2023.
- ^ "Odilon Redon (1840–1916) Vase au guerrier japonais IMPRESSIONIST & MODERN ART Auction 20th Century, Drawings & Watercolors Christie's". Christies.com. 2 February 2010. Retrieved 9 March 2015.
- ^ "Odilon Redon Press Images – Fondation Beyeler". Pressimages.fondationbeyeler.ch. Retrieved 9 March 2015.
- ^ "Musée d'Orsay: non_traduit". Musee-orsay.fr. 14 October 1987. Retrieved 9 March 2015.
- ^ "Musee d'Orsay : Homepage". Musee-orsay.fr. Retrieved 9 March 2015.
- ^ "Musée d'Orsay: Odilon Redon Baroness Robert de Domecy". 4 February 2009. Retrieved 10 October 2014.
- ^ "Baronne de Domecy (Getty Museum)". Getty.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14. Retrieved 9 March 2015.
- ^ "Sotheby's Impressionist & Modern Art Evening Sale" (PDF). Sothebys.com. Retrieved 9 March 2015.
- ^ 게이펠, 게리 (2013년 1월 25일).'늦은 꽃'.월스트리트저널
- ^ 폰트프로이드 수도원, 화가 오딜론 레돈의 전시회 개최 (2016)
- ^ 레돈과 베르너 (1969), p. ix.
- ^ Scott, Chadd (20 October 2021). "Strange—And Wonderful—Odilon Redon At Cleveland Museum Of Art". Forbes. Retrieved 8 February 2023.
- ^ "Portrait d'Arï Redon au col marin – Odilon Redon". Musée d'Orsay. 9 January 2023. Retrieved 8 February 2023.
- ^ "Die Pinakotheken". Die Kathedrale (M+) (in German). Retrieved 8 February 2023.
- ^ Hopkins, David (2004). Dada and Surre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78. ISBN 978-0-19-157769-7.
- ^ "Odilon Redon - French painter". Encyclopedia Britannica. 27 May 1999. Retrieved 16 December 2022.
- ^ Hauptman, Jodi (2005). Beyond the Visible: The Art of Odilon Redon.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p. 43. ISBN 978-0-87070-601-1.
- ^ "Odilon Redon, peintre, dessinateur et graveur : Mellerio, André, b. 1862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Internet Archive. 14 January 2022. Retrieved 8 February 2023.
- ^ Mellerio, André (21 January 2018). "André Mellerio Papers".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Retrieved 8 February 2023.
- ^ Danielle O'Steen (November 2005). "Dark Dreamer". ART + AUCTION. Retrieved 20 May 2008.
{{cite journal}}
:저널 요구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 "Odilon Redon". Schirn Kunsthalle Frankfurt. 27 January 2007. Retrieved 16 December 2022.
- ^ "Odilon Redon". www.grandpalais.fr. Retrieved 13 December 2018.
- ^ "Introduction Fondation Beyeler". Fondationbeyele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4. Retrieved 9 March 2015.
- ^ "Odilon Redon: La littérature et la musique;". Retrieved 10 August 2018.
- ^ 레돈(Redon), 오딜론(Odilon), 그리고 라파엘 부비에(Raphaël Bouvier) (2014).오딜론 레돈 2쪽
- ^ 레돈, 오딜론 (1988)오딜론 레돈: 우드너 컬렉션.워싱턴 D.C.:필립스 컬렉션.무염의OCLC 20763694.
- ^ Redon, Odilon (1989). A soi-même journal, 1867–1915 : notes sur la vie, l'art et les artistes (in French). Paris: J. Corti. ISBN 2-7143-0357-9. OCLC 496052158.
- ^ Joris-Karl Huysmans (1998). Against Nature. Translated by Margaret Mauld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52–53. ISBN 0-14-044086-0.
- ^ 깁슨, 마이클, 오딜론 레돈 (2011)오딜론 레돈, 1840–1916: 꿈의 왕자.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태셴 아메리카 97쪽ISBN 978-3-8365-3003-3.
- ^ Goldwater, Robert; Treves, Marco (1945). Artists on Art. Pantheon. ISBN 0-394-70900-4.
- ^ 윌리엄 비어드, 과거 속으로: 가이 매딘의 영화관.토론토 대학 출판부, 2010.ISBN 978-1-4426-1066-8. 페이지 363-365.
서지학
- 러셀 T.클레멘트, 4명의 프랑스 상징주의자: Pierre Pubvis de Chavannes, Gustave Moreau, Odilon Redon, and Maurice Denis에 관한 자료집, Greenwood Press, 1996, ISBN 0-313-29752-5 & ISBN 978-0-313-29752-6
- Jodi Hauptman과 Marina Van Zuylen, Beyond the Visible: Odilon Redon의 기술, 2005, ISBN 0-87070-702-7 및 ISBN 978-0-87070-702-5
- Andre Mellerio, Odilon Redon, 1968, ASIN B0007 DNIKO
- Odilon Redon과 Alfred Werner, Odilon Redon의 그래픽 작품, 도버, 1969, ISBN 0-486-21996-8
- Odilon Redon과 Alfred Werner, Odilon Redon의 그래픽 작품, (Dover Picture Archive), 2005, ISBN 0-486-44659-X & ISBN 978-0-486-44659-2
- Margret Stuffmann, Odilon Redon: As in a Dream, 2007, ISBN 3-7757-1894-X & ISBN 978-3-7757-1894-3
외부 링크
- Internet Archive에서 Odilon Redon에 대해 또는 그에 관한 작업
- odilonredon.net – Odilon Redon 온라인 전기 및 사진
- 아트사이클로피디아 – 레돈의 작품 링크
- 아테네움 – 레돈의 광범위한 작품 목록과 이미지
- 뮤지엄 신디케이트 – 뮤지엄 신디케이트의 오딜론 레돈 갤러리
- 웹 박물관 – 레돈의 작품 전기와 이미지
- 현대미술관의 오딜론 레돈
- MoMA 전시회 – "Beyond the Visible – The Art of Odilon Redon" – MoMA 전시회 (2005년 10월 ~ 2006년 1월)
- 쿤스트 미술관 덴 하그 – 오딜론 레돈의 322점의 판화가 있는 유적지
- odilon.chez.com – 레돈의 생애 연표
- 레돈스 캣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