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이오 주립대로235번길

Ohio State Route 235
State Route 235 marker
국도 제235번길
경로 정보
ODOT에 의해 유지 관리
길이133.20 mi[1](214.36km)
존재했다1926-현재
주요 접점
남쪽 끝 제니아 인근 US 68
주요 교차점 페어본의 I-675
I-70 / 휴버 하이츠SR 4
아다 근처 US 30
블러프턴 인근 I-75
노스엔드 Grand Rapids 인근 SR 65
위치
나라미국
오하이오 주
카운티그린, 몽고메리, 클라크, 샴페인, 로건, 하딘, 핸콕, 우드
고속도로 시스템
  • 오하이오 주 고속도로 시스템
SR 234SR 236
SR 68OH 69I-70
로건 카운티에서는 주 235번 국도가 러셀스 포인트 부근의 혼다 트랜스미션 공장을 통과한다.

주(州) 235호선(SR 235)은 미국 오하이오주 서부에 있는 133.2마일(214.4km)의 남북 주 고속도로다.그것의 남쪽 종착역은 세니아 북쪽에 있는 올드타운의 작은 마을 근처에 미국 68번지에 있고, 북쪽 종착지오츠고 서쪽 그랜드 래피즈에서 동쪽으로 거의 8.0km 떨어진 마우미 에 있는 주 65번 국도에 있다.

1968년 후반 이전에 SR 235의 북쪽 종착역은 주 4번 국도와 교차점에 있었고, 이후 데이튼 시내에서 주 65번 국도로 이어지는 69번 국도와 교차점에 있었다.SR 4/SR 69가 I-75에서 I-70까지 고속으로 재구축되면서 SR 69는 남쪽으로 단종되었고, 교차로에서 북쪽으로 거의 200마일 떨어진 SR 235의 북쪽 연장선으로 다시 번호가 매겨졌다.[2][3]왜 이런 번호 재지정이 일어났는지에 관한 많은 도시 전설들이 있다.[according to whom?]하나는 69라는 숫자가 대중문화에서 어떤 성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그 표지판이 자꾸 도난당했다는 것이다.(실제로 이 경로의 표지판을 훔치는 사례가 수없이 많았다.)또 다른 것은 69번 주간 고속도로(일부 지역에서는 110km 70마일 미만)에 너무 가깝다는 점이었고, 주 정부는 혼란을 피하기로 결정했다.[citation needed]결과적으로 변명은 또한 고려되었을지도 모르는 미국 35의 자극을 암시한다.

경로 설명

페어본 내 SR 235의 부분은 2010년 11월 14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적의 총격으로 사망한 페어본 고등학교 졸업생을 기리기 위해 "육군 전문가 제시 아담 스노우 메모리얼 하이웨이"[4]로 지정되어 있다.[5]

역사

  • 1926 – 원본 경로 인증. 원래 올드타운에서 페어본(Fairfield and Osborn, 1926년 페어필드 및 오스본)까지 현재의 정렬을 따라 라우팅되었다.[6]
  • 1932년 3월 9일 – 이전에 번호 없는 도로를 따라 페어본에서 북쪽으로 약 3마일(4.8km) 떨어진 주 4번 국도로 북쪽으로 확장.[7]
  • 1969년 – 이전 주의 69번 국도를 따라 현재의 종착역까지 북쪽으로 확장.[6]

2012년 11월 9일 클라크 카운티-스프링필드 교통조정위원회는 1992년부터 2013년까지 5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수많은 차량 충돌 사고 현장이었던 파이크 타운쉽의 SR 235와 SR 41의 교차로에 우회도로가 건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10만 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는 2014년 6월에 시작되어 9월 15일 월요일 이전에 완공되었다.클라크 카운티의 첫 번째 회전교차로로, 모든 접근 방식이 시속 89km(55mph)의 고속으로 오하이오에서 처음인 것으로 추정된다.[8][9][10][11][12]

국도 제69호선 이전

미래

오하이오 교통부(ODOT)와 클라크 카운티-스프링필드 교통조정위원회는 SR 235 코리더 관리 연구를 실시하여 북쪽에 있는 미국 40대 베델 타운쉽의 SR 235와 남쪽에 있는 그린 카운티 라인의 SR 235에 대한 개선을 검토하였다.그 연구는 주로 마을의 파크 레이네 구역에 관한 것이었다.이 연구 지역은 2007년과 2010년 사이에 많은 차량 충돌과 4건의 보행자 사망 사고가 있었다.이 도로는 상업용 진입로가 촘촘히 간격을 두고 있고 횡단보도가 부족한 점이 특히 많다.제안된 변경사항에는 몇 개의 주요 교차점에서만 단절된 중앙분리대, 우회전/우회전 접근으로 제한된 통합 진입로, 턴어라운드(턴어라운드)를 위한 복도 양 끝의 저그한들 또는 U턴 등이 포함되었다.다른 제안들로는 가장 혼잡한 교차로의 유턴, 스티어 드라이브, 주요 교차로의 왕복, 그리고 "백지" 도로 등이 있었다.2011년 9월과 2012년 4월에 이 연구와 관련된 공개 회의가 개최되었다.개선 예상 비용은 740만 달러에서 1220만 달러까지 다양했으며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공사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됐다.[13][14]2012년 10월 중순, 오하이오 교통부와 클라크 카운티 관리들에 의해 이 연장된 SR 235에 대해 약 300만 달러의 개선안을 만들기로 결정되었는데, 여기에는 진입로 통폐합과 막다른 골목 건설 등이 포함된다.[15]공사는 2015년에 시작될 예정이다.[8]어떤 "배경" 도로의 개발은 미래의 민간 개발자들에게 맡겨질 것이다.[16]

오도트는 제니아 북부의 그린 군 제니아 타운쉽에서 SR 235의 남쪽 종착지인 US 68과의 교차로를 우회도로로 전환할 계획이다.2020년 여름을 기준으로 2023년 봄 착공해 그해 가을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며, 비용은 200만 달러로 추산된다.[17]

주요 교차점

카운티위치mi[1]km목적지메모들
그린제니아 타운쉽0.000.00 US 68
페어본6.63–
6.93
10.67–
11.15
I-675콜럼버스, 신시내티22번 출구(I-675)
8.3013.36 SR 444 남쪽(브로드 스트리트) / 제니아 도로SR 444 동시성의 남쪽 끝
8.9614.42 SR 444 북쪽(브로드 스트리트) / 노스 센트럴 애비뉴SR 444 동시성의 북쪽 끝
몽고메리허버 하이츠11.6618.76 SR 4 남쪽 / 챔버스버그 도로 – 데이턴교환, SR 4 동시성 남단
12.81–
13.20
20.62–
21.24
I-70 북쪽 / SR 4 – 콜럼버스, 인디애나폴리스41번 출구(I-70), SR 4 동시성 북쪽 끝
클라크였다.베델 타운쉽16.2426.14 US 40(국도) – 반달리아, 스프링필드
뉴칼리슬레18.3129.47 SR 571 (제퍼슨 스트리트)
파이크 타운쉽22.7136.55 SR 41스프링필드, 트로이
샴페인잭슨 타운쉽27.1843.74 SR 55Urbana, Christiansburg, Troy
존슨 타운쉽32.2851.95 US 36세인트 파리, 우르바나, 피카
애덤스 타운쉽37.9761.11 SR 29 웨스트 – 시드니SR 29 동시성의 남부 끝
38.2861.61 SR 29 East – 로즈우드, UrbanaSR 29 동시성의 북쪽 끝
로건마이애미 타운쉽42.8568.96 SR 706 웨스트 – 시드니SR 706의 동쪽 종착역
드 그라프47.1475.86 SR 508 동쪽(메인 스트리트)SR 508의 서부 종착역
쾌적한 타운쉽49.9980.45 SR 47Bellefontaine, Sidney
워싱턴 타운쉽56.2090.45 SR 274헌츠빌 잭슨 센터
56.9891.70 SR 708 North – Russells PointSR 708의 남부 종착역
스톡스 타운쉽-레이크뷰
시영선
59.2795.39 SR 720
레이크뷰59.8696.34 US 33
스톡스 타운쉽-레이크뷰
시영선
59.8996.38 SR 366 동쪽SR 366 동시성의 남쪽 끝
스톡스 타운쉽61.4398.86 SR 365 동쪽SR 365의 서부 종착역
61.96–
62.00
99.71–
99.78
SR 366 웨스트SR 366 동시성의 북쪽 끝
하딘라운드헤드 타운쉽66.73107.39 SR 117 남쪽SR 117 동시성의 남쪽 끝
68.68110.53
SR 117 북쪽 SR 385 / 읍면로39번길
SR 117 동시성의 북쪽 끝
70.69113.76 SR 67웨인스필드, 켄턴
마리온-리버티
읍내선
81.28130.81 SR 309 서쪽 – 리마SR 309 동시성의 남쪽 끝
82.28132.42 SR 309 동쪽 – 켄턴SR 309 동시성의 북쪽 끝
에이다85.31137.29 SR 81(North Avenue)
핸콕오렌지 타운쉽88.73–
88.89
142.80–
143.05
US 30맨스필드, 포트 웨인, IN인터체
93.28150.12 SR 103블러프턴, 알링턴
유니언 타운쉽94.70–
94.95
152.40–
152.81
I-75톨레도, 데이턴145번 출구(I-75)
100.06161.03 SR 12 West – PandoraSR 12 동시성의 남쪽 끝
벤튼 리지102.32164.67 SR 12 East – FindlaySR 12 동시성의 북쪽 끝
블랜차드 타운쉽105.58169.91 US 224 / SR 15Findlay, Ottawa
쾌적한 타운쉽108.99175.40 SR 186 남방 / CR 97SR 186 동시성의 남단
매컴109.98177.00
SR 613(메인 스트리트) / SR 186 종료
SR 186 동시성의 북단(북단말)
나무호이tville115.17185.35 SR 18동 / 리글 로드SR 18 동시성의 남쪽 끝
잭슨 타운쉽116.58187.62 SR 18 West – DeshlerSR 18 동시성의 북쪽 끝
밀턴 타운쉽122.15196.58 SR 281Custar, Wayne
웨스턴 타운쉽128.19206.30 US 6 – 볼링 그린, 맥클루어, 나폴레옹
워싱턴 타운쉽133.20214.36 SR 65(리버 로드) – 그랜드 래피즈, 페리스버그, 톨레도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참조

경로 지도: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
  1. ^ a b "DESTAPE". Ohio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July 16, 2013. Retrieved July 26, 2014.
  2. ^ "Section of Ohio 69 renumbered". Xenia Daily Gazette. September 26, 1968. Retrieved February 20, 2014.
  3. ^ "Number Changed". Lima News. August 30, 1968. Retrieved February 20, 2014.
  4. ^ "5533.645 Army Specialist Jesse Adam Snow Memorial Highway". Ohio Revised Code. LAW Writer. March 22, 2013. Retrieved April 20, 2013.
  5. ^ Staff (April 19, 2013). "Part of Ohio 235 dedicated to Army Spc. Jesse Snow". Dayton Daily News. Retrieved April 20, 2013.
  6. ^ a b c d John Simpson. "Route 235". The Unofficial Ohio State Highways Web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8, 2010. Retrieved April 30, 2012.[원본]
  7. ^ "Road Numbers to be Changed on Wednesday". The Richmond Item. March 9, 1932. p. 5. Retrieved February 20, 2020 – via Newspapers.com. open access
  8. ^ a b Tiffany Y. Latta (November 9, 2012). "Ohio 235 to get nearly $4 million in safety improvements". Springfield News-Sun. Retrieved November 13, 2012.
  9. ^ "November 2012 TCC Board Meeting Agenda" (PDF). Clark County-Springfield Transportation Coordinating Committee. November 9,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ugust 15, 2018. Retrieved June 13, 2021.
  10. ^ Tiffany Y. Latta (January 17, 2013). "Deadly intersection will get roundabout". Dayton Daily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6, 2014. Retrieved January 24, 2013.
  11. ^ Tiffany Y. Latta (June 29, 2014). "Construction starts on first-of-its kind roundabout". Springfield News-Sun. Retrieved July 5, 2014.
  12. ^ Wichie, Allison (September 15, 2014). "First-of-its-kind roundabout finished in Pike Twp". Springfield News-Su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6, 2014. Retrieved September 16, 2014.
  13. ^ "SR235 Corridor Management Study". Clark County-Springfield Transportation Coordinating Committe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7, 2012. Retrieved April 27, 2012.
  14. ^ Tiffany Y. Latta (April 21, 2012). "Road changes may cost $12M". Springfield News-Sun. Retrieved April 27, 2012.
  15. ^ Tiffany Y. Latta (October 14, 2012). "$3M makeover to improve Ohio 235 safety". Springfield News-Sun. Retrieved October 18, 2012.
  16. ^ "CLA SR 235 Corridor Management Study Final Recommended Concept" (PDF). Clark County-Springfield Transportation Coordinating Committee. October 24,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4, 2014. Retrieved November 13, 2012.
  17. ^ Franks, Sarah (July 8, 2020). "State says more roundabouts on the way to control traffic". Dayton Daily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9, 2020. Retrieved July 10, 2020.